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769B1 -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769B1
KR101876769B1 KR1020170136147A KR20170136147A KR101876769B1 KR 101876769 B1 KR101876769 B1 KR 101876769B1 KR 1020170136147 A KR1020170136147 A KR 1020170136147A KR 20170136147 A KR20170136147 A KR 20170136147A KR 101876769 B1 KR101876769 B1 KR 10187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viding
moving picture
user terminal
rewar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신
Original Assignee
박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신 filed Critical 박영신
Priority to KR1020170136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제공부; 상기 문제의 답 및 시청자들과 게시자 간의 소통할 수 있는 게시판을 만들어 상호간의 소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해, 상기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VIDEO AND REWARD, APPARATUS FOR THE SAM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동영상과 관련 지어 출제된 문제를 제공하고, 문제 출제 및 풀이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의 집중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동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시청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고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제작자의 개인 의사에 따라 진행이 되기 때문에 해당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전송하는 것에 대해 제약이 있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해 콘텐츠를 개선해 나아가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광고가 나가더라도 통상적인 광고는 광고주로부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일방향 전달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광고의 효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상기 동영상과 관련 없는 광고가 일방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광고 효과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동영상 및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 및 게시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동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값이 기설정된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창에 답변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해, 상기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동영상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문제 제공부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플랫폼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값이 기설정된 문장과 일치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창에 답변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리워드 제공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동영상 및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 및 게시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동영상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 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게시판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출제 및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플랫폼 및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시스템에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200)에 동영상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 해당 문제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의 해당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의 결과에 따라 추첨을 통하여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가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아이템으로 구성된 광고 동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리워드 제공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리워드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100)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리워드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DB(130)(130) 및 제어부(140)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부(110)는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리워드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리워드 제공 장치(100)로부터 동영상 및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영상 시청에 따른 문제를 제공하는 작업, 동영상의 주제에 따라 자동으로 문제를 생성하는 작업, 동영상을 시청한 다른 사용자에게 문제를 제공하는 작업, 문제 풀이에 따라 문제 풀이자에게 제공될 리워드를 결정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동영상 제공부터 리워드 제공까지의 전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저장부(12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동영상을 제공하고, 문제가 출제되는 경우,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B(130)(130)는 출제자 및 문제 풀이자와 같은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경고 횟수 및 리워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40)는 동영상 제공부(141), 플랫폼 제공부(142), 문제 제공부(143) 및 리워드폼제공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제공
동영상 제공부(141)는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동영상을 제공한다.
동영상 제공부(141)는 동영상의 기제공 횟수를 카운트하고,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미만인 경우,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제공부(141)는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동영상을 제공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아이템으로 구성된 광고 동영상일 수 있고, 한정된 조회 횟수까지만 동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광고주는 한정된 조회 횟수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광고 동영상을 한정된 조회 횟수만큼만 사용자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문제 제공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40)는 문제 출제를 위한 문제 출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제 출제부(미도시)는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출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에 복수의 문제 템플릿들을 제공하고, 문제 템플릿들 중 선택된 문제 템플릿에 상응되도록 문제를 생성한다.
문제 템플릿은, 4지선다 문제 템플릿, OX 퀴즈 템플릿, 선긋기 문제 템플릿, 키워드 문제 템플릿 및 순서 맞추기 문제 템플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4지선다 문제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질문지와 4개의 선택지 중 하나의 정답지를 이용하여 문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문제 템플릿일 수 있다.
다음으로, OX 퀴즈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질문지와 질문지의 참 또는 거짓 여부를 이용하여 문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문제 템플릿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선긋기 문제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질문지와 3쌍의 텍스트(총 6개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문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문제 템플릿일 수 있다.
