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14B1 -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14B1
KR101869514B1 KR1020170143621A KR20170143621A KR101869514B1 KR 101869514 B1 KR101869514 B1 KR 101869514B1 KR 1020170143621 A KR1020170143621 A KR 1020170143621A KR 20170143621 A KR20170143621 A KR 20170143621A KR 101869514 B1 KR101869514 B1 KR 10186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upports
mold
roller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섭
Original Assignee
한국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4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of filament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9/14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fibre-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각 단위섬유(301)들이 원호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라들면서 용융수지(500)를 섬유와이어(300)의 내측에 충분히 함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 다이구조체를 통하여 제조된 펠릿은 수지의 함침율이 향상되어, 성형품의 클랙의 발생을 줄이고 강도가 향상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Die structure for manufacturing resin pellet}
본 발명은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섬유에의 수지 함침율이 향상되도록 한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치수 안정성, 내크립성, 내열성 및 강성이 낮기 때문에 고강도 및 정밀성을 요구하는 부품의 소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충진재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컴파운딩 공정을 거쳐 보강재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혼합하여 보강재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 펠렛을 제조하고, 이를 사출성형하여 강화된 열가소성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재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 펠렛을 만드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는 보강재와 수지간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 결합력이 낮으면,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응력이 수지와 보강재간의 계면에 작용하여, 계면을 중심으로 파괴가 진행되므로, 목표로 하는 강성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일예의 펠렛 제조장치가 한국특허등록 10-1719610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열가소성 플라스틱(R)이 투입되며, 플라스틱 히터(112a)에 의하여 용융되는 플라스틱 투입부(111); 상기 플라스틱 투입부(111)의 하측에 결합되는 바디(113); 상기 바디(113) 내측에 환(環)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라스틱 투입부(111)에서 공급되는 용융된 열가소성 범용 플라스틱(R)이 통과하는 환형 연결 통로(114); 상기 바디(113)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천연섬유 로프(F)를 인입하여 공급하는 로프 인입수단(116); 상기 바디(113)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 인입수단(116)으로부터 공급되어 인입된 상기 천연섬유 로프(F)가 통과하는 통공(118a)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다이(die)(118); 상기 내측 다이(118)와의 사이에 코팅 챔버(117)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디(113)의 타측에 설치되며, 외측표면에
상기 열가소성 범용 플라스틱(R)이 코팅된 상기 천연섬유 로프(F)가 압출되는 토출공(119a)이 형성되어 있는 토출 다이(119); 상기 환형 연결 통로(114)로부터 상기 코팅 챔버(117)에 용융된 상기 열가소성 범용 플라스틱(R)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공급공(115); 상기 열가소성 범용 플라스틱(R)이 코팅된 상기 천연섬유 로프(F)를 펠렛 형상으로 절단하는 펠렛타이저(120)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는 로프(F)의 표면에만 용융된 열가소성 범용 플라스틱(R)이 코팅됨으로써, 펠렛의 용융 수지 함량이 낮아 사출성형시 제품에 크랙 발생률이 높고 충격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지와 섬유 사이의 함침율이 높은 펠렛의 제조가 요구된다.
한국특허등록 10-17196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펠렛을 이용한 사출성형시 생산된 제품의 크랙발생을 줄이고 충격강도가 우수하도록 펠렛의 수지 함침률이 높은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복수의 단위섬유들이 꼬아져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서포트와, 상기 각 하부 서포트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서포트와 하부롤러들을 수용하도록 오목한 하부홈을 형성하는 하부둘레턱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 서포트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서포트와, 상기 각 상부 서포트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상부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홈 및 하부둘레턱에 대응되는 상부홈 및 상부둘레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되어 챔버가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둘레턱의 일측에 상기 섬유가 복수로 진입되는 복수의 진입공과 타측에 상기 각 섬유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금형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챔버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한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공급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하부롤러에는 상기 각 섬유가 안내되는 원호형 단면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공에서 배출공으로 갈수록 상기 각 하부롤러의 안내홈의 곡률이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은 상기 챔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섬유들이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에 엇걸리게 안내되면서 상기 단위섬유들이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단위섬유들 사이에 함침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 다이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에 상기 챔버내의 용융수지의 가열시키도록 히터봉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단위섬유(301)들이 원호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라들면서 용융수지(500)를 섬유와이어(300)의 내측에 충분히 함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 다이구조체를 통하여 제조된 펠릿은 수지의 함침율이 향상되어, 성형품의 클랙의 발생을 줄이고 강도가 향상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펠렛 제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다이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다이 구조체의 상부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다이 구조체의 하부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7은 섬유와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하부롤러들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단위섬유들 사이로 용융수지가 함침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0은 용융수지가 함침되면서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섬유와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 실시예의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는 펠렛을 이용한 사출성형시 생산된 제품의 크랙발생을 줄이고 충격강도가 우수하도록 섬유에 수지 함침률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다이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다이 구조체의 상부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다이 구조체의 하부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2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섬유와이어(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섬유(301)들이 꼬아져서 형성되며, 본 발명 실시예의 다이 구조체는 섬유와이어(300)에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가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이 구조체는 상호 형합되어 챔버(400)를 형성하고, 섬유와이어(300)가 진입되는 진입공(410)과 수지가 합침된 섬유와이어(300)가 배출되는 배출공(420)이 형성된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금형(200)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서포트(220)와, 상기 각 하부 서포트(22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롤러(2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서포트(220)와 하부롤러(230)들을 수용하도록 오목한 하부홈(210)을 형성하는 하부둘레턱(21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금형(100)은 상기 하부 서포트(220)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서포트(120)와, 상기 각 상부 서포트(1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상부롤러(1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홈(210) 및 하부둘레턱(211)에 대응되는 상부홈(110) 및 상부둘레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200)과 형합되어 상기 챔버(400)를 형성한다.
