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299B1 - 문서 세단기 - Google Patents

문서 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99B1
KR101870299B1 KR1020160085952A KR20160085952A KR101870299B1 KR 101870299 B1 KR101870299 B1 KR 101870299B1 KR 1020160085952 A KR1020160085952 A KR 1020160085952A KR 20160085952 A KR20160085952 A KR 20160085952A KR 101870299 B1 KR101870299 B1 KR 10187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air
fixed
shafts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824A (ko
Inventor
유낙준
Original Assignee
(주)이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륜 filed Critical (주)이륜
Priority to KR102016008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91Feed chut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투입구 하측에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이루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브래킷이 결합된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기 브래킷 사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축 및 종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의 외주면에 다수가 배치되어 상호 비스듬히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커터를 구비한 세단부와,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과 평행하도록 복수개의 고정축이 한 쌍의 상기 브래킷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커터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다수가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축들에 고정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종동축, 고정축들의 일측 및 타측과 한 쌍의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보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문서 세단기{PAPER SHREDDER}
본 발명은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문서를 세단하는 커터 또는 가이드판과, 축들이 설치되는 브래킷 사이에 보강판을 밀착 고정하여 축들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휨 현상 등 축들의 변형을 방지함과 더불어 문서 세단의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유지가 요구되는 국가 기관이나 관공서, 기업 또는 금융 기관 등에서는 문서의 폐기시 보안유지를 위해 문서를 잘게 분쇄해 폐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서의 보안유지는 국가 기관이나 관공서, 기업 등과 같이 외부인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곳은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으나, 출입의 제한이 없는 금융기관 등에서는 오기된 입금 또는 출금전표나 카드를 이용한 현금인출시 기기를 통해 발행된 명세서를 본인이 직접 잘게 찢어 버려야 하는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행위를 번거롭고 불편하게 여기게 되어 오기된 입금 또는 출금전표나, 현금인출 명세서를 구겨서 휴지통에 넣게 됨으로써, 타인에게 개인의 금융정보가 그대로 노출되어 금융상에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문서 세단기에 접근하는 문서폐기자의 얼굴을 인식 및 저장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출함과 동시에 얼굴 인식프로그램을 통해서 문서폐기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기능을 강화한 문서 세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문서 세단기의 절단칼날부를 상단과 하단에 설치하여 상단에서 절단된 폐문서칩이 하단에서 이중으로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문서의 보안성을 보다 높일 수 이중세단방식 문서 세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 2와 같은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많은 양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될 경우, 문서를 세단하는 커터가 그에 따른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커터를 지지하는 가이드판이 고정된 고정축의 휨 현상 등 변형이 발생함에 의해 문서 세단기 자체가 멈추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고정축의 변형으로 인해 구동축과 종동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문서를 세단해야 할 커터들이 대향하는 가이드판과 접촉되며 회전하게 되어 커터와 가이드판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도 있었다.
