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836A - 생체조직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생체조직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836A
KR20210001836A KR1020190134585A KR20190134585A KR20210001836A KR 20210001836 A KR20210001836 A KR 20210001836A KR 1020190134585 A KR1020190134585 A KR 1020190134585A KR 20190134585 A KR20190134585 A KR 20190134585A KR 20210001836 A KR20210001836 A KR 2021000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container
container
biological tissue
body portion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346B1 (ko
Inventor
창 규 박
Original Assignee
창 규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규 박 filed Critical 창 규 박
Publication of KR2021000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생체조직 보관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상단부가 개방되며 생체조직이 수용되는 수용용기; 하단부가 수용용기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제1 몸체부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몸체부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제1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제1 몸체부의 상단부 하면에 인접하고 하단부가 밀봉부재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된 기둥체와 기둥체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절개날을 구비하여 제1 몸체부의 상단부가 눌리는 경우에 기둥체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절개날이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를 포함하여 수용용기에 보존액을 공급하는 보존액 공급부; 및 제1 절개부재 또는 제1 몸체부에 마련되어 밀봉부재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제1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조직 보관용기{BIOPSY CONTAINER}
본 발명은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조직 등을 보존액에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세포학적 진단을 위하여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생체조직이 부폐되지 않도록 보관하는 용기이다. 채취된 생체조직은 생체조직 보관용기 내부에 수용된 보존액에 보관되며, 필요한 경우에 보존액에 보관된 생체조직을 검사하여 생체조직의 이상 유무, 즉 특정 질환의 발생 여부를 검사 및 확인한다.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의 예로는 포르말린 용액을 들 수 있다. 포르말린 용액은 휘발성이 있고 독성이 있어 사람에게 위험하므로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포르말린 용액을 공급할 때 사용자는 방독면을 사용하여 포르말린 용액의 휘발성 공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72호에는 조직 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조직 용기에 의하면 용기에 생체조직을 담고 용기와 용액 통을 결합한 후 밀폐막을 뚫어 포르말린 용액이 용기로 쏟아지게 하므로 생체조직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방독면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생체조직을 용기에 보관할 수 있으나, 밀폐막을 뚫어 포르말린 용액이 용기로 쏟아지게 하는 과정에서 용액 통에 수용된 포르말린 용액이 용기로 원활하게 쏟아지지 않아 포르말린 용액을 용기에 채움에 있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액 통에 수용된 포르말린 용액이 용기로 쏟아지도록 조직 용기를 흔들어 포르말린 용액이 용기에 쏟아지도록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72호(2018.10.0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체조직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포르말린 용액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부가 개방되며 생체조직이 수용되는 수용용기; 하단부가 상기 수용용기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 하면에 인접하고 하단부가 상기 밀봉부재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된 기둥체와 상기 기둥체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절개날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가 눌리는 경우에 상기 기둥체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개날이 상기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용기에 보존액을 공급하는 보존액 공급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재 또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밀봉부재가 절개된 경우에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기둥체의 내부에 상기 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기둥체의 외면에 마련되되 상기 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 하면에 입접하고 하단부가 상기 밀봉부재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밀봉부재가 절개된 경우에 이물질이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이물질을 차단하고 상기 보존액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여과몸체; 및 상기 여과몸체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여과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되며, 끝단이 상기 수용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가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의 잠김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잠김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용기가 잠기는 방향 일측벽과 상기 수용용기가 풀리는 방향 타측벽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용용기가 잠기는 동안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벽과 접촉되는 일측벽과 상기 수용용기가 풀리는 동안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벽과 접촉되는 타측벽이 예각을 이루며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의 타측벽 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가 잠긴 후 풀리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를 잠그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를 풀기 위해 필요한 힘이 크도록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의 타측벽 경사도는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의 일측벽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면을 절개하여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존액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액 배출부는 상기 수용용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바닥면에 보존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배출홀에 연통되게 연결된 튜브;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끝단이 뽀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용기가 상기 제2 몸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면을 절개하는 제2 절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절개부재에 의한 절개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반칼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에 마련되되, 생체조직이 안착되며 복수의 제2 배출홀이 형성된 받침망; 및 상기 수용용기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망이 안착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와 제1 몸체부에 수용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제1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부를 마련함으로써, 보존액이 수용용기의 내부로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과몸체의 하단부에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보존액을 보존액 공급부로 다시 수용할 수 있어 생체조직을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보존액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보존액이 외부로 누설됨이 없이 다시 보존액 공급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생체조직을 꺼내는 과정에서 수용용기의 하단부를 절개하여 보존액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보존액이 보존액 공급부에 다시 수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용기와 제1 몸체부가 잠기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용기와 제1 몸체부가 풀리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수용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배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보존액이 보존액 공급부에 다시 수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용기와 제1 몸체부가 잠기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용기와 제1 몸체부가 풀리는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생체조직(B)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10)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고 보존액을 저장하며 저장된 보존액을 수용용기(110)에 공급하는 보존액 공급부(130)와, 보존액 공급부(130)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용기(110)는 생체조직(B)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1)을 제공하며, 상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채취된 생체조직(B)은 수용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보존액에 보관된 후 생체조직(B)을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용용기(110)에서 생체조직(B)을 꺼낸 후 특정 질환의 발생여부를 검사 및 확인한다. 보존액의 예로는 포르말린 용액을 들 수 있으며, 포르말린 용액은 휘발성이 있고 독성이 있어 사용자에게 위험하므로 취급시 주의를 요한다.