다음으로 키워드 문제 템플릿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질문지와 적어도 3개의 정답지 및 적어도 3개의 오답지를 이용하여 문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문제 템플릿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순서 맞추기 문제 템플릿은 문제 출제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하나의 질문지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키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문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순서 맞추기 문제 템플릿일 수 있다.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 생성
문제 출제부(미도시)는 문제 템플릿들 중 순서 맞추기 문제 템플릿이 선택된 경우, 동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키 프레임들을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키 프레임들 및 키 프레임들의 시간 순서를 포함하는 순서 맞추기 문제를 문제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순서 맞추기 문제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에 키 프레임들을 한 화면 상에 임의의 순서로 배치하여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키 프레임들을 선택한 순서 및 시간 순서가 일치하는 경우,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한 것으로 보는 문제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문제 제공
문제 제공부(143)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한다.
문제 제공부(143)는 기준 시간 내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 제공부(143)는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 동영상일 수 있고, 한정된 조회 횟수까지만 문제를 제공함에 따라, 광고주는 한정된 조회 횟수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광고 동영상과 관련된 문제를 한정된 조회 횟수 내에서 사용자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문제 제공부(143)는 기준 시간 내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을 초과하는 경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고,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가 제공 대상에 다시 포함되기 위한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영상을 3분 이내에 3번 이상 시청한 경우,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제1_1 문제, 제1_2 문제 및 제1_3 문제 등을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고, 해당 문제가 다시 제공되기 위해서 10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을 반복 시청한 후에 해당 동영상과 관련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소진시키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문제 제공부(143)는 문제의 정답률에 기초하여 문제의 등급을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문제 제공 전에 문제의 등급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동영상 시청 후 게시판 제공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부(14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창 및 게시판을 제공하고, 기존에 가장 빈번한 질문들을 수집하여, 사용자들이 상기 빈번한 질문의 적어도 1가지 이상의 키워드를 입력할 시, 기존에 입력해둔 답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질문의 키워드가 a, d, e, f 라면 a를 입력했을 시에, a가 들어간 질문의 종류를 탐색하고 그 질문의 목록과 답이 상기 게시판에 표시되어 상기 사용자가 필요한 답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궁금중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부(14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확인되면 게시판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시판은 제 1메뉴창과 제 2메뉴창을 제공하며, 상기 제 1메뉴창은 기 재생된 동영상의 다른 시리즈를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1화부터 10화로 구성된 시리즈의 동영상 중 1화를 재생한 후, 상기 게시판에서 메뉴창을 선택하면, 상기 제 1메뉴창에는 1화부터 10화까지의 선택 메뉴가 표시 될 수 있다.
상기 제 2메뉴창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된 시리즈의 출제 되었던 문제를 표시하는 문제 게시판 및 질문이 자유롭게 가능한 자유 게시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1화를 선택했을 경우, 상기 제 2메뉴창에는 문제 게시판 및 자유 게시판이 활성화 되어 플랫폼 제공부(142)는 사용자가 원하는 게시판에 입력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메뉴창은 상기 DB(130)에 저장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다.