더불어, 투입되는 문서의 가장자리가 구동축, 종동축 및 고정축이 설치되는 브래킷에 접촉되면서 커터들에 유입될 경우, 브래킷과 커터 또는 가이드판의 틈 사이로 유입되는 문서의 가장자리는 세단되지 않게 되어 문서 세단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4287호(2011.06.2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0647호(2006.12.21.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여러 장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될 경우에도 그에 따른 과부하를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고정축의 휨 현상 등 변형의 발생이나 문서 세단기의 멈춤 현상을 차단함과 더불어 커터와 가이드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세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투입되는 문서의 가장자리가 브래킷에 접촉되면서 유입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커터들에 유입되어 세단할 수 있도록 하여 문서 세단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문서 세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특징적인 구성은,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투입구 하측에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이루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브래킷이 결합된 플레이트와, 한 쌍의 상기 브래킷 사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축 및 종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의 외주면에 다수가 배치되어 상호 비스듬히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커터를 구비한 세단부와,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과 평행하도록 복수개의 고정축이 한 쌍의 상기 브래킷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커터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다수가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축들에 고정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종동축, 고정축들의 일측 및 타측과 한 쌍의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보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종동축에 결합된 종동기어를 구비한 기어부;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을 구비한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터는 중앙부에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이 각각 관통되는 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판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는 결합홀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판의 경사진 안내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터 또는 가이드판과 브래킷 사이에 보강판이 밀착 고정되어 고정축을 지지함으로써, 여러 장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되더라도 그에 따른 과부하를 견딜 수 있어 고정축의 휨 현상 등 변형의 발생이나 문서 세단기의 멈춤 현상이 차단됨과 더불어 커터와 가이드판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커터 또는 가이드판과 브래킷 사이에 밀착 고정된 보강판의 상부가 가이드판의 안내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투입되는 문서의 가장자리가 브래킷에 접촉되면서 유입되더라도 보강판의 상부를 타고 견고하게 커터들에 유입됨으로써, 문서의 가장자리마저도 세단할 수 있어 문서 세단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에서 문서를 세단하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측(상단)과 하측(하단)은 케이스의 투입구가 커터들보다 상측에 있도록 한 사용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일측은 구동축과 종동축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이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타측은 일측의 반대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내측의 표현은 각 구성 또는 각 구성에 의해 구획되어진 안쪽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의 표현과 반대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문서를 세단하는 커터 또는 가이드판과, 축들이 설치되는 브래킷 사이에 보강판을 밀착 고정하여 축들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휨 현상 등 축들의 변형을 방지함과 더불어 문서 세단의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 플레이트(20), 세단부(30), 가이드부(40), 보강판(50), 기어부(60), 동력전달부(70) 및 폐문서함(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10)는 박스 형상으로 문서 세단기의 외관을 이루고, 상부에 폐기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이러한 투입구(11)는 종이의 크기에 맞게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플레이트(20)에 서로 간격을 이루도록 한 쌍의 브래킷(21)이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어 세단부(30), 가이드부(40), 보강판(50), 기어부(60) 및 동력전달부(70)가 고정되며, 한 쌍의 브래킷(21)의 간격은 투입구(11)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세단부(30)는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폐문서를 세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축(31), 종동축(32) 및 커터(33)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축(31)은 투입구(11)의 하측 위치에서 한 쌍의 브래킷(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 예컨대, 그 종단면은 커터(33)와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어 결합된 커터(33)가 정교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육각형 등의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종동축(32)은 구동축(31)과 같이 투입구(11)의 하측 위치에서 한 쌍의 브래킷(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축(31)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동축(31)과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구동축(3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구동축(3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구동축(31)과 종동축(32)은 각각 그 외주면에 설치되는 커터(33)들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바람직하게는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결합되어 대향하는 커터(33)들이 서로 비스듬히 밀착되는 부분에서 수직 상방의 위치에 투입구(11)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커터(33)는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절단날(33a)을 구비하고, 구동축(31)과 종동축(32) 각각의 외주면에 다수가 서로 어긋나면서 순차적으로 고정되며,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고정되어 대향하는 커터(33)들이 서로 비스듬히 밀착되면서 회전함으로써, 밀착되는 절단날(33a)들의 마찰에 의해 투입구(11)에서 유입된 문서를 하측으로 밀어내면서 세단한다.