수용용기(11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제1 나사산(T1)이 형성되고 후술할 보존액 공급부(13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T2)이 형성되어 수용용기(110)의 제1 나사산(T1)과 보존액 공급부(130)의 제2 나사산(T2)이 상호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존액 공급부(130)는 수용용기(110)에 보존액을 공급한다.
보존액 공급부(130)는 보존액이 저장되는 제1 몸체부(131)와,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된 밀봉부재(133)와,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135)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31)는 보존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2)을 제공하며, 하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는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T2)이 형성되어 수용용기(110)의 제1 나사산(T1)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는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를 밀봉하도록 밀봉부재(133)가 마련된다. 밀봉부재(133)는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열융착 또는 바인더 등에 의해 결합되어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저장된 보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부재(133)는 보존액이 통과할 수 없는 불투과성이고 후술할 제1 절개부재(135)에 의해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된다. 예를들어, 밀봉부재(133)는 얇은 은박지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를 밀봉부재(133)로 밀봉하기 전에, 제1 몸체부(131)의 내부 저장공간(S2)에는 제1 절개부재(135)가 마련된다. 제1 절개부재(135)는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용용기(110)에 보존액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를 누르는 경우에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재(135)는 상단부가 제1 몸체부(131) 상단부 하면에 인접하고 하단부가 밀봉부재(133)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된 기둥체(136)와, 기둥체(136)의 외면에 기둥체(13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138)와, 기둥체(136)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복수의 절개날(139)을 포함한다.
기둥체(136)의 외면에는 기둥체(136)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리브(138)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절개날(139)은 기둥체(136)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밀봉부재(133)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톱니모양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보존액과 제1 절개부재(135)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는 밀봉부재(133)로 밀봉된다. 그리고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를 생체조직(B)이 수용된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삽입하여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를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저장된 보존액을 수용용기(110)에 공급하기 위해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결합된 밀봉부재(133)를 절개하여야 한다.
밀봉부재(133)를 절개하기 위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를 누르면 기둥체(136)의 상단부가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기둥체(136)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기둥체(136)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기둥체(136)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개날(139)은 밀봉부재(133)를 가압 절개한다. 그리고 밀봉부재(133)가 절개됨에 따라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은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밀봉부재(133)를 절개한 후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는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된다. 이처럼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는 중심부가 테두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를 눌러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 하면에 배치된 기둥체(136)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절개날(139)로 밀봉부재(133)를 절개할 수 있으며, 밀봉부재(133)를 절개한 후 사용자가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는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절개부재(135)에 마련된 공기유입부(140)를 더 포함한다. 공기유입부(140)는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부(140)는 기둥체(136)의 내부에 기둥체(13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관통홀(140)일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는 기둥체(136)에 형성된 관통홀(140)을 따라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150)는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밀봉부재(133)의 파편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과부재(150)는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여과몸체(151)와, 여과몸체(151)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를 포함한다.
여과몸체(151)는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들어 여과몸체(151)의 상단부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외삽되고 여과몸체(151)의 상단부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몸체부(131)에 대향되는 여과몸체(151)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여과홀(152)이 형성된다.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은 복수의 여과홀(152)을 통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과정에서 밀봉부재(133)의 파편 등과 같은 이물질은 여과홀(152)에 걸려 차단된다.
