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284B1 -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 Google Patents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284B1
KR101873284B1 KR1020170063298A KR20170063298A KR101873284B1 KR 101873284 B1 KR101873284 B1 KR 101873284B1 KR 1020170063298 A KR1020170063298 A KR 1020170063298A KR 20170063298 A KR20170063298 A KR 20170063298A KR 101873284 B1 KR101873284 B1 KR 101873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ding
reinforcing
extend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17006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컵의 하부와 뒤집힌 형태의 하부 컵의 상부가 접합되어 있는 구조이며,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로드 지지부재 ; 단면이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이며,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 둘레를 일주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 연장부에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차체 결합부가 마련되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연장부를 감싸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보강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 단부에 하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1후육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굴곡 연장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굴곡 보강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2후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보강부의 하부에 상기 제1후육부 및 상기 굴곡 보강부에 의하여 스트럿 베어링이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형성되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보강부재 ;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과 함께 적어도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제2후육부 및 굴곡 보강부를 감싸도록 접합되는 탄성 재질의 인슐레이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굴곡 연장부는 방사상 방향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굴곡 보강부는 상기 굴곡 연장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육부는 상기 굴곡 보강부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 경사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HIGH STIFFNESS LIGHT WEIGHT STRUT MOUNT}
본 발명은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strut suspension)에 있어서 차체에 결합된 상태로 쇼크 업서버(shock absorber)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럿(strut)을 지지하는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strut mount)에 관한 것이다.
승차감과 조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에는 서스펜션(suspension, 현가장치)이 장착된다. 서스펜션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strut suspension)은 간단한 구조와 뛰어난 성능으로 대부분의 FF(Front engine Front drive)차량의 전륜측에 장착되고 있다.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은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럿(strut, 지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스트럿의 상단부가 차체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허브 케리어(hub carrier)나 로어 암(lower arm)에 결합되도록 장착된다.
아울러 스트럿을 차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스트럿의 상단부에는 스트럿 마운트(strut mount)가 마련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럿 마운트의 단면도이며,도 2는 도 1의 스트럿 마운트에 스트럿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 마운트는, 상부 컵(11)과 뒤집힌 형태의 하부 컵(12)의 저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지지하는 로드 지지부재(10)와, 로드 지지부재(10)의 주변에 마련되어 뼈대 역할을 하며 로드 지지부재(10)를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메인 플레이트(20)와, 메인 플레이트(20)의 하부에 스프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스트럿 베어링(50)을 장착하기 위한 베어링 안착부(31)를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베어링 플레이트(30)와, 로드 지지부재(10) 및 메인 플레이트(20) 및 베어링 플레이트(30)에 접합되어 이들을 하나로 결합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인슐레이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플레이트(20)는 지속적인 진동과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고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외측 단부가 굴곡되어 있으며, 외측 단부에는 스트럿 마운트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21)가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 플레이트(30)는 스트럿 베어링(50)이 베어링 안착부(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럿 베어링(5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굴곡되어 있으며, 인슐레이터(40)를 매개로 메인 플레이트(20)의 하부에 층을 이루며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스트럿 마운트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금속제 플레이트(메인 플레이트(20) 및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층을 이루며 배치되며, 단부가 복잡한 형태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베어링 플레이트(30)는 스트럿 베어링(50)을 감싸는 형태로 별도로 제작되어 로드 지지부재(10) 및 메인 플레이트(20)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베어링 플레이트(30)가 삽입된 스트럿 마운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제작 공정을 거쳐야 한다.
