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19B1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19B1
KR101870719B1 KR1020110105499A KR20110105499A KR101870719B1 KR 101870719 B1 KR101870719 B1 KR 101870719B1 KR 1020110105499 A KR1020110105499 A KR 1020110105499A KR 20110105499 A KR20110105499 A KR 20110105499A KR 101870719 B1 KR101870719 B1 KR 10187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power
power source
factor improving
power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615A (ko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66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passi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하여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가 정류부측의 다이오드의 상단을 지나 역률개선부측의 다이오드의 하단으로 회기하도록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 방향을 형성한다. 또한,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장치의 전체 부피를 감소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게 한다.

Description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POWER CONVERTER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구동을 위한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의 구동 모터로서 주로 3상 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3상 모터의 전력변환장치는 상용 전원인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직류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3상 모터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3상 모터를 구동시킨다.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제공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전압을 펄스-폭 변조된(PWM:Pulse Width Modulation) 전압으로 다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도 1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통해 입력전류의 환류경로를 형성하는 역률개선부를 포함한다. 이때 정류부의 출력단 일측과 역률개선부의 DC 터미널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입력전원으로부터 충전된 에너지는 캐패시터로 구성된 평활부에 방전되며, 평활부는 정류부가 정류한 직류전압을 평활하여 연결된 인버터에 공급한다. 인버터는 상기 직류전압을 다시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서 연결된 3상 모터(미도시)에 제공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전력변환장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입력전원의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해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역률개선부에 구비된 스위가 온(on) 상태가 되면, 입력전원의 전류가 캐패시터에 충전/방전되지 않고 환류 경로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에서 입력전원의 전류량의 제어신호에 따라 형성된 환류 경로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의 전류는 직렬 연결된 리액터를 지나 정류 다이오드의 상단을 경유한다. 그런 다음 캐패시터를 지나 회로 하단에 구비된 정류 다이오드를 지난다. 이때 환류 경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방향으로 나뉘게 된다. 즉, 정류부의 정류 다이오드 하단을 지나는 경로와 역률개선부의 정류 다이오드 하단을 경유하는 경로로 분기된다. 이에, 이와 같은 종래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가 한 방향으로 통일되지 못하고, 동일한 특성을 갖는 다이오드들이 여러개 구비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역률 개선을 위한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를 분기없이 한 방향으로 회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 방향이 통일되도록 구현한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를 한 방향으로 통일하기 위해 종래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동작하여 입력전원를 환류시켜서 역률을 개선하는 역률개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 및 역률개선부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되, 상기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는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가 상기 정류부의 상단을 지나 상기 역률개선부의 하단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는 두 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하단의 두 개의 다이오드와 상기 역률개선부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하단의 두 개의 다이오드는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인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스위치에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입력전원의 경로 및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역률개선부와 입력전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리액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역률개선부의 스위치가 도통되면, 입력전원의 에너지를 상기 리액터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전원을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역률개선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도통되면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형성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단락되면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단속하여 역률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입력전원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의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기술한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하고,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정류부측의 다이오드의 상단을 지나 역률개선부측의 다이오드의 하단으로 회기하도록 함으로써 입력전류의 경로 방향을 일방향으로 통일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조화기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장치의 전체 부피를 감소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210) 및 입력전원의 역률을 개선하는 역률개선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100), 리액터(150), 제어부(250), 평활부(270), 인버터부(300), 및 압축기모터(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류부(210)는 입력전원(100)의 교류전압을 정류한다. 또한, 상기 정류부(210)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는 두 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류부(210)에 포함된 두 개(2단)의 다이오드가 병렬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구성을 참조하면, 정류부에 포함된 다이오드가 네 개(4단)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210)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하단의 두 개의 다이오드와 상기 역률개선부(220)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하단의 두 개의 다이오드는 서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전원이 공급하는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네 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류부(210)에 포함된 두 개(2단)의 다이오드와 역률개선부(220)에 포함된 하단의 두 개(2단)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한다. 즉, 정류부(210)의 제1다이오드와 역률개선부(220)의 하단의 제1다이오드를 연결하고, 정류부(210)의 제2다이오드와 역률개선부(220)의 하단의 제2다이오드를 연결하고, 이들은 서로 병렬 접속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해, 정류부(210)는 네 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률개선부(220)의 하단에 구비된 두 개의 다이오드는 정류부(210) 및 역률개선부(220)에서 서로 공유되어, 정류부(210)의 정류 다이오드와 역률개선부(220)의 정류 다이오드로서 사용된다.