그리고 연장부(153)는 여과몸체(151)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여과몸체(15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된다. 연장부(153)가 수용용기(110)에 삽입되는 경우에 연장부(153)의 끝단이 수용용기(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여과몸체(151)의 하단부에 연장부(153)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수용용기(110)에서 생체조직(B)을 꺼내는 과정에서 보존액을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다시 수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보존액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보존액이 외부로 누설됨이 없이 다시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10)에서 생체조직(B)을 꺼내기 위해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가 결합된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180도(°) 회전시킨다.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180도(°) 회전시킨 경우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은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 및 여과몸체(151)의 여과홀(152)을 통해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다시 수용된다. 이때 연장부(153)의 끝단이 수용용기(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은 연장부(153)의 외면과 수용용기(110)의 내주면 사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보존액이 외부로 누설됨이 없이 보존액을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다시 수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보존액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용용기(110)에서 담긴 생체조직(B)은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의 내부에 배치되며 여과몸체(151)에 안착된다.
한편, 보존액은 휘발성 및 독성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이에 사용자는 생체조직(B)을 보관함에 있어 먼저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의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사용자의 부주의로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존액 공급부(130)에서 수용용기(110)로 보존액을 공급하면 휘발성이 강한 보존액이 생체조직 보관용기(100)에서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진동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가 풀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가 완전히 체결되었는지 확인가능하게 하며 잠김확인부(17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잠김확인부(170)는 수용용기(1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17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75)을 포함한다. 걸림돌기(171)는 수용용기(110)에 형성된 제1 나사산(T1)의 상부에 이격되게 마련되고, 걸림턱(175)은 제1 몸체부(131)에 형성된 제2 나사산(T2)의 상부에 이격되게 마련된다.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걸림돌기(171)가 걸림턱(175)에 걸려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돌기(171)와 걸림턱(175)이 상호 걸림결합되면 사용자가 풀림방향으로 제1 몸체부(131) 또는 수용용기(11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풀리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완전히 잠김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생체조직(B)을 검사하기 위해 생체조직(B)을 수용용기(110)에서 꺼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정의 힘 이상으로 제1 몸체부(131) 또는 수용용기(11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걸림돌기(171)와 걸림턱(175)은 잠김해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171)의 수용용기(110)가 잠기는 방향 일측벽(172)과 수용용기(110)가 풀리는 방향 타측벽(173)은 경사면을 이룬다. 이때 걸림돌기(171)의 일측벽(172) 경사도(θ1)와 타측벽(173) 경사도(θ2)는 예각을 이룬다. 또한 걸림돌기(171)의 타측벽(173) 경사도(θ2)가 걸림돌기(171)의 일측벽(172) 경사도(θ1)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잠기는 동안 걸림돌기(171)의 일측벽(172)과 접촉되는 걸림턱(175)의 일측벽(176)은 예각을 이루며 라운딩지게 형성되고,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풀리는 동안 걸림돌기(171)의 타측벽(173)과 접촉되는 걸림턱(175)의 타측벽(177)도 예각을 이루며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175)의 타측벽(177) 경사도(θ4)가 걸림턱(175)의 일측벽(176) 경사도(θ3)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71) 및 걸림턱(175)의 타측벽(173,177) 경사도(θ2,θ4)를 조절하여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잠긴 후 풀리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를 잠그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를 풀기 위해 필요한 힘이 크도록 걸림돌기(171) 및 걸림턱(175)의 타측벽(173,177) 경사도(θ2,θ4)를 걸림돌기(171) 및 걸림턱(175)의 일측벽(172,176) 경사도(θ1,θ3)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잠김확인부(170)에 의해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잠기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10)가 제1 몸체부(131)에 잠기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걸림돌기(171)의 일측벽(172)은 걸림턱(175)의 일측벽(176)에 접촉된 상태에서 걸림턱(175)의 일측벽(176)을 타고 넘는다. 이때 걸림돌기(171)의 일측벽(172)과 걸림턱(175)의 일측벽(176)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걸림턱(175)의 일측벽(176)은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10)가 제1 몸체부(131)에 잠기는 방향으로 더 진행되어 걸림돌기(171)의 일측벽(172)이 걸림턱(175)의 일측벽(176)을 타고 넘어 수용용기(110)가 제1 몸체부(131)에 잠긴 경우에, 걸림돌기(171)의 타측벽(173)이 걸림턱(175)의 타측벽(177)에 걸려 수용용기(11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걸림돌기(171)와 걸림턱(175)에 의해 잠긴상태에서 생체조직(B)을 검사하기 위해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를 푸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10)가 제1 몸체부(131)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걸림돌기(171)의 타측벽(173)은 걸림턱(175)의 타측벽(177)에 접촉된 상태에서 걸림턱(175)의 타측벽(177)을 타고 넘는다. 이때 걸림돌기(171)의 타측벽(173)과 걸림턱(175)의 타측벽(177)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걸림턱(175)의 타측벽(177)은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10)가 제1 몸체부(131)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더 진행되는 경우에 걸림돌기(171)의 타측벽(173)이 걸림턱(175)의 타측벽(177)을 타고 넘어 수용용기(110)가 제1 몸체부(131)에서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체조직(B)을 생체조직 보관용기(100)에 담는 동작과 생체조직(B)을 생체조직 보관용기(100)에서 꺼내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생체조직(B)을 채취한 후 생체조직(B)을 수용용기(110)에 담는다. 그리고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를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용용기(11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용기(110)와 제1 몸체부(131)를 상호 나사결합한다. 이때 수용용기(110)와 제1 몸체부(131)가 완전히 체결되고 풀리지 않도록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71)와 걸림턱(175)이 상호 결합되는 위치까지 수용용기(11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를 눌러 제1 절개부재(135)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밀봉부재(133)를 절개하여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을 수용용기(110)로 공급한다.
