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944B1 - 베인 장치 - Google Patents

베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944B1
KR101871944B1 KR1020140030463A KR20140030463A KR101871944B1 KR 101871944 B1 KR101871944 B1 KR 101871944B1 KR 1020140030463 A KR1020140030463 A KR 1020140030463A KR 20140030463 A KR20140030463 A KR 20140030463A KR 101871944 B1 KR101871944 B1 KR 10187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heel
vane
angle adjusting
duct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470A (ko
Inventor
조종재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9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4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인들과, 상기 덕트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베인들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들과, 상기 베인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웜 휠과, 상기 베인 회전축들 중 상기 웜 휠이 설치되지 않는 베인 회전축들에 설치되는 각도 조정 부재들과, 상기 웜 휠에 맞물리는 웜을 구비한 구동 수단과, 일단이 상기 웜 휠에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웜 휠에 이웃하는 상기 각도 조정 부재에 타단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정 부재들 중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들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베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베인 장치{A vane apparatus}
본 발명은 베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 기계 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개방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베인을 덕트 내에 설치하고, 그 가변 베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한편, 베인 장치는,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구동 프로그램에 따라 가변 베인의 각도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주로, 압축기, 터빈, 팽창기, 노즐 장치 등의 유체 기계에 적용됨으로써 해당 유체 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운용 범위를 확대시킨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2002-0094276호에는 가변 베인이 설치된 임펠러가 개시되어 있는데, 가변 베인의 각도가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제어 성능이 우수한 베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인들;과, 상기 덕트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베인들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들;과, 상기 베인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웜 휠;과, 상기 베인 회전축들 중 상기 웜 휠이 설치되지 않는 베인 회전축들에 설치되는 각도 조정 부재들;과, 상기 웜 휠에 맞물리는 웜을 구비한 구동 수단;과, 일단이 상기 웜 휠에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웜 휠에 이웃하는 상기 각도 조정 부재에 타단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는 제1 링크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정 부재들 중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들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베인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설치되는 연결 구조는 볼 조인트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도 우수한 제어 성능을 가지는 베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베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베인 장치의 부분 중 덕트를 제외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덕트의 개방도가 최소화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베인 장치의 부분 중 덕트를 제외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덕트의 개방도가 최대화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베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베인 장치의 부분 중 덕트를 제외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덕트의 개방도가 최소화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베인 장치의 부분 중 덕트를 제외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덕트의 개방도가 최대화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 장치(100)는 원심 압축기의 가스 인입부(10)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 장치(100)는 원심 압축기의 가스 인입부(10)에 적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베인 장치는, 「덕트 내의 유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곳에는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즉, 압축기의 디퓨져 덕트 부분, 터빈의 배기 가스 배출 덕트 부분 등 다양한 유체 기계의 다양한 부분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유동이 제어되는 유체의 종류도 기체, 액체, 증기 등 다양한 유체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 장치(100)는, 덕트(110), 베인(120), 베인 회전축(130), 웜 휠(140), 각도 조정 부재(150), 웜(worm)(161)을 구비하는 구동 수단(160), 제1 링크 부재(170), 제2 링크 부재(180)를 포함한다.
덕트(110)는 가스 인입부(10)의 입구에 설치되어 가스 인입부(10)로 유입되는 유체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중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덕트(110)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금속,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덕트(110)는 중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덕트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베인(120)들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덕트는 일부 부분이 타원의 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베인(120)은 덕트(1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데, 베인(120)은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덕트(110)의 내부에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베인(120)은 베인 회전축(130)에 의해 지지되며 움직이는데, 베인 회전축(130)은 덕트(110)에 형성된 설치 구멍(1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웜 휠(140)은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130)들 중 하나에 설치되어, 베인 회전축(130)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웜 휠(worm wheel)(140)은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130)들 중 하나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웜 휠(140)은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130)들 중 2개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웜 휠(140)의 둘레에는 웜(161)과 맞물리는 치(141)가 형성되어 있다.
웜 휠(14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데, 그러한 형상은 제1 링크 부재(170)와의 연결 구조를 설치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웜 휠(140)의 형상은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웜 휠의 형상은 웜(16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제1 링크 부재(170)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웜 휠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판의 형상이 될 수도 있고, 둘레의 부분 중 웜(161)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치형을 생략하거나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등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각도 조정 부재(150)는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들(130) 중 웜 휠(140)이 설치되지 않은 베인 회전축(130)에 설치된다.
