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57B1 - 수납고 - Google Patents

수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57B1
KR101869557B1 KR1020110125066A KR20110125066A KR101869557B1 KR 101869557 B1 KR101869557 B1 KR 101869557B1 KR 1020110125066 A KR1020110125066 A KR 1020110125066A KR 20110125066 A KR20110125066 A KR 20110125066A KR 101869557 B1 KR101869557 B1 KR 10186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inforcing member
bent
plate
fron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352A (ko
Inventor
요시히사 니시까와
겐이찌 무라따
겐지 와다
사또시 오마따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7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두께가 얇은 금속판이라도 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라이저를 설치할 수 있어,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의 삭감 및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납고[베이스 캐비닛(130)]의 구성은 적어도 양 측면[우측면(200a) 및 좌측면(200b)]이 스테인리스제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200)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양 측면의 전방 테두리(202a 및 202b)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테두리(204a 및 204b)에 이르기까지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206a 및 206b)와, 그 양 측면 각각의 전방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굴곡부(202c 및 204c)를 갖고, 당해 수납고는 경사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전방 테두리의 굴곡부와 하부 테두리의 굴곡부의 양쪽에 접촉하는 수지제의 보강 부재(2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고{CABINET}
본 발명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슬라이드식 서랍을 구비하는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
키친에는 조리 기구나 조리 재료, 식기 등을 수납해 두기 위해, 많은 수납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천장판(시스템 키친에 있어서는 워크 톱)의 아래에는 서랍이나 문이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다. 최근에는, 서랍 등에 수납되는 피수납물을 어느 정도 상정하여, 서랍의 크기나 칸막이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고객의 폭넓은 요구에 따르기 위해, 수납고는 목제의 것이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것 등 각종 라인업이 모두 구비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금속제의 수납고는 고급감이나 내구성이 높다는 점에서 인기가 있어, 최근 주류로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배면판과 좌우의 측판을 1매의 판재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한 배면측판으로 하여 그 하단부에 바닥판을, 좌우 측판의 전방면 상부에 가림판을 접합하도록 한 금속제 캐비닛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5098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캐비닛으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의 수납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급감이나 내구성에 있어서는 목제의 수납고보다도 우수하지만, 코스트 퍼포먼스에 있어서는 목제의 수납고에 미치지 않는다. 또한 다른 과제로서, 반송 작업이나 설치 작업에 필요로 하는 노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경량화가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금속제의 수납고에는 가일층의 개량이 요망되고 있고,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금속제의 수납고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판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수납고와 바닥면 사이에는 수납고 후방의 안측의 공간인 라이저(riser)가 설치된다. 특허 문헌 1에서는 보강재를 조립한 배면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를, 그것보다도 깊이가 얕게 만들어진 받침대 상에 적재함으로써 라이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본체의 배면측판과는 달리 받침대의 전방판 및 측판이 되는 금속판이 필요해져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가 늘어나 버린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자는 예의 검토하여, 본체의 배면측판을 가공함으로써 받침대 없이 라이저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하였다.