동영상 시청 중 키워드 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부(142)는 동영상 시작 전에 정답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댓글창을 제공한다. 상기 댓글창에 사용자들이 상기 지정된 키워드를 입력할 시, 기존에 설정된 경고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문제에 대한 정답이 '가나다' 라면 상기 댓글창에 '가','나','다'를 입력했을 시에, 경고 알림부(미도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경고 메세지를 전달하며, 상기 경고 메세지를 기설정된 횟수만큼 받았을 시에 사용자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댓글 입력이 제한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고 메세지가 전달되면, 상기 댓글창에 입력된 키워드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될 수 없으며,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받은 이 후, 경고 메시지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아니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200)은 댓글창에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이 제한된 계정정보 및 경고 메시지를 받은 계정 정보는 DB(130)에 저장되며, 저장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플랫폼 제공부(142)는 DB(130)로부터 제한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을 영구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부(142)는 동영상이 시작한 후에 정답을 맞춘 사용자가 있을 경우, 플랫폼 제공부(142)는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를DB(130)에 전달하며, 전달된 정보는 DB(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정답을 맞춘 사용자에 한해서 플랫폼 제공부(142)는 DB(130)에 저장된 정답자들에게 새로운 댓글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재생 중 정답을 맞춘 사용자 단말기(200)에 한해서 플랫폼 제공부(142)는 자동으로 정답자 댓글 채널을 개설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이를 제공한다. 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200)은 정답을 맞추지 못한 댓글 채널에서는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잃게 되며 정답자 댓글 채널에서만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은 상기 정답을 맞추지 못한 댓글 채널에서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잃게 되지만, 상기 채널에서의 댓글을 읽을 수 있는 권한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동영상에 대한 댓글을 등록하는 것에 있어서 정답을 맞춘 사용자의 댓글 채널을 별도로 관리하는 것은 이미 정답을 알고 있는 사용자가 그렇지 않은 사용자에게 댓글로 정답을 알려주는 것을 방지하지 위함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플랫폼 제공부(142)는 사용자가 입력한 댓글을 필터링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플랫폼 제공부 (142)는 동일한 댓글 채널을 사용하여 등록된 댓글을 공유하도록 댓글창을 제공하되, DB(130)에 기 등록된 정답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와 유사하거나 관련된 댓글을 확인하여 블라인드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정답 관련 댓글에 대한 블라인드 기능은 정답을 맞추지 못한 계정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답자가 입력하는 댓글은 정답을 스포일링하는 것이 아닌 경우라면 어떤 댓글도 비정답자와 공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문제 풀이 결과에 따라 리워드 제공
리워드 제공부(144)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해,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한다.
리워드 제공부(144)는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에 문제에 대한 오답자 수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오답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에 문제에 대한 정답자 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들의 문제 풀이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144)는 문제의 정답률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워드 제공부(144)는 문제의 정답률 및 기설정된 기준 정답률의 차이가 제1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이가 제1 범위 내인 경우, 제1 보상률에 문제에 대한 기준 리워드 액수를 곱한 값만큼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정답률이 50%이고, 제1 범위가 5%인 경우, 42.5~47.5%의 정답률을 가지는 문제를 푼 사용자에게 제1 보상률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 출제부(미도시)에서 문제가 생성된 경우, 리워드 제공부(144)는 동영상을 제공 받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에 문제를 제공하고, 문제 출제자에 대해,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144)는 동영상의 기제공 횟수를 카운트하고,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미만인 경우,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하고, 정답률에 기초한 예상 리워드 정보를 산출하고, 문제 출제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예상 리워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144)는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하고, 정답률에 기초한 최종 리워드 정보를 산출하고, 문제 출제자에 대해, 최종 리워드 정보에 상응하는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워드 제공부(144)는 문제의 정답률 및 기설정된 기준 정답률의 차이가 제1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이가 제1 범위 내인 경우, 제1 보상률에 문제에 대한 참여자 수를 곱하여 최종 리워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리워드 제공부(144)는 차이가 제1 범위 내가 아닌 경우, 제1 보상률보다 낮은 제2 보상률에 참여자 수를 곱하여 최종 리워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정답률은 50%일 수 있다.
문제의 정량적 지표
문제(퀴즈)를 컨텐츠로써 상대적인 평가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지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문제의 전체 프로세스는 정량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수로 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기록으로 남겨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퀴즈의 난이도나 출제자 및 응시자의 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지수 산출을 위해서 문제 출제 및 풀이 과정에서 각각 요소를 추출할 수 있는 근거 정보를 생성한다. 출제된 문제의 정보에는 문제를 본 사람, 푼 사람, 맞춘 사람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풀이한 문제에 대한 정보에는 특정 목표(광고, 영상, Live)에 대해서 몇 가지 문제를 어떤 단계에서 어떻게 풀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누적된다. 또한, 사용자 단위로 지수를 관리하며, 지수에 따른 각각의 순위가 처리되게 된다. 이때, 기간별 지수 및 순위가 별도로 관리된다.