각도 조정 부재(150)의 형상은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데, 그러한 형상은 제1 링크 부재(170) 및 제2 링크 부재(180)와의 연결 구조를 설치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정 부재(150)의 형상은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정 부재는 제1 링크 부재(170) 또는 제2 링크 부재(180)로부터 회전력(동력)을 전달받아 각도 조정 부재에 연결된 베인 회전축(13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각도 조정 부재는 전체적으로 원판 또는 막대 형상이 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형태의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구동 수단(160)은 웜(161)과, 웜(161)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62)를 포함한다.
웜(161)은 웜 휠(140)의 둘레에 형성된 치(141)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즉, 웜(161)이 구동차(驅動車)가 되고 웜 휠(140)이 피동차(被動車)가 되어, 웜(161)이 회전하면 웜 휠(140)도 회전하게 되는데, 웜 기어(worm gear)의 특성상 웜(161)이 피동차가 되고 웜 휠(140)이 구동차가 되지 않는다. 웜 기어의 그러한 특성 때문에 역전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베인(120)에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함으로써 웜 휠(14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더라도, 웜(161) 및 구동 모터(162)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므로 안정적인 제어와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 모터(162)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어를 받는데, 구동 모터(162)로는 스텝 모터, 서보 모터, 직류 모터, 교류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모터(162)는 가스 인입부(1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제1 링크 부재(170)는, 일단(171)이 웜 휠(140)에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고, 웜 휠(140)에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150)에 타단(172)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제1 링크 부재(170)가 웜 휠(1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제1 링크 부재(170)가 웜 휠(1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 경우 웜 휠(140)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링크 부재(170)를 당기거나 밀게 됨으로써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15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170)의 일단(171) 및 타단(172)의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볼 조인트(190)가 사용된다. 볼 조인트(190)는 베인 회전축(13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웜 휠(140)의 회전 운동을 제1 링크 부재(17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제1 링크 부재(170)의 직선 운동을 각도 조정 부재(15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볼 조인트(190)는 볼부(191)와 볼 소켓(192)으로 구성되는데, 제1 링크 부재(170)의 일단(171)의 일부를 볼부(191)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웜 휠(140)의 부분 중 제1 링크 부재(170)의 일단(171)이 연결되는 부분에 볼 소켓(192)을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제1 링크 부재(170)의 타단(172)의 일부를 볼부(191)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도 조정 부재(150)의 부분 중 제1 링크 부재(170)의 타단(172)이 연결되는 부분에 볼 소켓(192)을 형성한다. 이 때 볼 소켓(192)은 웜 휠(140)과 각도 조정 부재(150)에 회동 가능한 회동구조(192a)로 설치되는데, 회동구조(192a)는 베어링 등의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링크 부재(170)의 일단(171) 및 타단(172)의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볼 조인트(190)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링크 부재(170)의 일단(171) 및 타단(172)의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볼 조인트가 아닌 일반적인 힌지 구조, 변형된 힌지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링크 부재(180)는, 서로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들(150)에 각각 일단(181)과 타단(182)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2 링크 부재(180)의 일단(181) 및 타단(182)의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볼 조인트(190)가 사용된다. 볼 조인트(190)는 베인 회전축(13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각도 조정 부재(150)의 회전 운동을 제2 링크 부재(18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제2 링크 부재(180)의 직선 운동을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15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볼 조인트(190)는 볼부(191)와 볼 소켓(192)으로 구성되는데, 제2 링크 부재(180)의 일단(181) 및 타단(182)의 일부를 볼부(191)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각도 조정 부재(150)의 부분 중 제2 링크 부재(18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볼 소켓(192)을 형성한다. 