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743B1 -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743B1
KR101872743B1 KR1020160058778A KR20160058778A KR101872743B1 KR 101872743 B1 KR101872743 B1 KR 101872743B1 KR 1020160058778 A KR1020160058778 A KR 1020160058778A KR 20160058778 A KR20160058778 A KR 20160058778A KR 101872743 B1 KR101872743 B1 KR 10187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eriodontal disease
composition
preventing
period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934A (ko
Inventor
노유헌
김도희
이지원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미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미니티
Priority to KR102016005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7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엉겅퀴 추출물, 금불초 추출물, 바위구절초 추출물, 금계국 추출물, 도깨비바늘 추출물, 도꼬마리 추출물, 뚱딴지 추출물, 머위 추출물, 뻐국채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삽주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PERIODONTAL DISEASE}
본 발명은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치주질환에 의한 염증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이 감소되도록 하여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치주질환은 위장계 질환, 지질대사 질환 및 뇌졸증과 같은 질병과 직, 간접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치주질환의 유발원인을 한가지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통상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구강 내에 상재하는 수많은 미생물 중의 하나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균체 외 또는 균체 표면에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 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한다. 이 효소는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 내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이 고농도로 축적됨으로써 치아의 칼슘 이온(Ca2+)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들어 세포 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프라그에서 나오는 내독소(endotoxin) 또는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대표되는 세균성 항원 물질은 치은 조직 내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프라그에서 나온 세균성 항원 물질을 탐식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 젤라틴 가수분해 효소(gelatinase), 엘라스틴 가수분해 효소(elastase), Cathepsin G 등의 효소를 세포 외로 방출한다. 이들 효소는 서로 협조적으로 작용해서 교원질이나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치은 조직의 유기 성분을 분해한다. 한편, 호중구 또는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방출하고 주위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 효소 생산을 촉진하나, 이들 효소의 저해 물질인 TIMF(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ase) 생산량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억제되기 때문에 기질(교원질)이 분해된다. 따라서, 치은 조직의 연화 및 와해, 지속적인 출혈 등이 나타난다.
교원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의 중요 공급자로서 프라그에 분포하고 있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lomonas gingivalis)와 같은 치주질환 유발균을 꼽을 수 있다. 이 세균들은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 및 trypsin과 유사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고 이 효소들에 의해 교원질과 피브로넥틴과 같은 결체조직이 분해된다.
또한, 세균성 효소들은 불활성 전구물질을 활성화시키거나 TIMF를 분해시킴으로써 MMP 활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세균성 효소에 의해 치주조직 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이 분해될 수 있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등의 정상적인 세포 대사산물에 의해 교원질, 프로테오글리칸 및 히아루론산(hyarulonic acid)와 같은 거대분자가 파괴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치주질환은 구강내 세균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작용에 의해, 정상적인 대사 산물인 자유 라디칼에 의해, 그리고 다른 신체 조직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물질 등에 의해 유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항균작용, 항염증 작용, 프라그 생성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을 갖는 성분 또는 제제를 적절히 사용해 줌으로서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현재 이러한 구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항미생물 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우식의 경우 치태관리를 위하여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0.2% 양치액을 사용하지만 치아얼룩의 부작용과 불쾌한 맛 때문에 단기요법에만 사용되고 있다. 치주질환에서는 일차적으로 치석 제거술을 시행하나 보조 요법으로 항미생물 제제 처치시에는 우식보다 더 다양한 미생물이 관여하고 있으므로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양치액 외에
테트라싸이클린, 메트로니다졸(tetracycline, metronidazole)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미생물제들은 내성균의 발생, 비선택적 살균 등의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어 기존의 항미생물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물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효과는 개선한 대체품으로 천연물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천연물을 이용한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에 의한 내성이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보다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 발굴 및 개발될 필요가 있다.
