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373B1 -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 Google Patents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373B1
KR101873373B1 KR1020160106861A KR20160106861A KR101873373B1 KR 101873373 B1 KR101873373 B1 KR 101873373B1 KR 1020160106861 A KR1020160106861 A KR 1020160106861A KR 20160106861 A KR20160106861 A KR 20160106861A KR 101873373 B1 KR101873373 B1 KR 10187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pring
low
fue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171A (ko
Inventor
황현식
Original Assignee
황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식 filed Critical 황현식
Priority to PCT/KR2016/00933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47941A1/ko
Priority to US15/747,347 priority patent/US10364783B2/en
Publication of KR2017003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41Means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4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using combinations of springs of different k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8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 F16F3/087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 F16F3/093Units comprising several springs made of plastics or the like material the springs being of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types of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1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 F02M2200/31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for damping fuel pressure fluctu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동 감소기에 관한 것으로, 고압 연료관(31)의 단면과 동일하게 확장된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통 홀(612a, 612b)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된 저압 운동공간(613) 및 고압 운동공간(614)이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61), 스프링 하우징(61)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을 연결하는 연결부(62a 62b, 62c),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저압 운동공간(613)에 배치되어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키는 저압 감소부(63) 및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이 고압 운동공간(614)에 배치되어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키는 고압 감소부(64)를 포함하고, 연료 저장공간(611)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혼합 맥동파는 연료와 함께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서 연료 저장공간(611)을 통해 저압 감소부(63)와 고압 감소부(64)에 도달하여 감소된다.

Description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Pulse Reducer by Double Multilayer Diaphragm Spring}
본 발명은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가솔린 엔진은 연료 분사방법에 따라 다중 연료 분사(Multi-Port Injection; MPI) 엔진과 가솔린 직접분사(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엔진으로 구분된다.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은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저압 연료펌프에 의해 엔진까지 공급된다. 엔진까지 공급된 저압 연료는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되어 고압 연료관과 연료 레일을 거처 연료 분사 인젝터에 공급되게 된다.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의 연료 분사 인젝터는 고압으로 압송된 고압 연료를 실린더 내부에 직접 분사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의 연료는 연료 분사 인젝터에 의해 고압 및 미세 분무입자로 만들어져 엔진 실린더 내에 직접 분사된다. 분사된 연료를 점화 플러그로 점화시켜 폭발하므로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킨다. 이에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은 연료 연소 효율이 높고 완전 연소된 엔진 배기가스가 방출되므로 대기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이다.
최근에 연료압력이 350bar이상의 고압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이 개발되고 있다. 고압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은 고압 발생기인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 고압 연료관, 연료 레일 및 연료 분사 인젝터로 구성되어 있다.
고압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은 저속 무 부하 운전 시 연료 압력은 35bar 내외이고, 고속 운전 시 연료 압력은 35bar~350bar이다.
위와 같은 고압 가솔린 직접분사 엔진은 연료 압력 변동 폭이 10배 이상 되는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가 필요하다.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에 의해 고압 연료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진폭이 큰 펌프 맥동파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연료 분사 인젝터에서 고압 연료 분사 시 연료 레일 내부에 연료 분사 맥동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연료 레일 내부에는 펌프 맥동파와, 연료 분사 맥동파가 혼합된 진폭이 큰 혼합 맥동파가 존재하게 된다.
진폭이 큰 혼합 맥동파가 연료 분사 인젝터에 직접 전달되면 연료 분사량이 순간순간 변한다. 연료 분사량 변화로 인하여 연료는 불안전 연소되고 불안전 연소로 인하여 엔진 연소 효율이 저하된다. 연료의 불안전 연소로 인하여 엔진 배기가스가 대기로 방출됨으로써 대기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혼합 맥동파로 인하여 엔진 진동 및 소음 발생 원인이 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넓은 압력 범위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넓은 압력 범위의 맥동 감소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연료 레일 입구에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고압 맥동파를 감소시켰다. 오리피스를 이용한 맥동 감소장치는 연료 레일입구를 고압 연료관 단면적보다 1/10배 이상으로 급격히 줄여 연료의 유량과 압력 저항이 발생하게 하여 맥동 파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오리피스를 이용한 맥동 감소기는 펌프 맥동파는 감소시킬 수 있으나, 연료 레일 내에서 발생되는 연료 분사 맥동파는 감소시킬 수 없었다. 그리고 오리피스를 이용한 방식은 연료 저항을 이용함으로 펌프 손실(고압 피스톤 연료펌프의 유량 및 압력 손실)이 많은 구조이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168591호는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다. 상기 맥동 감소기는 단일 디스크 스프링을 사용하며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과 같은 넓은 압력 범위의 맥동을 감소시키는데 성능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424994호는 복합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다. 상기 맥동 감소기는 복합 스프링에 피스톤을 연결하여 맥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맥동 감소기는 연료 내 맥동파가 피스톤을 통해 복합 스프링에 전달되는 간접 접촉방식의 맥동 감소기다,
상기 맥동 감소기는 연료 내 맥동파가 피스톤에 접촉하고 복합 스프링에는 맥동파가 직접 접촉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맥동 감소기는 고주파수의 맥동파에 반응하는 반응속도가 느려서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과 같은 연료 내 고주파수 맥동파를 감소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단층 양면 파형 스프링을 사용하는 4.5bar 압력 범위 내의 MPI 엔진의 연료 맥동파만 감소시킬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168591호 (2012.07.19.) 등록특허 제10-1424994호 (2014.07.24.)
