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901B1 - 고리 공책 - Google Patents

고리 공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901B1
KR101873901B1 KR1020170012124A KR20170012124A KR101873901B1 KR 101873901 B1 KR101873901 B1 KR 101873901B1 KR 1020170012124 A KR1020170012124 A KR 1020170012124A KR 20170012124 A KR20170012124 A KR 20170012124A KR 101873901 B1 KR101873901 B1 KR 10187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aper
loop
fixing member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환
김세룡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용지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고리 공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용지가 고리를 통해 함께 묶여 제작된 고리 공책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는 좁고 긴 구멍 형상을 갖는 복수의 장공이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장공에는 상기 고리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리 공책{Note book}
본 발명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여러 장의 용지를 매어놓은 형태로 제작된 공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킨 고리 공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책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진 백지 또는 백지에 일정한 폭을 두고 줄이 그어진 여러 장의 용지가 한데 묶여 결합된 형태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공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기를 하거나 학습내용을 기재하는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필기를 하거나 학습내용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책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에 주로 많이 이용되는 형태의 공책은 어려 장의 용지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용지들끼리 접착제로 부착한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 공책은 용지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필기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용지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에 손이 걸리게 됨으로써 필기를 하는 데에 불편함을 겪게 되고, 아울러, 스프링의 반대 편에 있는 용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필기 작업을 하게 될 경우에도 용지 밖으로 손이 떨어지게 되어 용지 부분에 손을 제대로 밀착시키지 못한 상태로 필기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필기작업이 매우 불안정하고 불편하게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손이 제대로 접지된 상태에서 필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용지의 중간 부분에만 제대로 된 필기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기 공간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용지 사용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 제20-0468442호(2013.08.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스프링 공책 대신에 복수 개의 고리를 통해 여러 장의 용지가 한데 묶여 제작된 형태의 고리 공책을 제공하는 한편, 고리의 방향 전환을 통해 용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손을 용지 부분에 제대로 접지시킨 상태에서 용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필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고리 공책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용지가 고리를 통해 함께 묶여 제작된 고리 공책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는 좁고 긴 구멍 형상을 갖는 복수의 장공이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장공에는 상기 고리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지는 상기 고리가 상기 장공과 평행을 이루게 될 경우, 펼쳐지거나, 접혀지거나, 상기 장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는, 장공 내부로 관통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회전부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어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되는 제1,2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탄성부는, 용지의 면과 평행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진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는 곡면 형태의 곡면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2탄성부의 각 곡면부는 암수 구조를 이루며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지에는 상기 고리의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가 추가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고리와 마찰이 이루어지는 마찰면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는 상기 마찰면과의 마찰을 통해 자발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리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에는 상기 고리를 회전시킨 이후 자력을 통해 고리를 상기 장공과 수직 또는 평행한 위치상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영구자석을 추가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리 공책에 따르면, 여러 장의 용지를 복수 개의 고리를 통해 한데 묶어 고리 공책을 제작함에 있어, 고리가 결합되는 용지 부분에 좁고 긴 구멍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장공을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하고, 고리를 상기 복수의 장공에 개별적으로 끼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용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필기 작업시 상기 