이렇게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는 커터(33)들이 비스듬히 밀착되는 위치는 투입구(11)의 수직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커터(33)는 중앙부에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홀(33b)을 구비하여 구동축(31)과 종동축(32)이 커터(33)들의 고정홀(33b)를 관통함으로써 커터(33)들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예컨대, 고정홀(33b)은 구동축(31) 및 종동축(32)과 커터(33)들이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육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커터(33)들의 외주면에 구비된 절단날(33a)은 각각의 커터(33)마다 그 개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고, 커터(33) 각각의 절단날(33a)은 그 개수가 다를 수 있되, 홀수로 구성하여 구동축(31) 및 종동축(32) 각각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커터(33)들이 서로 어긋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부(40)는 상술한 투입구(11)에서 유입된 폐문서를 커터(33)들에 안내함은 물론, 커터(33)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축(41) 및 가이드판(4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축(41)은 구동축(31) 및 종동축(32)과 평행하도록 복수개가 한 쌍의 브래킷(21) 사이에 관통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의 사선 방향으로 외측에 장착되며, 커터(33)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판(42)은 커터(33)들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축(31) 및 종동축(32) 각각에 고정된 커터(33)들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커터(33)들을 지지하고, 다수가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끼워지며, 복수개의 고정축(41)에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판(42)은 상부와 하부에 고정축(41)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홀(42b)을 구비하여 고정축(41)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판(42)들의 삽입홀(42b)을 관통함으로써, 가이드판(42)들이 상부와 하부의 고정축(41)에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판(42)은 중앙부에 고정홀(33b)보다 체적이 큰, 즉 구동축(31) 및 종동축(32) 종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장착홀(42c)을 구비하여 구동축(31)과 종동축(32)이 다수의 장착홀(42c)을 관통함으로써, 가이드판(42)들이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각각 장착되며, 이러한 장착홀(42c)은 고정홀(33b)보다 체적이 큼에 따라, 구동축(31)과 종동축(32)의 회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축(4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더불어, 가이드판(42)은 상부에 하측으로 경사진 안내면(42a)을 구비하는데, 이를 통해, 가이드판(42)들이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판(42)들의 안내면(42a)이 비스듬히 마주하도록 함으로써, 투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폐문서가 수직 하방으로 유입되지 않더라도 서로 마주하는 커터(33)들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커터(33) 또는 가이드판(42)과 브래킷(21) 사이에 밀착 배치되도록, 한 쌍의 브래킷(21) 사이에서 구동축(31), 종동축(32) 및 고정축(41)들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한 쌍의 보강판(50)을 고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보강판(50)은 두께를 가지며, 고정축(41)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홀(51)을 복수개 구비하는데, 이때, 결합홀(51)은 후술할 한 쌍의 연결홀(52)의 사선 방향 외측에서 보강판(5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고, 상술한 삽입홀(42b)과 동일한 체적을 가져 고정축(41)이 관통함으로써, 보강판(50)이 구동축(31)과 종동축(32)의 사선방향 외측에 장착된 고정축(41)에 고정된다.
그리고, 보강판(50)은 중앙부에 고정홀(33b)보다 체적이 큰, 즉 구동축(31) 및 종동축(32) 종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한 쌍의 연결홀(52)을 서로 이격되게 구비하는데, 이를 통해, 구동축(31)과 종동축(32)이 한 쌍의 연결홀(52)에 각각 관통함으로써, 보강판(50)이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장착되며, 이러한 연결홀(52)은 고정홀(33b)보다 체적이 큼에 따라, 구동축(31)과 종동축(32)의 회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고정축(4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아울러, 종래에는 고정축(41)의 설치시, 볼트 결합을 통해 한 쌍의 브래킷(21)에 고정하였는데, 이를 위해 한 쌍의 브래킷(21)에는 고정축(41) 종단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홀을 구비하는 것이 불가피하였고, 이에 따라, 홀과 고정축(41)과의 유격이 발생하게 되어 고정축(41)이 가이드판(42)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의 수행을 유지하기 어려웠으며, 때문에 고정축(41)의 휨을 포함하는 변형을 유발하여 커터(33)와 가이드판(42)의 파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상술한 보강판(50)이, 결합홀(51)에 관통을 이루어 고정된 고정축(41)을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브래킷(21)에 고정축(41)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볼트 결합이 필요치 않게 되고, 결합홀(51)을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축(31)의 단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홀, 즉, 고정축(41) 종단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홀을 구비하면 되는 것이어서, 브래킷(21)의 홀과 고정축(41)과의 유격 발생을 차단할 수 있어 상술한 종래의 