그리고 문제 출제자 지표는 단순히 문제를 맞춘 숫자가 아니라 전체 풀이 과정과 관련된 값과 연동되는 구조를 지향한다. 해당 지표 요소는 참여 수, 문제풀이 수, 정답 수, 보상예측 값이 있으며, 관련 확장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문제 응시자 지표는 단순히 답을 맞춘 개수가 아니라, 문제 풀이자가 개별 문제에서 어느 정도 능력을 보이고 있는 가에 대한 지표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답 비율과 문제의 난이도 요소 등이 적용된 지표이다. 해당 지표 요소는 문제풀이 수, 정답 수, 문제 난이도, 참여 빈도가 있으며, 관련 확장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수는 순위가 매겨지게 되는데, 문제 출제 순간부터 시작해서 문제 푸는 매 순간에 실시간으로 변동이 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능력에 대해서 참여에 대해서 적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문제 지수의 환산 지표
문제 지수는 크게 EP(출제자 포인트), SQ(센스 지수), Lv(퀴즈 레벨), 출제 포인트, 퀴즈 포인트 및 방송 퀴즈 기여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EP의 필요 요소는 풀이 인원수, 정답률로 구성되며, 계산법은 (풀이 인원 수*10)*정답률에 따른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명이 문제 풀이, 68% 정답률인 경우 EP는 1,400이 산출된다. 이때, 퀴즈별 EP 기준, 총 EP는 퀴즈별 EP를 합산하게 된다. 다음, SQ의 필수 요소는 풀이한 퀴즈, 맞춘 정답 수, 총 정답률로 구성되며, 계산법은 (풀이한퀴즈 수*1)+(맞춘 정답 수*5)+(총 정답률*100)에 따른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5문제 풀이, 9문제 정답인 경우 SQ는 120이 산출된다. 이때, 소수점은 반올림된다. 다음, Lv의 필수요소는 정답률로 구성되며, 계산법은 총 5칸, 정답률 20%마다 1칸 추가, 역산에 따른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답률이 66%인 경우 Lv는 로 산출된다. 다음, 출제 포인트의 필수요소는 기본 포인트, 풀이 인원수, 정답률, 퀴즈 랭킹으로 구성되며, 계산법은 (기본포인트*풀이 인원 수*정답률에 따른 배율) + 퀴즈 랭킹 보너스에 따른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포인트 100, 150명이 문제풀이, 43% 정답률인 경우 출제 포인트는 13,500로 산출된다. 이때, 소수점은 버림한다. 다음, 퀴즈 포인트의 필수 요소는 기본 포인트, 맞춘 정답 수, 퀴즈 랭킹으로 구성되며, 계산법은 (기본포인트*맞춘정답수/출제퀴즈 수) +퀴즈 랭킹 보너스에 따른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포인트 80, 3문제 중 2문제 정답인 경우 퀴즈 포인트는 53으로 산출된다. 이때, 소수점은 버림한다. 다음, 방송 퀴즈 기여도의 필수 요소는 맞춘 정답수, 정답률로 구성되며, 계산법은 맞춘 정답 수*10)*(정답률*100)에 따른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문제 정답, 80% 정답률인 경우 방송 퀴즈 기여도는 7,200으로 산출된다.
여기서, 하기의 표와 같이 퀴즈 정답률에 따라 정답률에 따른 배율이 정해진다.
퀴즈 정답률
(소수점 반올림)
0%~5% 96%~100% 0배(지급 없음)
6%~10% 91%~95% 0.2배
11%~15% 86%~90% 0.3배
16%~20% 81%~85% 0.4배
21%~25% 76%~80% 0.5백
26%~30% 71%~75% 0.6배
31%~35% 66%~70% 0.7배
36%~40% 61%~65% 0.8배
41%~45% 56%~60% 0.9배
46%~55% 1배(기본 포인트)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동영상 제공부(도 2의 141 참조)가,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동영상을 제공한다(S4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부(142)는 뒤에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문제 제공부(도 2의 143 참조)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한다(S4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은 리워드 제공부(도 2의 144 참조)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해,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한다(S430).
