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803B1 -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803B1
KR101873803B1 KR1020170157300A KR20170157300A KR101873803B1 KR 101873803 B1 KR101873803 B1 KR 101873803B1 KR 1020170157300 A KR1020170157300 A KR 1020170157300A KR 20170157300 A KR20170157300 A KR 20170157300A KR 101873803 B1 KR101873803 B1 KR 10187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plate
wir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월숙
정해상
Original Assignee
동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건설(주) filed Critical 동양건설(주)
Priority to KR102017015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빔; 상기 빔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이동 후,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탈부착부; 상기 탈부착부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빔 사이를 연결하는 낙석방지부; 및 다수 개의 빔을 연결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A FALLING ROCK PREVENTION PENCE WITH OPEN TYPE}
본 발명은 다수의 빔 사이사이에 낙석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낙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빔과 빔 사이에 구비되는 낙석방지부가 다수의 열로 구비되되, 각각의 낙석방지부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에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타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빔에 타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낙석방지부를 개별적으로 보수할 수 있으며,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는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낙석붕괴 방지시설은 일정한 간격으로 기둥이 설치되고 기둥에 고리를 달아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키며 망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낙석붕괴 방지시설은 낙석 및 토사의 붕괴 등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와이어 로프와 망이 고정되어 있어서 잔재물의 제거가 어렵고, 시설물의 파손으로 제거하기 위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은 물론 도로의 미관을 해치며, 통행인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부분의 파손시, 부분별로 재 설치해야 하므로 고가의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5971호에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메탈라스 망(2)이 고정되는 사면으로 사각틀을 형성하는 앵글 고정틀(1)의 양측 사면에 형성된 삽입홀(3')에 고정핀(4)이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고정판(3)과, 상기 고정판(3)의 외측에서 고정핀(4)이 안내되는 돌출부(7)와 걸림홈(6)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연결핀(8)이 형성되어 H빔 지주(9)에 연결되는 연결판(5)과, 상기 연결판(5)의 외측에 형성되며 연결핀(8)이 조립되는 구멍(12)과 고정핀(4)이 조립되는 잠금구멍(11)이 설치된 잠금판(10)으로 형성되어 앵글 고정틀(1)을 양측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는 앵글 고정틀(1)을 양측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낙석 또는 토사의 발생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종래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는 연결판(5)이 H빔 지주(9)의 파여진 내측 공간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앵글 고정틀(1)을 상기 연결판(5)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통해 체결력을 보다 향상시켜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고자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즉 앵글 고정틀(1)과 H빔 지주(9)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낙석에 따른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분쇄시켜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5971호(2002.05.0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빔과 빔 사이에 구비되는 낙석방지부가 다수의 열로 구비되되, 각각의 낙석방지부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에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타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빔에 타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낙석방지부를 개별적으로 보수할 수 있으며,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는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빔; 빔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이동 후,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탈부착부; 탈부착부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빔 사이를 연결하는 낙석방지부; 및 다수 개의 빔을 연결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빔과 빔 사이에 구비되는 낙석방지부가 다수의 열로 구비되되, 각각의 낙석방지부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에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타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빔에 타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낙석방지부를 개별적으로 보수할 수 있으며,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탈부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빔에 결합된 탈부착부로부터 낙석방지부가 분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장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장력조절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장력조절부의 보호부재가 압착되는 예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은 빔(100)과 빔(100) 사이에 구비되는 낙석방지부(300)가 다수의 열로 구비되되, 각각의 낙석방지부(300)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100)에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타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빔(100)에 타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낙석방지부(300)를 개별적으로 보수할 수 있으며,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는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을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탈부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빔에 결합된 탈부착부로부터 낙석방지부가 분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장력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장력조절부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장력조절부의 