문제마저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브래킷(21)을 관통한 고정축(41)들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경우, 사용과정에서 여러 장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되는 등의 외력에 의해 볼트가 부러지거나 풀리게 되어 해당하는 고정축(41)이 밀리거나 휘어지게 되어 커터(33)들이 대향하는 가이드판(42)과 접촉됨으로써, 커터(33)와 가이드판(42)의 파손을 유발하거나, 심할 경우 한 쌍의 브래킷(21)으로부터 고정축(41)이 이탈됨에 따라, 세단기 자체가 멈추게 됨과 더불어 제품 수리비용 또는 유지비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보강판(50)이 이미 한 쌍의 브래킷(21)의 내측에서 고정축(41)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볼트의 부러짐 또는 풀림 등의 현상이 발생 되더라도 고정축(41)의 밀림, 휨 또는 이탈이 안정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제품 수리비용 또는 유지비용의 증가를 억제함은 물론, 이를 통한 세단기 사용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보강판(50)이 커터(33) 또는 가이드판(42)과 브래킷(21)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고정축(41)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지지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여러 장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될 경우에도 그에 따른 과부하를 견딜 수 있게 되어 고정축(41)의 휨 현상 등 변형의 발생이나, 이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멈춤 현상을 차단함과 더불어 커터(33)와 가이드판(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강판(50)은 상부가 가이드판(42)의 안내면(42a)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투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문서를 한 쌍의 보강판(40) 사이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위치에 그 보강판(50)의 상부가 배치되도록, 브래킷(21)과 커터(33) 또는 가이드판(42) 사이에 밀착 고정된 보강판(50)이 구비됨으로써, 브래킷(21)과 커터(33) 또는 가이드판(42)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폐문서의 가장자리가 브래킷(21)에 접촉되면서 유입될 경우에 문서의 가장자리가 세단되지 않았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상태에서, 폐문서의 가장자리가 브래킷(21)에 접촉되며 유입되더라도 자연스럽게 보강판(50)의 상부를 타고 안내면(42a)을 따라 그 하측에 위치하는 커터(33)들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보강판(50)의 상단은 안내면(42a)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되되,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판(42)들의 안내면(42a)과 같이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비스듬하게 유입되는 폐문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커터(33)들에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어부(60)는 상술한 구동축(31)과 종동축(32)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플레이트(20) 일측의 브래킷(21) 일측에서 구동축(3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61)와, 플레이트(20) 일측의 브래킷(21) 일측에서 종동축(32)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구동기어(61)와 치합하는 종동기어(62)를 구비한다
이와 함께, 동력전달부(70)는 구동축(3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플레이트(20)의 후방에 설치된 구동모터(71)와, 타측의 브래킷(21) 타측에서 구동축(3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연결된 체인(72a)을 통해 구동모터(71)에서 구동축(31)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스프로킷(7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71)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축에 연결된 체인(72a)을 통해 구동축(31)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술한 구동기어(61)와 종동기어(62)의 치합에 의해 종동축(32)이 구동축(3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폐문서를 케이스(10)의 투입구(11)에 투입시키면, 상술한 커터(33)들에 의해 칩 형태로 세단되는 것이다.
또한, 칩형태로 세단된 폐문서칩은 케이스(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폐문서함(80)에 저장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는 커터 또는 가이드판과 브래킷 사이에 보강판이 밀착 고정되어 고정축을 지지함으로써, 여러 장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되더라도 그에 따른 과부하를 견딜 수 있어 고정축의 휨 현상 등 변형의 발생이나 문서 세단기의 멈춤 현상이 차단됨과 더불어 커터와 가이드판의 파손이 방지되고, 커터 또는 가이드판과 브래킷 사이에 밀착 고정된 보강판의 상부가 가이드판의 안내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투입되는 문서의 가장자리가 브래킷에 접촉되면서 유입되더라도 보강판의 상부를 타고 견고하게 커터들에 유입됨으로써, 문서의 가장자리마저도 세단할 수 있어 문서 세단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10 : 케이스 11 : 투입구
20 : 플레이트 21 : 브래킷
30 : 세단부 31 : 구동축
32 : 종동축 33 : 커터
33a : 절단날 33b : 고정홀
40 : 가이드부 41 : 고정축
42 : 가이드판 42a : 안내면
42b : 삽입홀 42c : 장착홀
50 : 보강판 51 : 결합홀
52 : 연결홀 60 : 기어부
61 : 구동기어 62 : 종동기어
70 : 동력전달부 71 : 구동모터
72 : 스프로킷 72a : 체인
80 : 폐문서함

Claims (4)

