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901B1 -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901B1
KR101875901B1 KR1020170051711A KR20170051711A KR101875901B1 KR 101875901 B1 KR101875901 B1 KR 101875901B1 KR 1020170051711 A KR1020170051711 A KR 1020170051711A KR 20170051711 A KR20170051711 A KR 20170051711A KR 101875901 B1 KR101875901 B1 KR 10187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tator
proportional
yok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하이테크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하이테크공업(주) filed Critical 한국하이테크공업(주)
Priority to KR102017005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1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6Support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7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렌저가 입력 전원에 비례하는 힘으로 이너하우징 내에서 전후진하는 특성을 이용해 유량제어용 밸브(액추에이터) 등에 사용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례제어특성을 결정하는 상하부 자기제어각 중에서 하부 자기제어각을 플렌저에 형성함으로써 비례제어특성은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이너하우징의 제조원가는 줄이고 생산성은 높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Proportional solenoid with planger formed magnetic control con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플렌저가 입력 전원에 비례하는 힘으로 이너하우징 내에서 전후진하는 특성을 이용해 유량제어용 밸브(액추에이터) 등에 사용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례제어특성을 결정하는 상하부 자기제어각 중에서 하부 자기제어각을 플렌저에 형성함으로써 비례제어특성은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이너하우징의 제조원가는 줄이고 생산성은 높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는 '교류 또는 직류 여자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자기력에 의한 가동철심(플렌저)에 직접적으로 직선적인 운동을 주는 기능부품' 또는 '교류 또는 직류의 여자 코일에 통전하여 가동철심을 움직임으로써 전자 에너지를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하는 플렌저형 전자석'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의 직선적 운동을 이용하여 압력, 유량, 방향을 온-오프 형식으로 제어하는 밸브를 총칭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라 한다.
솔레노이드는 크게 ON/OFF 솔레노이드와 비례 솔레노이드로 구분된다.
비례 솔레노이드는 입력 전류가 일정하면 플렌저의 변위에 관계 없이 일정함 힘을 발생시키고,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힘을 얻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압력제어 및 유량제어용 밸브와 같은 서보제어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례 솔레노이드의 비례제어특성은 비자성체링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너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요크 간의 공극거리와 마주보는 스테이터와 요크의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하부 자기 제어각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다른 요인에도 영향을 받지만 스테이터와 요크 간의 공극거리와 상하부 자기 제어각이 비례제어특성에 중용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비례 솔레노이드용 이너 하우징의 제조에는 이 공극거리와 자기 제어각이 설계된 사양으로 변형 없이 정밀하며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계된 사양의 공극거리와 상하 자기제어각을 갖는 이너하우징의 제조를 위해 과거에는 파이프형 구조의 자성체 물질의 표면을 가공하여 공극거리와 자기제어각을 갖는 공극홈을 형성하고, 공극홈에 비자성체 물질을 용접하여 채우고, 파이프형 구조의 자성체 물질의 내외부를 절삭가공하여, 자성체 물질이 비자성체 물질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양측으로 분리된 자성체 물질은 각각 스테이터와 요크가 되고, 스테이터와 요크 사이의 비자성체 물질은 공극거리와 상하부 자기제어각을 결정하는 비자성체링이 되는 이너하우징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거의 방식은 용접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 제조 코스트가 높고, 비자성체링이 용접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불량률이 높고, 비례제어 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용접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공개특허 제2010-038780호는 조립방식으로 이너 하우징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일본의 공개특허 제2010-038780호는 자기 제어각, 공극거리 등의 치수에 맞게 사전에 스테이터, 요크, 비자성체링을 각각 별개로 사전 제작한 이후에 이들을 조립결합하고, 조립부위를 용접방법으로 접합하여 이너하우징을 제조하고 있다.
상기 일본의 공개특허 제2010-038780호는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비자성체링을 용접으로 형성함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조립오차의 발생으로 동심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과거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이너하우징의 문제와 상기 일본의 공개특허 제2010-038780호에 따른 이너하우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469210호 "솔레노이드의 이너 하우징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469210호 "솔레노이드의 이너 하우징 제조방법"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크(20)와 비자성체링(30) 사이, 그리고 스테이터(10)와 상기 비자성체링(30) 사이에 각각 접합링(40)이 개재되도록 조립하는 조립공정(S10); 상기 조립공정의 조립체를 가열하여 상기 접합링(40)이 용융되어 상기 요크(20)와 스테이터(10)를 접합시키는 접합공정(S20); 상기 접합공정의 접합체 내외부를 절삭 가공하여 내부에 플렌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절삭공정(S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469210호 "솔레노이드의 이너 하우징 제조방법"은 스테이터(10), 요크(20) 및 비자성체링(30)의 동심정밀도가 높고, 비자성체링의 형성을 위한 용접이나 접합을 위한 용접이 없어 용접의 특성에 기인하는 문제가 없다.