본 발명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에 공급된 연료에 존재하는 펌프 맥동파와 연료 분사 맥동파가 혼합된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을 이용함으로써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의 압력 및 유량 손실을 제거하여 엔진 효율을 높여 자동차 연비가 향상될 수 있는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압 연료에 존재하는 맥동을 감소시켜 엔진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료 분사 인젝터가 다단 분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 연료 소모량을 감소시키고 엔진 출력 향상과 연료를 완전히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개선함으로써 자동차로 인한 대기환경오염 방지 등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는, 고압 연료관(31)의 단면과 동일하게 확장된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연료 저장공간(611), 연통 홀(612a, 612b)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된 저압 운동공간(613) 및 고압 운동공간(614)이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61), 스프링 하우징(61)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을 연결하는 연결부(62a, 62b, 62c), 저압 운동공간(613)에 배치되어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저압 감소부(63) 및 고압 운동공간(614)에 배치되어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고압 감소부(64)를 포함하고, 연료 저장공간(611)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혼합 맥동파는 연료와 함께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서 연료 저장공간(611)을 통해 저압 감소부(63)와 고압 감소부(64)에 도달하여 감소된다.
저압 감소부(63)는,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키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및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저압 운동공간(613) 내에 고정하는 저압 스프링 커버(632)를 포함하고,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내면 중앙부는 연통 홀(612a)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외면과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내면 중앙 부분은 서로 곡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그사이에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진동하는 저압 스프링 운동공간(632a)이 형성된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내부 곡면에 곡면 형상의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632b)를 설치하여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진동과 팽창으로 저압 스프링 커버(632)에 접촉할 때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632b)에서 충격이 완충,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은,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을 포함하며,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은 서로 다른 재질과 두께로 형성된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 가장자리와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가장자리 및 저압 운동공간(613)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은 중첩되어 있으며, 저압 스프링 커버(632) 내면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압 홈(634b)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에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가압 홈(634b)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6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 스프링 커버(632) 외면은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밀착된다.
저압 감소부(63)는, 저압 운동공간(613)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사이에 배치되어 1차 기밀을 유지하면서 입구 확장 레일(40) 내 저압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35), 그리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저압 스프링 커버(632) 외면 사이에 배치된 저압 스프링 커버 오링(636)을 더 포함한다.
고압 감소부(64)는,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키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및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을 고압 운동공간(614) 내에 고정하는 고압 스프링 커버(642)를 포함하고,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내면 중앙부는 연통 홀(612b)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외면과 고압 스프링 커버(642)의 내면 중앙 부분은 곡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그사이에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이 진동하는 고압 스프링 운동공간(642a)이 형성된다.
고압 스프링 커버(642)의 내부 곡면에 곡면 형상의 고압 스프링 쿠션 패드(642b)를 설치하여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이 진동과 팽창으로 고압 스프링 커버(642)에 접촉할 때 고압 스프링 쿠션 패드(642b)에서 충격이 완충,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은, 제1 고압 파형 스프링(641a), 제2 고압 파형 스프링(641b) 및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을 포함한다. 제1 고압 파형 스프링(641a)과 제2 고압 파형 스프링(641b) 및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은 서로 다른 재질과 두께로 형성된다.
고압 스프링 커버(642) 가장자리와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가장자리 및 고압 운동공간(614)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은 중첩되어 있으며, 고압 스프링 커버(642) 내면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압 홈(644b)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에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을 가압 홈(644b)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6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압 스프링 커버(642) 외면은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밀착된다.
고압 감소부(64)는, 고압 운동공간(614)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사이에 배치되어 1차 기밀을 유지하면서 입구 확장 레일(40)내 고압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고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45), 그리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고압 스프링 커버(642) 외면 사이에 배치된 고압 스프링 커버 오링(646)을 더 포함한다.
연결부(62a)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닛블(621), 스프링 하우징(61)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 닛블(621)과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연결관(622), 연결관(622)과 연결 닛블(621)을 결합하는 연결 너트(624) 및 연결관(622)의 하면과 마주하는 연결 닛블(621)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된 닛블 오링(625b)을 포함한다.
연결부(62a)는, 연결 닛블(621)과 연결관(622)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위치 설정 홈(623a) 및 위치 설정 돌기(623b)를 더 포함하고, 위치 설정 돌기(623b)가 위치 설정 홈(623a)에 삽입되면 스프링 하우징(61)의 방향이 설정된다.