반대로, 생체조직(B)을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180도(°) 회전시켜 수용용기(110) 내부의 보존액을 다시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수용한다. 이때 생체조직(B)은 여과몸체(151)에 안착된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71)와 걸림턱(175)이 걸림해제되도록 수용용기(110)를 회전시킨 후, 수용용기(110)와 제1 몸체부(131)를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여과몸체(151)에 안착된 생체조직(B)을 이용하여 필요한 검사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생체조직(B)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10)와, 하단부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제1 몸체부(131)와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된 밀봉부재(133)와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135)를 구비한 보존액 공급부(130)와,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절개부재(135)에 마련된 공기유입부(140,14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여과몸체(151)와 여과몸체(151)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를 구비한 여과부재(150)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17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75)을 구비하여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걸림돌기(171)가 걸림턱(175)에 걸려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의 잠김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잠김확인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공기유입부(140,14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입부(140,141)는 제1 절개부재(135)에 마련되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부(140,141)는 기둥체(136)의 외면에 마련되되 기둥체(13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140)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141)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는 공기유입부재(141)의 내부에 공기유입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140)을 따라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생체조직(B)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10)와, 하단부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제1 몸체부(131)와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된 밀봉부재(133)와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135)를 구비한 보존액 공급부(130)와,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31)에 마련된 공기유입부(140,14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여과몸체(151)와 여과몸체(151)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를 구비한 여과부재(150)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17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75)을 구비하여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걸림돌기(171)가 걸림턱(175)에 걸려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의 잠김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잠김확인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공기유입부(140,14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입부(140,141)는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부(140,141)는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단부가 제1 몸체부(131)의 상단부 하면에 인접하고 하단부가 밀봉부재(133)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140)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141)를 포함한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는 공기유입부재(141)의 내부에 공기유입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140)을 따라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생체조직(B)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10)와, 하단부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제1 몸체부(131)와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된 밀봉부재(133)와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135)를 구비한 보존액 공급부(130)와,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31)에 마련된 공기유입부(140,14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여과몸체(151)와 여과몸체(151)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를 구비한 여과부재(150)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17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75)을 구비하여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걸림돌기(171)가 걸림턱(175)에 걸려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의 잠김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잠김확인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공기유입부(140,14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입부(140,141)는 제1 몸체부(131)의 내벽에 배치되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유입부(140,141)는 제1 몸체부(131)의 내벽에 배치되되 제1 몸체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140)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141)를 포함한다.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는 공기유입부재(141)의 내부에 공기유입부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140)을 따라 제1 몸체부(13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수용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배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는 생체조직(B)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10)와, 하단부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제1 몸체부(131)와 제1 몸체부(131)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된 밀봉부재(133)와 제1 몸체부(131)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밀봉부재(133)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135)를 구비한 보존액 공급부(130)와, 밀봉부재(133)가 절개된 경우에 제1 몸체부(131)에 저장된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31)에 마련된 공기유입부(140,14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여과몸체(151)와 여과몸체(151)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153)를 구비한 여과부재(150)와, 수용용기(1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171)와 제1 몸체부(131)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75)을 구비하여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가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걸림돌기(171)가 걸림턱(175)에 걸려 제1 몸체부(131)와 수용용기(110)의 잠김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잠김확인부(170)와,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마련되되 생체조직이 안착되는 받침망(180)과, 수용용기(1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을 절개하여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존액 배출부(1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공기유입부(14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기(100)를 구성하는 수용용기(110)와 보존액 공급부(130)와 공기유입부(140)와 여과부재(150) 및 잠김확인부(1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받침망(180)과 보존액 배출부(19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망(180)은 수용용기(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면에 생체조직(B)이 안착된다. 그리고 받침망(180)에는 복수의 제2 배출홀(181)이 형성된다. 보존액이 공급되는 경우에 보존액은 복수의 제2 배출홀(181)을 통해 수용용기(110)의 바닥면부터 채워지고,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 받침망(180)의 상부에 수용된 보존액은 제2 배출홀(181)을 통해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으로 흘러들어간다.
