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304B1 - 인체 조직 보존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조직 보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304B1
KR101874304B1 KR1020170028010A KR20170028010A KR101874304B1 KR 101874304 B1 KR101874304 B1 KR 101874304B1 KR 1020170028010 A KR1020170028010 A KR 1020170028010A KR 20170028010 A KR20170028010 A KR 20170028010A KR 101874304 B1 KR101874304 B1 KR 10187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uman tissue
cylindrical shape
hous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희
Original Assignee
정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희 filed Critical 정은희
Priority to KR102017002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42Apparatuses, i.e. devices used in the process of preservation of living parts, such as pumps, refrigeration devices or any other devices featuring moving parts and/or temperature controll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조직 보존과정에서 포르말린을 취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등의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암나사부(112)가 구비되며, 인체 조직이 수납되는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하단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망(網)(122)이 구비되며, 포르말린 수용액중의 고형(固形)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이물질 선별부재(120);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갖는 누름봉(132)과, 이 누름봉 하단에 연설된 수나사부(134)와, 상기 수나사부(134)의 하단에 구비된 알루미늄(Al)막(136)을 포함하는 누름부재(130); 및 열 십자(十字) 형태를 갖는 본체(142)와, 이 본체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누름판(144)과, 이 누름판의 밑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쐐기 형태의 돌기(144a)를 포함하는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체 조직 보존 장치{Keeping device for human body organization}
본 발명은 인체 조직 보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 조직 보존과정에서 포르말린을 취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등의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직 검사는 진단 의학 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뿐 아니라 임상에서 이루어지는 질병진단의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리조직검사는 앓고 있는 인체조직을 떼어내어 현미경 관찰을 통해 질병의 질환명을 결정 받는 검사이다. 조직 검사는 다른 임상병리학적 방법과는 달리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판단하는데 기초를 두고 있다.
한편, 연구기관 또는 의료기관에서는 환자로부터 절취한 조직세포 또는 장기 등을 시험절제표본으로 만듬으로써, 수술 진행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하거나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시험절제표본을 만드는 과정은 샘플채취, 고정, 세척, 포매(Embedding), 박절, 신전(Flattening), 염색 및 봉입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때, 고정단계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세포 또는 장기 등이 일정 시간 동안 상온에 노출됨으로써, 조직세포 또는 장기 등이 세포 변화에 따라 자가부패가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인체 내부의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보관되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단계에서 조직세포 또는 장기 등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액으로는 아세틱 알콜(Aceti alcohol), 부인스 용액(Bouin's solution), 카노이 용액(Carnoy solution), 포르말린 파라포름알데히드(Frmalin paraformaldehyde) 또는 쓰엔켈액(Zenker's solution)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정액 중에서 포르말린은 독성을 지닌 무색의 유해화학물질로서, 포름알데히드(HCHO)를 37%(±0.5%) 함유한 수용액의 상품명이다. 이 포르말린은 독성을 지닌 방향족 화합물인 페놀(Phenol)의 독성에 비해 약 5배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마취제, 살충제, 소독제 및 방부제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포르말린에 사람이 오랫동안 노출되게 되면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고, 최대 사망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원통 형태의 수납통(housing)에 피부와 같은 인체 조직을 넣은 상태에서 이 수납통에 포르말린을 부은 후, 뚜껑(커버)을 닫아서 인체 조직이 포르말린 용액에 침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경우 인체 조직 보존 과정에서 부지불식간에 인체에 유해한 포르말린이 수납통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작업자의 손에 닿게 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포르말린을 취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등을 유발시키는 등 건강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치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68959호(2015. 11. 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50840호(2012. 06. 1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조직을 보존하는 과정에서 부지불식간에 인체에 유해한 포르말린 수용액이 인체조직 수납하우징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는 것이 가능한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 조직 보존과정에서 포르말린을 취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등의 유발을 감소시키실 수 있는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암나사부(112)가 구비되며, 인체 조직이 수납되는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하단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망(網)(122)이 구비되며, 포르말린 수용액중의 고형(固形)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이물질 선별부재(120);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갖는 누름봉(132)과, 이 누름봉 하단에 연설된 수나사부(134)와, 상기 수나사부(134)의 하단에 구비된 알루미늄(Al)막(136)을 포함하는 누름부재(130); 및 열 십자(十字) 형태를 갖는 본체(142)와, 이 본체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누름판(144)과, 이 누름판의 밑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쐐기 형태의 돌기(144a)를 포함하는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를 포함하는 인체 조직 보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42)의 상단부에는 상기 누름부재(130)의 내부 상면과 접촉하는 날개부(146)가 방사상(放射狀) 형태로서 일체로 구비되어지되, 이 날개부(146)는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체 조직 보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포르말린 수용액(150)이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에 수납된 인체 조직을 침적시켜서 보존하는 과정에서 부지불식간에 인체에 유해한 포르말린 수용액(150)이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게 된다.
