KR101877040B1 -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040B1
KR101877040B1 KR1020160146709A KR20160146709A KR101877040B1 KR 101877040 B1 KR101877040 B1 KR 101877040B1 KR 1020160146709 A KR1020160146709 A KR 1020160146709A KR 20160146709 A KR20160146709 A KR 20160146709A KR 101877040 B1 KR101877040 B1 KR 10187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head body
rotating shaft
water filt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041A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4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040B1/ko
Priority to PCT/KR2017/011900 priority patent/WO2018084489A1/ko
Priority to US15/738,790 priority patent/US10751653B2/en
Publication of KR2018005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몸체와 회전샤프트 및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특히 상기 회전샤프트는 헤드몸체에 형성된 안착턱에 얹힌 상태로 회전 동작됨과 더불어 이렇게 안착턱에 얹히는 부위에는 하측 씨일부재가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몸체에 회전샤프트를 결합하는 도중 상기 하측 씨일부재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head assembly for water purifi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필터를 거치지 않고 직수로의 사용 혹은, 정수필터를 거치는 정수로의 사용이 가능한 선택형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에서 헤드몸체와 회전샤프트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동작성을 확보하면서도 기밀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필터는 정수기에 사용되면서 여과 대상 원수에 혼입된 각종 이물질이나 오염물질 혹은, 세균을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정수필터에는 헤드 어셈블리가 설치되면서 이 헤드 어셈블리를 통해 원수의 유입 및 유출이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568985호, 공개특허 제10-2013-0004102호, 등록실용 제20-0426860호, 등록특허 제10-148099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필터의 헤드 어셈블리는 항상 정수기 내를 원수가 거치도록 구성될 뿐 정수기를 거치지 않고 직수를 온전히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물론, 종래에도 원수를 직수로 사용하거나 혹은, 원수를 정수한 후 사용하는 실용신안 실1986-0001110호에 개시된 절환 밸브 장치가 제공되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누설 부위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사용의 불편함이 많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필터의 헤드 어셈블리는 유체(원수나 정수)가 누수됨을 방지하기 위한 씨일부재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씨일부재는 회전 동작되는 부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억지 끼움 방식에 비해서는 느슨하게 조립함에 따라 각 구성 요소 간의 조립시 상기 씨일부재가 정위치로 유지되지 못하고 이탈되거나 혹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조립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68985호 공개특허 제10-2013-0004102호 등록실용 제20-0426860호 등록특허 제10-1480993호 실용신안 실1986-000111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필터를 거치지 않고 직수로의 사용 혹은, 정수필터를 거치는 정수로의 사용이 가능한 선택형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에서 헤드몸체와 회전샤프트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동작성을 확보하면서도 기밀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하로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면서 저부로는 정수필터의 개방된 상측 끝단이 수용됨과 더불어 양측으로는 유입관 및 취출관이 각각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안착턱이 돌출 형성된 헤드몸체; 상기 헤드몸체 내의 유입관과 취출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턱에 얹힌 상태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안착부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어 정수필터가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헤드몸체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원수를 취출관으로 곧장 안내하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헤드몸체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정수필터 내로 안내하는 안내공이 각각 형성된 회전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하부 끝단측 둘레면에는 상기 헤드몸체 내의 안착턱 상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와 상기 안착턱 사이에는 링형의 하측 씨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상부 끝단측 둘레면에는 링형의 상측 씨일부재가 장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턱의 내주면 하단측 부위에는 내향 돌출된 돌출안착단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하부 끝단은 상기 안착턱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돌출안착단에 얹히도록 직경이 축소된 축경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돌출안착단은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축경단은 그 저면 모서리가 상기 돌출안착단과 동일한 경사 혹은, 라운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돌출안착단에 얹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몸체의 개방된 상면에는 고정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의 저면과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면에는 서로의 상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각도 제한부는 상기 고정캡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한돌기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면에 형성되면서 해당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고정캡의 제한돌기에 걸려 더 이상 회전샤프트가 회전됨을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정수필터를 거치지 않고 직수로의 사용 혹은, 정수필터를 거치는 정수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이러한 각 용도별 사용에 대한 조절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회전샤프트의 둘레면에 복수의 씨일부재를 추가로 설치하면서도 하부에 위치되는 하측 씨일부재의 경우는 회전샤프트의 저면과 둘레면 사이의 틈새를 동시에 씨일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밀 유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 회전샤프트를 헤드몸체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유입공이나 취출공의 각 모서리 부위에 걸린다 하더라도 하측 씨일부재가 벗겨지거나 정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게 