또한 받침망(180)은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에 생체조직(B)은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받침망(180)에 안착되며,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이 절개되어 보존액이 수용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 생체조직(B)이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절개부위를 막아 보존액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받침망(180)이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수용용기(110)의 내벽에는 수용용기(110)의 중심부측으로 돌출된 안착돌기(111)가 형성된다.
안착돌기(111)는 수용용기(110)의 내벽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망(18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용용기(110)의 내벽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존액 배출부(190)는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존액 배출부(190)는 수용용기(110)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을 절개하여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생체조직(B)을 검사하기 위해 수용용기(110)에서 생체조직(B)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 보존액 배출부(190)를 수용용기(11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을 절개한다.
도 16 및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존액 배출부(190)는 수용용기(1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바닥면에 보존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홀(192)이 형성된 제2 몸체부(191)와, 제1 배출홀(192)에 연통되게 연결된 튜브(195)와, 제2 몸체부(191)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끝단이 뽀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용기(110)가 제2 몸체부(191)에 삽입되는 경우에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을 절개하는 제2 절개부재(193)를 포함한다.
생체조직(B)을 검사하기 위해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수용용기(110)의 하단부를 제2 몸체부(191)에 삽입한다. 수용용기(110)의 하단부를 제2 몸체부(191)에 삽입하는 동안 제2 몸체부(191)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절개부재(193)는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을 절개한다. 한편, 제2 절개부재(193)에 의해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이 용이하게 절개되도록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반칼라인(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용기(110)의 바닥면이 절개되면 절개부위를 통해 보존액이 제2 몸체부(191)로 흘러내리고 제2 몸체부(191)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된 제1 배출홀(192)과 제1 배출홀(192)에 연통되게 연결된 튜브(19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수용용기(110)에 수용된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한 후, 수용용기(110)와 제1 몸체부(131)를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받침망(180)에 안착된 생체조직(B)을 이용하여 필요한 검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생체조직 보관용기 110: 수용용기
130: 보존액 공급부 131: 제1 몸체부
133: 밀봉부재 135: 제1 절개부재
136: 기둥체 138: 리브
139: 절개날 140: 관통홀
141: 공기유입부재 150: 여과부재
151: 여과몸체 152: 여과홀
153: 연장부 170: 잠김확인부
171: 걸림돌기 175: 걸림턱

Claims (14)

  1. 상단부가 개방되며 생체조직이 수용되는 수용용기;
    하단부가 상기 수용용기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보존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 하면에 인접하고 하단부가 상기 밀봉부재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된 기둥체와 상기 기둥체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절개날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가 눌리는 경우에 상기 기둥체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절개날이 상기 밀봉부재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용기에 보존액을 공급하는 보존액 공급부; 및
    상기 제1 절개부재 또는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밀봉부재가 절개된 경우에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기둥체의 내부에 상기 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인 생체조직 보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기둥체의 외면에 마련되되 상기 기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단부가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 하면에 입접하고 하단부가 상기 밀봉부재에 인접하게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공기유입부재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밀봉부재가 절개된 경우에 이물질이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이물질을 차단하고 상기 보존액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여과홀이 형성된 여과몸체; 및
    상기 여과몸체의 하단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여과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증가되며, 끝단이 상기 수용용기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깔때기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의 상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 외주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가 나사결합되어 잠긴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의 잠김상태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잠김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용기가 잠기는 방향 일측벽과 상기 수용용기가 풀리는 방향 타측벽이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용용기가 잠기는 동안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벽과 접촉되는 일측벽과 상기 수용용기가 풀리는 동안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벽과 접촉되는 타측벽이 예각을 이루며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의 타측벽 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가 잠긴 후 풀리는 힘을 조절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를 잠그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수용용기를 풀기 위해 필요한 힘이 크도록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의 타측벽 경사도는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턱의 일측벽 경사도 보다 큰 생체조직 보관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면을 절개하여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보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존액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액 배출부는,