연결부(62b)는, 체결 홀(626d)을 가지며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소켓(626), 스프링 하우징(61)에 형성되어 있고 체결 홀(626d)에 체결된 플랜지 볼트(627) 및 플랜지 볼트(627)와 연결 소켓(626) 사이에 있는 소켓 오링(626c)을 포함하며, 연결 소켓(626) 및 플랜지 볼트(627) 내부에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료 저장공간(611)을 연결하는 소켓 통로(626a)와 플랜지 연결통로(627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62c)는, 스프링 하우징(61)에서 돌출된 하우징 연결관(628) 및 하우징 연결관(628)과 연결되어 있고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외부 면에 접할 수 있는 연결관 플랜지(629)를 포함하고, 하우징 연결관(628) 내부에는 연료 저장공간(611)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를 연결하는 내부 연결관 통로(628a)가 형성되고,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스프링 하우징(61) 사이 연료 기밀을 유지하면서 한 몸체로 접합시키는 브레이징면(629a)에서 일체형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연결관 플랜지(629)의 내부 연결관 통로(628a)와 연료 레일 홀(42) 사이에 삽입 튜브(647)를 삽입하여 브레이징면(629a)을 확장시켜 연결관 플랜지(629)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사이 접합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는 연료 레일 입구 단면적을 입구 확장 연료 레일과 결합되는 고압 연료관의 단면적과 같게 하여 단면 축소형 오리피스가 제거된 입구 확장 연료 레일에 설치한다.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의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에서 발생한 펌프 맥동파와 연료 분사 인젝터에서 발생한 연료 분사 맥동파가 혼합된 혼합 맥동파는 맥동 감소기 내부에서 저압 영역과 고압 영역으로 나누어진 저압 및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에 의해 감소된다. 이에,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의 구동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저항손실이 없는 맥동 감소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리피스가 제거된 입구 확장 연료 레일에 맥동 감소기가 설치됨으로써 입구 확장 연료 레일 내부에 존재하는 혼합 맥동파가 감소되며, 혼합 맥동파 감소로 인하여 엔진의 소음과 진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내 혼합 맥동파 제거로 인하여 엔진 실린더에 연료 분사 시 한 사이클 당 2~5회 분사하는 다단 분사가 가능하다. 다단 연료 분사로 연료가 완전히 연소하므로 엔진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엔진 배기가스 규제인 탄화물질량(PM) 및 탄화물질개수(PN)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맥동 감소기를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프링 하우징, 저압 감소부 및 고압 감소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을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을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 설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맥동 감소기를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스프링 하우징, 저압 감소부 및 고압 감소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연결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을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을 나타낸 종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연료탱크(10)에 저장된 가솔린 연료는 1차로 저압 연료펌프(20)의 작동으로 저압 연료관(21)을 통해 연료 고압 발생장치인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에 전달된다. 저압 연료 펌프(20)는 저압 연료펌프 모터(22)로 구동된다. 저압 연료펌프(20)는 베인형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저압 연료펌프(20)에서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까지 전달되는 저압 연료 압력은 약 4.5bar 이내로 낮은 압력이다.
저압 연료는 2차로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 작동으로 고압으로 압축되어 고압 연료관(31)을 통해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41)를 지나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로 공급한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은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41)로 기존의 연료 레일 입구에 설치된 오리피스가 제거되어 있고 고압 연료관(31)과 연결되며 단면이 고압 연료관(31) 단면과 동일하게 확장된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41)를 가진다.
고압 연료관(31)은 고압 연료관 끝단 플랜지(31a)에 삽입된 고압 연료관 너트(31b)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일단에 부착된 입구 확장 연료 레일 닛블(40a)과 고압 연료관 연결 나사(31c)로 연결된다.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는 엔진 캠축에 연결된 고압 연료펌프 캠(32)으로 구동된다. 고압 피스톤 펌프(30)는 350bar 이상 고압 연료 발생을 위해 피스톤형 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 도달한 고압 연료는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에서 발생한 고압 맥동파를 동반하고 있으므로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 고압 맥동파가 유입된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는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에서 발생한 펌프 맥동파와 연료 분사 인젝터(50)에서 발생한 연료 분사 맥동파가 혼합된 혼합 맥동파가 존재한다.
혼합 맥동파는 어떤 주파수에서 공진현상이 발생하여 증폭될 수 있고, 어떤 주파수에서 상쇄 현상이 발생하여 상쇄될 수도 있다. 혼합 맥동파의 증폭 및 상쇄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연료 분사 인젝터(50)의 연료 분사량이 불규칙하게 일어난다. 연료 분사량의 불규칙 현상으로 엔진 연료의 소모량 증가 원인이 된다.
혼합 맥동파의 감소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a)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에 설치하였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a)는 스프링 하우징(61), 연결부(62a), 저압 감소부(63) 및 고압 감소부(64)를 포함한다.