KR 10-2002-0082308 A KR 10-2000-0047165 A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질환에 의해 발생된 염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되도록 하여 치조골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을 활성을 높여 치주인대의 효과적인 회복 또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엉겅퀴 추출물, 금불초 추출물, 바위구절초 추출물, 금계국 추출물, 도깨비바늘 추출물, 도꼬마리 추출물, 뚱딴지 추출물, 머위 추출물, 뻐국채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삽주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벼 추출물, 보리 추출물, 수수 추출물, 옥수수 추출물, 밀 추출물, 귀리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두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으로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으로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식물 추출물 및 제2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식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엉겅퀴 추출물, 금불초 추출물, 바위구절초 추출물, 금계국 추출물, 도깨비바늘 추출물, 도꼬마리 추출물, 뚱딴지 추출물, 머위 추출물, 뻐국채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삽주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치주질환이란 염증이 연조직에 국한 된 치은염(gingivitis) 및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며, 치주인대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치주인대 질환이란, 치주염이 깊어지면서 치주낭이 깊게 형성되고 골소실과 치주인대염증을 통반하는 염증성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치주질환은 치태 내 치주병원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을 말하며, 만성염증에 의한 조직파괴가 수반되는 것일 일반적이다. 따라서 치주질환은 치주질환의 원인요소인 세균을 제거하는 것과 치주인대세포와 골조직세포의 증식을 통한 치주조직의 재생 및 그 기능의 회복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치주질환에 동반되는 치주은에 대한 항염, 조골세포의 활성 및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치주인대 질환의 경우 치주인대 자체의 회복을 통해 추가적인 치주인대 염증 생성 및 골소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치주인대세포의 활성 및 증식 효과를 통해 치주인대의 회복으로 상기 치주인대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회복을 누릴 수 있다.
상기 엉겅퀴(Cirsium japonicum)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을 말하며 가시나물이라고도 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하고,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50 내지 100cm이고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엉겅퀴의 뿌리잎은 꽃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 잎보다 크며, 줄기잎은 바소꼴모양의 타원형으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 엉겅퀴는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에 분포하며,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잎엉겅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가시엉겅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치주은의 염증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치주은에 대한 항염 효능뿐만 아니라, 조골세포의 활성 및 증식을 촉진하여 치조골 개선에 효과를 낼 수 있어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을 촉진하여 상기 치주인대 질환에 개선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 이외의 국화과 식물로는 금불초 (金佛草,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바위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금계국(Coreopsis drummondii L.),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L.),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뚱딴지(Helianthus tuberosus L), 머위(Petasites japonicus), 뻐국채(祁州漏蘆, Rhaponticum uniflorum), 민들레(Dandelion), 삽주(Atractylodes japonica)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쥐꼬리망초(justicia)는 쥐꼬리 망초과의 일년초인 쥐꼬리망초는 밭둑, 들이나 산언저리 등에서 볼 수 있는데, 줄기는 곧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굵고 전초에 잔털이 있으며, 높이는 10-40cm정도로 작은편이다. 타원형 바소꼴의 잎은 마주나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7∼9월에 수상꽃차례로 연한 자홍색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로서 4개의 종자가 들어있는데 9월경에 성숙한다. 쥐꼬리망초는 작상, 대압초, 호자초, 적안노모초, 서미홍, 소청, 향소, 쥐꼬리망풀이라고도 하며, 감기, 열병 등 주로 호흡기 질환과 열병을 다스리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쥐꼬리망초일 수 있다. 상기 쥐꼬리망초를 사용하는 다른 식물에 비하여 치주은의 항염증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조골세포의 활성 및 증식을 높이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게 상승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쥐꼬리망초는 상기 제2 식물 추출물과 혼합사용되는 경우 치주질환 개선 효과가 크게 높아지므로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상기 밀싹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의 양의 사용으로 높은 효과를 낼 수 있어 세포독성의 문제 없이 이를 치주질환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벼 추출물, 보리 추출물, 수수 추출물, 옥수수 추출물, 밀 추출물, 귀리 추출물, 율무 추출물, 작두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된 상기 벼 추출물은 벼, 보리, 수수, 옥수수, 밀, 귀지, 율무, 작두콩, 강낭콩은 곡물 열매 및 사전적 의미의 대상 식물을 포함하여 상기 식물의 새싹, 잎, 줄기, 뿌리, 열매(곡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은 벼 새싹 추출물, 보리 새싹 추출물, 수수 새싹 추출물, 옥수수 새싹 추출물, 밀 새싹 추출물, 귀리 새싹 추출물, 율무 새싹 추출물, 작두콩 새싹 추출물, 강낭콩 새싹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새싹 추출물은 식물 줄기, 잎, 