고리의 방향 전환을 통해 용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손을 용지 부분에 제대로 접지시킨 상태에서 용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필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용지의 사용에 있어서도 필기작업이 용이한 용지의 중간 부분뿐 아니라, 필기작업이 불편했었던 용지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필기작업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필기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지 전체 면적을 필기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용지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할 수 있고, 한 권의 공책에 많은 양의 필기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리 공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용지의 장공 부분에 결합되는 고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용지의 장공에 고리가 결합된 측면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고리가 회전되어 장공과 평행한 위치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고리가 장공과 평행한 위치로 방향 전환된 상태에서 용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고리가 회전되어 장공과 수직한 위치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8은 고리가 장공과 수직한 위치로 방향전환된 상태에서 용지를 좌측으로 밀어 용지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필기작업이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리 공책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위치고정부재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12는 위치고정부재가 용지 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고리의 결합이 이루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고리 및 위치고정부재가 결합된 측단면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위치고정부재의 홈 내에서 고리가 마찰면에 접하여 회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위치고정부재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리 공책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리 공책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리 공책의 정면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리 공책(100)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백지 또는 백지에 일정한 폭을 두고 줄이 그어진 형태의 용지 여러 장이 복수 개(실시 예에서는 2개)의 고리(130)를 통해 함께 묶여 제작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지(110)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용지(110)의 좌측 상부 및 하부에는 고리(130)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좁고 긴 구멍 형상의 한 쌍의 장공(112)이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루며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용지(110)의 좌측 상,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장공(112)은 상기 용지(110)의 양측 단변과 평행을 이루는 한편, 상기 용지의 양측 장변과는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장공(112)의 길이는 용지의 단변 길이의 1/3 ~1/2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공(112)이 형성된 용지(110)는 여러 장이 겹쳐진 상태에서 용지(11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장공(112) 부분에 고리(130)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각 장공(112)에 끼워져 결합된 고리(130)는 장공(112)에 관통된 부분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여러 장이 겹쳐진 용지(110)의 맨 앞장 부분과 맨 뒷장 부분에는 상기 용지(110)보다 두껍고 뻣뻣한 재질로 이루어진 겉표지 용지가 상기 용지(110)와 같은 방식으로 고리(130)를 통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리 공책(100)은 양측 겉표지 용지를 제외한 용지(110) 부분에 필기(또는 그림)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용지(110)를 좌우로 펼친 상태로 필기작업을 하거나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용지(110)를 펼치지 않고 서로 포개 놓은 상태에서 필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용지(110)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고리(130)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장공(112)과 수직을 이루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용지(110)의 하부 측에 위치하는 고리(130)는 장공(112)과 평행을 이루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용지(110)가 상부 및 하부에 있는 고리(13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장공(112)과 수직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부의 고리(130)로 인해 가로막혀 좌측방향으로 넘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고리 공책(100)에 있어, 용지(110)의 장공(112)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리(130)의 상세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고리(1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지(110)의 장공(112)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부(132)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132)의 양단과 각각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2탄성부(134,136)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132)와 한 쌍의 제1,2탄성부(134,136)는 일체를 이루는 하나의 구조물 형태로 제작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32)는 고리(130)에 있어 회전 중심축을 형성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이러한 회전부(132)는 용지(110)의 장공(112) 