그렇지만 스테이터(10), 요크(20) 및 비자성체링(30)의 접합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절삭가공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소요로 인해 제조원가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비례 솔레노이드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비자성체링과 스테이터의 접합면에 형성되는 하부 자기제어각을 플렌저에 형성하여서, 비례제어특성은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제조원가는 낮추고 생산성은 높은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는
스테이터와 요크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와 요크를 접합하여 연결하는 비자성체링을 포함하는 이너하우징;
상기 이너하우징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플렌저;를 포함하는 비례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상부 자기제어각은 상기 비자성체링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자기제어각은 상기 플렌저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례 솔레노이드의 제조방법은
하부 가장자리에 하부 자기제어각이 형성되는 플렌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면이 가공된 스테이터, 요크 및 비자성체링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스테이터와 비자성체링 사이, 그리고 상기 요크와 비자성체링 사이에 접합링이 개재되도록 조립하는 조립공정;
상기 조립공정의 조립체를 가열하여 상기 접합링이 상기 비자성체링의 양측으로 상기 스테이터와 요크를 접합시키는 접합공정;
상기 접합공정의 접합체 외면을 절삭 가공하는 가공공정;
상기 가공공정의 이너하우징 내부에 상기 플렌저를 관통 내장시키고, 상부에 조절핀 어셈블리를 장착하고, 외주연에 코일어셈블리를 장착하는 완성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은 하부 자기제어각을 플렌저의 하부 가장자리에 간편,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고, 비자성체링의 양측에 상하부 자기제억각이 형성된 비례 솔레노이드와 동등한 비례제어특성을 갖고, 이너하우징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례 솔레노이드는 스테이터(110), 요크(120), 비자성체링(130), 플렌저(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조방법은 준비단계(S110), 조립공정(S120), 접합공정(S130), 가공공정(S140), 완성공정(S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결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례 솔레노이드의 구성과 구조는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준비단계(S110)에서는 내부에 플렌저(1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면이 가공된 스테이터(110), 요크(120), 비자성체(130)를 준비한다. 이들 스테이터(110), 요크(120), 비자성체(130)의 내부를 각각 가공하는 것은 이들을 결합시킨 후에 내부를 가공하는 것보다 현저하게 간편하고 신속하다.
상기 스테이터(11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1)에는 상기 플렌저(150)의 로드(151)가 삽입관통된다.
상기 관통공(111)과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부 상부에는 상기 플렌저(150)의 하부측이 수용되는 수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3)과 연결되는 스테이터(110)의 상부면에는 평면구조의 바닥을 갖고, 접합링(140)이 안착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요크(12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홀(121)에는 상기 플렌저(150)가 수용된다.
상기 수용홀(121)과 연결되는 요크(120)의 상부에는 조절핀 어셈블리가 장착되도록 내경이 확장된 확장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요크(12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경사면(125)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5)의 상부측 단부에는 접합링(140)을 잡아주는 단턱(127)이 형성된다.
상기 비자성체링(130)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중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131)에는 상기 플렌저(150)가 수용된다. 상기 스테이터(110)의 수용홈(113)과 비자성체링(130)의 중공(131)과 요크(120)의 수용홀(121)은 상기 플렌저(150)를 수용하여 플렌저(150)의 상하방향으로의 전후진을 가이드한다. 이들의 내경은 동일하다.
상기 중공(131)과 연결되는 상기 비자성체링(13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요크(120)의 경사면(125)과 접합되도록 경사진 접합면(133)이 형성된다.
상기 접합면(133)과 연결되는 상기 비자성체링(130)의 상부에는 접합링(140)이 안착되는 안착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비자성체링(13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테이터(110)의 안착홈(115)에 안착된 접합링(140)을 잡아주는 단턱(137)이 형성된다.
상기 비자성체(130)의 하부면은 상기 스테이터(110)의 안착홈(115) 바닥에 밀착되도록 평면구조를 갖는다.
상기 요크(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면(125)과, 이 경사면(125)에 접합되는 상기 비자성체링(130)의 접합면(133)은 솔레노이드의 비례제어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인 상부 자기제어각이 된다.
상기 비자성체링(130)과 스테이터(110)의 접촉면도 일반적으로는 솔레노이드의 비례제어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인 하부 자기제어각이 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접촉면으로서 스테이터(110)의 안착홈(115) 바닥과 비자성체(130)의 하부면을 평면구조로 하여서 이들의 하부 자기제어각 역할은 미미하다.