보호부재가 압착되는 예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은 다수 개의 빔(100), 탈부착부(200), 빔(100) 사이를 연결하는 낙석방지부(300) 및 장력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빔(100)은 지면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H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빔(100)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 쌍의 빔 사이에 후술되는 낙석방지부(300)가 고정됨으로써,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빔(100)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되는 낙석방지부(300)가 고정 및 분리되는 측으로 관통된 형태의 장력조절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홀(110)은 후술되는 장력조절부(400)의 와이어(410) 끝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410)의 끝단을 잡아주는 고정블럭(420) 및 너트블럭(440)과 상기 고정블럭(420) 및 너트블럭(440)과 빔(100)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아이볼트(441)가 관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장력조절홀(110)에 아이볼트(441)가 관통된 후, 관통된 아이볼트(441)의 끝단에 장력조절너트(443)를 체결함으로써, 와이어(410)가 빔(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장력조절홀(110)은 다수 개의 빔(100)이 구비되는 경우, 양 끝단에 위치한 빔(100) 각각은 후술되는 와이어(410)의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이 구성되나, 양 끝단을 제외한 중간 부분에 위치한 빔(100)은 장력조절홀(110)에 와이어(410)가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탈부착부(200)는 빔(100)의 측면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빔(10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이동 후,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낙석방지부(3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축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탈부착부(200)는 첨부된 도 3 및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판(210) 및 고정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판(210)은 빔(100)에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브라켓(211), 체결홀(212) 및 삽입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211)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판(210)의 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빔(100)의 측면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켓(211)은 한 쌍으로 구비되되, 전면측에 위치한 브라켓(211)의 전면측에 결합홀(211a)이 형성되고, 배면측에 위치한 브라켓(211)의 배면측에 결합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홀(211a)은 탈부착부(200)가 빔(100)에 고정되는 경우, 한 쌍의 브라켓(211) 각각의 내측 공간에 빔(100)의 측면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한 후, 전면측과 배면측에 형성된 결합홀(211a)에 각각 결합볼트(211b)를 체결하여, 결합홀(211a)에 체결된 결합볼트(211b)의 끝단이 빔(10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연결판(210)이 빔(10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도록 한다.
나아가, 한 쌍의 브라켓(211)에 의해 빔(100)의 전면측과 배면측 각각에서 빔(10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빔(100)에 탈부착부(2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볼트(211b)의 체결만으로 탈부착부(200)가 고정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후술되는 낙석방지부(300)가 탈부착부(200)에 고정되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이 설치되는 장소에서의 지면 기울기나 단차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결합볼트(211b)에 의해 탈부착부(200)가 빔(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결합볼트(211b)의 체결력을 조절하여 상기 결합볼트(211b) 끝단이 빔(10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체결력에 따른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낙석에 따른 충격 감쇄 효과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빔(100)과 탈부착부(200)의 결합 구성을 결합홀(211a)에 결합볼트(211b)를 체결하여 결합되는 구성으로 명시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빔(100)과 탈부착부(200)가 접하는 부분에 용접을 하여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결합홀(211a)과 결합볼트(211b)의 체결과 용접 모두 이루어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빔(100)과 탈부착부(2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낙석에 따른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체결홀(212)은 연결판(21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술되는 고정판(220)의 고정홀(221)과 함께 고정볼트(221a)가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홈(213)은 연결판(210)의 전면측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낙석방지부(300)의 회동바(340)가 삽입되거나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판(220)은 연결판(210)의 상측에 고정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 고정홀(221) 및 회동축홀(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판(220)은 연결판(210)의 상측에 고정 또는 분리됨에 따라, 후술되는 낙석방지부(300)가 탈부착부(200)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낙석방지부(300)의 일측 또는 타측 또는 양측 모두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판(220)의 고정홀(221)과 회동축홀(222)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210)의 체결홀(212)과 삽입홈(2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고정판(220)이 연결판(210)의 상측에 배치되면, 체결홀(212)과 고정홀(221)은 상호 연통되고, 삽입홈(213)과 회동축홀(222) 또한 상호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홀(221)은 체결홀(212)에 대응되며, 고정판(22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회동축홀(222)은 삽입홈(213)에 대응되며,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으로 개구되지 않은 폐쇄된 관통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연결판(210)과 고정판(220)의 고정은 체결홀(212)과 고정홀(221)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21a) 및 상기 고정볼트(221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21b)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판(210)의 상측에 고정판(220)이 배치되면, 연결판(210)의 체결홀(212)과 고정판(220)의 고정홀(221)에 고정볼트(221a)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볼트(221a)에 고정너트(221b)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판(210)의 