스프링 하우징(61)은 연결부(62a)를 통해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 중앙에는 연결부(62a)를 통해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결된 연료 저장공간(61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 좌측에는 연결관 통로(625a)를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된 저압 운동공간(613)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 우측에는 연결관 통로(625a)를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된 고압 운동공간(61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62a)는 연결 닛블(621), 연결관(622), 위치 설정부(623), 연결 너트(624) 및 닛블 오링(625b)을 포함한다.
연결 닛블(62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연결 닛블(621)의 하면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외부 면에 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 닛블(621) 내부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닛블(621) 내부 하부측에는 오링 턱(62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닛블(621) 외부 둘레 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62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면은 스프링 하우징(61)의 하우징 슬리브(625)와 결합되어 있고 연결관 플랜지(622a) 하면은 연결 닛블(621) 상면과 접해 있다. 하우징 슬리브(625)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둘레면서 연결관(62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관(622)의 중간 외부 둘레 면에는 연결관 플랜지(622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622)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관(622)의 하부 밑면은 닛블 오링(625b)과 접하는 오링 씰링면(622b)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설정부(623)는 2쌍의 위치 설정 홈(623a) 및 위치 설정 돌기(623b)를 포함한다.
위치 설정 홈(623a)은 연결관 플랜지(622a) 전후에 상부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설정 돌기(623b)는 연결 닛블(621) 상면 전후에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위치 설정 홈(623a)에 삽입되게 된다. 위치 설정 돌기(623b)와 위치 설정 홈(623a)의 결합으로 스프링 하우징(61)은 항상 같은 위치에서 같은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너트(624)는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연결 너트(624)의 내부 하부 둘레 면에는 연결 닛블(621)의 나사와 결합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너트(624) 내부 상부 둘레 면에는 연결관 플랜지(622a)와 밀착된 연결 너트 턱(624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너트(624)와 연결 닛블(621)을 나사로 체결하면 연결 너트 턱(624a)은 연결관 플랜지(622a)를 연결 닛블(62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가압되는 연결관 플랜지(622a)에 의해 연결 닛블(621) 상면과 연결관 플랜지(622a) 하면은 밀착된다.
저압 감소부(63)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저압 스프링 커버(632),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35) 및 저압 스프링 커버 오링(636)을 포함하며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킨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은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을 포함하며 저압 운동공간(613)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은 서로 겹쳐 있다.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의 중앙부는 연통 홀(612a)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의 가장자리는 저압 운동공간(613)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과 접해 있다.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을 자른 단면은 물결 모양이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는 저압 운동공간(613)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저압 운동공간(613) 내에 고정한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내면 가장자리는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의 외면 가장자리와 밀착되어 있다. 이에, 저압 스프링 커버(632) 가장자리,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가장자리 및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은 중첩되어 있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 내면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압 홈(634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에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가압 홈(634b)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634a)가 형성되어 있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 외면은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밀착되어 있다. 스프링 하우징(61)에 형성된 저압 스프링 커버 고정판(633)이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외면과 결합되어 있다.
저압 스프링 커버 고정판(633) 및 가압 돌기(634a)에 의해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및 저압 스프링 커버(632)는 저압 운동공간(613)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외부 둘레 면은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둘레 면과 간격(G)을 두고 있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외부 둘레 면이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 둘레 면과 접하면,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가압 돌기(634a)와 가압 홈(634b) 사이에 결합될 때 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외부 둘레 면과 스프링 하우징(61)의 내부 둘레 면이 떨어져 있어 저항 발생 없이 가압 돌기(634a)와 가압 홈(634b) 사이로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 중앙부는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의 외면으로부터 곡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저압 스프링 커버(632)와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의 중앙부 사이에 저압 스프링 운동공간(632a)이 형성된다.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내부 곡면에 곡면 형상의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632b)를 설치하여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진동과 팽창으로 저압 스프링 커버(632)에 접촉할 때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632b)에서 충격이 완충,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가장자리는 고정되고 중앙부는 공간상에 위치한다. 이에 연료 저장공간(611)에서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중앙부에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가 가해진다.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에 의해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중앙부가 진동하게 되면서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가 감소된다.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35)은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과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35)은 연료 저장공간(611)의 연료가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과 스프링 하우징(61) 사이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1차 기밀을 유지하면서 입구 확장 레일(40) 내에 존재하는 저압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저압 스프링 커버 오링(636)은 저압 스프링 커버(632) 외부 둘레 면과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둘레 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2차 기밀을 유지한다.
고압 감소부(64)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고압 스프링 커버(642), 고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45) 및 고압 스프링 커버 오링(646)을 포함하며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소시킨다
고압 스프링 커버(642), 고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45) 및 고압 스프링 커버 오링(646)은 전술된 저압 스프링 커버(632),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35) 및 저압 스프링 커버 오링(636) 실시예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과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에 있어 차이가 있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은 제1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a, 631b)을 포함하는 데 반하여,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은 제1, 제2 및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a, 641b, 641c)을 포함한다. 즉,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은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을 더 포함한다.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은 제1 및 제2 고압 파형 스프링(641a, 641b)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은 고압 스프링 커버(6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과 고압 스프링 커버(642) 사이에 고압 스프링 운동공간(642a)이 형성된다.
