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409B1 -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409B1
KR101873409B1 KR1020110103291A KR20110103291A KR101873409B1 KR 101873409 B1 KR101873409 B1 KR 101873409B1 KR 1020110103291 A KR1020110103291 A KR 1020110103291A KR 20110103291 A KR20110103291 A KR 20110103291A KR 101873409 B1 KR101873409 B1 KR 10187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ransmission information
information
ble module
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756A (ko
Inventor
이정석
강기원
최현창
심홍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4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와,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상기 전송정보를 송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BLE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BLE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들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는 배터리가 장착된다. 배터리에는 전력이 충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일정 잔량 이상에서는 정압이 유지된다. 그러나 배터리가 방전되어 일정 잔량(예를 들어, 1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압이 낮아지기 시작하며 얼마 지나지 않아 완전히 방전되게 된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게 되면 이동 단말기에 필요한 OS,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동 및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가 비활성화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 전까지는 AP가 활성화될 수 없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기능/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터리가 방전되어도 이동 단말기의 기능/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와,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상기 전송정보를 송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BLE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BLE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MCU는 주기적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MCU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MCU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보다 낮아지는 시점과 인접한 시점에 사용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저장된 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메모리에서 엑세스된(accessed) 최신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이용된 최신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BLE 모듈은 상기 제1 BLE 모듈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BLE 모듈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BLE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정보를 송신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미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정보에 대응되는 미디어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송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BLE 모듈은 상기 제1 BLE 모듈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MCU는 제1 BLE 모듈이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이동 단말기의 MCU는 측정된 전위와 기준값의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로 설정하고, 제1 BLE 모듈은 상기 전송정보를 송신하며, 제2 이동 단말기의 제2 BLE 모듈은 제1 BLE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AP가 비활성화되어도 제2 이동 단말기는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 단말기의 기능/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가 제1 및 제2 BLE 모듈을 통해 서로 무선 통신하는 것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측정된 전위와 기준값의 비교결과를 근거로 전송정보를 설정하고, 이를 제2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기가 제1 이동 단말기의 기능/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3a 내지 5는 도 1의 제1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AP가 비활성화된 경우, 제2 이동 단말기가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 단말기의 기능/정보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보인 개념도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10)으로서,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0, 200)가 제1 및 제2 BLE 모듈(120, 220)을 통해 서로 무선 통신하는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들은 제2 이동 단말기(2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제1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은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100, 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네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AP(110)가 비활성화되면, 전송정보(101)를 제2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하기 위한 BLE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BLE 통신 시스템은 제1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120), 전위측정센서(140) 및 MCU(Micro Controller Unit, 160)를 포함한다.
AP(Application processor, 11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필요한 OS,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동 및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AP(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PU), 메모리, 디스플레이 시스템/컨트롤러, 멀티미디어 인코딩/디코딩 코덱, 2D/3D 가속기 엔진, ISP(Image Signal Processor), 카메라, 오디오, 모뎀, 복수의 고속/저속 직렬/병렬 접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가 내장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터리(170)에는 전력이 충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일정 잔량 이상에서는 정압이 유지된다. 그러나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일정 잔량(예를 들어, 1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압이 낮아지기 시작하며 얼마 지나지 않아 완전히 방전되게 된다.
배터리(170)가 완전히 방전되게 되면, 제1 이동 단말기(100)에 필요한 OS,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동 및 제어하는 AP(110)가 비활성화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170)를 충전하기 전까지는 AP(110)가 활성화될 수 없으므로,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150)는 AP(110)를 포함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PMIC(150)는 전위측정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배터리(170)의 전위와 기준값의 비교결과, 배터리(170)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AP(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저전류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한다.
PMIC(150)는 BLE 통신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하여 MCU(160), 제1 BLE 모듈(120) 등에 정동작 전류(quiescent current)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BLE 통신 시스템이 AP(110)가 비활성화된 이후에도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배터리(170)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전류, 즉 정동작 전류로 연명하는데에 기인한다.
MCU(160)는 전위측정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101)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MCU(160)는 BLE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장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실행정보 등을 포함하고, 메모리에 저장된다. 전송정보(101)는 기저장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전송정보(101)는, 예를 들어, 동영상 URL 경로, 재생 위치, 사용자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미디어 정보나 최근 통화 목록,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 등과 같은 통화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CU(160)는 제2 이동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2 BLE 모듈(220)로부터 송신되는 연결요청신호(201)를 모니터링한다. MCU(160)는 상기 연결요청신호(201)를 수신하여 유효하다고 판단되면(자신에게 해당되는 것이라고 판단되면), 제1 BLE 모듈(120)을 통해 전송정보(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120)은 제2 BLE 모듈(220)을 통해 제2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BLE 모듈(120)은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도록 BLE 기능을 갖는 BT(Bluetooth)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쉽게 착탈 가능한 동글(dongle)로 구현될 수 있다. BLE 기능을 갖는 BT 기기(221)는 일반 BT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의 일부분(예를 들어, 1 내지 5 퍼센트)만을 소비하므로, 최소한의 전력으로 제2 BLE 모듈(220)과 통신할 수 있다.