반면, 베어링 플레이트(30)를 제외하고 구조를 단순화하면 스트럿 마운트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하면 스트럿 베어링(50)이 베어링 안착부(31)를 쉽게 이탈하게 되므로 스트럿 마운트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9594호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2014.12.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9164호 "차량의 쇼크 업소버 마운트용 브라켓"(2009. 5.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1723호 "차량용 쇽 업소버 마운트 브라켓"(2010. 2. 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고 플레이트를 보강하기 위한 플레이트 보강부재를 마련하여, 강성이 뛰어나면서도 경량화된 스트럿 마운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특히, 베어링 플레이트의 역할을 대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플레이트 보강부재를 마련하여 스트럿 베어링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컵의 하부와 뒤집힌 형태의 하부 컵의 상부가 접합되어 있는 구조이며,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로드 지지부재 ; 단면이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이며,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 둘레를 일주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 연장부에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차체 결합부가 마련되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연장부를 감싸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보강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1후육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굴곡 연장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굴곡 보강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2후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보강부의 하부에 상기 제1후육부 및 상기 굴곡 보강부에 의하여 스트럿 베어링이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형성되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보강부재 ;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과 함께 적어도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제2후육부 및 굴곡 보강부를 감싸도록 접합되는 탄성 재질의 인슐레이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굴곡 연장부는 방사상 방향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굴곡 보강부는 상기 굴곡 연장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육부는 상기 굴곡 보강부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 경사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는, 금속 재질의 단일한 플레이트와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강성이 향상되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매우 가볍다.
특히, 플레이트 보강부재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베어링 안착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금속제 베어링 플레이트를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즉, 베어링 플레이트의 무게만큼 경량화 가능하며, 제작 공정을 줄이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럿 마운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트럿 마운트에 스트럿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에 스트럿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에 스트럿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는 로드 지지부재(100), 플레이트(200), 플레이트 보강부재(300), 인슐레이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로드 지지부재(100)가 마련된다. 로드 지지부재(100)는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재질의 상부 컵(110)과 뒤집힌 형태의 하부 컵(120)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컵(120)의 상부는 상부 컵(110)의 하부에 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형태는 종래에 널리 이용되는 형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컵(120)은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고정되는 로드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부 컵(110)과 하부 컵(120)의 결합된 부위에는 너트부재 등을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의 단부를 로드 지지부재(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 지지부재(100)의 외측에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로드 지지부재(100)의 외측 둘레를 일주하는 환형의 플레이트(200)가 마련된다.
플레이트(200)의 단면은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210)와 수평 연장부(210)의 방사상 방향 내측에서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연장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플레이트(200)는 본 실시례의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뼈대 역할을 하며, 이와 동시에 스트럿 스프링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200)의 수평 연장부(210)는 균일한 두께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굴곡 연장부(220)는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플레이트(200)의 수평 연장부(210)에는 플레이트(200)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차체 결합부(211)가 마련된다. 본 실시례에서 차체 결합부(2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세 부위에 마련된다.