되고, 또한 기밀 유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저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직수 동작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정수 동작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직수 동작시 회전샤프트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정수 동작시 회전샤프트의 회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저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크게 헤드몸체(100)와 회전샤프트(200) 및 고정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헤드몸체(100)에 형성된 안착턱(130)에 얹힌 상태로 회전 동작됨과 더불어 이렇게 안착턱(130)에 얹히는 부위에는 하측 씨일부재(240)를 개재함으로써 헤드몸체(100)에 회전샤프트(200)를 결합하는 도중 상기 하측 씨일부재(240)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헤드몸체(100)는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외관 몸체를 이루면서 정수필터(10)가 결합 장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헤드몸체(100)는 상하로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면서 저부로는 정수필터(10)의 개방된 상측 끝단 부위가 수용 결합됨과 더불어 둘레면 양측에는 유입공(110) 및 취출공(120)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헤드몸체(100)의 둘레면 중 유입공(110)이 형성된 부위에는 원수의 유입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관(1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헤드몸체(100)의 둘레면 중 취출공(120)이 형성된 부위에는 바이패스되는 원수 혹은, 필터를 거친 정수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취출관(121)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몸체(100)의 내주면 중 상기 유입공(110)과 취출공(120)의 직하방측에는 안착턱(130)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될 회전샤프트(200)가 상기 안착턱(130)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상기 헤드몸체(100)의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유동이 정수필터(10)를 경유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정수필터(10)를 경유하지 않고 곧장 취출관(121)으로 취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샤프트(200)는 상기 헤드몸체(100) 내의 유입관(111)과 취출관(121) 사이에 위치되는 안착부(210)와, 상기 안착부(210)의 저부로 연장되면서 정수필터(10)의 상측 끝단 부위가 결합되는 결합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수필터(10)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몸체(100)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10)의 하부 끝단측 둘레면에는 상기 헤드몸체(100) 내의 안착턱(130) 상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안착돌기(2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211)와 상기 안착턱(130) 사이에는 링형의 하측 씨일부재(24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측 씨일부재(240)는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저부로부터 통과시켜 상기 안착부(210)에 형성된 안착돌기(211)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장착하며, 이후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상기 헤드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하향 장착하는 작업에 의해 상기 안착돌기(211)와 상기 헤드몸체(100)의 안착턱(130)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안착돌기(211)와 안착턱(130) 사이의 내외측 둘레면과 상하측 대향면과 같이 네 곳에 대한 씰링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이루는 안착부(210)의 상부 끝단측 둘레면에는 장착홈(212)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장착홈(212)에는 링형의 상측 씨일부재(23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이루는 안착부(210)의 하부 끝단인 상기 안착돌기(211)의 저부측 부위는 상기 헤드몸체(100)의 안착턱(130) 내부로 수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축경단(2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턱(130)의 내주면 하단측 부위에는 내향 돌출된 돌출안착단(131)이 더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축경단(213)의 저부 모서리 부위는 상기 돌출안착단(131)에 얹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착돌기(211)와 안착턱(130) 사이에 개재되는 하측 씨일부재(240)가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으면서도 회전샤프트(200)가 상기 헤드몸체(100) 내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상기 돌출안착단(131)의 상면이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축경단(213)의 저면 모서리는 상기 돌출안착단(131)과 동일한 형상의 경사 혹은, 라운드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상기 돌출안착단(131)에 상기 축경단(213)이 기울어짐 없이 정확히 얹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샤프트(200)의 회전 동작이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이루는 안착부(210)의 둘레면에는 상기 헤드몸체(100)의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원수를 취출관(121)으로 곧장 안내하는 바이패스홀(250) 및 상기 헤드몸체(100)의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정수필터(10) 내로 안내하는 안내공(261,262,263,264)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패스홀(250)과 안내공(261,262,263,264)은 회전샤프트(200)의 둘레면 중 서로 수직한 방향측에 각각 형성되며, 특히 상기 안내공(261,262,263,264)은 상기 바이패스홀(250)과는 차단된 상태로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공 (261,262,263,264)이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어느 한 둘레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향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유입관(111)으로부터 원수를 유입받아 수평 방향으로 유동됨을 안내하는 제1수평안내공(261)과, 상기 제1수평안내공(261)의 끝단으로부터 저부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면서 정수필터(10)의 내부 공간으로 원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1수직안내공(262)과, 상기 정수필터(10) 내부 공간의 정수된 정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2수직안내공(263)과, 상기 제2수직안내공(263)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취출관(121)이 형성된 부위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수평안내공(2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전술된 각 안내공(261,262,263,264)에 의해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원수는 정수필터(10) 내를 경유하여 정수된 후 취출관(121)으로 취출되는 것이다.