받침대 없이 라이저를 설치하는 경우, 본체의 배면측판의 전방측의 하부를 네모지게 절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저비용화 및 경량화에 대응하기 위해 판 두께를 얇게 한 금속판은, 두꺼운 금속판에 비해 강성이 낮아 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얇은 금속판에 있어서 하부를 절결하는 가공을 실시하면, 절결된 코너부에 하중(응력)이 집중하여 그 부분이 휘고, 측면부, 나아가서는 수납고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상정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판 두께가 얇은 금속판이라도 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라이저를 설치할 수 있어,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의 삭감 및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수납고의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슬라이드식 서랍을 구비하는 수납고이며, 적어도 양 측면이 스테인리스제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서랍을 수용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그 양 측면에 있어서 양 측면의 전방 테두리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테두리에 이르기까지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와, 그 양 측면 각각의 전방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굴곡부를 갖고, 당해 수납고는 경사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전방 테두리의 굴곡부와 하부 테두리의 굴곡부의 양쪽에 접촉하는 수지제의 보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과 같이 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에 경사부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의 측면과 일체로 라이저를 설치할 수 있어,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네모진 절결부가 아니라 경사에 의해 라이저를 형성한 것에 의해, 하중이 집중되기 어렵고, 휨이 발생하고, 나아가서는 판형상 부재(금속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양 측면 각각의 전방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에 굴곡부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양 측면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능하면 경사부에도 굴곡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사부는 굽힘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경사부를 보강하고 있다. 보강 부재는 전방 테두리의 굴곡부와 하부 테두리의 굴곡부의 양쪽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방 테두리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테두리로 전해지고, 경사부로의 하중이 경감되어, 휨에 의한 변형이 보다 적절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이면, 라이저를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라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본체부가 되는 판형상 부재의 판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보강 부재는 측면의 전방 테두리에 설치된 굴곡부의 단부면을 지지하는 단차부를 가지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납고 상부의 하중이, 본체부 측면의 전방 테두리로부터 보강 부재의 단차부로 확실히 전해지게 된다. 그리고, 그 하중은 보강 부재를 통해 본체부 측면의 하부 테두리로 전해져 지지된다. 따라서, 본체부 측면의 경사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어, 그 변형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본체부는 그 바닥면의 전방 테두리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굴곡부를 갖고, 당해 수납고는 바닥면의 전방 테두리에 설치된 굴곡부에 삽입되는 수지제의 코어재를 더 구비하고, 보강 부재는 코어재와 공통 체결되면 좋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 바닥면의 전방 테두리에 있어서도 굴곡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닥면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굴곡부에 코어재를 삽입함으로써, 굴곡부의 변형을 적절하게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보강 부재와 코어재를 공통 체결함으로써, 1개의 작업으로 2개의 부재를 동시에 본체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납고의 조립 공정수 및 수납고 폐기 시의 해체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 두께가 얇은 금속판이라도 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라이저를 설치할 수 있어,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의 삭감 및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인 베이스 캐비닛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의 각 단면도.
도 5는 보강 부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체부로의 보강 부재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보강 부재의 하부의 나사 고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밖의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키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키친(100)은 1매의 천장판(110)(워크 톱)의 아래에 복수의 수납고(캐비닛)를 구비한, 소위 시스템 키친이다. 천장판(110)은 합성 수지(인공 대리석)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져, 키친(100) 전체의 상면을 덮고 있다. 또한, 천장판(110)에는 내장식으로 설치된 풍로(112), 평탄한 테이블면이고 주로 조리를 행하는 데 이용되는 조리 스페이스(114), 천장판(110)에 일체 형성된 싱크(116)가 설치된다.
천장판(110)의 아래는 풍로(112)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풍로 캐비닛(120)과, 조리 스페이스(114)에 대응한 베이스 캐비닛(130)과, 싱크(116)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 캐비닛(140) 등의 각 수납고로 구성된다. 각 수납고는 수납 스페이스로서 기능하고, 수납고 내의 빈 스페이스에는 풍로(112)로의 배선이나, 싱크(116) 및 수도꼭지로의 급배수관 등도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장판(110)의 아래에는, 천장판(110) 위의 싱크(116)나 풍로(112) 등의 각 구성에 대응한 수납고가 그 높이 및 깊이를 동등하게 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고는 피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슬라이드식 서랍을 설치하고 있다. 풍로 캐비닛(120)은 상부에 풍로(112)의 그릴(112a) 및 조작 패널(112b)을 구비하고, 그 옆에는 조미료 등의 소품을 수납하기 위한 작은 서랍인 스파이스 박스(122)가 배치되어 있다. 풍로 캐비닛(120)의 중앙부[그릴(112a)의 아래]에는 폭이 넓은 큰 서랍(124)이 배치되어, 냄비나 볼 등의 비교적 큰 조리 기구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풍로 캐비닛(120)의 하부의 바닥 근방에는 서랍식 발밑 수납인 발밑 수납고(126)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캐비닛(130)에는 복수의 서랍(132, 134) 및 발밑 수납고(136)가 배치되고, 싱크 캐비닛(140)에는 서랍(144) 및 발밑 수납고(146)가 배치되어 있다.