이 때 볼 소켓(192)은 각도 조정 부재(150)에 회동 가능한 회동구조(192a)로 설치되는데, 회동구조(192a)는 베어링 등의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링크 부재(180)의 일단(181) 및 타단(182)의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볼 조인트(190)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링크 부재(180)의 일단(181) 및 타단(182)의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볼 조인트가 아닌 일반적인 힌지 구조, 변형된 힌지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베인 장치(100)의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소화된 상태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베인 장치(100)의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대화된 상태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덕트(110)가 개방도가 최소 상태에서 최대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제1 전환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덕트(110)의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의 구동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구동 수단(160)의 구동 모터(162)가 작동하게 되면 웜(161)이 회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161)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웜 휠(140)도 회전하게 되고, 웜 휠(140)에 연결된 베인 회전축(130a) 및 베인(120a)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웜 휠(140)이 회전하게 되면, 웜 휠(140)에 일단(171)이 볼 조인트(190)로 설치된 제1 링크 부재(170)가 당겨지고, 그렇게 되면 제1 링크 부재(170)의 타단(172)에 연결된 각도 조정 부재(150a)도 베인 회전축(130b)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베인 회전축(130b)과 연결된 베인(120b)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각도 조정 부재(150a)가 회전하게 되면, 일단(181)이 각도 조정 부재(150a)에 볼 조인트(190)로 설치된 제2 링크 부재(180)가 당겨지고, 그렇게 되면 제2 링크 부재(180)의 타단(182)에 연결된 각도 조정 부재(150b)도, 베인 회전축(130c)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베인 회전축(130c)과 연결된 베인(120c)도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하게 각도 조정 부재(150b)에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들에게 순차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각각의 각도 조정 부재에 연결된 베인들도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덕트(110)의 개방도는 도 2의 최소 상태에서 도 3의 최대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과 같이,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소 상태에서 최대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제1 전환 과정)을 설명하였다. 한편,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대 상태에서 최소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제2 전환 과정)은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의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즉,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대인 상태(도 3 참조)에서, 사용자 또는 제어부(미도시)의 구동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구동 수단(160)의 구동 모터(162)를 작동시켜 웜(161)을 회전시키되, 전술한 제1 전환 과정에서 웜(161)이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되면, 웜(161)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웜 휠(140)도 전술한 제1 전환 과정에서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웜 휠(140)에 연결된 베인 회전축(130a) 및 베인(120a)도 제1 전환 과정에서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웜 휠(140)이 회전하게 되면, 웜 휠(140)에 일단(171)이 볼 조인트(190)로 설치된 제1 링크 부재(170)를 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1 링크 부재(170)의 타단(172)에 연결된 각도 조정 부재(150a)도, 제1 전환 과정에서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베인 회전축(130b)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베인 회전축(130b)과 연결된 베인(120b)도 제1 전환 과정에서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각도 조정 부재(150a)가 회전하게 되면, 일단(181)이 각도 조정 부재(150a)에 볼 조인트(190)로 설치된 제2 링크 부재(180)를 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제2 링크 부재(180)의 타단(182)에 연결된 각도 조정 부재(150b)도, 제1 전환 과정에서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베인 회전축(130c)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베인 회전축(130c)과 연결된 베인(120c)도 제1 전환 과정에서 회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하게 각도 조정 부재(150b)에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들에게 순차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각각의 각도 조정 부재에 연결된 베인들도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덕트(110)의 개방도는 도 3의 최대 상태에서 도 2의 최소 상태로 전환된다.