한편, 정수필터의 회전 조작시에는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유입관(111) 및 취출관(121)과 바이패스홀(250) 혹은, 안내공(261,262,263,264)이 선택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멈출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샤프트(200)의 상면에 멈춤돌기(270)가 돌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멈춤돌기(270)는 회전샤프트(200)의 회전시 후술될 고정캡(300)의 제한돌기(410)에 걸려 더 이상 회전샤프트(200)가 회전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유입관(111) 및 취출관(121)이 바이패스홀(250) 혹은, 안내공(261,262,263,264)에 정확히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캡(300)은 회전샤프트(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고정캡(300)은 상기 헤드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캡(300)의 저면과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상면에는 서로의 상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도 제한부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도 제한부가 상기 고정캡(3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한돌기(410) 및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상면에 형성되면서 제한돌기(410)에 걸려 더 이상 회전샤프트가 회전됨을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420)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제한돌기(410)나 상기 멈춤돌기(420)는 회전샤프트(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90°의 각도 변위를 갖도록 그 위치나 형상이 각각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한돌기(410)의 경우 기준 위치로의 기능만 수행하는 스토퍼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멈춤돌기(420)는 해당 회전샤프트(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 끝단면이 그에 대향되는 제한돌기(410)의 양측 벽면에 맞닿는 반원형의 링형 돌기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헤드몸체(100)의 상측 끝단면에는 걸림홈(15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300)의 저면에는 걸림돌기(310)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한 걸림홈(150) 및 걸림돌기(310)의 구조로 인해 상기 고정캡(300)은 항상 헤드몸체(100)의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샤프트(200)의 회전에 의한 제한돌기(410)와 멈춤돌기(420) 간의 부딪힘 발생시에도 이 부딪힘으로 인해 고정캡(300)이 회전되는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300) 내의 테두리측 부위에는 헤드몸체(100)의 상측 끝단 내주면에 걸리는 걸림턱(320)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캡(300)이 상기 헤드몸체(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별도 제조된 헤드몸체(100)와 회전샤프트(200)를 각각 준비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이루는 안착부(210)의 장착홈(212) 내에는 상측 씨일부재(230)를 장착함과 더불어 상기 안착부(210)의 저부측 부위인 축경단(213)의 둘레에는 하측 씨일부재(240)가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측 씨일부재(240)는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저부를 통해 상기 축경단(213)의 둘레 중 안착돌기(211) 저면에 장착되며, 이는 첨부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샤프트(200)에 각 씨일부재(230,24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상기 헤드몸체(100) 내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샤프트(200)는 상기 헤드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그 결합부(220)가 위치된 저부측 부위부터 하향 장착하며, 이러한 회전샤프트(200)의 장착 도중 상기 회전샤프트(200)의 안착부(210)를 이루는 축경단(213)이 헤드몸체(100) 내의 안착턱(130)에 형성된 돌출안착단(131) 상면에 얹히게 되면 더 이상의 하향 이동은 방지되면서 해당 위치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는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축경단(213)이 돌출안착단(131)에 얹혀 안착된 상태에서는 하측 씨일부재(240)가 안착턱(130)과 안착돌기(211) 사이에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고 누수가 방지될 정도만 적당히 압축됨에 따라 해당 회전샤프트(200)의 동작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샤프트(200)에 장착된 하측 씨일부재(240)는 상기 회전샤프트(200)를 하향 장착하는 도중 헤드몸체(100) 내의 벽면이나 유입공(110) 및 취출공(120)의 모서리 등에 접촉되면서 그의 벗겨짐이나 위치 이탈이 발생되려 하지만 상기 안착돌기(211)로 인해 그 벗겨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해당 회전샤프트(20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측 씨일부재(240)가 안착돌기(211)와 안착턱(13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위치 이탈 역시 방지된다.