    상기 수용용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바닥면에 보존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홀이 형성된 제2 몸체부;
    상기 제1 배출홀에 연통되게 연결된 튜브;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끝단이 뽀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용기가 상기 제2 몸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면을 절개하는 제2 절개부재를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절개부재에 의한 절개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반칼라인이 형성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에 마련되되, 생체조직이 안착되며 복수의 제2 배출홀이 형성된 받침망; 및
    상기 수용용기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망이 안착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0190134585A 2019-06-26 2019-10-28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349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6011 2019-06-26
KR1020190076011 2019-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36A true KR20210001836A (ko) 2021-01-06
KR102349346B1 KR102349346B1 (ko) 2022-01-11

Family

ID=7412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85A KR102349346B1 (ko) 2019-06-26 2019-10-28 생체조직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878A1 (ko)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645241B1 (ko) *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651597B1 (ko) * 2023-09-05 2024-03-26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7315A (ja) * 2011-06-14 2014-07-17 アクス−ラブ イノヴェイション アンパルトセルスカブ 容器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20160118160A (ko) * 2016-06-10 2016-10-11 (주)한국티씨엠 액상 기반의 세포 검사를 위한 세포 보존용기
US20170265847A1 (en) * 2016-03-21 2017-09-21 Kaltek S.R.L. Containment device for biological samples
KR101798330B1 (ko) * 2016-06-22 2017-12-12 이현구 검체용 용기
KR101823438B1 (ko) * 2016-11-29 2018-01-30 (주)메디포유 고정액의 충전 및 외부노출방지 구조를 갖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1825386B1 (ko) * 2017-07-25 2018-02-06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KR101874304B1 (ko) * 2017-03-04 2018-07-06 정은희 인체 조직 보존 장치
KR200487272Y1 (ko) 2016-03-21 2018-10-04 진영석 조직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7315A (ja) * 2011-06-14 2014-07-17 アクス−ラブ イノヴェイション アンパルトセルスカブ 容器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170265847A1 (en) * 2016-03-21 2017-09-21 Kaltek S.R.L. Containment device for biological samples
KR200487272Y1 (ko) 2016-03-21 2018-10-04 진영석 조직 용기
KR20160118160A (ko) * 2016-06-10 2016-10-11 (주)한국티씨엠 액상 기반의 세포 검사를 위한 세포 보존용기
KR101798330B1 (ko) * 2016-06-22 2017-12-12 이현구 검체용 용기
KR101823438B1 (ko) * 2016-11-29 2018-01-30 (주)메디포유 고정액의 충전 및 외부노출방지 구조를 갖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1874304B1 (ko) * 2017-03-04 2018-07-06 정은희 인체 조직 보존 장치
KR101825386B1 (ko) * 2017-07-25 2018-02-06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878A1 (ko)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651597B1 (ko) * 2023-09-05 2024-03-26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645241B1 (ko) *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346B1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1836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RU2604125C2 (ru) Контейнер в сборе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KR101704623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패키지
US6572827B2 (en) Method of using collection device
JP5571668B2 (ja) 眼球内レンズ及び予め装填されたレンズ注入システム用カセット
KR101575921B1 (ko) 약하게 밀봉된 출입부 및 증기를 투과하는 벤트를 구비한 용기
JP5021323B2 (ja) 検査用容器
KR102223879B1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JP6164937B2 (ja) エアレス容器
KR102380025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59777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2087734B1 (ko) 검체 보관 용기
KR102056068B1 (ko) 조직 보존 용기
US1149840A (en) lang-e
KR100749131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배출기
KR200490236Y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포학적 진단용 거름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JP2010275003A (ja) 液体パック容器及び液体注出器
JP7138328B2 (ja) 採便容器
KR200494298Y1 (ko) 검체 보관 용기
KR200490307Y1 (ko) 조직 역류 방지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보존 용기
CN108712895B (zh) 鼓膜修复剂制造夹具及鼓膜修复剂制造容器
KR101345329B1 (ko) 지문 현출용 형광 분말 보관용기
KR101853250B1 (ko) 뼈수집장치
KR200490237Y1 (ko) 거름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갖는 세포학적 진단을 위한 검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