BLE는 블루투스의 장점인 안정성 및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블루투스에서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심한 부분을 개선하여 새로운 저전력 블루투스 규격을 제안한다. BLE는 데이터 채널(data channel)과 송신 채널(broadcasting channel)을 분리하고 있다. 상기 제1 BLE 모듈(120)은 이러한 BLE의 특징을 이용하여 송신 채널인 37, 38 및 3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전송정보(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제2 이동 단말기(200)와의 연결을 요청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제2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AP(210) 또는 MCU(26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연결요청신호(201)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BLE 모듈(220)은 상기 연결요청신호(201)를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형성된다. 제2 BLE 모듈(220)은 제1 BLE 모듈(120)과 같이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도록 BLE 기능을 갖는 BT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쉽게 탈착 가능한 동글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200)를 연결, 페어링할 수 있는 DB(DataBase)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DB는, 예를 들어, 제2 이동 단말기(200)의 BDADDR(Bluetooth Device ADDRess), PIN 코드(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와 제2 이동 단말기(200)의 페어링은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코드(예를 들어, BDADDR, PIN 코드 등)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BDADDR은 제2 이동 단말기(200)와 같이 BT 기능을 갖는 기기들의 네트워크 주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DADDR은 연결, 페어링을 위해 특정기기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번호(예를 들면, 48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IN 코드는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시리얼 번호와 개인 설정 비밀번호에 기초한 네 자리의 개인 아이디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170)가 방전되어도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1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측정된 전위와 기준값의 비교결과를 근거로 전송정보(101)를 설정하고, 이를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AP(110)가 비활성화되면, 전송정보(101)를 제2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하기 위한 BLE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70)는 일정 잔량(10%) 이상에서는 3.7V의 정압을 유지한다. 그러나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잔량이 10%이하로 떨어질 경우, 전위는 낮아지기 시작하며, 3.3V가 되었을 때(Cut) PMIC(150)는 AP(1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AP(110)가 비활성화되게 된다.
그러나 BLE 통신 시스템은 PMIC(150)로부터 정동작 전류를 공급받게 되어 AP(110)가 비활성화된 이후에도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배터리(170)를 제거하지 않는 한, 1.8V 까지는 BLE 통신 시스템이 작동하여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이동 단말기(100)는 전위측정센서(140)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101)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MCU(160)는 측정된 전위가 기준값, 예를 들어, 3.7V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메모리 등에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101)로 설정하도록 형성된다. 즉, 3.3V가 되어 AP(110)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AP(110)를 통해 엑세스 가능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추출하여 이를 전송정보(101)로 설정하고, 제1 BLE 모듈(120)을 통해 상기 전송정보(101)를 제2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개념이다.
전송정보(101)는 배터리(170)의 전위가 3.7V 이하로 떨어진 시점부터 주기적으로 설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송정보(101)는 누적되게 이루어지거나, 최근에 설정된 전송정보(101)가 이전에 설정된 전송정보(101)를 대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관련 정보는 전송정보(101)로서 순차적으로 기록될 수 있으며, 미디어 정보는 최근에 설정된 전송정보(101)만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된 전위와 기준값의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전송정보(101)가 설정되는 것과는 별도로, MCU(160)는 주기적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배터리(170)의 전위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의 배터리(170)에 발생되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MCU(160)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정보(101)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롬의 장점뿐 아니라 정보의 입출력이 자유로운 램의 장점을 모두 지니고 있어 BLE 통신 시스템에 적합하다.
제1 BLE 모듈(120)은 설정된 전송정보(101)를 송신하며, 제2BLE 모듈(220)은 상기 전송정보(101)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전송정보(101)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정보를 이용하도록 형성된다.