둘째, 인체 조직 보존과정에서 포르말린을 취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등의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는 크게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 이물질 선별부재(120), 누름부재(130),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은 환자로부터 절취한 조직세포 또는 장기와 같은 인체 조직(미도시)이 수납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내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후술하는 누름부재(130)의 수나사부(134)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물질 선별부재(120)는 누름부재(130)에 저장되어 있던 포르말린 수용액(도 3의 150)이 이물질 선별부재(120)를 경유하여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에 낙하하는 과정에서 누름부재(130) 내부 또는 포르말린 수용액중의 고형(固形) 이물질을 선별,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가지며 하단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망(網)(122)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 선별부재(120)의 내경은 후술하는 누름부재(130)의 하단부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이물질 선별부재(120)가 누름부재(130)의 하단부에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누름부재(130)는 내부에 수납된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를 가압하여 이물질 선별부재(120)측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이 자재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을 구비한다.
이러한 누름부재(130)는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갖는 누름봉(132)과, 이 누름봉 하단에 연설된 수나사부(134)를 포함한다. 또한, 수나사부의 하단에는 일정 두께의 알루미늄(Al)막(136)이 부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는 열 십자(十字)형태를 갖는 본체(142)의 하단부에 알루미늄(Al)막(136)과 접촉하면서 이를 파열시키기 위한 누름판(144)이 일체로서 형성되어지되, 이 누름판의 밑면 둘레를 따라 파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쐐기 형태를 갖는 돌기(144a)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본체(142)의 상단부에는 누름부재(130)의 내부 상면과 접촉하는 날개부(146)가 방사상(放射狀)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이 날개부(146)는 정면에서 보아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를 구비한다.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부재(130)의 상단을 가압할 때, 본체(142)의 중심부에 압력이 집중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누름부재(130)의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포르말린 수용액(150)이 저장된 상태에서 누름부재(130)의 하단에는 알루미늄(Al)막(13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13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가 입설되어 있다.
또한,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세포 또는 장기와 같은 인체 조직이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체 조직을 포르말린을 통해 저장하고자 할 경우, 이물질 선별부재(120)를 누름부재(130)의 하단부에 끼움결합시키고,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암나사부(112)를 누름부재(130)의 수나사부(134)에 나사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부재(130)의 누름봉(132) 상단 중앙부를 눌러서 가압하면,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누름판(144)에 구비된 돌기(144a)가 알루미늄(Al)막(136)과 접촉하면서 이를 파열시키며, 이에 따라 누름부재(130)에 저장되어 있던 포르말린 수용액(150)이 쏟아져 내리면서 이물질 선별부재(120)를 경유하여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인체 조직이 포르말린 수용액(150)에 담궈진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누름부재(130) 내부 또는 포르말린 수용액중(150)의 고형(固形) 이물질은 스크린망(網)(122)에 의해 걸려지며, 일정 시간 경과 후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암나사부(112)를 누름부재(130)의 수나사부(134)로부터 분리하여 포르말린 수용액(150)에 의해 보존 처리된 인체 조직을 수술 진행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하거나 연구 자료로 활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포르말린 수용액(150)이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에 수납된 인체 조직을 침적시켜서 보존하는 과정에서 부지불식간에 인체에 유해한 포르말린 수용액(150)이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외부로 비산되거나,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인체 조직 보존과정에서 포르말린을 취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및 혼수상태등의 유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인체조직 수납하우징 112 : 암나사부
120 : 이물질 선별부재 122 : 스크린망
130 : 누름부재 132 : 누름봉
134 : 수나사부 136 : 알루미늄막
140 : 알루미늄막 파쇄부재 142 : 본체
144 : 누름판 146 : 날개부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암나사부(112)가 구비되며, 인체 조직이 수납되는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과;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하단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망(網)(122)이 구비되며, 포르말린 수용액중의 고형(固形)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이물질 선별부재(120)와;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갖는 누름봉(132)과, 이 누름봉 하단에 연설되어 상기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암나사부(112)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34)와, 상기 수나사부(134)의 하단에 구비된 알루미늄(Al)막(136)을 포함하고, 하단부에 상기 이물질 선별부재(120)가 끼움결합되는 누름부재(130)와; 이 누름부재에 수납되는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는,
    열 십자(十字) 형태를 갖는 본체(142)와, 이 본체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누름판(144)과, 이 누름판의 밑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쐐기 형태의 돌기(144a)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42)의 상단부에는 상기 누름부재(130)의 내부 상면과 접촉하는 날개부(146)가 방사상(放射狀) 형태로서 일체로 구비되어지되, 이 날개부(146)는 일정 곡률로서 만곡(彎曲)진 형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보존 장치.