상측에 고정판(22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볼트(221a)와 고정너트(221b)가 미체결된 상태에서는 연결판(210)으로부터 고정판(22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낙석방지부(300)는 탈부착부(200)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빔(10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또한 개방됨에 따라,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310), 지지재(320), 회동브라켓(330) 및 회동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낙석방지부(300)는 탈부착부(200)로부터 양측 모두를 분리하여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낙석방지부(300)에 손상이 발생되면, 낙석 방지 구조물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닌, 손상된 낙석방지부(300)만을 개별적으로 보수할 수 있어 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고,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후술되는 지지재(320)의 겉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틀로, 상기 지지재(320)를 지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재(320)는 빔(100) 사이에 위치하여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철망 또는 메탈레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형태로 이루어져 낙석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로나 인도에서 낙석 방지 구조물의 반대측 시야을 일부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완전한 시야 차단에 의해 보행자가 느낄 수 있는 답답함을 해소하고,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시야를 일부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브라켓(330)은 프레임(31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회동바(34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각각에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회동바(340)를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회동브라켓(330)이 견고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낙석이 흘러내려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회동바(340)는 회동브라켓(33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결합되며, 연결판(210)의 삽입홈(213)과 고정판(220)의 회동축홀(222)에 삽입 또는 배출됨으로써, 탈부착부(200)로부터 낙석방지부(300)가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회동바(340)는 연결판(210)에 고정판(220)이 고정되면, 회동축홀(222)에 삽입되어 낙석방지부(300)가 탈부착부(200)에 고정되도록 하며, 반대로, 연결판(210)으로부터 고정판(220)이 분리되면, 상기 회동바(340)는 삽입홈(213)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배출되어 낙석방지부(300)가 탈부착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에서 낙석방지부(300)가 회동되는 예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빔(100) 사이에 배치된 낙석방지부(300)의 일측에 체결된 고정볼트(221a)로부터 고정너트(221b)의 체결을 해제하면, 연결판(210)으로부터 일측에 구비된 고정판(220) 또한 분리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일측에 구비된 고정판(220)을 분리시키면, 상기 낙석방지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회동바(340)는 삽입홈(213)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방지부(300)의 타측에 구비된 회동바(340)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낙석방지부(300)를 회동시킴에 따라,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낙석방지부(300)를 다시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낙석방지부(300)를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킨 후, 낙석방지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판(210) 상측에 고정판(220)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판(210)의 체결홀(212)과 고정판(220)의 고정홀(221)에 고정볼트(221a)를 삽입하고, 고정너트(221b)를 체결함으로써, 낙석방지부(300)의 양측 모두를 고정시켜 낙석을 방지하는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400)는 다수의 빔(100)과 다수의 낙석방지부(300)가 구비되는 경우, 다수 개의 빔(100) 모두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와이어(410),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부(400)는 낙석의 흘러내림이 발생한 위치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분산하여 완화시키고, 빔(100)과 빔(100)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낙석에 의해 빔(100) 또는 낙석방지부(300)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로변 혹은 인도변을 따라, 10개의 빔(100)이 설치되고, 상기 빔(100) 사이사이에 낙석방지부(300)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10개의 빔(100) 중 일측에 설치된 빔(100)에 와이어(410)의 일측이 후술되는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10개의 빔(100) 중 타측에 설치된 빔(100)에 와이어(410)의 타측이 후술되는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10개의 빔(100) 중 일측과 타측을 제외한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8개의 빔(100)에는 와이어(410)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10개의 빔(100) 모두가 하나의 와이어(410)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석이 흘러내려 낙석방지부(300) 일부분에 충돌이 발생된 경우, 다수 개의 빔(100)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410)에 의해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은 부분에도 충격을 전달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힘을 분산시켜 낙석 방지 구조물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이에, 안전사고 발생 위험률을 최소화하여 2차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력조절부(400)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와이어(41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을 통해 다수 개의 빔(100) 모두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의 빔(100)이 구비되는 경우, 와이어(410)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빔(100)에는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을 통해 끝단이 고정되고, 양측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빔(100)을 제외한 중간 부분에 위치한 빔(100)은 상기 와이어(410)가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블럭(420)은 와이어(410)의 양 끝단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결속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측에 와이어(410)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고정블럭테이퍼면(421)이 형성된다.