이에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가장자리는 가압 돌기(644a)와 가압 홈(644b) 사이에서 고정되고 중앙부는 공간상에 위치한다. 연료 저장공간(611)에서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중앙부에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가 가해진다.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에 의해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중앙부가 진동하게 되면서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가 감소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맥동 감소기(60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 존재하는 혼합 맥동파가 연료 레일 홀(42)을 지나, 연결관 통로(625a)를 거처, 하우징 연결통로(616)를 거처 연료 저장공간(611)에 도달하게 된다.
연료 저장공간(611)에 도달한 혼합 맥동파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과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을 진동시키게 된다. 즉, 연료 저장공간(611)에 도달한 혼합 맥동파의 저압 영역(35bar~100bar) 맥동파로 인하여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저압 스프링 운동공간(632a)에서 떨림판 운동을 하게 된다.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떨림판 운동으로 인하여 연료 내 저압 영역(35bar~100bar)의 혼합 맥동파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연료 저장공간(611)에 도달한 혼합 맥동파의 고압 영역(100bar~ 350bar) 맥동파로 인하여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이 고압 스프링 운동공간(642a)에서 떨림판 운동을 하게 된다.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떨림판 운동으로 인하여 고압 영역(100bar~350bar)의 혼합 맥동파도 감소하게 된다.
위와 같이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 존재하던 혼합 맥동파는 스프링 하우징(61) 내의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과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에 의해 감소되면서 소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a) 때문에 혼합 맥동파가 소멸한 고압 연료는 연료 분사 인젝터(50)에 의해 엔진 실린더(50a) 내부로 일정 압력의 미세입자로 분사된다. 이에, 엔진 연소 효율이 높아져 자동차 연비가 향상된다.
그리고 기존의 맥동 감쇄장치인 오리피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연료 내 혼합 맥동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 이에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30)의 펌프 손실을 줄임으로써 엔진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a) 때문에 연료 내 혼합 맥동파가 소멸되므로 엔진 진동 및 소음 감소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a)를 통해 맥동이 소멸된 고압 연료는 연료 분사 인젝터(50)에 의해 일정 압력의 미세입자로 만들어져 엔진 실린더(50a)에 직접 분사된다. 이에, 연료 다단 분사 즉 엔진에 연료 분사 시 한 행정에서 연료를 2~5회 나누어 분사할 수 있다. 연료 다단 분사로 인하여 연료는 완전히 연소되므로 엔진 연소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맥동이 감소된 연료가 엔진에서 완전히 연소되므로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발생한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대기환경 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b)는 연결부(62b)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 구성 요소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2b)는 연결 소켓(626), 플랜지 볼트(627) 및 소켓 오링(626c)을 포함하며, 연결 소켓(626) 및 플랜지 볼트(627) 내부에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료 저장공간(611)을 연결하는 소켓 통로(626a)와 플랜지 연결통로(627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소켓(626)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외부 둘레 면의 기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소켓(626)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고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소켓(626)의 내부 하부측에는 소켓 오링(626c)을 지지하는 오링 턱(626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소켓(626) 내부 둘레 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볼트(627)는 스프링 하우징(61)의 외부 둘레 면에 형성된 하우징 플랜지(627b)에서 수직 하게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 볼트(627)와 하우징 플랜지(627b)의 내부는 상하 관통되어 있고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 볼트(627)의 하부측은 연결 소켓(626)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플랜지 볼트(627)의 외부 둘레 면에는 연결 소켓(626)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볼트(627)가 연결 소켓(626)에 결합될 때 소켓 오링(626c)은 플랜지 볼트(627)와 오링 턱(626b) 사이에서 압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b)의 나사 조립을 위해 스프링 하우징(61)에 연결된 하우징 플랜지(627b)와 플랜지 볼트(627)를 설치하였다. 플랜지 볼트(627)는 연결 소켓(626)과 한 쌍으로 되어 서로 체결함으로서 나사 조립이 가능하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서 스프링 하우징(61)의 연료 저장공간(611)까지 혼합 맥동파 전달을 위해 플랜지 볼트(627) 내부에 플랜지 연결통로(627a)를 형성하였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 존재하는 혼합 맥동파는 연료와 함께 연료 레일 홀(42)을 지나 소켓 통로(626a)를 통과하여 플랜지 연결통로(627a)를 거처 연료 저장공간(61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소켓(626)의 오링 턱(626b)과 플랜지 볼트(627)의 하단 사이에 소켓 오링(626c)을 장착하고 플랜지 볼트(627)로 체결 조립하여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스프링 하우징(61) 사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c)는 연결부(62c)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 구성 요소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62c)는 하우징 연결관(628) 및 연결관 플랜지(629)를 포함하며 하우징 연결관(628) 내부에는 연료 저장공간(611)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를 연결하는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연결관(628)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스프링 하우징(61)의 외부 둘레 면에서 수직 하게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 연결관(628) 내부에는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된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하우징 연결관(628)의 끝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외부 둘레 면에 접합되어 있다.