본 실시례에서 차체 결합부(211)는 볼트 삽입구(211a)와, 볼트 삽입구(211a)에 삽입되는 결합볼트(211b)로 이루어진다. 볼트 삽입구(211a)와 볼트 삽입구(211a)의 주변은 후술할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에 의하여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볼트 삽입구(211a)의 주변이 외부로 노출되어 플레이트(200)가 차체에 직접 결합되므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플레이트(200)의 외부에는 플레이트(200)를 보강하고 베어링 안착부(350)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 보강부재(300)가 마련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을 첨가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강성이 뛰어나며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부에 별도의 베어링 플레이트를 삽입하지 않고도 스트럿 베어링(5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그 자체만으로도 종래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역할을 완벽하게 대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내부에 베어링 플레이트가 생략되고 단일한 플레이트(200)만 삽입되므로 경량화가 이루어지며,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플레이트(200)의 수평 연장부(210)를 감싸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보강부(310)와,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1후육부(320)와, 수평 보강부(310)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플레이트(200)의 굴곡 연장부(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굴곡 보강부(330)와, 수평 보강부(310)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2후육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 보강부(310)의 하부에는 제1후육부(320) 및 굴곡 보강부(330)에 의해 스트럿 베어링(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베어링 안착부(350)가 형성된다. 베어링 안착부(350)에 안착되는 스트럿 베어링(50)은 그 형태가 환형이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베어링 안착부(350)도 환형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제1후육부(320) 및 굴곡 보강부(330)는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만들어 뒤틀림이나 변형에 대하여 뛰어난 저항력을 갖도록 하며, 수평 보강부(310)의 하부에 베어링 안착부(350)를 형성하여 스트럿 베어링(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후술할 인슐레이터(400)와는 달리 탄성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평 보강부(310)의 하부에 제1후육부(320) 및 굴곡 보강부(330)에 의하여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350)는 그 형태가 견고하여 베어링 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삽입하지 않아도 스트럿 베어링(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200)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는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연장부(220)가 형성되어 플레이트(200)의 강성을 보강하나, 상방으로는 이와 같은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 상방으로 후육한 제2후육부(340)가 형성되어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만들고 뒤틀림이나 변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굴곡 보강부(330)는 플레이트(200)의 굴곡 연장부(220)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2후육부(340)는 굴곡 보강부(330)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는 방사상 방향 외측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 접합부(360)가 형성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로 환형으로 형성되므로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경사 접합부(360)는 상방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깔때기 형태가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에는 스트럿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상방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로드 지지부재(100)를 향하여 결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경사 접합부(360)의 경사진 형태로 인하여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와 로드 지지부재(100)는 외력이 가해지면 인슐레이터(400)를 사이에 두고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로드 지지부재(100)의 외측과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하는 인슐레이터(400)가 마련된다. 인슐레이터(400)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플레이트(200) 및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에서 로드 지지부재(100)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한다.
인슐레이터(400)는 로드 지지부재(100)의 외측, 즉 상부 컵(110) 및 하부 컵(120)의 외주면과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 접합된다. 더욱 상세하게, 인슐레이터(400)는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경사 접합부(360)에 접한 상태로 제2후육부(240) 및 굴곡 보강부(330)를 감싸도로 접합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제2후육부(340) 및 굴곡 보강부(330)와 이들에 의한 경사 접합부(360)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인슐레이터(400)의 접합을 용이하게 한다.
인슐레이터(400)의 일부가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경사 접합부(360)에 접한 상태로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방사상 방향 외측 단부를 감싸게 되므로, 인슐레이터(400)가 플레이트 보강부재(300) 전체를 감싸지 않더라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슐레이터(400)의 접합 형태는 일례일 뿐이며, 실시례에 따라서 인슐레이터(400)가 플레이트 보강부재(300)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접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는 복수의 금속제 플레이트(메인 플레이트 및 베어링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종래의 형태보다 그 형태가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제조가 쉽고 제조비가 절감된다.
특히, 복잡한 형태로 절곡되어 삽입되는 복수의 금속제 플레이트가 아니라, 수평 연장부(210)와 굴곡 연장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일한 플레이트(200)가 뼈대를 이루게 되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단일한 플레이트(200)만으로는 뒤틀림이나 변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점은 플레이트(200)를 감싸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를 통해서 해결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는 플레이트(20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뿐만 아니라, 단부에 제1,2후육부(320,340) 및 굴곡 보강부(330)가 형성되는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뒤틀림이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뛰어나다. 아울러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상 강성이 뛰어나면서도 매우 가볍다는 특징이 있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에는 제1후육부(320) 및 굴곡 보강부(330)로 둘러싸인 베어링 안착부(350)가 형성되어 스트럿 베어링(50)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트럿 마운트와는 달리 별도의 금속제 베어링 플레이트를 추가로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에 형성되는 굴곡 보강부(330)와 제2후육부(340)는 방사상 방향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내측 단부에 경사 접합부(360)가 형성된다.