뿌리, 열매(곡물) 등과 다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물은 성장 과정에서 포함하는 유효성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성체가 된 식물 또는 그 열매(곡물)과 새싹이 포함하는 유효성분은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상기 벼 새싹 추출물, 보리 새싹 추출물, 수수 새싹 추출물, 옥수수 새싹 추출물, 밀 새싹 추출물, 귀리 새싹 추출물, 율무 새싹 추출물, 작두콩 새싹 추출물, 강낭콩 새싹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 2식물 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식물 추출물과 혼합 사용해야 하는 일반적인 곡물 또는 식물 성체 추출물과 달리 다른 식물과 혼합사용 없이 치주 질환 개선에 높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낮아 그 활용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식물 추출물과 혼합되어 치주질환 개선에 높은 상승 효과를 낼 수 있어 적은 함량으로 높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부작용 없이 다양한 제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은 밀싹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밀싹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식물의 성체는 물론, 다른 새싹 추출물에 비하여 치주질환 개선 효과라 훨등히 우수하고, 상기 제1 식물 추출물과 혼합되어 치주질환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밀싹은 밀(wheat)의 싹으로 밀의 어린 새순 잎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고, 조골세포 활성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조골세포는 일반적으로 구강 건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효과를 내며, 치주질환의 경우 단순한 항염으로 근본적으로 개선되기 어렵고 조골세포의 활성 및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골소실을 예방하여 추가적인 염증생성을 억제하고 골형성으로 항염 효과와 함께 치주의 염증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조골세포 활성 및 증식 효과로 골형성으로 및 항염 효과로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염증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고, 조골세포 활성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밀싹 추출물 역시 조골세포 활성 및 증식 효과로 골형성으로 및 항염 효과가 있어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염증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고, 조골세포 활성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골형성으로 및 항염 효과가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높게 상승하여 치주질환 개선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으로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쥐꼬리망초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을 높여 다른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고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으로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은 밀싹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밀싹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을 높여 다른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즉 상기 쥐꼬리망초 또는 밀싹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엉겅퀴 등 국화과 식물 추출물에 비하여 상기 치주인대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식물 추출물 및 제2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로 보다 적은 용량으로 치주질환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적은 용량의 사용으로 세포독성 기타 부작용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은 단독으로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 추출물 또는 곡물 또는 곡물의 식물 성체 부분의 추출물에 비하여 치주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밀싹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치주인대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은 1 : 10 내지 10 : 1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6 내지 7: 2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5 내지 7 :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치주은에 대한 항염활성, 조골세포의 활성 증가 효과가 크게 높아질 뿐만 아니라 치주인대세포 활성이 증가되고 파골세포의 활성이 억제되는 효과가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밀싹의 부드러운 식감과 고소한 향미가 은은하게 유지되면서 쥐꼬리망초 특유의 강한 향이 중화되면서 식감과 향미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기호도 높은 차, 음료, 기타 식품 등 식품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의 혼합사용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의 상승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쥐꼬리망초의 강한 향이 남아 전체 향미와 식감을 해치고 밀싹의 부드러운 식감과 고소한 향미가 저하되므로 식품조성물로서 기호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식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제1 식물 추출물을 추출하는 경우 상기 식물군에 포함된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를 내는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수득될 수 있고,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되어 치추질환 개선에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추출물 역시 물 및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에 의하는 경우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 수득 및 제1 식물 추출물과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식물 추출물은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은 밀싹 추출물이고,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밀싹 추출물의 용매는 물 및 에탄올이 1 : 5 내지 5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유효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쥐꼬리망초 