대신, 본 발명은 상기 플렌저(150)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경사진 경사부(153)를 형성하여서, 이 경사부(153)가 하부 자기제어각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비례 솔레노이드는 전후진하는 플렌저(150)가 일정 범위 내에서 변위에 관계없이 일정한 힘(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는 힘)을 받는 비례제어특성을 갖고, 이러한 비례제어특성은 상하부 자기제어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하부 자기제어각이 비자성체링(130)의 양측에 형성되는 기존 비례 솔레노이드의 비례제어특성과 비교하여 상부 자기제어각은 비자성체링(130)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 자기제어각은 플렌저(150)의 하부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비례 솔레노이드는 동등한 비례제어특성을 갖는다. 기존 비례 솔레노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비례 솔레노이드는 1-2%의 차이의 비례제어특성을 갖는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150)의 하부에 형성하여 동등한 비례제어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테이터(110)의 안착홈(115) 바닥과 비자성체(130)의 하부면을 평면구조로 하여 이들을 간편하고 신속하고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정밀한 가공을 통해 스테이터(110)와 비자성체링(130)는 높은 동심정밀도로 조립된다.
상기 조립공정(S120)에서는 스테이터(110), 접합링(140), 비자성체링(130), 접합링(140) 및 요크(120)의 순서로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되도록 조립결합시켜 조립체(100A)를 만든다.
상기 접합공정(S130)에서는 상기 조립공정(S120)을 통해 조립된 조립체(100A)를 가열로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상기 접합링(140)을 용융시킴으로써, 용융된 접합링(140)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비자성체링(130)과 스테이터(110), 그리고 상기 비자성체링(130)과 요크(120)의 틈새로 스며들도록 하고, 스며들면 가열을 중단하고 서서히 냉각시켜 용융된 접합링(140)이 상기 비자성체링(130)의 양측으로 각각 스테이터(110)와 요크(120)를 융착시켜 접합시킴으로써 접합체(100B)를 만든다.
이처럼 접합링(140)만을 용융시켜 두 물체를 접합시키는 기법이 브레이징 기법이고, 일정 시간 고온으로 가열한 후에 서서히 냉각시키는 기법이 풀림 열처리 기법이다.
브레이징 기법은 두 물체를 강력하게 접합시킬 뿐만 아니라 용융된 접합링(140)이 두 물체에 아무런 변화(용융되는 접합링(140) 이외의 구성부품의 용융에 의한 변형 등)를 주지 않으면서 틈새로 스며들고 그 자리에서 두 물체를 접합시키게 되어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고, 풀림 열처리 기법은 고온에 의해서 변태된 금속의 결정 입자가 붕괴되고 새롭게 미세한 결정입자가 재조성되어 내부응력이 제거되고, 경화된 재료가 연화되고, 금속 결정 입자의 미세화되어, 금속 조직이 안정화되어서 솔레노이드 구동시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안정화시켜서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브레이징 기법과 풀림 열처리 기법을 적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본 발명의 비자성체링(130)의 재질로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강은 소성변형, 인발 등의 냉간 가공에 의해 마르텐사이트계의 조직을 포함하게 되어 자성을 뛰게 되는데, 일정 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게 되면 조직이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가 되면서 완전 비자성체(130)가 된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레스강으로서 STS 304 재질의 경우 탄소가 0.08%wt 이하로 포함되어 있는데, 900도에서 1300도 사이로 가열되면 마르텐사이트계의 조직이 안정한 오스테나이트계의 조직으로 변태되면서 완전 비자성체(130)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링(140)으로는 구리 재료를 사용하는데, 구리 재료는 브레이징 기법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 중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특히 녹는점이 약 1085도 가량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조직을 변태시켜 완전 비자성체(130)가 되도록 하는 변태온도인 900도에서 1300도 사이에서 용융되는 비자성체(130)의 대표적인 재료로는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한 재료가 구리로 본 발명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상기 가공공정(S140)에서는 상기 접합공정(S130)에서 접합된 접합체(100B)의 외면을 단차없는 직선형이 되도록 절삭가공하여 아웃터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이너하우징(100)을 만든다. 물론, 스테이터(11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아웃터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117)는 절삭가공하지 않는다.
상기 완성공정(S150)에서는 상기 가공공정(S140)에서 만들어진 이너하우징(100)의 내부로 플렌저(150)를 삽입관통시키고, 이너하우징(100)의 외부에 조절핀 어셈블리와 코일 에셈블리가 장착된 아웃터하우징(200)을 결합시켜 비례 솔레노이드를 만든다.