압착부재(430)는 와이어(4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며, 고정블럭(420)에 삽입되는 와이어(410)가 상기 고정블럭(42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압착홈(431) 및 압착부재테이퍼면(4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착홈(4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착홈(431)은 와이어(410)가 고정블럭(4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와이어(410)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 가닥의 스트랜드가 각각 압착홈(431)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재(430)가 고정블럭(420) 내에서 와이어(4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다 강한 밀착력으로 와이어(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압착부재테이퍼면(432)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블럭테이퍼면(421)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블럭(420) 내부 공간에 압착부재(430)가 끼워지고, 상기 압착부재(430)가 와이어(4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압착부재테이퍼면(432)과 고정블럭테이퍼면(421)의 경사에 의해 상기 고정블럭(420) 내주면과 압착부재(430)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410)를 강하게 밀착시켜 와이어(410)가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너트블럭(440)은 고정블럭(42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럭(420)이 빔(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아이볼트(441), 너트(442) 및 장력조절너트(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이볼트(441)는 너트블럭(44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타측은 빔(100)에 형성된 장력조절홀(110)을 관통한 후, 후술되는 장력조절너트(443)가 체결됨으로써, 와이어(410)의 끝단이 빔(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너트(442)와 장력조절너트(443)는 아이볼트(441)에 체결되되, 빔(100)의 좌,우측면에 각각 면접하도록 체결됨으로써, 빔(100)에 결합된 와이어(4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흔들림이 반복되어 발생됨에 따라 결속 부재의 느슨함에 의해 풀려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너트(442)와 장력조절너트(443)를 회전시켜 아이볼트(4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빔(100)과 와이어(410) 사이의 간격, 즉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와이어(410)의 끝단을 빔(100) 측으로 당김에 따라, 와이어(410)의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빔(100)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다수 개의 빔(100) 중 시작점에 위치한 빔(100)과 끝점에 위치한 빔(100)을 제외한 나머지 빔(100)에는 와이어고정홀(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고정홀(120)을 통해 빔(100)을 관통하지않고, 와이어(410)가 상기 빔(1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빔(100)은 보호부재(450)의 압착볼트(451)가 관통되도록 배면측에 전,후로 관통된 형태의 와이어고정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고정홀(120)은 후술되는 보호부재(450)의 (451)가 관통된 후, 관통된 압착볼트(451)의 끝단에 압착너트(452)가 체결됨으로써, 와이어(41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부재(450)에 의해 와이어(410)가 빔(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재(450)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중간에 위치한 빔(100)과 와이어(4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압착볼트(451) 및 압착너트(4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보호부재(4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10)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와이어(41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보호부재(4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압착볼트(451)가 보호부재(450)의 겉면을 감싸면, 상기 보호부재(450)는 와이어(410)의 전면과 배면을 압착하게 된다.