이후, 고정캡(300)을 상기 헤드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장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가 완성된다.
다음으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에는 정수필터(10)가 장착되고, 유입관(111)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관로가 연결됨과 더불어 취출관(121)에는 정수 혹은, 직수의 제공을 위한 관로가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원수의 상태(정수 혹은, 직수)에 따라 정수필터(100를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컨대, 사용자가 직수를 원할 경우에는 정수필터(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200)의 바이패스홀(250)이 헤드몸체(100)의 유입관(111)과 취출관(121)에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샤프트(200)에 형성된 멈춤돌기(420)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300)에 형성된 제한돌기(410)에 의해 그 회전 변위가 제한됨으로써 헤드몸체(100)의 유입관(111) 및 취출관(121)에 회전샤프트(200)의 바이패스홀(250)이 정확히 일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는 헤드몸체(100)의 유입공(110)을 통과한 후 회전샤프트(200)의 바이패스홀(250)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헤드몸체(100)의 취출공(120)으로 곧장 유동된 후 상기 취출공(120)을 통과하여 취출관(121)을 통해 취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원수를 직수로 제공받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를 원할 경우에는 정수필터(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200)의 제1수평안내공(261)이 헤드몸체(100)의 유입공(110)에 일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회전샤프트(200)의 제2수평안내공(264)은 헤드몸체(100)의 취출공(120)에 일치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샤프트(200)에 형성된 멈춤돌기(420)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캡(300)에 형성된 제한돌기(410)에 의해 그 회전 변위가 제한됨으로써 회전샤프트(200)의 제1수평안내공(261) 및 제2수평안내공(264)이 헤드몸체(100)의 유입공(110)과 취출공(120)에 정확히 일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는 유입공(110)을 통과한 후 회전샤프트(200)의 제1수평안내공(261) 내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제1수평안내공(261) 내의 끝단측에 연통된 제1수직안내공(262)을 따라 하향 유동되어 정수필터(1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정수되고, 계속해서 상기 정수된 정수물은 제2수직안내공(263)을 따라 유동된 후 제2수평안내공(264) 및 취출공(1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취출관(12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정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정수필터(10)를 거치지 않고 직수로의 사용 혹은, 정수필터(10)를 거치는 정수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이러한 각 용도별 사용에 대한 조절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회전샤프트(200)의 둘레면에 복수의 씨일부재(230,240)를 추가로 설치하면서도 하부에 위치되는 하측 씨일부재(240)의 경우는 회전샤프트(200)의 저면과 둘레면 사이의 틈새를 동시에 씨일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밀 유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 회전샤프트(200)를 헤드몸체(100)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유입공(110)이나 취출공(1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걸린다 하더라도 하측 씨일부재(240)가 벗겨지거나 정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의 둘레면 중 두 씨일부재(230,240)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기밀부재(280,29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유입공(110) 및 취출공(120)과 각 수평안내공(261,264)을 통과하는 유체(원수, 정수)가 상기 회전샤프트(200)와 헤드몸체(10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 정수필터 100. 헤드몸체
110. 유입공 111. 유입관
120. 취출공 121. 취출관
130. 안착턱 150. 걸림홈
200. 회전샤프트 210. 안착부
211. 안착돌기 212. 장착홈
213. 축경단 220. 결합부
230,240. 씨일부재 250. 바이패스홀
261. 제1수평안내공 262. 제1수직안내공
263. 제2수직안내공 264. 제2수평안내공
280,290. 보조기밀부재 300. 고정캡
310. 걸림돌기 320. 걸림턱
410. 제한돌기 420. 멈춤돌기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하로 개방된 관체로 형성되면서 저부로는 정수필터의 개방된 상측 끝단이 수용됨과 더불어 양측으로는 유입관 및 취출관이 각각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안착턱이 돌출 형성된 헤드몸체;
    상기 헤드몸체 내의 유입관과 취출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턱에 얹힌 상태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안착부의 저부로 연장 형성되어 정수필터가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몸체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원수를 취출관으로 곧장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헤드몸체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원수가 상기 정수필터 내를 경유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이 각각 형성된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턱의 내주면 하단측 부위에는 내향 돌출된 돌출안착단이 더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하부 끝단은 상기 안착턱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돌출안착단에 얹히도록 직경이 축소된 축경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하부 끝단측 둘레면에는 상기 헤드몸체 내의 안착턱 상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와 상기 안착턱 사이에는 링형의 하측 씨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상부 끝단측 둘레면에는 링형의 상측 씨일부재가 장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안착단은 저부로 갈수록 내향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이루는 안착부의 축경단은 그 저면 모서리가 상기 돌출안착단과 동일한 경사 혹은, 라운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돌출안착단에 얹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의 개방된 상면에는 고정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의 저면과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면에는 서로의 상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각도 제한부는