상기 상,하부둘레턱(111)(211)의 일측에는 상기 섬유와이어(300)가 복수로 진입되는 복수의 진입공(4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각 섬유와이어(300)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42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상기 챔버(400)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한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공급공(20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섬유와이어(300)들은 상기 각 하부롤러(230)와 상부롤러(130)에 엇걸리게(지그재그로) 안내되면서 상기 단위섬유(301)들이 펼쳐지게 되고, 상기 용융수지(500)가 상기 펼쳐진 단위섬유(301)들 사이에 함침되면서 상기 배출공(420)으로 인출되게 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금형(200)에는 6개의 하부롤러(230)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입공(410)으로부터 첫번째인 제1하부롤러(231)와 네번째인 제4하부롤러(234) 및 일곱번째인 제7하부롤러(237)에는 상기 각 섬유와이어(300)가 안내되는 안내홈(231a)(234a)(237a)이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 하부롤러(230)들은 별도의 안내홈이 없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4하부롤러(234)와 제7하부롤러(237)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롤러(135)에는 각 분리된 단위섬유(301)들을 안내하는 원호형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안내홈(231a)(234a)(237a)은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입공(410)에서 배출공(420)으로 갈수록 상기 각 하부롤러(231)(234)(237)의 안내홈(231a)(234a)(237a)의 곡률은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섬유와이어(300)의 직경은 5~6mm, 안내홈(231a)의 직경은 8mm, 안내홈(234a)의 직경은 10mm, 안내홈(237a)의 직경은 6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420)은 상기 챔버(400)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420)의 직경은 2.5~2.9mm로 형성된다.
상기
한편, 상기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에는 상기 챔버(400)내의 용융수지의 경화가 방지되도록 가열시키는 히터봉(150)(25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다이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용융수지(500)가 함침된 섬유와이어(300)를 제조하게 된다.
먼저, 상기 하부금형(200)에 대해 상부금형(100)을 형개한 상태에서 섬유와이어(300)를 하부금형(200)의 하부롤러들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부금형(100)을 하부금형(200)과 형합시킨다. 이때 각 섬유와이어(3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들 사이에 지그재그로 안내되게 된다.
상기 배출공(420) 외측의 인출롤러(미도시)에 의해서 각 섬유와이어(300)들은 챔버(400) 내부를 주행하면서 용융수지(500)가 함침되어 배출공(420)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열가소성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용융수지(500)는 수지공급공(201)을 통하여 챔버(400)에 공급되며, 히터봉(150)(250)에 의해서 용융상태가 유지되면서 주행되는 섬유와이어(300)에 함침된다.
상기 인출롤러의 인출력 및 섬유와이어(300)의 파도형 주행곡선에 의해서 장력이 부여되는 섬유와이어(300)들은 상부롤러(130)와 하부롤러(230)의 표면에 밀착되어서 각 단위섬유(301)들이 펼쳐지게 되며, 펼쳐지는 각 단위섬유(301)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홈(231a)(234a)(237a)의 내면에 원호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안내된다.