압착볼트(451)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호부재(450)가 와이어(410)의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면, 상기 보호부재(450)의 겉면을 감싼 후 빔(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U'자 형태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압착볼트(45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압착볼트(451)는 십자 형태로 엇갈려 빔(100)에 체결됨으로써, 와이어(410)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상기 와이어(410)가 빔(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압착볼트(451)는 십자 형태로 교차된 후, 보호부재(450)의 겉면을 감싼 후, 빔(100)에 형성된 와이어고정홀(120)에 관통된 후, 관통된 압착볼트(451) 끝단에 압착너트(452)가 체결됨으로써, 와이어(410)가 빔(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은 빔(100)과 빔(100) 사이에 구비되는 낙석방지부(300)가 다수의 열로 구비되되, 각각의 낙석방지부(300)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100)에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타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빔(100)에 타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손상된 낙석방지부(300)를 개별적으로 보수할 수 있으며, 흘러내린 암석 및 토사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력조절부(400)에 의해 다수 개 구비되는 빔(100) 모두를 연결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사용 수명 증대는 물론 낙석에 따른 큰 사고에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빔 110 : 장력조절홀
120 : 와이어고정홀 200 : 탈부착부
210 : 연결판 211 : 브라켓
211a : 결합홀 211b : 결합볼트
212 : 체결홀 213 : 삽입홈
220 : 고정판 221 : 고정홀
221a : 고정볼트 221b : 고정너트
222 : 회동축홀 300 : 낙석방지부
310 : 프레임 320 : 지지재
330 : 회동브라켓 340 : 회동바
400 : 장력조절부 410 : 와이어
420 : 고정블럭 421 : 고정블럭테이퍼면
430 : 압착부재 431 : 압착홈
432 : 압착부재테이퍼면 440 : 너트블럭
441 : 아이볼트 442 : 너트
443 : 장력조절너트 450 : 보호부재
451 : 압착볼트 452 : 압착너트

Claims (10)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빔(100);
    상기 빔(10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이동 후,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탈부착부(200);
    상기 탈부착부(200)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빔(100) 사이를 연결하는 낙석방지부(300); 및
    다수 개의 빔(100)을 연결하는 장력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탈부착부(200)는
    상기 빔(100)에 고정되는 연결판(210); 및
    상기 연결판(210)의 상측에 고정 또는 분리되는 고정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220)이 연결판(210)에 고정되면, 상기 낙석방지부(300)는 탈부착부(200)에 고정되고, 반대로, 상기 고정판(220)이 연결판(2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낙석방지부(300)는 탈부착부(200)로부터 분리되어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판(210)은
    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빔(100)의 측면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는 브라켓(211);
    상기 연결판(21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체결홀(212); 및
    상기 연결판(210)의 전면측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삽입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211)은
    관통된 형태의 결합홀(21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11a)에 결합볼트(211b)를 체결하여, 상기 결합볼트(211b)의 끝단이 빔(10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판(210)이 빔(10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220)은
    상기 체결홀(212)에 대응되며,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고정홀(221); 및
    상기 삽입홈(213)에 대응되고,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회동축홀(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판(210)의 체결홀(212)과 고정판(220)의 고정홀(221)에 고정볼트(221a)가 끼워지며, 상기 고정볼트(221a)에 고정너트(221b)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판(210)의 상측에 고정판(220)이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볼트(221a)와 고정너트(221b)가 미체결되어 연결판(210)으로부터 고정판(220)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낙석방지부(300)는
    프레임(310);
    상기 프레임(310)에 결합되어 낙석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지지재(320);
    상기 프레임(3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회동브라켓(330); 및
    상기 회동브라켓(33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210)의 삽입홈(213)과 고정판(220)의 회동축홀(222)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회동바(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판(210)에 고정판(220)이 고정되면, 상기 회동바(340)는 회동축홀(222)에 삽입되어 낙석방지부(300)가 탈부착부(200)에 고정되도록 하고, 반대로, 연결판(210)으로부터 고정판(220)이 분리되면, 상기 회동바(340)는 삽입홈(213)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배출되어 낙석방지부(300)가 탈부착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장력조절부(400)는
    다수 개의 빔(100)을 연결하는 와이어(410);
    상기 와이어(410)의 양 끝단 일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결속되는 고정블럭(420);
    상기 고정블럭(42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고, 고정블럭(420)에 삽입되는 와이어(410)가 상기 고정블럭(42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압착하는 압착부재(430); 및
    상기 고정블럭(42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블럭(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너트블럭(44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되며, 타측은 빔(100)에 형성된 장력조절홀(110)을 관통하는 아이볼트(441);