(수납고)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수납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풍로 캐비닛(120), 베이스 캐비닛(130), 싱크 캐비닛(140) 중, 베이스 캐비닛(130)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풍로 캐비닛(120) 및 싱크 캐비닛(140)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인 베이스 캐비닛(130)의 본체부의 사시도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1의 본체부로부터 서랍(132 및 134) 및 발밑 수납고(136)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로, 도 3의 (a)는 도 2의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2의 본체부의 정면도이다.
베이스 캐비닛(130)은 서랍(132 및 134), 발밑 수납고(136)(도 1 참조) 및 그들을 수용하는 본체부(200)를 구비한다(도 2 참조).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우측면(200a) 및 좌측면(200b)(이하, 이들을 대략 양 측면이라고 칭함), 배면(200c)은 스테인리스제의 판형상 부재를 ㄷ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200)를 스테인리스제(금속제)로 함으로써, 고급감이나 내구성이 얻어지고, 양 측면 및 배면(200c)을 1매의 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부재수의 삭감, 나아가서는 그들의 조립 공정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본체부(200)의 양 측면의 전방 테두리의 상부에는 이러한 양 측면 및 배면(200c)과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리스제의 전방판이 전방면(200d)으로서 설치된다. 또한, 양 측면 및 배면(200c)의 하부 테두리에는 스테인리스제의 바닥판이 바닥면(200e)으로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본체부(200)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스테인리스제의 1매의 판에 의해 양 측면 및 배면(200c)을 구성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은 일례이고, 적어도 양 측면이 스테인리스제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배면(200c), 전방면(200d) 및 바닥면(200e)에도 스테인리스제의 판형상 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소재의 통일감이 얻어지므로 높은 의장성이 얻어지거나, 베이스 캐비닛(130)을 폐기할 때의 분별 작업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양 측면의 내측에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레일(210a 내지 210f)이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랍(132 및 134)이나 발밑 수납고(136)(도 1 참조)의 측면에 설치된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레일(210a 내지 210f)에 삽입하여, 서랍(132 및 134)이나 발밑 수납고(136)를 슬라이드 가능해진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양 측면의 외측에는 레일(210a 내지 210f)에 대응하는 위치에, 높이 방향에 있어서 나사 수용 플레이트(220a 내지 220f)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측면을 구성하는 판형상 부재의 두께를 저감시킨 경우라도, 충분한 강도를 갖고 레일(210a 내지 210f)을 이러한 양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우측면(200a)에는 그 전방 테두리(202a)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테두리(204a)에 이르기까지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206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부(200)의 좌측면(200b)에는 그 전방 테두리(202b)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테두리(204b)에 이르기까지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20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부(200)의 양 측면과 일체로 라이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받침대에 의해 라이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206a 및 206b)에 의해 라이저를 형성하면, 네모진 절결부와 같이 하중이 집중되는 개소가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휨의 발생, 나아가서는 판형상 부재(금속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본체부(200)의 측면의 테두리에 굴곡부가 설치된다. 도 4는 도 3의 (a)의 각 단면도로, 도 4의 (a)는 도 3의 (a)의 A-A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3의 (a)의 B-B 단면도이고, 도 4의 (c)는 도 3의 (a)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우측면(200a) 및 좌측면(200b)은 좌우 대칭으로 동일 형상이므로, 우측면(200a)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우측면(200a)의 전방 테두리(202a)에는, 그곳을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굽힘 가공하고, 또한 그 선단을 우측면(200a)에 평행이 되도록 굽힘 가공함으로써, 즉 전방 테두리(202a)를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굴곡부(202c)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의 우측면(200a)의 하부 테두리(204a)에는, 그곳을 본체부(200)의 외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굴곡부(204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면(200a)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 박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양 측면뿐만 아니라, 본체부(200)의 바닥면(200e)의 전방 테두리(205a)에도 굴곡부(205c)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205c)는 전방 테두리(205a)를 본체부(200)의 하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측면뿐만 아니라 바닥면(200e)의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그 박판화, 나아가서는 가일층의 경량화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능하면 경사부(206a 및 206b)에도 굴곡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3의 (a)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부(206a 및 206b)에는 굴곡시킬 수 있는 굽힘 마진이 없다. 또한, 경사부(206a 및 206b)에 굽힘 가공을 위한 형틀을 접촉하려고 하면, 전방 테두리(202a)의 굴곡부(202c)나 하부 테두리(204a)의 굴곡부(204c)가 방해가 된다. 이로 인해, 경사부(206a 및 206b)를 굽힘 가공하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가장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경사부(206a 및 206b)를 따라서, 그곳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250)를 배치하고 있다(도 2 참조).