상기 역률개선부(220)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비된 스위치(SW)를 동작하여 입력전원(100)의 역률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SW)를 온(on) 상태로 하여 입력전원의 전류를 환류하고 환류된 전류를 연결된 리액터(250)에 저장함으로써 입력전류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SW)는 예를 들어,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이하 'IGBT'), MOSFET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SW)는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전원(100)의 환류 경로를 단속한다. 즉,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SW)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져서 입력전원이 환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률개선부(220)의 AC 터미널은 리액터(150)의 부하 터미널에 접속되고, 역률개선부(220)의 DC 터미널은 구비된 스위치(SW)에 접속된다. 그리고 DC 터미널쪽에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의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는 입력전원(100)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역률개선부(220)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는 네 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역률개선부(220)에서는 한 쌍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직렬회로와 또 다른 한 쌍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직렬회로가 서로 병렬 접속된다. 이와 같은 4개의 다이오드들은 전파 정류 회로를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역률개선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SW)가 도통되면, 입력전원(100)의 환류 경로를 형성한다. 형성된 입력전원(100)의 환류 경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없이 일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SW)가 단락되면, 상기 역률개선부(220)는 입력전원(100)의 환류 경로를 단속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SW) 및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DC 터미널 사이에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부(210)와 역률개선부(220)에 구비된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는 상기 입력전원(100)의 환류 경로가 상기 정류부(210)의 다이오드 상단을 지나 상기 역률개선부(220)의 다이오드 하단을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 방향이 일방향으로 통일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역률개선부(220)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입력전원(100)의 경로와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전도시간은 전류의 파형을 정류하기 위해 부하에 따라 또는 입력전원의 전력값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마이크로컨트롤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전원의 일단과 연결되면 0교차점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역률개선부(220)의 스위치(SW)를 도통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입력전원(100)의 환류 경로를 생성하게끔 한다. 또,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100)의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상기 리액터(150)는 역률개선부(220) 및 입력전원(10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리액터(150)의 일단은 입력전원(100)의 일단에 접속되고, 리액터(150)의 타단은 역률개선부(220)의 AC 터미널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리액터(150)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고 입력전원(100)의 전력 효율을 보상한다. 상기 리액터(150)는 역률개선부(220)의 스위치가 도통되면, 상기 입력전원(100)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입력전원(100)을 단락시킨다. 즉,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역률개선부(250)의 스위치(SW)가 켜지면 환류 경로가 형성되며, 이에 리액터(150)는 입력전원(100)의 전력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전원(100)을 강제로 단락시킨다. 상기 리액터(150)의 인덕턱스 값은 4~8mH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mH값을 갖는다.
상기 평활부(270)는 정류부(210)를 의해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한다. 상기 평활부(270)는 평활한 직류전압을 인버터부(300)에 공급한다. 상기 평활부(270), 즉 직류 링크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는 하나의 커패시터 또는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300)는 평활부(270)로부터 인가받은 직류전압을 교류전압(모터구동전압)으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300)는 변환된 교류전압을 부하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300)는 변환된 교류전압을 압축기 구동용 3상 모터(500)에 인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버터(400)는 복수의 인버터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입력전원(100)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검출부는, 리액터(150)의 전류를 검출하거나, 환류되는 전류를 검출하거나, 직류 링크(DC-Link) 전류를 검출하여서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또, 상기 공기조화기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를 구동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력변환장치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여 환류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보상한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의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정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를 공기와 열 교환하여 방열하는 증발기(13)와, 상기 증발기에서 방열된 상기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팽창하는 팽창 밸브(14)와,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를 물과 열 교환하는 응축기(15)와, 상기 압축기(12)의 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를 상기 증발기(13) 또는 상기 응축기(15)로 안내하는 냉매전환밸브(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압축기(12)와 증발기(13) 그리고 팽창 밸브(14)와 응축기(15)로 된 냉동사이클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13)와 열교환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흡기팬(16)이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15)에는 실내기(20)들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매질순환관(3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2)의 출구에는 그 압축기(12)에서 압축되는 냉매를 운전조건에 따라 증발기 방향 또는 응축기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냉매전환밸브(17)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전환밸브(17)는 통상 4방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실외기(10)는 하절기에는 냉방기로 운전을 하는 반면 동절기에 난방기로 전환하여 운전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절기에는 압축기(1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냉매전환밸브가 증발기(13)로 안내하여 그 증발기(13)에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방열하고 팽창 밸브(14)에서 저온, 저압으로 만든 후 응축기(15)에서 물과 열교환되어 그 열교환된 물을 냉방 열원으로 사용하는 실내기(20)들에 공급한다. 한편, 동절기에는 상기 냉매전환밸브(17)가 냉매를 응축기 방향으로 안내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기(15)에서 물과 열교환되어 그 열교환된 물을 난방 열원으로 사용하는 실내기(20)들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단방향으로 통일시키고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적용을 생략함으로써 크기는 줄이고 비용을 절감시킨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도 4는 상기 기술한 전력변환장치의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변환장치는 두 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부(210)와 네 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역률개선부(220)를 포함하여 회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250)로부터 입력전원의 전류량에 따른 경로 제어신호가 있으면, 구비된 스위치를 동작하여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는 정류부(210)의 다이오드 상단을 지나 역률개선부(250)의 다이오드 하단을 경유하고, 역률개선부(250)의 DC 터미널측 다이오드의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연결된 입력전원(100)의 타단으로 회기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에서 입력전원의 전류량의 제어신호에 따라 형성된 환류 경로를 도시한다. 도시된 경로는 입력전원의 전류가 직렬 연결된 리액터를 지나 정류 다이오드의 상단을 경유하고, 그런 다음 회로의 하단에 구비된 정류 다이오드를 지난다. 이후 전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 배열과 달리 분기된 두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즉, 환류전류는 역률개선부의 정류 다이오드 하단을 지나는 경로와 정류부의 정류 다이오드 하단을 경유하는 경로로 분기되어서 흐르게 된다. 여기서는 환류되는 입력전류가 1/2만큼씩 나누어지기 때문에 전류의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의하면,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한 방향으로 통일하고 이러한 회로 배열에 있어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 다이오드들을 생략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줄이고 생산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조화기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하여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가 정류부측의 다이오드의 상단을 지나 역률개선부측의 다이오드의 하단으로 회기하도록 입력전류의 환류 경로 방향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장치의 전체 부피를 감소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게 한다.
100 - 입력전원 150 - 리액터
210 - 정류부 220 - 역률개선부
250 - 제어부 270 - 평활부
300 - 인버터부 500 - 압축기모터