내부로 관통하여 용지(110)의 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장공(112)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132)는 장공(112) 내에서 간섭 없이 회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탄성부(134,136)는 상기 회전부(132)의 양단에 수직으로 연결된 부분으로서, 고리(130)에 있어 탄성 변형이 가장 많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1,2탄성부(134,136) 사이는 탄성 변형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1,2탄성부(134,136)의 각 끝단 부분은 암수 구조로 상호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2탄성부(134,136)는 용지(110) 면과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부(134a,136a)와, 곡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평면부(134a,136a)와 일체로 연결되는 곡면부(134b,13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리(130)가 결합된 상태의 고리 공책(100)은 상기 제1,2탄성부(134,136)에 형성된 평면부(134a,136a)가 용지(110) 면에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고리 공책(100)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필기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고리(130)가 결합된 고리 공책(100) 부분이 과도하게 들떠 필기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탄성부(134,136)에 형성된 각 곡면부(134b,136b)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고리(130)를 장공(112)에 끼워 넣는 작업을 하게 될 경우 각이 져 있는 형태보다 장공(112)에 쉽게 삽입이 이루어져 고리(130)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리(130)가 장공(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경우에도 용지(110)의 모서리 부분과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고리(130)에 형성된 곡면부(134b,136b)와는 별도로 상기 고리(130)와 인접한 용지(110)의 모서리 부분에 고리(130)의 회전시 간섭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라운드부(R)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리(130)는, 여러 장으로 겹쳐진 용지(110)의 장공(112) 부분에 끼워 결합하는 경우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고리(130)의 제1,2탄성부(134,136)를 분리하여 최대한 벌린 상태에서 제1,2탄성부(134,136) 중 어느 한편을 용지(110)의 장공(112) 부분으로 끼워 넣어 고리(130)의 회전부(132)가 장공(112) 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암수구조를 갖는 상기 제1,2탄성부(134,136)의 각 끝단부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리(130)에 있어 상기 제1,2탄성부(134,136)의 각 평면부(134a,136a) 사이가 이루는 간격은 여러 장으로 겹쳐진 용지(110)의 전체 두께 폭보다 약간 큰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 도면상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리(130)를 용지(110)의 장공(112) 부분에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부(132)의 중앙 부분을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하여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 회전부(132)와 이와 연결되는 양측 제1,2탄성부(134,136)가 서로 회동이 가능하여 상기 제1,2탄성부(134,136)를 큰 폭으로 벌리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에 용지(110)의 장공(112) 부분에 고리(130)를 끼워 결합하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용지(110)에 결합된 고리(130)가 회전되어 장공(112)과 평행한 위치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고리(130)가 장공(112)과 평행한 위치로 방향전환된 상태에서 용지(110)가 좌우로 펼쳐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리 공책(100)을 사용함에 있어 용지(110)를 넘겨 필기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지(110)의 상,하부에 위치한 각 고리(130)를 장공(112)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켜 용지(110)가 넘겨질 수 있는 상태로 만든 다음 용지(110)를 펼쳐 필기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용지(110)를 좌우로 펼치지 아니하고 일방향으로 포개놓은 상태에서 필기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필기작업이 끝난 후 겉표지를 덮어 공책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지(110)의 상,하부 고리(130)를 장공(112)과 수직한 방향을 이루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용지(110)가 상기 고리(130)에 의해 가로막혀 넘겨질 수 없기 때문에 용지(110)가 좌우방향으로 펼쳐질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고리 공책(100)은 용지(110)의 상,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고리(130)를 장공(112)과 평행하도록 회전시켜 용지(110)를 자유롭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한편, 상기 각 고리(130)를 장공(112)과 수직하도록 회전시켜 용지(110)가 상기 고리(130)에 가로막혀 넘겨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리(130)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면서 고리 공책(100)을 필기 가능한 모드나 보관 모드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용지(110)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리(130)의 방향을 장공(112)에 수직한 방향으로 특정 지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고리(130)가 장공(112)과 평행을 이루지 않게 되는 상황에서는 용지(110)가 상기 고리(130)에 가로 막혀져 용지(110)를 넘기는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고리(130)의 방향을 상기와 같이 반드시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특정할 필요가 없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고리 공책(100)에 있어, 특히, 용지(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필기작업을 하게 될 경우에 용지(110)를 일측으로 