경사 접합부(360)는 스트럿 스프링의 부하가 플레이트 보강부재(300)를 로드 지지부재(10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므로,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와 로드 지지부재(100)의 결합 강도가 증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플레이트 보강부재(300)의 굴곡 보강부(330) 및 제2후육부(340)의 돌출된 형태와 경사 접합부(360)는 접합 면적을 증가시켜 인슐레이터(400)의 접합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로드 지지부재 110 : 상부 컵
120 : 하부 컵 130 : 관통구
200 : 플레이트 210 : 수평 연장부
211 : 차체 결합부 211a : 볼트 삽입구
211b : 결합볼트 220 : 굴곡 연장부
300 : 플레이트 보강부재 310 : 수평 보강부
320 : 제1후육부 330 : 굴곡 보강부
340 : 제2후육부 350 : 베어링 안착부
360 : 경사 접합부
400 : 인슐레이터

Claims (2)

  1. 상부 컵의 하부와 뒤집힌 형태의 하부 컵의 상부가 접합되어 있는 구조이며,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로드 지지부재 ;
    단면이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와 상기 수평 연장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이며,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 둘레를 일주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 연장부에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차체 결합부가 마련되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연장부를 감싸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보강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외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1후육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굴곡 연장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굴곡 보강부와, 상기 수평 보강부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후육하게 형성되는 제2후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보강부의 하부에 상기 제1후육부 및 상기 굴곡 보강부에 의하여 스트럿 베어링이 안착되는 베어링 안착부가 형성되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 보강부재 ;
    상기 로드 지지부재의 외측과 함께 적어도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제2후육부 및 굴곡 보강부를 감싸도록 접합되는 탄성 재질의 인슐레이터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굴곡 연장부는 방사상 방향 내측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굴곡 보강부는 상기 굴곡 연장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육부는 상기 굴곡 보강부에서 방사상 방향 외측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보강부재의 방사상 방향 내측 단부에 경사 접합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2. 삭제
KR1020170063298A 2017-05-23 2017-05-23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KR101873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98A KR101873284B1 (ko) 2017-05-23 2017-05-23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98A KR101873284B1 (ko) 2017-05-23 2017-05-23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284B1 true KR101873284B1 (ko) 2018-07-02

Family

ID=6291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98A KR101873284B1 (ko) 2017-05-23 2017-05-23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2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897B1 (ko) 2019-04-03 2020-08-21 평화산업주식회사 콤팩트형 전륜 인슐레이터
KR102385444B1 (ko) 2021-07-15 2022-06-02 평화산업주식회사 하이드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조립방법
KR20230102246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0005A (ja) * 2005-06-29 2007-01-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46443B1 (ko) * 2015-01-30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분자복합재 스트럿 인슐레이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현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0005A (ja) * 2005-06-29 2007-01-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46443B1 (ko) * 2015-01-30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분자복합재 스트럿 인슐레이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현가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897B1 (ko) 2019-04-03 2020-08-21 평화산업주식회사 콤팩트형 전륜 인슐레이터
KR102385444B1 (ko) 2021-07-15 2022-06-02 평화산업주식회사 하이드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조립방법
KR20230102246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KR102563031B1 (ko) * 2021-12-30 2023-08-03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492B2 (en) Lightweight, polymeric automotive strut suspension upper mounting
KR101873284B1 (ko) 고강성 경량 스트럿 마운트
US20200062062A1 (en) Top mou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844002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20180154719A1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945036B2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403346B2 (ja) ストラット用のマウント
US9399381B2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EP1842701A1 (en) Strut mount assembly
KR102114960B1 (ko) 탑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73283B1 (ko) 스트럿 베어링 일체형 스트럿 마운트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JP201312225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CN112283275A (zh) 一种铝合金旋铆减震器顶胶
KR101936445B1 (ko) 하이브리드 인슐레이터 제조 공법 및 이를 적용한 현가 시스템
KR10256303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JP201715064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11046Y2 (ko)
KR102146897B1 (ko) 콤팩트형 전륜 인슐레이터
CN214221852U (zh) 一种铝合金旋铆减震器顶胶
JP2010285037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0276137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140035104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KR102117928B1 (ko) 세미가류 일체형 전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