도 4는 도 3 도시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 도시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는 먼저, 특정 동영상의 기제공 횟수를 카운트한다(S510).
다음으로, 도 3 도시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는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단계(S520)의 판단 결과,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도 3 도시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는 해당 동영상을 제공한다(S530).
단계(S520)의 판단 결과, 기제공 횟수가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도 3 도시된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는 해당 동영상 및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한다(S540).
여기서, 동영상은 광고주가 제공하는 광고 동영상일 수 있고, 한정된 조회 횟수까지만 동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광고주는 한정된 조회 횟수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광고 동영상을 한정된 조회 횟수만큼만 사용자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S42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S420)는 먼저, 기설정된 시간 내 동일 사용자에게 동일 동영상이 제공된 횟수를 카운트한다(S610).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S420)는 동일 동영상이 제공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단계(S620)의 판단 결과, 동일 동영상이 제공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S420)는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한다(S630).
단계(S620)의 판단 결과, 동일 동영상이 제공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S420)는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한다.(S641).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S420)는 해당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가 다시 제공 대상에 포함되기 위해 남은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42).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을 반복 시청한 후에 해당 동영상과 관련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소진시키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폼 제공부(142)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게시판 제공부(S71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문제 게시판 및 Q&A를 제공하고, 이전에 재생되었던 시리즈를 재시청할 수 있는 목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질문 제공부(S7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키워드를 조합해 기 설정된 질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고, 더불어 상기 질문에 기 설정된 답변을 답변 제공부(S730)로부터 수신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S720) 및 답변을 제공하는 단계(S73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S720)는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은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한다.(S810)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질문을 제공하는 단계(S720)는 추출한 키워드가 기설정된 질문의 키워드와 일정 개수 이상의 키워드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820)
위 단계(S720)의 판단 결과, 입력받은 내용과 기 설정된 질문의 키워드가 일정 개수 이상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답변을 제공하는 단계(S730)은 상기 입력받은 키워드가 포함된 질문을 답변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폼 제공부(142)의 일 예를 나타낸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플랫폼 제공부(142)는 먼저, 각 시리즈별로 해당하는 동영상이 시작하기 전 정답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지정(S910)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댓글창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플랫폼 제공부(142)는 상기 댓글창에 사용자들이 상기 지정된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S930), 기존에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달(S940)하며, 또한 DB(130)에도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전달되어, 경고를 받은 사용자로 기록될 수 있다. 경고 메시지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 하였을 경우(S950), DB(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댓글창에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제한(S960)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이 지정된 키워드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동영상이 끝날 때까지 댓글창에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이 경고 메시지를 전달(S940)받은 이 후, 경고 메시지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아니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기(200)은 댓글창에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제가 포함된 동영상 리스트가 제공되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한 뒤, 해당 동영상에 상응되는 문제를 풀 수 있으며, 우측 상단의 Quick Quiz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동영상 하나를 시청하고, 해당 동영상에 상응되는 문제를 풀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제가 포함된 동영상을 시청 중에 나타나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동영상 시청 중에는, 해당 동영상의 시청이 끝나면 문제가 출제됨을 알려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퀴즈 기한이 표시될 수 있다.
퀴즈 기한은 해당 동영상에 설정된 조회 횟수의 소진 상태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해당 동영상에 설정된 조회 횟수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해당 동영상의 시청 및 해당 동영상에 상응되는 문제 풀이 모두 종료되게 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4지선다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4지선다 문제는 하나의 질문지와 하나의 정답지를 포함하는 4개의 선택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OX 퀴즈가 출제되고 있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OX 퀴즈는 하나의 질문지와 질문지가 참인지 또는 거짓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2개의 선택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긋기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선긋기 문제는 하나의 질문지와 쌍을 이루는 6개의 텍스트(총 3쌍)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키워드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 화면임을 알 수 있다.