연결관 플랜지(629)는 하우징 연결관(628)이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에 접하는 면적을 확장시켜 준다. 연결관 플랜지(629)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에 브레이징 방식으로 접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맥동 감소기(60c)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에 일체로 조립하기 위해 스프링 하우징(61)과 하우징 연결관(628) 및 연결관 플랜지(6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서 스프링 하우징(61)의 연료 저장공간(611)까지 혼합 맥동파 전달을 위해 하우징 연결관(628) 내부에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가 형성된다.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 존재하는 혼합 맥동파는 연료 레일 홀(42) 및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를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에 전달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스프링 하우징(61) 사이 연료 기밀을 위해 연결관 플랜지(629)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외부 둘레 면 사이에 브레이징면(629a)을 형성하였다. 브레이징면(629a)에 의해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연결관 플랜지(629)가 일체형으로 접합되게 하여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스프링 하우징(61)사이 기밀이 유지된다.
그리고 연결관 플랜지(629)의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와 연료 레일 홀(42) 사이에 삽입 튜브(647)를 삽입하여 브레이징면(629a)을 확장시켜 연결관 플랜지(629)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사이 접합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연료탱크 20: 저압 연료펌프
21: 저압 연료관 22: 저압 연료펌프 모터
30: 고압 피스톤 연료펌프 31: 고압 연료관
31a: 고압 연료관 끝단 플랜지 31b: 고압 연료관 연결 너트
31c: 고압 연료관 연결 나사 32: 고압 연료펌프 캠
40: 입구 확장 연료 레일 40a: 입구 확장 연료 레일 닛블
41: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 42: 연료 레일 홀
50: 연료 분사 인젝터 50a: 엔진 실린더
60a, 60b, 60c: 맥동 감소기 61: 스프링 하우징
611: 연료 저장공간 612a, 612b: 연통 홀
613: 저압 운동공간 614: 고압 운동공간
616: 하우징 연결통로 62a, 62b, 62c: 연결부
621: 연결 닛블 621a: 오링 턱
622: 연결관 622a: 연결관 플랜지
622b: 오링 씰링면 623: 위치 설정부
623a: 위치 설정 홈 623b: 위치 설정 돌기
624: 연결 너트 624a: 연결 너트 턱
625: 하우징 슬리브 625a: 연결관 통로
625b: 닛블 오링 626: 연결 소켓
626a: 소켓 통로 626b: 오링 턱
626c: 소켓 오링 626d: 체결 홀
627: 플랜지 볼트 627a: 플랜지 연결통로
627b: 하우징 플랜지 628: 하우징 연결관
628a: 하우징 연결관 통로 629: 연결관 플랜지
629a: 브레이징면 63: 저압 감소부
631: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 631a: 제1 저압 파형 스프링
631b: 제2 저압 파형 스프링 632: 저압 스프링 커버
632a: 저압 스프링 운동공간 632b: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
633: 저압 스프링 커버 고정판 634a: 가압 돌기
634b: 가압 홈 635: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
636: 저압 스프링 커버 오링 64: 고압 감소부
641: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 641a: 제1 고압 파형 스프링
641b: 제2 고압 파형 스프링 641c: 제3 고압 파형 스프링
642: 고압 스프링 커버 642a: 고압 스프링 운동공간
642b: 고압 스프링 쿠션 패드 643: 고압 스프링 커버 고정판
644a: 가압 돌기 644b: 가압 홈
645: 고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 646: 고압 스프링 커버 오링
647: 삽입 튜브

Claims (16)

  1. 고압 연료관(31)의 단면과 동일하게 확장된 단면 확장 연료 레일 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료 저장공간(611)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2 연통 홀(612a, 612b)과, 제 1 연통 홀(612a)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의 일측면과 연결된 저압 운동공간(613) 및 제 2 연통 홀(612b)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의 타측면과 연결된 고압 운동공간(614)이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61),
    스프링 하우징(61)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을 연결하는 연결부(62a, 62b, 62c),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쇄시키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과 저압 운동공간(613) 내에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고정하는 저압 스프링 커버(632)를 포함하며, 저압 운동공간(613)에 배치되어 저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저압 감소부(63) 및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감쇄시키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과 고압 운동공간(614) 내에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을 고정하는 고압 스프링 커버(642)를 포함하며, 고압 운동공간(614)에 배치되어 고압 영역의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고압 감소부(64)
    를 포함하고,
    연료 저장공간(611)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혼합 맥동파는 연료와 함께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에서 연료 저장공간(611)을 통해 저압 감소부(63)와 고압 감소부(64)에 도달하여 감소되고,
    저압 감소부(63) 및 고압 감소부(64)는 연료 저장공간(6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맥동 감소기.