도 3a 내지 5는 도 1의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AP(110)가 비활성화된 경우, 제2 이동 단말기(200)가 제1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전송정보(101)를 이용하여 제1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정보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Wi-Fi 모듈(130, 도 1 참조)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동영상이 스트리밍(streaming)될 수 있다.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일정 잔량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배터리(170)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람 표시(181)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MCU(160)는 동영상 URL 경로, 재생 위치, 사용자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미디어 정보를 전송정보(101)로 설정하며, 상기 전송정보(101) 중 재생 위치와 같이 시간에 종속적인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즉, 전송정보(101)는 측정된 전위가 기준값보다 낮아지는 시점과 인접한 시점에 사용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AP(210) 또는 MCU(26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연결요청신호(201)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BLE 모듈(220)은 상기 연결요청신호(201)를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요청신호(201)에는 상기 전송정보(101)를 요청하는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AP(110)는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비활성화되며, 동영상 스트리밍은 중단된다. 그러나 BLE 통신 시스템은 정동작 전류를 공급받아 제2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1 BLE 모듈(120)은 제2 BLE 모듈(220)로부터 송신되는 연결요청신호(201)를 수신하고, MCU(160)는 상기 연결요청신호(201)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제1 BLE 모듈(120)을 통해 전송정보(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페어링은 앞서 설명한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코드(예를 들어, BDADDR, PIN 코드 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된 전송정보(101)를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에 대응되는 미디어를 실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전송정보(101)에 포함된 동영상 URL 경로, 재생 위치, 사용자 설정 정보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80)에 연속된 동영상 스트리밍이 출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에는 통화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통화 관련 정보에는 연락처, 최근 통화 목록,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일정 잔량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배터리(170)의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리는 알람 표시(181)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MCU(160)는 상기 통화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정보(101)로 설정하며, 상기 전송정보(101) 중 최근 통화 목록과 같이 시간에 종속적인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즉, 전송정보(101)는 메모리에서 엑세스된(accessed) 최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AP(210) 또는 MCU(260)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연결요청신호(201)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BLE 모듈(220)은 상기 연결요청신호(201)를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요청신호(201)에는 상기 전송정보(101)를 요청하는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AP(110)는 배터리(170)가 방전되어 비활성화되며, 더 이상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BLE 통신 시스템은 정동작 전류를 공급받아 제2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1 BLE 모듈(120)은 제2 BLE 모듈(220)로부터 송신되는 연결요청신호(201)를 수신하고, MCU(160)는 상기 연결요청신호(201)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제1 BLE 모듈(120)을 통해 전송정보(101)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페어링은 앞서 설명한 제2 이동 단말기(200)의 식별 코드(예를 들어, BDADDR, PIN 코드 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된 전송정보(101)를 AP(210) 또는 MCU(260)와 연결되는 RAM, 비활성 메모리 등의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제2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된 전송정보(101)를 이용하여 전송정보(101)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28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282)은 대기 화면에 특정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AP(110)가 꺼지더라도 제2 이동 단말기(200)에 통화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제2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는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소재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AP(1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1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를 걸어 벨, 진동, 그에 따른 영상 출력 등을 통하여 그 소재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AP(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 경우, 제2 BLE 모듈(220)은 제1 BLE 모듈(120)에 연결요청신호(201)를 송신할 수 있다. MCU(160)는 제1 BLE 모듈(120)이 상기 연결요청신호(201)를 수신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에서 음향을 출력하도록 음향출력모듈(190)의 구동을 제어한다. MCU(160)는 음향 출력뿐만 아니라, LED와 같이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램프모듈(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이동 단말기(100)가 빛을 발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AP(11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음향 출력 또는 빛 발산 등의 알람 출력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알람 출력을 통해 제1 이동 단말기(100)의 소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통신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전위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위측정센서;
    상기 전위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전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상기 전송정보를 송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1 BLE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BLE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전송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주기적으로 상기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전송정보로 설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측정된 전위가 상기 기준값보다 낮아지는 시점과 인접한 시점에 사용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저장된 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메모리에서 엑세스된(accessed) 최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LE 모듈은 상기 제1 BLE 모듈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BLE 모듈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BLE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송정보를 송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정보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전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정보에 대응되는 미디어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LE 모듈은 상기 제1 BLE 모듈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MCU는 제1 BLE 모듈이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10103291A 2011-10-10 2011-10-10 통신 시스템 KR10187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91A KR101873409B1 (ko) 2011-10-10 2011-10-10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291A KR101873409B1 (ko) 2011-10-10 2011-10-10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56A KR20130038756A (ko) 2013-04-18
KR101873409B1 true KR101873409B1 (ko) 2018-07-02

Family

ID=4843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291A KR101873409B1 (ko) 2011-10-10 2011-10-10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4814A (zh) 2015-03-13 2016-11-23 (株)未来百乐 用于由移动设备控制传感器的移动设备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3353A (ja) * 2002-12-27 2004-07-29 Canon Inc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再生方法、配信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100455702B1 (ko) * 2000-11-10 2004-11-1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688678B1 (ko) * 2004-01-28 2007-03-0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통신 단말 및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029A (ko) * 2008-03-19 2008-04-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단말장치
KR20110028056A (ko) * 2009-09-11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702B1 (ko) * 2000-11-10 2004-11-1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JP2004213353A (ja) * 2002-12-27 2004-07-29 Canon Inc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再生方法、配信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100688678B1 (ko) * 2004-01-28 2007-03-0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통신 단말 및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756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9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29106B1 (ko) 모바일 기기
US10073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US2009000512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KR101411809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US960960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enhanced power management
KR102518401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운영 방법 및 장치
JP5345775B2 (ja) 携帯電子機器
EP3193179B1 (en) Electric quant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50141039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메인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278325B (zh) 通过显示器提供通知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A2779909C (en) Accessory id recognition by power cycling
US20150113301A1 (en) Charging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7684834B2 (en) Method of monitoring battery characteristics and radio terminal equipment
CN1666165A (zh) 用于功耗管理的系统和方法
JP4721920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869772B1 (ko) 통신 시스템
JP2005333641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KR101873409B1 (ko) 통신 시스템
JP2004078881A (ja) Pdaと無線通信システムとの統合インターフェイス用の回路と動作方式
KR101296563B1 (ko) 휴대용기기에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794830A (zh) 一种充电方法及移动终端
CN103762390B (zh) 充电方法及行动电子装置
JP4823243B2 (ja) 電子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CN107615215B (zh) 电气设备控制装置和使用该控制装置的电气设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