밀어 이동시킨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기존 스프링 공책의 경우에는 용지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필기작업을 하게 될 경우, 손이 용지 위에 접지되지 않고 공책 밖으로 손이 떨어져 불안정한 자세로 필기작업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필기작업이 불편하여 제대로 된 필기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고리 공책(100) 구조에서는 용지(110)에 필기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도 8과 같이, 용지(110)의 상,하부에 위치한 고리(130)를 장공(112)과 수직한 세로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용지(110)를 좌측으로 잡아당겨 용지(110)를 장공(112)의 길이만큼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용지(110)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필기작업시 사용자가 손을 용지(110) 부분에 완전하게 접지시킨 상태에서 필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리 공책(100)은 필기작업시 한쪽 면 용지(예를 들면, 펼쳤을 경우 오른쪽 방향 용지)부터 다 사용한 후, 반대쪽 면 용지(예를 들면, 펼쳤을 경우 왼쪽 방향 용지)에 필기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리 공책(1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된 실시 예에서의 고리 공책(100)은 고리(130)가 용지(110)의 장공(112) 내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지(110)의 상,하부 고리(130)를 장공(112)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리의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해 용지(110)의 상,하부 고리(130)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리 공책(100) 구조에서는 고리(140)가 결합되는 용지(예를 들어, 가장 뒤편에 결합되는 두껍고 뻣뻣한 재질의 겉표지)의 이면에 마찰력을 통해 고리(140)의 위치를 회전된 위치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150)가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재(150)는 한 쌍의 고리(140)가 위치되는 용지(110)의 좌측 상,하부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50)는 도 9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얇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 판으로 이루어지며, 장공(112)과 마주보는 위치고정부재(150)의 한쪽 측면 중앙에는 고리(140)에 형성된 회전부(142)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154)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140)가 끼움공(154)에 끼워진 회전부(142)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재(150)의 내측에는 고리(140)의 한쪽 측면부(144)가 끼워진 상태에서 90° 각도 범위로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의 홈(152)이 형성되며, 상기 홈(152)의 마주보는 양쪽 면에는 상기 고리(140)의 회전동작시 상기 고리(140)의 한쪽 측면부(144)와 접하며 마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 마찰면(156)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위치고정부재(150)와 결합되는 고리(140)는 전술된 실시 예와 달리 회전부(142)의 일측이 고리(140)의 한쪽 측면부(143)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회전부(142)의 다른 일측이 상기 고리(140)의 다른 한쪽 측면부(144)와는 분리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140)에 있어 회전부(142)의 끝단과 위치고정부재(150)의 홈(152)에 삽입되는 고리(140)의 한쪽 측면부(144) 사이는 서로 일정한 간격(145)으로 이격된 구조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이격된 고리(140)의 한쪽 측면부(144)와 회전부(142) 사이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리(140)의 양쪽 측면부(143,144)와 연결되는 곡면부(146)는 전술된 실시 예 형태와 달리 상호 분리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위치고정부재(150)는 한쪽 측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공(154) 부분이 장공(112) 부분에 위치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용지(바람직하게는 딱딱한 재질의 겉표지)의 뒷면에 부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고리(140)의 한쪽 측면부(144)를 상기 위치고정부재(150) 내부의 홈(152)에 끼워 넣고, 상기 고리(140)의 회전부(142)를 상기 홈(152)에 끼워진 한쪽 측면부(144)로부터 간격(145)을 벌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142) 부분을 용지(110)의 장공(112)에 관통시켜 위치고정부재(150)의 끼움공(154)에 끼워 결합하게 됨으로써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결합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리(140)를 용지(110)의 장공(112) 및 위치고정부재(150)의 끼움공(154) 부분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곡면부(146)의 상단 중앙 부분을 서로 분리 구성하여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리(140)는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 곡면부(146)와 이와 연결된 양측 측면부(143,144) 부분이 상호 회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양측 곡면부(146) 사이를 더욱 크게 벌릴 수 있게 되어 장공(112) 및 끼움공(154) 부분에 고리(140)를 결합하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고리(140)가 용지(110)에 부착된 위치고정부재(150)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리(140)는 회전작업시 위치고정부재(150)의 홈(152)에 끼워진 한쪽 측면부(144)가 상기 홈(152)의 양측 마찰면(156)과 접하여 마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고리(14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재(150)에 형성된 사각형 홈(152) 공간 내에서 양측 마찰면(156)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90°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고리(140)를 힘을 주어 회전시키기 이전에는 자발적인 회전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리(140)를 회전시켜 필요한 방향으로 