  2. 제1항에서,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내면 중앙부는 연통 홀(612a)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외면과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내면 중앙 부분은 서로 곡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그 사이에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진동하는 저압 스프링 운동공간(632a)이 형성된
    맥동 감소기.
  3. 제2항에서,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은,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을 포함하며, 제1 저압 파형 스프링(631a) 및 제2 저압 파형 스프링(631b)은 서로 다른 재질과 두께로 형성된 맥동 감소기.
  4. 제2항에서,
    저압 스프링 커버(632) 가장자리와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가장자리 및 저압 운동공간(613)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은 중첩되어 있으며, 저압 스프링 커버(632) 내면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압 홈(634b)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에는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을 가압 홈(634b)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6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압 스프링 커버(632) 외면은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밀착된
    맥동 감소기.
  5. 제2항에서,
    저압 감소부(63)는,
    저압 운동공간(613)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 사이에 배치되어 1차 기밀을 유지하면서 입구 확장 레일(40) 내 저압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저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35), 그리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저압 스프링 커버(632) 외면 사이에 배치된 저압 스프링 커버 오링(636)
    을 더 포함하는
    맥동 감소기.
  6. 제1항에서,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내면 중앙부는 연통 홀(612b)을 통해 연료 저장공간(611)과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외면과 고압 스프링 커버(642)의 내면 중앙 부분은 서로 곡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그 사이에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이 진동하는 고압 스프링 운동공간(642a)이 형성된
    맥동 감소기.
  7. 제6항에서,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은, 제1 고압 파형 스프링(641a), 제2 고압 파형 스프링(641b) 및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을 포함하며, 제1 고압 파형 스프링(641a)과 제2 고압 파형 스프링(641b) 및 제3 고압 파형 스프링(641c)이 서로 다른 재질과 두께로 구성된 맥동 감소기.
  8. 제6항에서,
    고압 스프링 커버(642) 가장자리와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가장자리 및 고압 운동공간(614)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 면은 중첩되어 있으며, 고압 스프링 커버(642) 내면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가압 홈(644b)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에는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을 가압 홈(644b)으로 가압하는 가압 돌기(6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압 스프링 커버(642) 외면은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밀착된
    맥동 감소기.
  9. 제6항에서,
    고압 감소부(64)는,
    고압 운동공간(614)을 이루는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 사이에 배치되어 1차 기밀을 유지하면서 입구 확장 레일(40)내 고압 혼합 맥동파를 흡수하는 고압 스프링 기밀 파형막(645), 그리고
    스프링 하우징(61) 내부면과 고압 스프링 커버(642) 외면 사이에 배치된 고압 스프링 커버 오링(646)
    을 더 포함하는
    맥동 감소기.
  10. 제1항에서,
    연결부(62a)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닛블(621),
    스프링 하우징(61)과 연결되어 있고 연결 닛블(621)과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된 연결관(622),
    연결관(622)과 연결 닛블(621)을 결합하는 연결 너트(624) 및
    연결관(622) 하면과 마주하는 연결 닛블(621)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된 닛블 오링(625b)
    을 포함하는
    맥동 감소기.
  11. 제10항에서,
    연결부(62a)는,
    연결 닛블(621)과 연결관(622)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위치 설정 홈(623a) 및 위치 설정 돌기(623b)를 더 포함하고,
    위치 설정 돌기(623b)가 위치 설정 홈(623a)에 삽입되면 스프링 하우징(61)의 방향이 설정되는
    맥동 감소기.
  12. 제1항에서,
    연결부(62b)는,
    체결 홀(626d)을 가지며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결합될 수 있는 연결 소켓(626),
    스프링 하우징(61)에 형성되어 있고 체결 홀(626d)에 체결된 플랜지 볼트(627) 및
    플랜지 볼트(627)와 연결 소켓(626) 사이에 있는 소켓 오링(626c)
    을 포함하며,
    연결 소켓(626) 및 플랜지 볼트(627) 내부에는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와 연료 저장공간(611)을 연결하는 소켓 통로(626a)와 플랜지 연결통로(627a)가 형성되어 있는
    맥동 감소기.
  13. 제1항에서,
    연결부(62c)는,
    스프링 하우징(61)에서 돌출된 하우징 연결관(628) 및
    하우징 연결관(628)과 연결되어 있고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외부 면에 접할 수 있는 연결관 플랜지(629)
    를 포함하고,
    하우징 연결관(628) 내부에는 연료 저장공간(611)과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내부를 연결하는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과 스프링 하우징(61) 사이 연료 기밀을 유지하면서 브레이징면(629a)에서 일체형으로 접합되는
    맥동 감소기.
  14. 제2항에서,
    저압 스프링 커버(632)의 내부 곡면에 곡면 형상의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632b)를 설치하여 저압 다층 파형 스프링(631)이 진동과 팽창으로 저압 스프링 커버(632)에 접촉할 때 저압 스프링 쿠션 패드(632b)에서 충격이 완충,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된
    맥동 감소기.