도 5는 보강 부재(250)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의 (a)는 보강 부재(25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보강 부재(25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체부(200)로의 보강 부재(250)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6의 (a)는 보강 부재(250)를 설치하기 전의 본체부(200)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보강 부재(250)를 설치한 후의 본체부(20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우측면(200a) 및 좌측면(200b) 및 그들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250)는 좌우 대칭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우측면(200a) 및 그곳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25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보강 부재(250)는 수지제의 부재로, 우측면(200a)의 하부에 있어서, 그 전방 테두리(202a)의 굴곡부(202c)와 하부 테두리(204a)의 굴곡부(204c)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도 2 및 도 3의 (a) 참조]. 상세하게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50)의 측면에는 굴곡부(202c)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252a)과, 굴곡부(204c)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252b)이 설치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는 우측면(200a)의 경사부(206a)를 따르는 경사면(252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접촉면(252a), 제2 접촉면(252b) 및 경사면(252c)이 설치된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에는 후퇴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면(200a)의 하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보강 부재(250)와 나사 수용 플레이트(220c)의 간섭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보강 부재(250)의 정면(256a)에는, 이러한 보강 부재(250)를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배면(256b)을 향해 관통하는 나사 구멍(258a) 및 나사 구멍(258b) 및 연결 구멍(258c)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258a 및 258b)은 우측면(200a)으로의 보강 부재(250)의 설치 시에 사용되고, 연결 구멍(258c)은 풍로 캐비닛(120) 등의 다른 수납고의 본체부와 본체부(200)의 연결 시에 사용된다.
또한, 경사부(206a)로의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경감시키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촉면(252a)의 하단부[경사면(252c)의 상단부]에 단차부(260)를 형성하고 있다. 후퇴부(254)는 보강 부재(250)의, 제1 접촉면(252a)[우측면(200a)의 전방 테두리(202a)에 접촉하는 위치]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바와 같이, 우측면(200a)의 전방 테두리(202a)에 설치된 굴곡부(202c)의 단부면이 단차부(260)에 의해 지지된다.
우측면(200a)으로의 보강 부재(250)의 설치에서는, 우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50)를, 1점 쇄선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우측면(200a)을 따라서 이동시켜, 파선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50)의 제1 접촉면(252a)이 우측면(200a)의 전방 테두리(202a)에 설치된 굴곡부(202c) 내에 삽입되어 그 내면과 접촉하고, 보강 부재(250)의 제2 접촉면(252b)이 우측면(200a)의 하부 테두리(204a)에 설치된 굴곡부(204c) 내에 삽입되어 그 내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우측면(200a)의 전방 테두리(202a)로부터의 하중[베이스 캐비닛(130)의 본체부(200)의 상부의 하중]이 보강 부재(250)를 통해 하부 테두리(204a)로 전해져, 경사부(206a)로의 하중이 경감된다. 이로 인해, 휨에 의한 경사부(206a)의 변형을 억제 가능하게 되어, 그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206a)에 의해 라이저를 본체부(200)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라도, 본체부(200)의 양 측면이 되는 판형상 부재의 판 두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촉면(252a)의 하단부에 단차부(260)를 형성한 것에 의해,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202c)의 단부면이 단차부(260)에 의해 지지되므로, 본체부(200)의 우측면(200a)(측면)의 전방 테두리(202a)로부터의 하중이 보강 부재(250)로 확실하게 전해져, 경사부(206a)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변형의 가일층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면(200a)의 외면에 보강 부재(250)를 배치하면, 본체부(200)의 우측면(200a)의 양측으로부터, 보강 부재(250)의 나사 구멍(258a) 및 나사 구멍(258b)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보강 부재(250)를 우측면(200a)에 나사 고정한다(고정함).