Claims (11)

  1. 입력전원의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동작하여 입력전원을 환류시켜서 역률을 개선하는 역률개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전원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측정된 전류량을 이용하여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부; 및
    상기 스위치에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입력전원의 경로 및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 및 역률개선부는,
    각각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는 상기 정류부의 상단을 지나 상기 역률개선부의 하단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정류부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는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류부의 어느 한 다이오드와 상기 역률개선부의 하단의 어느 한 다이오드가 연결되고, 상기 정류부의 다른 한 다이오드와 상기 역률개선부의 하단의 다른 한 다이오드가 연결되어,
    상기 정류부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두 개의 다이오드와 상기 역률개선부의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의 하단의 두 개의 다이오드는 서로 공유하고,
    상기 역률개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도통되면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단락되면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를 단속하여 역률을 개선하되,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 상에 유기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는 제한저항;을 포함하여,
    상기 환류 경로 상에서 상기 돌입전류가 흐를 시 상기 제한저항을 통해 상기 돌입전류를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의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입력전원의 경로 및 단락전도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입력전원의 환류 경로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 및
    상기 평활부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인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부 및 입력전원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리액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개선부의 스위치가 도통되면, 상기 입력전원의 에너지를 상기 리액터에 저장하고 상기 입력전원을 단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 제4 항, 제6 항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변환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10105499A 2011-10-14 2011-10-14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87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499A KR101870719B1 (ko) 2011-10-14 2011-10-14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499A KR101870719B1 (ko) 2011-10-14 2011-10-14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615A KR20130040615A (ko) 2013-04-24
KR101870719B1 true KR101870719B1 (ko) 2018-06-25

Family

ID=4844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499A KR101870719B1 (ko) 2011-10-14 2011-10-14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228A (zh) * 2022-01-05 2022-04-1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499A (ja) * 2007-10-15 2009-05-07 Sharp Corp 直流電源装置
JP2009159796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Carrier Corp 直流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499A (ja) * 2007-10-15 2009-05-07 Sharp Corp 直流電源装置
JP2009159796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Carrier Corp 直流電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228A (zh) * 2022-01-05 2022-04-1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615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85313B2 (en) Converter circuit, and motor drive controller equipped with converter circuit,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and induction cooking heater
JP5855025B2 (ja) 逆流防止手段、電力変換装置及び冷凍空気調和装置
US9240737B2 (en) Control device for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heat pump unit
US9742336B2 (en) Air conditioner with variable power converter
JP2012231672A (ja) モーター駆動制御装置、圧縮機、送風機、空気調和機及び冷蔵庫又は冷凍庫
JP6431413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並びに電力変換方法
JP6496607B2 (ja) 直流電源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空気調和機
KR10204395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03079152A (ja) 直流電源装置、直流電源負荷装置
JP2015144496A (ja) 直流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17208979A (ja) 電源装置
KR2014009662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257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5780982B2 (ja) 電力変換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圧縮機、送風機、空気調和機及び冷蔵庫
KR10187071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965737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2040092B1 (ko) 전력변환장치, 이의 제어방법 및 전력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2118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공기조화기
KR102102756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JP6231400B2 (ja) 交流直流変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20140096891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97285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22185374A1 (ja) 交流直流変換装置、電動機駆動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機器
JP6116100B2 (ja) 直流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200044513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