및 밀싹의 향이 유지되면서 잡내가 없어지게 되므로 식품 조성물로서 우수한 향미를 가지게 하여 높은 기호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상기 쥐꼬리망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500 중량부로 사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용매는 상기 밀싹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2500 중량부로 사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상기 쥐꼬리망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1100 중량부로 사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밀싹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0 내지 1000 중량부로 사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범위에 의하는 경우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이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수득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은 15 내지 120℃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에서 열수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약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회 반복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싹 추출물은 15 내지 120℃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에서 열수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약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회 반복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조건에 의하는 경우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수득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추출 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것일 수 있으며, 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일정한 제형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추출물은 추출 후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것일 수 있으며, 덱스트린을 혼합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일정한 제형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지주질환에 의해 발생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되도록 하여 치조골이 파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을 활성을 높여 치주인대의 효과적인 회복 또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항염 효과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항염 효과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치은염 세포 증식 실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치주골에서 MMPs 발현 조절 효과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치조골 건강 지표 실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치주인대세포 증식실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치은섬유아세포 증식실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엉겅퀴를 선별하여 분쇄한 뒤, 상기 분쇄된 엉겅퀴와 용매를 1 : 7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진공농축한 후 추출물과 덱스트린과 혼합하여 분무 건조하여 엉겅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쥐꼬리망초를 선별하여 분쇄한 뒤, 상기 분쇄된 쥐꼬리망초와 용매를 1 : 5 내지 1 : 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진공농축한 후 추출물과 덱스트린과 혼합하여 분무 건조하여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밀싹를 선별하여 분쇄한 뒤, 상기 분쇄된 밀싹과 용매를 1 : 7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진공농축한 후 추출물과 덱스트린과 혼합하여 분무 건조하여 밀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쥐꼬리망초 및 밀싹 추출물의 혼합물은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상기 밀싹 추출물을 5: 5 내지 7: 3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항염 효과 시험]
치주질환은 치은과 치주인대 및 골조직의 염증에 기인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주질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 처리를 통한 염증 인자인 인터루킨-1 (IL-1) 및 종양괴사인자 (TNF-α)의 수치 변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람에서 유래된 THP-1을 RPMI 1640에 10% FBS가 첨가된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뒤에 세포주에 염증유발 물질인 Lippopolysaccharide(LPS)와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동시 처리한 후, 배양액내 TNF-α 및 IL-1의 분비량을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단독 추출물로서는 쥐꼬리망초 추출물이 항염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추출물별로 혼합하여 시험하였고, 그 결과 혼합 추출물의 경우 쥐꼬리망초와 밀싹 추출물이 혼합되는 경우 TNF-α 및 IL-1의 분비량이 급격히 감소되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로 항염 활성이 각각의 개별 추출물에 비하여 훨씬 높아지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치주질환에서 증가하는 염증인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항염활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승 효과로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항염활성이 급격히 높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치은염세포 증식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추출물에 따른 치은염세포의 증식과 세포 활성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 증식 평가를 위하여 MTT assay를 통해서 상기 추출물이 치은염 세포 증식의 억제 효능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을 통해서 제조한 추출물들을 다양한 농도와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치은염 세포인 YD-38 cell은 