키워드 문제는 하나의 질문지와 적어도 3개의 정답지(예컨대, 4개) 및 적어도 3개의 오답지(예컨대,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순서 맞추기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순서 맞추기 문제는 하나의 질문지와 동영상 내 다수개(예컨대, 4개)의 키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게시판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게시판은 기 재생된 동영상의 다른 시리즈를 재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창 내 표시되는 다수개의 동영상 시리즈들 중 사용자가 특정 동영상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동영상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해당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1화부터 10화로 구성되는 시리즈의 동영상 중 1화를 재생한 후, 상기 게시판에서 메뉴창을 선택하면, 상기 메뉴창에는 1화부터 10화까지의 선택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는 게시판의 세부 항목인 Q&A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Q&A는 입력창을 제공해 사용자가 기 설정된 키워드를 입력할 시, 그 키워드를 조합해 원하는 결과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창은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유형의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대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질문의 유형을 찾고자 하면, 입력창에 제공된 목록을 선택하여 기 설정된 키워드를 입력할 시, 질문 유형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리워드 제공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통신망

Claims (9)

  1.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값이 기설정된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창에 답변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해, 상기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 및
    상기 문제의 출제자 및 상기 문제의 풀이자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 사용자의 경고 메시지의 횟수 및 사용자의 리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되,
    상기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동영상의 기제공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기제공 횟수가 상기 한정된 조회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을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고,
    상기 문제 제공부는,
    상기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 횟수가 상기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고, 상기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고,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가 상기 제공 대상에 다시 포함되기 위한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문제의 정답률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의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문제 제공 전에 상기 문제의 등급을 더 제공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 받은 값은 값에 기 설정된 문장이 포함되어 있을 시, 자동으로 기 설정된 답변이 수행되며, 상기 동영상 시작 전에 정답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키워드가 기 설정된 키워드와 일치할 경우 입력을 제한하고, 상기 입력을 제한한 사용자 단말기로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댓글 입력을 제한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를 제한하고, 상기 DB에 저장된 경고 메시지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DB로부터 제한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경고 메시지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을 영구적으로 제안하고,
    상기 리워드 제공부는,
    상기 문제의 정답률 및 기 설정된 기준 정답률의 차이가 제1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제1범위 내인 경우, 제1보상률에 상기 문제에 대한 기준 리워드 액수를 곱한 값만큼의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청 후 문제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문제에 대한 오답자 수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제에 대한 오답을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자 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청 후 문제 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장치.
  7. 삭제
  8. 삭제
  9. 조회 횟수가 한정된 동영상에 대하여, 동영상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문제 제공부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플랫폼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값이 기설정된 문장과 일치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창에 답변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리워드 제공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DB가, 상기 문제의 출제자 및 상기 문제의 풀이자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프로필 정보, 사용자의 경고 메시지의 횟수 및 사용자의 리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영상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기제공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제공 횟수가 상기 한정된 조회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을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 제공부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 횟수가 상기 한정된 조회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시간 내 상기 동영상의 제공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를 제공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상응하는 문제가 상기 제공 대상에 다시 포함되기 위한 대기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문제의 정답률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의 등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문제 제공 전에 상기 문제의 등급을 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고, 입력받은 값이 기설정된 문장과 일치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창에 답변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 입력 받은 값은 값에 기 설정된 문장이 포함되어 있을 시, 자동으로 기 설정된 답변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시작 전에 정답에 대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키워드가 기 설정된 키워드와 일치할 경우 입력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입력을 제한한 사용자 단말기로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경고 메시지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댓글 입력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를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DB에 저장된 경고 메시지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DB로부터 제한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경고 메시지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을 영구적으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 제공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문제의 풀이 결과에 따라 차등된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의 정답률 및 기 설정된 기준 정답률의 차이가 제1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상기 제1범위 내인 경우, 제1보상률에 상기 문제에 대한 기준 리워드 액수를 곱한 값만큼의 상기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시청 후 문제풀이에 따른 리워드 제공 방법.