  2. 삭제
KR1020170028010A 2017-03-04 2017-03-04 인체 조직 보존 장치 KR10187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10A KR101874304B1 (ko) 2017-03-04 2017-03-04 인체 조직 보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010A KR101874304B1 (ko) 2017-03-04 2017-03-04 인체 조직 보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304B1 true KR101874304B1 (ko) 2018-07-06

Family

ID=6292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010A KR101874304B1 (ko) 2017-03-04 2017-03-04 인체 조직 보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3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91B1 (ko) * 2019-04-02 2020-09-01 마경석 일체형 세포조직보관용기
KR20210001836A (ko) * 2019-06-26 2021-01-06 창 규 박 생체조직 보관용기
KR20210133095A (ko) * 2020-04-28 2021-11-05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102338231B1 (ko) 2020-07-10 2021-12-10 정은희 개선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07A (ko) * 2014-02-27 2015-09-04 (주)핑거119 응급 처치용 급속 냉각 키트
KR20160012632A (ko) * 2014-07-25 2016-02-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07A (ko) * 2014-02-27 2015-09-04 (주)핑거119 응급 처치용 급속 냉각 키트
KR20160012632A (ko) * 2014-07-25 2016-02-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91B1 (ko) * 2019-04-02 2020-09-01 마경석 일체형 세포조직보관용기
KR20210001836A (ko) * 2019-06-26 2021-01-06 창 규 박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349346B1 (ko) 2019-06-26 2022-01-11 박창규 생체조직 보관용기
KR20210133095A (ko) * 2020-04-28 2021-11-05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102432136B1 (ko) * 2020-04-28 2022-08-12 지성일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102338231B1 (ko) 2020-07-10 2021-12-10 정은희 개선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04B1 (ko) 인체 조직 보존 장치
JPH05503230A (ja) 検体テストユニット
KR102135659B1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하는 미세 생체조직 보관용기
EP0129029A1 (en) Low contamination closure for blood collection tubes
US7344506B2 (en) Cell collection device
Sasaki et al. A context-dependent alarm signal in the ant Temnothorax rugatulus
JP7024101B2 (ja) バイオ試料採取装置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White et al. Sacbrood
KR102380025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US20120165697A1 (en) Sample collecting device
KR2020002103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59777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CA2462984C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 cassette for preparation of biological specimens
JP2011107080A (ja) 検体採取器具セット
Hu et al. StyletChip: a microfluidic device for recording host invasion behaviour and feeding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KR102338231B1 (ko) 개선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
KR102159936B1 (ko) 캡을 눌러서 복수 종류의 액체를 혼합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Herrlinger et al. Endothelial microtubular bodies in human brain capillaries and venules.
Edgar et 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morphometry of the CNS white matter
KR20050073887A (ko) 액상세포검사 검체시료의 필터링 기구
KR20200135930A (ko) 조직 고정용 용기
DE202021103175U1 (de) Probennahmesystem zur Eigenentnahme einer Salivaprobe
KR102199717B1 (ko) 곤충 관찰 용기 조립체
KR200489217Y1 (ko) 조직검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