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52B1 -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52B1
KR101871152B1 KR1020180027569A KR20180027569A KR101871152B1 KR 101871152 B1 KR101871152 B1 KR 101871152B1 KR 1020180027569 A KR1020180027569 A KR 1020180027569A KR 20180027569 A KR20180027569 A KR 20180027569A KR 101871152 B1 KR101871152 B1 KR 10187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door
space
couri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영
Original Assignee
신안건설산업주식회사
박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안건설산업주식회사, 박의영 filed Critical 신안건설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2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interior being adapted to receive a transportable deposit container for food or large parc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으로서,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에 보관함이 설치되고, 택배 방문 시 현관 인터폰 호출을 통해 세대의 홈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하고, 상기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은 복도 양수기함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 또는 소화전함 상부, 하부 또는 측면의 빈 공간이고, 상기 홈네트워크는, 사용자 재실 중에는, 현관문의 개폐나 택배기사 대면 없이, 해당 세대의 인터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부재 중에는 스마트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세대의 인터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Description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System for Unmanned Delivery Storage}
본 발명은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미활용 공간을 활용하고, 수취인 부재시에도 택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택배 서비스는 물건 구입의 보편화된 수단이 되었다. 그럼에도, 현재의 택배 서비스는 택배 기사가 각 세대를 방문하여 직접 택배를 전달하는 원시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취인이 부재 중인 경우가 많고, 택배기사를 사칭하는 범죄 발생 등의 이유로 무인 택배 보관함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으며, 현재 일부 공동주택에서 소규모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공동주택에서 소규모로 도입하여 운영되고 있는 무인 택배 시스템은, 전 세대를 상대로 한 개별적 보급은 아니고, 무인 택배 보관함이 공용 장소에 설치됨으로써, 택배 물건을 찾기 위해서는 세대로부터 일정 거리가 있는 곳까지 찾아가야 하는 문제가 있는바, 전 세대를 상대로 한 무인 택배 보관함의 개별적 보급 및 공간 활용을 고려한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039150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건물의 미활용 공간에 무인 택배 보관함을 설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수취인이 재실중인 경우라면 세대의 인터폰을 이용해 무인 택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고, 수취인이 부재 중인 경우라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해 무인 택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에 보관함이 설치되고, 택배 방문 시 현관 인터폰 호출을 통해 세대의 홈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한다. 상기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은 복도 양수기함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 또는 소화전함 상부, 하부 또는 측면의 빈 공간이고, 상기 홈네트워크는, 사용자 재실 중에는 해당 세대의 인터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부재 중에는 스마트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세대의 인터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무인 택배 보관함은, 제 1 보관함과 제 2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보관함 또는 제 2 보관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관함의 문의 회전축에 베벨기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벨기어에는 ㄴ 자형 판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의 문을 열면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ㄴ 자형 판이 회전하여 물건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보관함의 문을 닫으면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ㄴ 자형 판이 회전하여 물건을 아래의 공간으로 떨어트림으로써, 보관함의 문 개폐시 이전에 넣었던 물건들을 다시 꺼낼 수 없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인 택배 보관함의 내부의 하면에 롤러가 구비될 수 있어서, 중량이 큰 택배물이라도 택배 보관함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의 지름은 25 ~ 50 mm 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함의 내부에는, 바퀴가 부착된 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중량이 큰 택배물이라도 택배 보관함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관함은 내부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보관함 내부의 하면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의 문은 보관함의 좌측 및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는 두 개의 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보관함의 각각의 문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보관함의 두 개의 문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면 상기 칸막이는 고정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히는 것이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분양 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인 복도 양수기함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 또는 소화전함 상부, 하부 또는 측면의 빈 공간에 무인 택배 보관함을 설치하여, 본래 사용되지 않았던 dead space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취인이 재실중인 경우라면 세대의 인터폰을 이용해 무인 택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고, 수취인이 부재 중인 경우라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해 무인 택배 보관함을 개폐함으로써, 수취인의 부재 여부에 관계없이 현관문 근처에 위치한 무인 택배 보관함에 택배물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택배 보관함은 세대별로 마련되어 있어서, 다른 세대원들의 택배와 같이 보관되는 것이 아니므로, 택배물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이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인 복도 양수기함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 또는 소화전함 상부, 하부 또는 측면의 빈 공간에 무인 택배 보관함이 설치된다. 상기 공간은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으로서 세대원에게 서비스 공간으로 작용한다. 또한, 복도 양수기함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 또는 소화전함 상부, 하부 또는 측면의 빈 공간은 세대의 현관문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부재 중 수취된 택배물을 찾기 위해 경비실까지 가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택배 방문 시 택배 기사는 현관 인터폰(1)을 통해 세대에 호출을 한다. 만약 수취인이 재실 중인 경우에는, 세대의 인터폰(2)을 통해 무인 택배 보관함(4)을 개방할 수 있다. 택배 기사는 개방된 택배 보관함에 택배물을 보관한 뒤 택배 보관함을 폐쇄할 수 있다. 만약 수취인이 부재 중인 경우에는, 수취인의 스마트폰(3)을 통해 무인 택배 보관함을 개방할 수 있고, 택배 기사는 개방된 택배 보관함에 택배물을 보관한 뒤 택배 보관함을 폐쇄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5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5(a)는 보관함의 문이 개방된 경우이고, 도 5(b)는 보관함의 문이 폐쇄된 경우를 도시한다.