    상기 아이볼트(441)에 체결되는 너트(442); 및
    상기 장력조절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빔(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아이볼트(441)에 체결되는 장력조절너트(44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럭(420)은
    내부측에 상기 와이어(410)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고정블럭테이퍼면(421)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재(430)는
    상기 고정블럭테이퍼면(421)에 대응되는 압착부재테이퍼면(432)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430)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압착홈(43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장력조절부(400)는
    상기 와이어(4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호부재(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호부재(450)는
    U자 형태의 압착볼트(451)가 상기 보호부재(450)의 겉면을 감싼 후, 빔(100)에 형성된 와이어고정홀(120)을 관통하고, 관통된 와이어고정홀(120)에 압착너트(452)가 체결되며,
    상기 보호부재(450)는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압착볼트(451)가 보호부재(450)의 겉면을 감싸면, 와이어(410)의 전면과 배면을 압착하고,
    상기 압착볼트(451)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십자 형태로 엇갈려 상기 빔(100)의 정면측에 형성된 와이어고정홀(120)에 관통된 후, 관통된 압착볼트(451) 끝단에 압착너트(452)가 체결되어 상기 보호부재(450)를 압착하고,
    상기 고정블럭(420), 압착부재(430) 및 너트블럭(440)을 포하하는 장력조절부(400)는 다수 개의 빔(100) 중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빔(100)에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재(450)는 다수 개의 빔(100) 중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빔(100)을 제외한 나머지 빔(1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57300A 2017-11-23 2017-11-23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KR10187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00A KR101873803B1 (ko) 2017-11-23 2017-11-23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00A KR101873803B1 (ko) 2017-11-23 2017-11-23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803B1 true KR101873803B1 (ko) 2018-07-03

Family

ID=6291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00A KR101873803B1 (ko) 2017-11-23 2017-11-23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4967A (zh) * 2019-01-28 2019-04-19 贵州大学 一种易于安装的爆破用飞石防护装置
KR102346726B1 (ko) * 2021-03-31 2022-01-04 주식회사 금영철망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진 낙석방지 울타리
KR102633184B1 (ko) * 2023-05-19 2024-02-02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유도 배수 커플링을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08B1 (ko) * 2005-09-30 2006-06-07 동양건설(주)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시설용 가변브라켓
KR100590898B1 (ko) * 2005-11-29 2006-06-19 정해상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1263769B1 (ko) * 2012-09-18 2013-05-13 주식회사 기산엔지니어링 와이어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508B1 (ko) * 2005-09-30 2006-06-07 동양건설(주) 개폐식 낙석붕괴 방지시설용 가변브라켓
KR100590898B1 (ko) * 2005-11-29 2006-06-19 정해상 낙석방지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1263769B1 (ko) * 2012-09-18 2013-05-13 주식회사 기산엔지니어링 와이어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4967A (zh) * 2019-01-28 2019-04-19 贵州大学 一种易于安装的爆破用飞石防护装置
KR102346726B1 (ko) * 2021-03-31 2022-01-04 주식회사 금영철망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진 낙석방지 울타리
KR102633184B1 (ko) * 2023-05-19 2024-02-02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유도 배수 커플링을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누수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803B1 (ko) 개방형 낙석 방지 구조물
CN202108014U (zh) 一种受力撞击能复原的道路栏杆
DE4403512C2 (de) Kindersitz für Radfahrzeuge
JP3968202B2 (ja) 道路標識柱
KR101259351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식물성장 억제 및 동물 진입 방지펜스
KR20080034428A (ko) 낙석방지책
KR101006536B1 (ko) 표지판 고정장치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FR2745310A1 (fr) Glissiere de securite avec ecran de protection pour motocycliste
EP0589480A1 (de) Kupplung zum Anhängen eines Fahrradanhängers an einem Fahrradrahmen
KR20130142535A (ko) 가드레일 장치
JP2003034912A (ja) 防護柵
KR101620592B1 (ko) 가드레일과 동물유도울타리 겸용 파워방형망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0502708U (zh) 一种用于转辙机中的防护装置
DE102010046668B4 (de) Mehrteiliger Fahrradträger, der in eine an der Rückseite eines Kraftfahrzeuges abschwenkbar befestigte Halterung einsetzbar ist
KR102609201B1 (ko) 추락 방지용 맨홀키퍼
KR101070599B1 (ko) 각도조절과 충격흡수가 가능한 자전거 가드레일용 연결체
KR20140017944A (ko) 가드레일 지주를 활용한 교통표지판 조립식 지지물
KR101852539B1 (ko) 가드레일
JP6733933B2 (ja) 橋梁地覆への車両乗り上げ抑制構造
KR100538698B1 (ko) 조명등 지주
KR101112124B1 (ko) 자전거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DE202007015586U1 (de) Sturzpad
DE102022129548B3 (de) Kabinenschutz oder Kabinenschutzrah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