KR1020170136147A 2017-10-19 2017-10-19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76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47A KR101876769B1 (ko) 2017-10-19 2017-10-19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47A KR101876769B1 (ko) 2017-10-19 2017-10-19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769B1 true KR101876769B1 (ko) 2018-07-10

Family

ID=6291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147A KR101876769B1 (ko) 2017-10-19 2017-10-19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7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471A (ko) * 2019-04-18 2020-10-28 안상준 세컨드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24262A1 (ko) * 2022-05-16 2023-11-23 (주)팀스노우볼 서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549A (ko) * 2004-07-16 2006-01-19 야후코리아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한 지식퀴즈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004B1 (ko) * 2013-11-12 2014-09-11 임윤종 퀴즈 제공 시스템 및 퀴즈 제공 방법
JP5678371B2 (ja) * 2009-02-18 2015-03-04 田中 雅英 動画コンテンツ鑑賞装置
KR20170015166A (ko) * 2015-07-29 2017-02-08 성 완 김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549A (ko) * 2004-07-16 2006-01-19 야후코리아 주식회사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한 지식퀴즈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5678371B2 (ja) * 2009-02-18 2015-03-04 田中 雅英 動画コンテンツ鑑賞装置
KR101437004B1 (ko) * 2013-11-12 2014-09-11 임윤종 퀴즈 제공 시스템 및 퀴즈 제공 방법
KR20170015166A (ko) * 2015-07-29 2017-02-08 성 완 김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678371호(2015.03.04.)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471A (ko) * 2019-04-18 2020-10-28 안상준 세컨드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6115B1 (ko) 2019-04-18 2022-12-12 안상준 세컨드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224262A1 (ko) * 2022-05-16 2023-11-23 (주)팀스노우볼 서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160133A (ko) * 2022-05-16 2023-11-23 (주)팀스노우볼 서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48341B1 (ko) * 2022-05-16 2024-03-18 (주)팀스노우볼 서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voa et al. Children and Minecraft: A survey of children’s digital play
Taneja et al. Rethinking the generational gap in online news use: An infrastructural perspective
Voorveld et al. An observational study on how situational factors influence media multitasking with TV: The role of genres, dayparts, and social viewing
Vann Changing the game: The role of social media in overcoming old media's attention deficit toward women's sport
US20150242755A1 (en) Social Content Connection System & Method
Baruh Publicized intimacies on reality television: An analysis of voyeuristic content and its contribution to the appeal of reality programming
US20140012910A1 (en) Video comment feed
US20100138232A1 (en) Motivational systems for remote patient management
US20120191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targeted content
WO2013151759A1 (en) A social media application for a media content providing platform
US20120324010A1 (en) Soci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WO2009006606A1 (en) Online marketing platform
CN113535991B (zh) 一种多媒体资源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nneberger et al. Explaining response errors of self-reported frequency and duration of TV exposure through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CN110248249A (zh) 一种视频推荐方法、视频推荐设备及服务器
Puthiyakath et al. Is over the top video platform the game changer over traditional TV channels in India? A niche analysis
KR101876769B1 (ko) 동영상 제공 및 리워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in et al. Towards an understanding of intention to use mobile videos: Impression management, perceived facilitation, and social norms
KR20190120279A (ko) 서버 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31551A (ko) 라이브 동영상을 배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Barranco et al. Ticket sales and violent content in popular movies
JP2001265904A (ja) 広告表現調査システム及び広告表現調査方法
JP5124696B1 (ja) 授業視聴料分配システム
JP7369744B2 (ja) ライブ動画配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626681B (zh) 一种账户信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