보관함(4)의 문(5)의 회전축(6)에 베벨기어(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벨기어에는 ㄴ 자형 판(8)이 연결되어 있다. 보관함의 문(5)을 열면 상기 베벨기어(7)의 회전에 의해 상기 ㄴ 자형 판(8)이 회전하여 물건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보관함의 문(5)을 닫으면 상기 베벨기어(7)의 회전에 의해 상기 ㄴ 자형 판(8)이 회전하여 물건을 아래의 공간으로 떨어트림으로써, 보관함의 문(5) 개폐시 이전에 넣었던 물건들을 다시 꺼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택배 기사는 이전에 보관된 택배물에 접근할 수 없다.
(제 3 실시 형태)
도 6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보관함(4)의 내부의 하면에 롤러(9)가 구비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의 지름은 25 ~ 50 mm 일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도 7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a)는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보관함의 측면도이다.
상기 보관함(4)의 내부에는, 바퀴가 부착된 판(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도 8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a)는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8(b)는 보관함의 평면도이며, 도 8(c)는 보관함이 폐쇄된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8(d)는 보관함이 개방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상기 보관함(4)은 내부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칸막이(11)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11)는 상기 보관함 내부의 하면에 경첩(12)으로 연결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관함의 문은 보관함의 좌측 및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는 두 개의 문(13a, 13b)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칸막이(11)는 상기 보관함의 각각의 문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4)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14)가 상기 보관함의 두 개의 문(13a, 13b)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면 상기 칸막이는 고정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히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세대 인터폰(2) 또는 스마트폰(3)을 통해, 상기 보관함의 두 의 문 중 어느 하나(13a)의 문 만을 개방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문(13b)은 체결부(14)와 결합된 상태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칸막이(11)는 어느 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택배 기사는 다른 문(13b)에 의해 닫혀있는 공간에 보관된 택배물에 접근할 수 없다.
한편, 택배물의 크기가 큰 경우, 두 공간을 모두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두 개의 문(13a, 13b)을 모두 개방할 수 있고, 체결부(14)는 어떠한 문과도 체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칸막이(11)는 한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택배 기사는 칸막이(11)를 한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두 개의 작은 공간을 하나의 큰 공간으로 만들 수 있고, 크기가 큰 택배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제 6 실시 형태)
도 3은,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a)는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보관함의 정면도이며, 도 3(c)는 보관함의 평면도이다.
(제 7 실시 형태)
도 4는,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무인 택배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a)는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보관함의 정면도이며, 도 4(c)는 보관함의 평면도이다.
보관함(4)은 제 1 문(15)과 제 2 문(16)으로 이루어지며, 제 2 문(16)은 지로 투입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 1 문(15)에 의해 개방되는 공간과 제 2 문(16)에 의해 개방되는 공간이 서로 독립적이다.