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부재(250)의 고정에 있어서도 특징을 갖는다. 도 7은 보강 부재(250)의 하부의 나사 고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7의 (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닥면(200e)의 하면도이고, 도 7의 (b)는 보강 부재(250)를 설치한 후의 본체부(20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7의 (b)에서는 바닥면(200e) 및 코어재(270)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200e)의 이면에는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을 따라서 수지제의 코어재(270)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바닥면(200e)의 4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코어재(270)는 본체부(200)의 바닥면(200e)의 전방 테두리(205a)에 설치된 굴곡부(205c) 등의 ㄷ자 내에 삽입되어 있다[도 4의 (c) 참조]. 이와 같이 굴곡부(205c)에 코어재(270)를 삽입함으로써 굴곡부(205c)의 변형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258b)의 하측의 구멍의 배면에 코어재(270)가 위치하고 있고, 이러한 코어재(270)와 보강 부재(250)를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공통 체결한다. 이에 의해, 우측면(200a)으로의 보강 부재(250)의 고정에 의해 코어재(270)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코어재(270)를 설치하는 공정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공정수의 삭감이 가능해져, 베이스 캐비닛(130)(수납고)의 조립 작업 및 해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베이스 캐비닛(130)]에 따르면, 본체부(200)에 경사부(206a 및 206b)를 설치함으로써, 휨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라이저를 본체부(200)의 측면[우측면(200a) 및 좌측면(200b)]과 일체로 설치할 수 있어, 부품수나 조립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0)의 양 측면 각각의 전방 테두리(202a 및 202b) 및 하부 테두리(204a 및 204b)에 굴곡부(202c 및 204c)를 설치함으로써, 그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206a 및 206b)를 따라서 보강 부재(25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전방 테두리(202a 및 202b)로부터의 하중이 하부 테두리(204a 및 204b)로 전해져 경사부(206a 및 206b)로의 하중이 경감되어, 휨에 의한 변형이 더욱 적절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라이저를 본체부(200)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라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본체부(200)(수납고)가 되는 판형상 부재의 판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양해된다.
본 발명은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슬라이드식 서랍을 구비하는 수납고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키친
110 : 천장판
112 : 풍로
112a : 그릴
112b : 조작 패널
114 : 조리 스페이스
116 : 싱크
120 : 풍로 캐비닛
122 : 스파이스 박스
124 : 서랍
126 : 발밑 수납고
130 : 베이스 캐비닛
132 : 서랍
134 : 서랍
136 : 발밑 수납고
140 : 싱크 캐비닛
144 : 서랍
146 : 발밑 수납고
200 : 본체부
200a : 우측면
200b : 좌측면
200c : 배면
200d : 전방면
200e : 바닥면
202a : 전방 테두리
202b : 전방 테두리
202c : 굴곡부
204a : 하부 테두리
204b : 하부 테두리
204c : 굴곡부
205a : 전방 테두리
205c : 굴곡부
206a : 경사부
206b : 경사부
210a : 레일
220a : 나사 수용 플레이트
220c : 나사 수용 플레이트
250 : 보강 부재
252a : 제1 접촉면
252b : 제2 접촉면
252c : 경사면
254 : 후퇴부
256a : 정면
256b : 배면
258a : 나사 구멍
258b : 나사 구멍
258c : 연결 구멍
260 : 단차부
270 : 코어재

Claims (3)

  1. 피수납물을 수납 가능한 슬라이드식 서랍을 구비하는 수납고이며,
    적어도 양 측면이 스테인리스제의 판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서랍을 수용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그 양 측면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의 전방 테두리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테두리에 이르기까지 후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와,
    그 양 측면 각각의 전방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굴곡부와,
    상기 전방 테두리의 굴곡부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면과, 상기 하부 테두리의 굴곡부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면과, 상기 제 1 접촉면과 상기 제 2 접촉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경사면과, 상기 제 1 접촉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단차부를 갖는, 수지제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면은 상기 전방 테두리의 굴곡부 내에 삽입되어 그 내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 2 접촉면은 상기 하부 테두리의 굴곡부 내에 삽입되어 그 내면과 접촉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전방 테두리의 굴곡부의 단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경사면이 설치된 측면과 반대측 측면에 후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그 바닥면의 전방 테두리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굴곡부를 갖고,