베인 장치(100)의 작동에 대한 이상과 같은 설명은, 설명을 위해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소 상태와 최대 상태의 양 극단에서 서로 전환되는 모습만 살펴보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소 상태와 최대 상태의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도 그와 같은 개방도를 위해 베인 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웜 휠(140)과 각도 조정 부재(150)간의 회전력 전달과,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150)들 간의 회전력 전달은 링크 연결 구조(제1 링크 부재(170)와 제2 링크 부재(180))를 이용하기 때문에, 베인(120)의 각도의 제어 동작에 있어 미세하고 선형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덕트(110)의 개방도가 최대치 대비 50%에 위치하는 경우, 그에 적합하도록 제어부(미도시)는 구동 모터(162)를 적절히 구동하여, 웜 휠(140), 각도 조정 부재(150) 및 베인(120)이 적당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 장치(100)에 따르면, 웜 기어 전동(傳動)을 수행하는 웜(161)과 웜 휠(140)을 구비하고 있어, 구동 중 베인(120)에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작용하여 웜 휠(14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더라도, 웜(161) 및 구동 모터(162)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므로 안정적인 제어와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인 장치(100)에 따르면, 웜 휠(140)과 각도 조정 부재(150)간의 회전력 전달과,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150)들 간의 회전력(동력) 전달은 링크 연결 구조(제1 링크 부재(170)와 제2 링크 부재(180))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 동력 전달 구성이 간단해 지고, 아울러 링크 연결 구조의 특성상 선형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인 장치가 설치된 유체 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
100: 베인 장치 110: 덕트
120: 베인 130: 베인 회전축
140: 웜 휠 150: 각도 조정 부재
160: 구동 수단 161: 웜
170: 제1 링크 부재 180: 제2 링크 부재

Claims (3)

  1.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인들;
    상기 덕트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베인들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인 회전축들;
    상기 베인 회전축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웜 휠;
    상기 베인 회전축들 중 상기 웜 휠이 설치되지 않는 베인 회전축들에 설치되는 각도 조정 부재들;
    상기 웜 휠에 맞물리는 웜을 구비한 구동 수단;
    일단이 상기 웜 휠에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웜 휠에 이웃하는 상기 각도 조정 부재에 타단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는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각도 조정 부재들 중 이웃하는 각도 조정 부재들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회동 가능한 연결 구조로 설치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베인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베인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설치되는 연결 구조는 볼 조인트가 이용되는 베인 장치.
KR1020140030463A 2014-03-14 2014-03-14 베인 장치 KR10187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63A KR101871944B1 (ko) 2014-03-14 2014-03-14 베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63A KR101871944B1 (ko) 2014-03-14 2014-03-14 베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470A KR20150107470A (ko) 2015-09-23
KR101871944B1 true KR101871944B1 (ko) 2018-07-02

Family

ID=5424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463A KR101871944B1 (ko) 2014-03-14 2014-03-14 베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695B1 (ko) * 2015-12-24 2016-11-04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가능한 인너케이싱을 포함하는 고로 노정압 발전기 터빈
KR102592233B1 (ko) * 2016-03-14 2023-10-20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용 베인 장치
CN108253147A (zh) * 2018-03-14 2018-07-06 嘉兴岱源真空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节流阀
CN109356765A (zh) * 2018-11-05 2019-02-19 张家界天成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叶片高效水轮机
CN114458613B (zh) * 2022-02-17 2022-10-28 集美大学 一种超音速轴流压气机的流量调节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3264A (en) 1971-04-08 1975-05-13 Gadicherla V R Rao Quiet fan with non-radial e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3264A (en) 1971-04-08 1975-05-13 Gadicherla V R Rao Quiet fan with non-radial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470A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944B1 (ko) 베인 장치
US10774673B2 (en) Guide vane adjustment device and turbomachine
JP5951494B2 (ja) 独立制御を備えた可変ピッチステータ翼の段を有するタービンエンジン
JP5571672B2 (ja) ブレードピッチ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4144087A (ja) 遠心圧縮機用の回転ベーンディフューザ
JP5250101B2 (ja) 遠心分離機
US11365749B2 (en) Fan wheel driven in only one rotational direction
US20150016997A1 (en) Wind turbine rotor having vertical blades
KR101656812B1 (ko) 압축기의 가변 디퓨저
KR101960712B1 (ko) 인렛 가이드 베인
JP2010537094A (ja) 回転装置
JP2007132636A (ja) 風向調節装置及び風向調節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0306208B1 (ko) 회전체의날개각조절장치
CN102575717B (zh) 转子联轴器
CN101978170B (zh) 改变叶轮/推进器的叶片间距的装置及包括该装置的扇
KR20180079641A (ko) 유량 조절이 가능한 디퓨저
KR101795638B1 (ko) 베인 구동 장치
KR20110115816A (ko) 원심 압축기
KR101214327B1 (ko) 풍력발전기
JP6978426B2 (ja) 羽根の制御を改善した、方向付け可能な羽根を伴う流体ロータ
JPH09280155A (ja) 風 車
RU2783186C1 (ru) Крыльчатка вентилятора
CN219883652U (zh) 出风口
KR200355615Y1 (ko) 선풍기의 선회각도 조정장치
CN115727404A (zh) 一种出风结构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