1:현관 인터폰
2:세대 인터폰
3:스마트폰
4:보관함
5:보관함의 문
6:회전축
7:베벨기어
8:ㄴ 자형 판
9:롤러
10:바퀴가 부착된 판
11:칸막이
12:경첩
13a, 13b:두 개의 문
14:체결부
15:제 1 문
16:제 2 문

Claims (8)

  1.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으로서,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에 보관함이 설치되고,
    택배 방문 시 현관 인터폰 호출을 통해 세대의 홈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하고,
    상기 보관함은,
    제 1 보관함과 제 2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관함 또는 제 2 보관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관함의 문의 회전축에 베벨기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벨기어에는 ㄴ 자형 판이 연결되어 있고, 보관함의 문을 열면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ㄴ 자형 판이 회전하여 물건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보관함의 문을 닫으면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ㄴ 자형 판이 회전하여 물건을 아래의 공간으로 떨어트림으로써, 보관함의 문 개폐시 이전에 넣었던 물건들을 다시 꺼낼 수 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2.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으로서,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에 보관함이 설치되고,
    택배 방문 시 현관 인터폰 호출을 통해 세대의 홈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하고,
    상기 보관함은 내부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보관함 내부의 하면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보관함의 문은 보관함의 좌측 및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는 두 개의 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보관함의 각각의 문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보관함의 두 개의 문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면 상기 칸막이는 고정되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히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3.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양면적에 미포함되는 공간은 복도 양수기함의 상부, 하부 또는 측면; 또는 소화전함 상부, 하부 또는 측면의 빈 공간인,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4.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는, 사용자 재실 중에는 해당 세대의 인터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부재 중에는 스마트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세대의 인터폰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의 하면에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지름은 25 ~ 5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에는, 바퀴가 부착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8. 삭제
KR1020180027569A 2018-03-08 2018-03-08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KR101871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69A KR101871152B1 (ko) 2018-03-08 2018-03-08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69A KR101871152B1 (ko) 2018-03-08 2018-03-08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52B1 true KR101871152B1 (ko) 2018-06-27

Family

ID=6278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69A KR101871152B1 (ko) 2018-03-08 2018-03-08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33A (ko) * 2021-02-26 2022-09-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사물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960A (ja) * 2000-11-15 2002-05-21 Token Corp 宅配装置
KR20080109622A (ko) * 2007-06-12 2008-12-17 전승찬 등기우편수신함
KR20110098197A (ko) * 2010-02-26 2011-09-01 이하철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20039150A (ko) 2010-10-15 2012-04-25 유시연 무인택배 시스템
JP2017217453A (ja) * 2016-03-15 2017-12-14 株式会社西電通 配達物受取扉、及び配達物受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960A (ja) * 2000-11-15 2002-05-21 Token Corp 宅配装置
KR20080109622A (ko) * 2007-06-12 2008-12-17 전승찬 등기우편수신함
KR20110098197A (ko) * 2010-02-26 2011-09-01 이하철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20039150A (ko) 2010-10-15 2012-04-25 유시연 무인택배 시스템
JP2017217453A (ja) * 2016-03-15 2017-12-14 株式会社西電通 配達物受取扉、及び配達物受取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33A (ko) * 2021-02-26 2022-09-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사물함 시스템
KR102573957B1 (ko) * 2021-02-26 2023-09-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유 사물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0465A1 (en) Secure package delivery and pick-up system
KR101581914B1 (ko) 능동형 무인 택배 서비스 시스템
US11328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KR101995874B1 (ko)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US20220192406A1 (en) Suspending package storage container
WO2017196190A1 (en) A secure last mile delivery solution for items/parcels by drone, robot and courier
US11583122B2 (en) Secure package receptacle for receiving drone deliveries
KR101390102B1 (ko) 무인 택배장치
KR101693358B1 (ko) 가구별 택배물품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원격 택배 관리 통제 시스템
US20210000275A1 (en) Device for Storing Objects and Method Using Such a Device
KR101871152B1 (ko) 무인 택배 보관함 시스템
JP2005225589A (ja) 宅配物受け取りシステム
KR20090009969U (ko) 절첩식 택배함
KR20090009968U (ko) 절첩식 택배함
KR20170108302A (ko) 공동주택용 유무인 택배 수발신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7017892B2 (ja) 宅配ボックス及び集合住宅
KR20140032613A (ko) 무인 택배 보관함
FR3031216A1 (fr) Procede de distribution de marchandises commandees a distance, et poste de distribution automatiqu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102319954B1 (ko) 이중 도어 구조의 우편 수취 택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편 수취 및 택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3978B1 (ko) 빌트인 방식의 보안성이 강화된 택배함 제어방법
KR102248421B1 (ko) 공동주택의 스마트 택배 시스템
KR102398766B1 (ko) 택배물품 보관 시스템의 도어 잠금장치
JP7220012B2 (ja) 宅配ボックス
JP4452522B2 (ja) 住宅用収納システム
US20240172885A1 (en) Package delivery recei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