    당해 수납고는 상기 바닥면의 전방 테두리에 설치된 굴곡부에 삽입되는 수지제의 코어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코어재와 공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KR1020110125066A 2010-12-28 2011-11-28 수납고 KR101869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1621A JP5264876B2 (ja) 2010-12-28 2010-12-28 収納庫
JPJP-P-2010-291621 201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52A KR20120075352A (ko) 2012-07-06
KR101869557B1 true KR101869557B1 (ko) 2018-06-20

Family

ID=4633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066A KR101869557B1 (ko) 2010-12-28 2011-11-28 수납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64876B2 (ko)
KR (1) KR101869557B1 (ko)
CN (1) CN102525141A (ko)
TW (1) TWI520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6948B (zh) * 2015-05-14 2017-08-25 志邦厨柜股份有限公司 一种带透气装置的灶具柜
JP7017371B2 (ja) * 2017-10-31 2022-02-08 クリナップ株式会社 収納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079A (ja) * 1999-10-04 2001-04-17 Itoki Crebio Corp 棚 板
JP2003070560A (ja) * 2001-08-31 2003-03-11 Kyoei Ind Co Ltd 組立式収納庫
JP2005160672A (ja) * 2003-12-02 2005-06-23 Eidai Co Ltd 台所用家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894Y2 (ko) * 1980-08-20 1988-06-23
JPH044587Y2 (ko) * 1985-01-07 1992-02-10
JPH0340167Y2 (ko) * 1986-03-25 1991-08-23
JPH0213423U (ko) * 1988-07-12 1990-01-26
CN2043265U (zh) * 1989-01-24 1989-08-23 四川省达风应用技术公司 一种双面对合内联接内涂敷门扇
JPH06154036A (ja) * 1992-11-20 1994-06-03 Inax Corp キャビネット構成用部材及び製造方法
CN2180121Y (zh) * 1993-12-25 1994-10-26 宁波奇峰企业有限公司 不锈钢橱柜
JP2000050980A (ja) * 1998-08-04 2000-02-22 Cleanup Corp 金属製キャビネット
JP3501085B2 (ja) * 2000-03-24 2004-02-23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CN100446695C (zh) * 2006-04-11 2008-12-31 谷丽华 橱柜
CN201067202Y (zh) * 2007-07-31 2008-06-04 朱建国 柜和架用的金属搁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079A (ja) * 1999-10-04 2001-04-17 Itoki Crebio Corp 棚 板
JP2003070560A (ja) * 2001-08-31 2003-03-11 Kyoei Ind Co Ltd 組立式収納庫
JP2005160672A (ja) * 2003-12-02 2005-06-23 Eidai Co Ltd 台所用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40624A (en) 2012-10-16
KR20120075352A (ko) 2012-07-06
TWI520700B (zh) 2016-02-11
JP2012135570A (ja) 2012-07-19
JP5264876B2 (ja) 2013-08-14
CN102525141A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557B1 (ko) 수납고
KR20120087797A (ko) 수납고
KR102137620B1 (ko) 자가 교체 가능한 업소용 취반기
JP5579047B2 (ja) 収納庫
JP6455049B2 (ja)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JP5264877B2 (ja) 収納庫
JP2012157401A (ja) 収納庫
KR101869559B1 (ko) 수납고
JP7017371B2 (ja) 収納庫
JP5140574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5484312B2 (ja) 収納庫
JP2004121507A (ja) 引出
JP2019130076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6230391B2 (ja) 蹴込み引き出し用連結部材及び蹴込み引き出し
JP2023005704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20100010652U (ko) 조립식 양념통 수납구
JP2021119881A (ja) 水まわり用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引出しの組立方法
JP2023023514A (ja) 対面式キッチン
JP2021112469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2021062062A (ja) 引き出し付きキャビネットおよび仕切り部材
JP2007105200A (ja) 引出し構造
JP2012157614A (ja) 収納庫
JP2008093417A (ja) 戸棚
JPH04104938U (ja) 引き出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