사람유래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으로서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세포배양을 위해 RPMI에 10% FBS를 첨가하고 항생제를 첨가하여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들 세포주는 37℃에서 5% CO2에 적용시켜 배양하였으며 2 내지 3일 마다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엉겅퀴 추출물, 죄꼬리망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추출물이 세포의 생장 억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과 대조군을 24시간 배양후 5mg/ml 농도의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한 후, DMSO를 첨가하여 세포를 융해 시킨 후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MTT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을 ELISA microplate reader를 활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여 치은염세포의 증식 억제 효능을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험결과 농도에 따라서 치은염세포의 증식이 억제되며, 특히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치은염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각 추출물을 복합추출물로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상기 쥐꼬리망초와 밀싹 추출물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 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효과적인 치은염세포의 증식억제에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치주골에서 MMPs 발현 조절 효과]
치주질환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분비하는 독소 성문을 통해서 구강 조직세포 기질분해효소 분비가 증가됨에 따라서 콜라겐과 같은 조직섬유를 분해하고 치주조직의 붕괴를 야기한다. 또한 이런 작용을 통해서 파골세포 전구세포는 파골세포로 분화하게 되고 분화된 파골세포가 치조골 표면에서 골흡수 작용을 하며 치주조직의 분괴를 심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통해서 이런 기질분해효소 발현의 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치주골에서 MMPs(metrix metalloproteinases, 기질분해효소) 발현 조절 효과를 시험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조골세포는 마우스의 조골세포로 마우스 두개관 세포주인 MC3T3-E1 세포를 ATCC에서 구입하여 DMEM에 10%를 첨가한 배지를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들 세포주는 37℃에서 5% CO2에 적용시켜 배양하였으며 2 내지 3일 마다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이 세포주에 LPS를 처리한 후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100 μg/ml 농도 처리에 의한 MMP-2 (gelatinase), MMP-3 (stromelysins), MMP-8(collagenase)의 발현 감소효능을 RT-PCR 을 통해서 각각의 mRNA 발현양 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RT(Reverse Transcriptional, 역전사)-PCR은 하기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target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MMP-2 5’-GATAACCTGGATGCCGTCGTG-3’ 5’-GGTGTGCAGCGATGAAGATGATA-3’
MMP-3 5’-CTCATGCCTATGCACCTGGAC-3’ 5’-TCATGAGCAGCAACCAGGAA-3’
MMP-8 5’-CCAAGGAGTGTCCAAGCCCAT-3’ 5’-CCTGCAGGAAAACTGCATCG-3’
도 4를 참조하면, LPS를 처리한 후, 엉겅퀴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각각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LPS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MMP-2은 발현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추출물 중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각 추출물을 혼합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사용하는 경우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사용하는 경우 MMP-2의 mRNA 발현양은 LPS만을 처리한 양성대조군 대비 약 70% 가량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MMP-3의 발현양을 비교한 결과,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처리한 두개관세포의 경우 LPS에 의한 mRNA 발현 증가가 약 50%가량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각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상승효과가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세포에서는 LPS에 의한 MMP-2 발현양이 약 80%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추출물을 사용하여 콜라겐분해효소의 한 종류인 MMP-8의 발현양을 확인한 결과,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처리한 두개관세포에서 LPS에 의한 mRNA 발현양 증가를 약 30%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각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상승효과가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 혼합하여 처리한 세포에서는 LPS에 의한 MMP-8 효소의 발현 억제가 약 72% 가량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 추출물은 조직세포의 기질분해효소 억제를 통해서 치주 건강 및 질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치조골 건강 지표 확인]
치주질환에서 치은염은 주로 연조직 손상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치료와 회복이 빠른 형태의 질환이지만 치주염은 연조직 뿐 만 아니라 주면의 잇몸뼈까지 손상되는 경우로서 치료와 회복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질환 발병의 사전에 관리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잇몸뼈의 건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골소실을 막고 뼈를 튼튼히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잇몸뼈 형성 지표로서 조골세포에서 RANKL과 결합하여 뼈를 형성하는 단백질인 OPG (osteoprotegrin)와 치아의 뿌리부분인 치조골에서 비콜라겐단백질로서 조직 무기질화 과정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OPN (Osteopontin)의 분비 양 확인을 통해서 엉겅퀴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상승효과가 확인된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추출물의 잇몸뼈 건강 개선 효능 규명하였다.