이때 각 단위섬유(301)들로 이루어지는 오목한 홈에는 융융수지(500)가 수용되게 되고, 각 단위섬유(301)들이 점차 작아지는 곡률의 원호홈(237a)을 경유하면서 단위섬유(301)들이 원형상으로 오므라들게 되어 섬유와이어(300)의 내부에 용융수지(500)를 충분히 함침된 상태로 배출공(42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즉, 섬유와이어(300)들은 곡률이 점차 커지는 제1하부롤러(231)와 제4하부롤러(234)의 원호홈(231a)(234a)을 경유하면서 각 단위섬유(301)들이 원할하게 원호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또한 곡률이 작아지는 제7하부롤러(237)의 원호홈(237a)을 경유하면서 각 단위섬유(301)들이 원 형태로 오므라들게 되면서 배출공(42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420)은 상기 챔버(400)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함침된 수지들이 단위섬유(301)들 사이에 견고히 함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단위섬유(301)들이 원호형상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라들면서 용융수지(500)를 섬유와이어(300)의 내측에 충분히 함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용융수지(500)가 함침된 섬유와이어(300)는 냉각되고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혼합하여 보강재로 강화된 열가소성 수지 펠렛을 제조하고, 이를 사출성형하여 강화된 열가소성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다이구조체를 통하여 제조된 펠릿은 수지의 함침율이 향상됨으로써, 성형품의 클랙의 발생을 줄이고 강도가 향상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100...상부금형 110...상부홈
120...상부서포트 130...상부롤러
200...하부금형 210...하부홈
220...하부서포트 230...하부롤러
231a,234a,237a...원호홈

Claims (4)

  1.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에 있어서,
    섬유와이어(300)는 복수의 단위섬유(301)들이 꼬아져서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 서포트(220)와, 상기 각 하부 서포트(22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하부롤러(2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서포트(220)와 하부롤러(230)들을 수용하도록 오목한 하부홈(210)을 형성하는 하부둘레턱(211)이 형성된 하부금형(200)과;
    상기 하부 서포트(220)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서포트(120)와, 상기 각 상부 서포트(1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상부롤러(130)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홈(210) 및 하부둘레턱(211)에 대응되는 상부홈(110) 및 상부둘레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200)과 형합되어 챔버(400)가 형성되는 상부금형(100);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둘레턱(111)(211)의 일측에 상기 섬유와이어(300)가 복수로 진입되는 복수의 진입공(410)과 타측에 상기 각 섬유와이어(300)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금형(100)(200)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챔버(400)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한 용융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 공급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각 하부롤러(230)에는 상기 각 섬유와이어(300)가 안내되는 원호형 단면의 안내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진입공(410)에서 배출공(420)으로 갈수록 상기 각 하부롤러(230)의 안내홈(231)의 곡률이 점차 커지다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420)은 상기 챔버(400)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섬유와이어(300)들이 상기 각 하부롤러(230)와 상부롤러(130)에 엇걸리게 안내되면서 상기 단위섬유(301)들이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용융수지가 상기 단위섬유(301)들 사이에 함침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에 상기 챔버(400)내의 용융수지를 가열시키도록 히터봉(150)(250)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KR1020170143621A 2017-10-31 2017-10-31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KR10186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21A KR101869514B1 (ko) 2017-10-31 2017-10-31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21A KR101869514B1 (ko) 2017-10-31 2017-10-31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514B1 true KR101869514B1 (ko) 2018-06-20

Family

ID=6276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621A KR101869514B1 (ko) 2017-10-31 2017-10-31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575A (ko) * 2011-01-05 2012-07-13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의 제조장치
KR101719610B1 (ko) 2014-10-30 2017-03-24 손근수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575A (ko) * 2011-01-05 2012-07-13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의 제조장치
KR101719610B1 (ko) 2014-10-30 2017-03-24 손근수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 압출 코팅 천연섬유 로프 사출형 펠렛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1925B2 (ja) 複合繊維および繊維を生成する方法
RU2573674C2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й препрег, содержащий непрерывные и длинные волокна
FI92985C (fi) Menetelmä jatkuvilla kuiduilla vahvistettujen profiilien valmistamiseksi kuumassa pehmenevästä hartsista ja laitteisto niiden saamiseksi
TWI703030B (zh) 包含發泡體核心之纖維強化外型的連續製造方法
KR20130088033A (ko) 보강된 인발성형 프로파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30112710A (ko) 보강된 속이 빈 프로파일
JPH02297424A (ja) 熱可塑性物品の製造方法
US20170305078A1 (en) Method for producing continuous composite sandwich structures by pultrusion
KR102334459B1 (ko) 연속섬유 보강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890001528B1 (ko) 연속로드형 모울딩의 성형방법 및 장치
CN107249838A (zh) 用于生产纤维复合材料的方法和设备
JPH0371258B2 (ko)
JP3862978B2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からなる安全靴先芯の製造方法
JP2019001066A (ja) 長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線状物の製造方法
KR101869514B1 (ko)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다이 구조체
WO20200773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ber composite parts
TW201406842A (zh) 碳纖維複合材料及使用其而成之成形品、以及彼等之製造方法
KR20190037653A (ko) 몰드에 수지의 직접 공급과 블로잉을 통한 튜브형 복합재의 제조 방법
CN216914916U (zh) 一种拉挤制件生产设备及拉挤制件
KR102236570B1 (ko) 유리섬유 보강근의 압착 성형 및 가열 장치
JP2018034461A (ja) らせん状高強度繊維複合線材の製造方法,高強度繊維複合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繊維複合ケーブル
IL2288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reinforced workpieces of synthetic material
JPH04197726A (ja) 長繊維強化複合材の製造方法
KR102344943B1 (ko)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JP2000210743A (ja) 高温湿式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