위치시킨 이후에는 고리(140)가 그 회전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위치고정부재(150)에 대한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5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위치고정부재(150)의 내측에 형성된 홈(152)에 전술된 구조와 같은 마찰면(156)을 형성하지 않고 사각형 홈(152) 내에서 고리(140)의 측면부(144)가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홈(152) 내부의 일측 단차진 변 부분과 다른 일측의 단차진 변 부분과 각각 인접한 부분에 영구자석(162,164)을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리(140)를 영구자석(162,164)의 자력에 반응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각각의 영구자석(162,164)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고리(140)가 상기 영구자석(162,164)에 붙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고리(140)를 장공(112)에 수직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시킨 이후에는, 상기 고리(140)는 어느 한쪽의 영구자석(162,164) 부분에 자력에 의해 붙게 되어 상기 고리(140)는 그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고리(140)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로 자발적으로 회전되는 등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고리 공책 110 : 용지
112 : 장공 130,140 : 고리
132,142 : 회전부 134,136 : 제1,2탄성부
134a,136a : 평면부 134b,136b,146 : 곡면부
143,144 : 측면부 150 : 위치고정부재
152 : 홈 154 : 끼움공
156 : 마찰면 162,164 : 영구자석

Claims (8)

  1. 복수의 용지가 고리를 통해 함께 묶여 제작된 고리 공책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는 좁고 긴 구멍 형상을 갖는 복수의 장공이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장공에는 상기 고리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용지는 상기 고리가 상기 장공과 평행을 이루게 될 경우 펼쳐지거나, 접혀지거나, 상기 장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용지에는 상기 고리의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공책.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장공 내부로 관통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회전부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어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되는 제1,2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공책.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공책.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탄성부는,
    상기 용지의 면과 평행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진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는 곡면 형태의 곡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2탄성부의 각 곡면부는 암수 구조를 이루며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공책.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고리와 마찰이 이루어지는 마찰면이 구비되며
    상기 고리는 상기 마찰면과의 마찰을 통해 자발적인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공책.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고정부재에는 상기 고리를 회전시킨 이후 자력을 통해 상기 고리를 상기 장공과 수직 또는 평행한 위치상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공책.
KR1020170012124A 2017-01-25 2017-01-25 고리 공책 KR10187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124A KR101873901B1 (ko) 2017-01-25 2017-01-25 고리 공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124A KR101873901B1 (ko) 2017-01-25 2017-01-25 고리 공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901B1 true KR101873901B1 (ko) 2018-07-03

Family

ID=6291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124A KR101873901B1 (ko) 2017-01-25 2017-01-25 고리 공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637B1 (ja) * 1998-11-20 2000-01-31 徹也 加賀美 リング結束式の冊子
JP3019018B2 (ja) * 1996-12-18 2000-03-13 岩崎通信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筐体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018B2 (ja) * 1996-12-18 2000-03-13 岩崎通信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3004637B1 (ja) * 1998-11-20 2000-01-31 徹也 加賀美 リング結束式の冊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80B2 (en) Self-standing housing body
JP5851026B2 (ja) 文具品のための詰め替え品、および当該詰め替え品を備えた文具品
WO2018020968A1 (ja) 筆記具ケース
JP2014520014A5 (ko)
JP2007203730A (ja) バインダクリップ
KR101873901B1 (ko) 고리 공책
EP3797643A1 (en) Portable book holder
US20100187804A1 (en) Multipurpose cover supporter
KR100714748B1 (ko) 학습판 겸용 핸드가방
TW202026175A (zh) 用於活頁裝訂的文件夾
JP6224875B1 (ja) 筆記具ケース
EP3538376B1 (en) Self-supporting book
JP2021153847A (ja) 財布
JP2020075058A (ja) 清掃具用柄、上記清掃具用柄を備えている清掃具、及び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
JP2001018573A (ja) リングバインダ装置
JP7319649B2 (ja) 筆記具ケース
JP2020075060A (ja)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KR101514260B1 (ko) 클리어파일
KR102663249B1 (ko) 티슈 수납케이스
JP6936542B1 (ja) 連結構造体およびファイル並びに板体
JP7458074B2 (ja) 保持具
JP6930882B2 (ja) 車両用収納カバー
JP5032715B1 (ja) 書籍のページ押さえ具
JP6933044B2 (ja) ファイル
JP2022041032A (ja) ファ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