실험을 위한 세포는 사람골육종에서 유래된 MG-63 세포 (ATCC)를 사용하였으며 10%FBS가 포함된 DMEM에 배양하여 96well plate에 2x104개로 각 well에 80%가량 포화되도록 배양한 다음에 연구에 사용하였다. 각 well에는 실험조건에 맞게 추출물을 첨가후 24시간 뒤에 배양액 일부를 OPG-ELISA kit와 OPN-ELISA kit (Oscotec Inc.)를 사용하여 세포에서 분비되는 OPG와 OPN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 조건에서 상기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OPG 분비량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사용하여 처리한 경우 OPG의 분비량이 약 2.3배가량 개선되어 단독 추출물 중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상승효과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3.7배 이상 OPG 의 분비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OPG의 분비 증가를 통해서 잇몸뼈 건강에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조골세포에 처리할 경우, 상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OPN의 분비량이 대조군대비 약 1.8배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추출물의 혼합사용 결과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확인된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약 2.7배 가량 OPN의 분비량이 증가되는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람 골육종에서 유래된 세포주인 MG-63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비콜라겐단백질로서 조직의 무기질화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OPN의 분비량 증가를 통해서 잇몸뼈 건강에 효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세포 증식실험]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각 추출물의 혼합 사용 중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확인된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이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과 세포 활성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치료목적으로 발거한 어금니의 치주인대 부분을 큐렛을 활용하여 배양접시에 치주인대를 올려놓은 후 DMEM에 10% FBS를 첨가한 배양액을 넣어 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하였다. 치은섬유아세포 또한 발거한 어금니에서 치은을 떼어내어 동일한 방법을 통해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하면서 지속적으로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migration 되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세포가 단층이 될 수 있도록 조직을 제거하고 계대 배양하여 세포를 7 passage에 맞춰서 효능 평가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람 치주인대세포와 치은섬유아세포를 96 well 플레이트에 각 웰등 2x104개의 세포 농도로 배양하여 24시간 배양 후,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48시간 더 배양 후 세포수를 알라마블루(Alama blue) 측정 방법을 통해서 계수하고 그 결과를 도 6과 도 7에 각각 나타냈다.
도 6를 참조하면, 치주인대세포에 발명 조성물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약 32% 가량의 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추출물의 혼합 조성 중 혼합사용에 따라 상승 효과가 확인된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약 89%의 세포 증식효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서 쥐꼬리망초 추출물의 치은인대세포의 증식율을 향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혼합사용에 따라 상승효과가 확인된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은 단독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높은 상승효과로 치은인대세포의 증식율이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복합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치주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발명 조성물을 효능을 확인한 결과,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약 38%의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 개선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혼합사용으로 치주질환 개선 대한 상승효과가 확인된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약 92%의 세포증식 효능을 확인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율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쥐꼬리망초 추출물 또는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상승 효과를 통해 치주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복합조성물의 향미 시험]
상기 엉겅퀴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엉겅퀴 추출물, 금불초 추출물, 바위구절초 추출물, 금계국 추출물, 도깨비바늘 추출물, 도꼬마리 추출물, 뚱딴지 추출물, 머위 추출물, 쥐꼬리망초 추출물, 뻐국채 추출물, 밀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엉겅퀴 추출물, 금불초 추출물, 바위구절초 추출물, 금계국 추출물, 도깨비바늘 추출물, 도꼬마리 추출물, 뚱딴지 추출물, 머위 추출물, 뻐국채 추출물, 밀싹 추출물을 1 : 1 중량비의 배합으로 단독 추출물 중 치주질환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쥐꼬리망초 추출물에 혼합하였고, 이를 시음할 수 있는 음료로 제조하여 각 추출물의 향미를 평가하였다. 5인의 시음자가 향미, 식감를 평가하였으며 엉겅퀴 추출물의 향미를 5로 하고, 각각 혼합된 추출물의 향미, 식감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추출물 지수
쥐꼬리망초 추출물 단독 4
쥐꼬리망초 추출물 + 엉겅퀴 추출물 3
쥐꼬리망초 추출물 + 금불초 추출물 7
쥐꼬리망초 추출물 + 바위구절초 추출물 6
쥐꼬리망초 추출물 + 금계국 추출물 6
쥐꼬리망초 추출물 + 도깨비바늘 추출물 3
쥐꼬리망초 추출물 + 도꼬마리 추출물 3
쥐꼬리망초 추출물 + 뚱딴지 추출물 4
쥐꼬리망초 추출물 + 머위 추출물 5
쥐꼬리망초 추출물 + 밀싹 추출물 8
쥐꼬리망초 추출물 + 뻐국채 추출물 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밀싹 추출물이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혼합되는 경우 쥐꼬리망초 특유한 강한 양이 중화되고 밀싹 고유의 부드러운 향미가 어우러지면서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우수한 향미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엉겅퀴 추출물과 쥐꼬리망초가 혼합되는 경우 엉겅퀴의 텁텁한 향이 그대로 남으면서 쥐꼬리망초의 특유의 강한 향이 중화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 전체적인 향미가 낮은 기호로도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로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지주질환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높은 향미로 기호도 높은 식품 조성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의 비율(중량비)을 달리하면서 하기의 향미를 평가하였고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쥐꼬리망초 추출물 밀싹 추출물 지수