    상기 고정캡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한돌기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면에 형성되면서 해당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고정캡의 제한돌기에 걸려 더 이상 회전샤프트가 회전됨을 차단하도록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KR1020160146709A 2016-11-04 2016-11-04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KR10187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709A KR101877040B1 (ko) 2016-11-04 2016-11-04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PCT/KR2017/011900 WO2018084489A1 (ko) 2016-11-04 2017-10-26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US15/738,790 US10751653B2 (en) 2016-11-04 2017-10-26 Head assembly for water purification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709A KR101877040B1 (ko) 2016-11-04 2016-11-04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41A KR20180050041A (ko) 2018-05-14
KR101877040B1 true KR101877040B1 (ko) 2018-07-12

Family

ID=621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709A KR101877040B1 (ko) 2016-11-04 2016-11-04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0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110Y1 (ko) * 1984-04-25 1986-06-05 남궁상 직수, 정수 절환 밸브 장치
US20120031821A1 (en) * 2010-08-09 2012-02-09 Paragon Water Systems, Inc. Bypass valve for water filter system
US20130067718A1 (en) * 2011-09-15 2013-03-2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filter unit
KR101311654B1 (ko) * 2011-11-02 2013-09-25 정휘동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110Y1 (ko) * 1984-04-25 1986-06-05 남궁상 직수, 정수 절환 밸브 장치
US20120031821A1 (en) * 2010-08-09 2012-02-09 Paragon Water Systems, Inc. Bypass valve for water filter system
US8888998B2 (en) * 2010-08-09 2014-11-18 Paragon Water Systems, Inc. Bypass valve for water filter system
US20130067718A1 (en) * 2011-09-15 2013-03-2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filter unit
US8950052B2 (en) * 2011-09-15 2015-02-1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filter unit
KR101311654B1 (ko) * 2011-11-02 2013-09-25 정휘동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필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41A (ko) 201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11B1 (ko)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KR101608551B1 (ko) 제거가능하고 교체가능한 스핀들을 구비한 모듈식 음용수 여과시스템
US9937450B2 (en) Filtration system
KR20110007146A (ko) 하부 적재 카트리지를 구비한 모듈식 음용수 여과시스템
KR20110015520A (ko) 교체가능한 카트리지용 접속링을 구비한 모듈식 음용수 여과시스템
USRE34031E (en) Filtering system
US7662283B2 (en) Modular drinking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locking arrangement to assure filter cartridge compatibility
JP2821118B2 (ja) フイルタ装置
US10753483B2 (en) Material supply system with valve assembly
US20050178714A1 (en) Filter cartridge construction
KR101877040B1 (ko) 직수 선택형 정수필터용 헤드 어셈블리
BR122020025290B1 (pt) Conjunto de filtro de recuperação de líquido e método de processo de purga de líquidos
JP2008101670A (ja) 連結ユニット
US10751653B2 (en) Head assembly for water purification filter
EP1131576B1 (en) Device for cleaning a filter
CN106673135B (zh) 一种家用净水器
US20090236272A1 (en) Modular Drinking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Keyed Attachment of Filter Head to Mounting Bracket and Modular Back Plates
US9393509B2 (en) Out-of-vat liquid filter for ensuring reliable connection of water pipe connector
CN109078378A (zh) 止水组件、滤芯装置以及净水器
TWM629174U (zh) 淨水用的濾心組
KR100865415B1 (ko)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CN210964225U (zh) 净水机
JP3208590U (ja) 浄水器
KR102356198B1 (ko) 수액튜브용 유량 조절장치
TWI682118B (zh) 閥上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