  15. 제6항에서,
    고압 스프링 커버(642)의 내부 곡면에 곡면 형상의 고압 스프링 쿠션 패드(642b)를 설치하여 고압 다층 파형 스프링(641)이 진동과 팽창으로 고압 스프링 커버(642)에 접촉할 때 고압 스프링 쿠션 패드(642b)에서 충격이 완충, 흡수되는 구조로 형성된
    맥동 감소기.
  16. 제13항에서,
    연결관 플랜지(629)의 하우징 연결관 통로(628a)와 연료 레일 홀(42) 사이에 삽입 튜브(647)를 삽입하여 브레이징면(629a)을 확장시켜 연결관 플랜지(629)와 입구 확장 연료 레일(40) 사이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맥동 감소기.
KR1020160106861A 2015-09-14 2016-08-23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KR10187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332 WO2017047941A1 (ko) 2015-09-14 2016-08-23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US15/747,347 US10364783B2 (en) 2015-09-14 2016-08-23 Pulsation reducer using double-sided multilayer waveform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9917 2015-09-14
KR1020150129917 2015-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71A KR20170032171A (ko) 2017-03-22
KR101873373B1 true KR101873373B1 (ko) 2018-07-03

Family

ID=5849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61A KR101873373B1 (ko) 2015-09-14 2016-08-23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64783B2 (ko)
KR (1) KR101873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72B1 (ko) 2019-04-19 2020-09-17 황현식 단면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2391B2 (en) * 2017-08-25 2021-01-05 Anhui Zhongding Rubber-Plastic Products, Co. Ltd. Condenser, radiator and fan module upper bracket assembly with universal carrier and over-molded and/or press fit elastomeric isolator
US10969049B1 (en) 2019-09-27 2021-04-06 Robert Bosch Gmbh Fluid damper
KR102239573B1 (ko) * 2019-12-10 2021-04-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공명효과타입 연료레일 및 커먼레일 시스템
US11644140B2 (en) 2020-08-16 2023-05-09 Piranha Plastics, Llc Flow dampener in flow measureme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233A (ja) * 2004-06-17 2006-07-27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内燃機関用燃料レールにおける分岐枝管の継手構造と分岐枝管およびその分岐枝管の製造方法
KR101335871B1 (ko) * 2012-06-11 2013-12-02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펄세이션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533B1 (ko) * 1994-04-18 1997-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집합주택관리 시스템의 데이타선로 및 통화선로 자기진단방법 및 장치
JPH08261098A (ja) 1995-03-24 1996-10-08 Toyoda Gosei Co Ltd 燃料圧力脈動減衰装置
JP3763698B2 (ja) 1998-10-22 2006-04-0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圧力脈動を緩和し得る燃料供給システムの設計方法
KR101393930B1 (ko) 2008-04-30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연료 맥동음 저감장치
KR101168591B1 (ko) 2010-08-11 2012-07-30 황병찬 디스크스프링을 이용한 맥동감쇄기
KR101424994B1 (ko) * 2012-04-27 2014-07-31 황병찬 복합스프링을 이용한 맥동감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4233A (ja) * 2004-06-17 2006-07-27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内燃機関用燃料レールにおける分岐枝管の継手構造と分岐枝管およびその分岐枝管の製造方法
KR101335871B1 (ko) * 2012-06-11 2013-12-02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펄세이션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272B1 (ko) 2019-04-19 2020-09-17 황현식 단면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71A (ko) 2017-03-22
US20180216590A1 (en) 2018-08-02
US10364783B2 (en)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373B1 (ko)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JP3471587B2 (ja) 筒内噴射用高圧燃料ポンプ
KR101424994B1 (ko) 복합스프링을 이용한 맥동감쇄기
JP5551037B2 (ja) ガス噴射弁
US8651090B2 (en) Beveled dampening element for a fuel injector
US20200332751A1 (en) Pulsation damper using single-sided disk spring
CN104271938A (zh) 具有燃料分配器和多个燃料喷射阀的组件
JP4032385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KR20150023480A (ko) 내연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RU2550296C2 (ru) Топливная форсунка
US6845758B2 (en) Fuel injector retainer assembly
WO2001079687A1 (fr) Pompe haute pression
US6059547A (en) Cylinder injection high-pressure fuel pump
JPH1030529A (ja) 燃料噴射ノズル
JP2922488B1 (ja) 高圧燃料ポンプのフィード圧脈動低減装置
JP4056449B2 (ja) サイドフィード型燃料噴射弁の取付構造
KR101168591B1 (ko) 디스크스프링을 이용한 맥동감쇄기
JP3996369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029423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WO2017047941A1 (ko) 양면 다층 파형 스프링을 이용한 맥동 감소기
JP2003113754A (ja) 燃料噴射弁
JPH1030522A (ja) 燃料噴射装置
KR102228814B1 (ko) 연료 딜리버리파이프 맥동 감쇄용 댐퍼기구
JP3545594B2 (ja) 筒内噴射用高圧燃料ポンプ
JPH10115267A (ja) 燃料噴射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