10 0 5
8 2 6
7 3 8
5 4 9
5 5 8
4 6 6
3 7 6
1 9 4
0 10 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쥐꼬리망초 추출물과 밀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이 5 : 5 내지 7: 3으로 혼합된 경우 향미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쥐꼬리망초의 향이 강하지 않게 중화되면서 밀싹의 부드러운 향과 감미롭운 향미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이 치주질환 개선에 가장 우수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범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상호 작용으로 치주질환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할 뿐만 아니라 향미가 우수하여 기호도 높은 차, 음료 기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치은염(gingivitis) 및 치주염(periodontitis)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치주인대세포 활성 및 증식으로 치주인대 질환 예방 및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쥐꼬리망초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인 것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7. 제 1항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8. 제 1항에 따른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60058778A 2016-05-13 2016-05-13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7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78A KR101872743B1 (ko) 2016-05-13 2016-05-13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78A KR101872743B1 (ko) 2016-05-13 2016-05-13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34A KR20160061934A (ko) 2016-06-01
KR101872743B1 true KR101872743B1 (ko) 2018-06-29

Family

ID=5613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778A KR101872743B1 (ko) 2016-05-13 2016-05-13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06B1 (ko) 2021-11-18 2024-05-10 주식회사 에이엔씨코리아 적층세라믹 콘덴서용 주석도금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40B1 (ko) * 2016-12-30 2017-07-11 주식회사 파미니티 치주조직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364900B1 (ko) * 2019-10-22 2022-02-17 (주)성원화장품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75B1 (ko) 1998-12-30 2001-10-26 박종헌 충치균및충치유발효소억제물질및그것을함유하는구강용조성물
KR20020082308A (ko) 2001-04-20 2002-10-31 강중열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WO2004030683A1 (ja) * 2002-10-01 2004-04-15 Takara Bio Inc. 治療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의학연 잡초e이야기〕쥐꼬리망초, 겸손 가르치다, 헬로디디,(http://helloddd.com/?md=news&mt=pop_print),(입력:2008.11.05.,수정: 2008.11.05.)
간단하고 쉬운 치통 민간요법, 서울농부, 다음블로그(2013.07.18.) (htto://m.blog.daum.net/lottor/13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06B1 (ko) 2021-11-18 2024-05-10 주식회사 에이엔씨코리아 적층세라믹 콘덴서용 주석도금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34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icheri et al. Insight into oral biofilm: primary, secondary and residual caries and phyto-challenged solutions
KR101704589B1 (ko) 후박 추출물 및 신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조직 성장 촉진용 및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643275B2 (ja) 虫歯及び歯周炎に有効な口腔衛生組成物
KR101872743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ick et al. Phytotherapy in dentistry: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clinical data
KR101531157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KR20200017912A (ko) 식물 추출물 또는 그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항균용 조성물
KR102207872B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2482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H06157259A (ja) 口腔用組成物
JP2009263332A (ja) オリーブ葉抽出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100953868B1 (ko) 송염 성분을 함유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 제조방법
KR101068210B1 (ko) 관중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석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733436B1 (ko)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ngh et al. Phytotherapy: A novel approach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5035A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 건강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Swath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tooth powder containing Hekla lava and Calendula
KR10257296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102142988B1 (ko) 천연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효과를 갖는 구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6494B1 (ko) 메티오니나아제 저해제 및 이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식품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611924B1 (ko)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