도3에는 이너하우징(100)에 아웃터하우징(200)이 결합된 비례 솔레노이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이너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플렌저(150) 전후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는 조절핀(211)이 스프링(213)에 탄지되어 있는 조절핀 어셈블리(210)가 결합되고, 측면에는 비자성체링(130)을 중심으로 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어셈블리(220)가 배치되고, 코일 어셈블리(220)와 이너하우징(100)의 외면 사이에는 절연체의 실리콘(260)이 개재되고, 이들은 커버(280)로 감싸 보호되고, 커버(280)와 조절핀 어셈블리(210) 및 이너하우징의 틈새 밀폐를 위해 오링(230)이 구비된다.
위와 같은 비례 솔레노이드는 플렌저(150)의 변위에 무관하게 코일 어셈블리(220)에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에 따른 흡인력을 플렌저(150)가 받아 조절핀 어셈블리(210) 측으로 이동을 하고, 이동하는 플렌저(150)는 스프링(213)에 탄지된 조절핀(211)의 저항을 받게 되어서,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른 플렌저(150)의 흡입력과 반발하는 스프링(213)의 저항력이 갖게 되는 지점에서 플렌저(150)는 정지하게 된다.
이처럼 비례 솔레노이드로 인가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여 플렌저(15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플렌저(150)에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로드(151)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고, 로드(151)의 위치 조절로 이에 연결되는 밸브의 압력이나 유량 등을 정밀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그리고 프로세스를 갖는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스테이터 120 : 요크
125 : 경사면 130 : 비자성체링
133 : 접합면 140 : 접합링
150 : 플렌저 153 : 경사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접촉면이 평면구조를 갖도록 가공된 비자성체링과 스테이터, 그리고 하부 가장자리에 하부 자기제어각이 형성되는 플렌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면이 가공된 스테이터, 요크 및 비자성체링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스테이터와 비자성체링 사이, 그리고 상기 요크와 비자성체링 사이에 접합링이 개재되도록 조립하는 조립공정;
    상기 조립공정의 조립체를 가열하여 상기 접합링이 상기 비자성체링의 양측으로 상기 스테이터와 요크를 접합시키는 접합공정;
    상기 접합공정의 접합체 외면을 절삭 가공하는 가공공정;
    상기 가공공정의 이너하우징 내부에 상기 플렌저를 관통 내장시키고, 상부에 조절핀 어셈블리를 장착하고, 외주연에 코일어셈블리를 장착하는 완성공정;을 포함하는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의 제조방법.
KR1020170051711A 2017-04-21 2017-04-21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KR10187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11A KR101875901B1 (ko) 2017-04-21 2017-04-21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11A KR101875901B1 (ko) 2017-04-21 2017-04-21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901B1 true KR101875901B1 (ko) 2018-07-06

Family

ID=6292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11A KR101875901B1 (ko) 2017-04-21 2017-04-21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2751A (ja) * 2010-03-12 2011-09-29 Hamanako Denso Co Ltd 電磁ソレノイド装置
KR101574999B1 (ko) * 2014-07-14 2015-12-08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2751A (ja) * 2010-03-12 2011-09-29 Hamanako Denso Co Ltd 電磁ソレノイド装置
KR101574999B1 (ko) * 2014-07-14 2015-12-08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5771B1 (en) Electromagnetic type fuel injection valve
US20060028311A1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JP2008544145A (ja) 耐ブローアウト性溶接部のための構成部品幾何学形状及び方法
US4558498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olenoid operated valve
US6525289B2 (en) Piston for magneto-rheological fluid system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853244B (zh) 烧结可动铁心的制造方法
KR101875901B1 (ko) 하부 자기제어각이 플렌저에 형성되는 비례 솔레노이드와 그 제조방법
US20030218081A1 (en) Fuel injection value
JP7217756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
JP2017157791A (ja) 電磁弁用コアの製造方法及び電磁弁用コア
CN106735831B (zh) 一种球瓶结构的扩散焊接方法
KR101469210B1 (ko) 솔레노이드의 이너 하우징 제조방법
CN109365981A (zh) 一种不锈钢套与黄铜环的连接方法
JP4854754B2 (ja) 機械部品の液相拡散接合方法
CN103386550B (zh) 激光焊接表带的方法
JP2012110920A (ja) アクスルケースの製造方法
KR102151919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되는 센터필러 열간 성형금형의 제조방법
CN1201138A (zh) 线行位移传感器的芯组及其制造方法
JP4338498B2 (ja) 磁気駆動装置、ソレノイドバルブ及び磁気駆動装置の製造方法
CN109964070B (zh) 生产极管组件的方法和具有极管组件的液压阀
US7266883B2 (e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a pressure pipe of an electric hoisting magnet and pressure pipe of a hoisting magnet
CN111649143A (zh) 流量控制阀
JP2017157790A (ja) 電磁弁用コアの製造方法
JP5269477B2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の製造装置、及び光学素子
CN117816976B (zh) 一种烧结多孔金属的粉末床电子束增材连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