  1.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상부에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측에서 상기 투입구(11) 하측에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이루며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브래킷(21)이 결합된 플레이트(20)와, 한 쌍의 상기 브래킷(21) 사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의 외주면에 다수가 배치되어 상호 비스듬히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커터(33)를 구비한 세단부(30)와, 상기 구동축(31) 및 종동축(32)과 평행하도록 복수개의 고정축(41)이 한 쌍의 상기 브래킷(21)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커터(33)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다수가 상기 구동축(31)과 종동축(32)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축(41)들에 고정되는 가이드판(42)을 구비한 가이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1), 종동축(32), 고정축(41)들의 일측단 및 타측단과 한 쌍의 상기 브래킷(21)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한 쌍의 보강판(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여러 장의 문서가 동시에 투입될 경우에 상기 커터(33)와 가이드판(42)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보강판(50)들은 각각 상기 구동축(31) 측과 종동축(32) 측을 동시에 지지하여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판(50)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판(42)의 경사진 안내면(42a)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구동기어(61)와, 상기 구동기어(61)와 치합되도록 상기 종동축(32)에 결합된 종동기어(62)를 구비한 기어부(60); 및
    상기 플레이트(20)에 설치된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와 체인(72a)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3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72)을 구비한 동력전달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3)는 중앙부에 상기 구동축(31) 및 종동축(32)이 각각 관통되는 고정홀(33b)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42)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고정축(41)이 관통되는 삽입홀(42b)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판(50)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고정축(41)이 관통되는 결합홀(51)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4. 삭제
KR1020160085952A 2016-07-07 2016-07-07 문서 세단기 KR10187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952A KR101870299B1 (ko) 2016-07-07 2016-07-07 문서 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952A KR101870299B1 (ko) 2016-07-07 2016-07-07 문서 세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824A KR20180005824A (ko) 2018-01-17
KR101870299B1 true KR101870299B1 (ko) 2018-06-22

Family

ID=6102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952A KR101870299B1 (ko) 2016-07-07 2016-07-07 문서 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464B1 (ko) * 2006-09-06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
CN201260981Y (zh) * 2008-07-22 2009-06-24 东莞皇利电器有限公司 具有机械式自动断电装置的碎纸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7B1 (ko) 2004-09-18 2006-12-21 (주)대진코스탈 이중세단방식 문서세단기
KR100896348B1 (ko) * 2007-03-08 2009-05-07 코리아유니크 주식회사 문서세단기 회전축의 휨 방지장치
KR101044287B1 (ko) 2009-09-23 2011-06-28 (주)대진코스탈 보안기능이 강화된 문서세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464B1 (ko) * 2006-09-06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문서세단기
CN201260981Y (zh) * 2008-07-22 2009-06-24 东莞皇利电器有限公司 具有机械式自动断电装置的碎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824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347B2 (en) Shredder having a dual stage cutting mechanism
US9016606B1 (en) Paper shredder with staple and clip remover
EP2558214B1 (en) Paper shredder with feeder
JP2010039831A (ja) 紙幣取扱装置
JP2015026118A (ja) 紙葉類集積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870299B1 (ko) 문서 세단기
JP4413111B2 (ja) 媒体カセット
KR100705464B1 (ko) 문서세단기
JP200728029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11011197A (ja) シュレッダー
US7975945B1 (en) Anti-jam cutting knife for a paper shredder
CN201524593U (zh) 用于破碎光盘、磁盘、纸张的破碎机
US20110297772A1 (en) Paper cleaning device for a shredder
KR20100106954A (ko) 문서 세단기의 급지롤러
JP6695404B2 (ja) ロック機能を備える保管庫
KR102226030B1 (ko) 문서 세단기
US10621831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101553641B1 (ko) 자동서류발급장치
KR101047021B1 (ko) 카드전용 파쇄장치
CN209985518U (zh) 证件销毁设备
WO2019174519A1 (zh) 薄片类介质输送装置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101733030B1 (ko) 문서 세단기
KR20090062980A (ko) 종이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080000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가이드롤러 편마모방지장치
JP2007136336A (ja) シュレッ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