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52B1 -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 Google Patents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52B1
KR101867752B1 KR1020170003792A KR20170003792A KR101867752B1 KR 101867752 B1 KR101867752 B1 KR 101867752B1 KR 1020170003792 A KR1020170003792 A KR 1020170003792A KR 20170003792 A KR20170003792 A KR 20170003792A KR 101867752 B1 KR101867752 B1 KR 10186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epoxy
resin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웅
김우석
조재필
박수형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6Amines together with other c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6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constructed of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20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RESIN COMPOSITION FOR PRESSURE VESSEL AND PRESSURE VESSE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용기는 압력 하에서 액체, 액화 가스, 응축 가스 등을 함유할 수 있는 구조체로서, 저장 용기, 파이프, 일시적인 승압에 노출되는 구조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용기는 내압의 대부분을 지탱하는 외부 복합재층과 내부의 형틀을 제공하는 라이너(liner)로 구성되어 있고, 전통적으로 금속으로 제조되었으나, 금속성 라이너로 제조되는 중량이 무거우며 부식에 매우 약한 동시에 제조 원가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플라스틱 라이너 외부에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보강 섬유를 감거나 적층한 압력 용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보강 섬유는 일반적으로 매트릭스 수지에 함침시켜 플라스틱 라이너에 감거나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매트릭스 수지는 압력 용기에 인가되는 응력을 보강 섬유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지의 물성 또한 압력 용기 설계 시 중요한 인자이다.
특히, 압축 수소 저장용 압력 용기는 높은 충전 및 방전 압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 및 방전 시 압력 용기의 수축과 팽창 정도가 크고, 높은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압축 수소 저장용 압력 용기에 적용되는 매트릭스 수지는 다양한 환경, 즉, 고온 다습한 환경과 같은 악조건의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이 필요하고, 이러한 조건에 맞는 매트릭스 수지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환경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20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민 및 1종 이상의 환형 아민의 혼합물을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노볼락 에폭시, 난연성 에폭시, 환형지방족 에폭시 및 고무 변성 에폭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 섬유는 금속 섬유, 금속화된 무기 섬유, 금속화된 합성 섬유,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흑연 섬유,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 미네랄 섬유, 현무암 섬유, 무기 섬유, 아라미드 섬유, 케나프 섬유, 주트 섬유, 아마 섬유, 대마 섬유, 셀룰로스 섬유, 사이잘 섬유 및 코이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방출구를 포함하고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라이너(liner), 및 상기 라이너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20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외장재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한 열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0~150℃일 수 있다.
상기 외장재는 100℃의 온도 조건 및 95%의 습도 조건에서 200시간동안 노출 후의 인장 강도 저하율이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용기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62호의 검사 기준에 의해 85℃의 온도 조건 및 95%의 습도 조건에서 7500회 이상의 반복 가압에도 파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압력 용기의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는 연료 유입구(10) 및 연료 방출구(20)를 포함하고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압력 용기용 라이너(30)와 라이너(30)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외장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력 용기는 연료로서 수소를 저장하고 있는 수소 저장 탱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탄, 부탄, 프로판, 헬륨, 질소 및 산소 등의 다양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연료로서 수소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소 용기 내에 수소 흡장 합금 등의 수소 저장 재료를 넣어 압축에 의한 압력 용기, 수소 저장 재료에 의한 연료 저장 탱크나 수소를 액체로 저장하는 압력 용기 등 다양한 형태의 압력 용기일 수 있다.
압력 용기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 또는 비원통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저장 탱크의 라이너(30)는 합성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외장재(40)는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릭스 수지는 고분자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릭스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노볼락 에폭시, 난연성 에폭시, 환형지방족 에폭시 및 고무 변성 에폭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민계 경화제로는 방향족 아민, 지방족 폴리아민, 변성 지방족 폴리아민, 환형 아민, 제2 아민 및 제3 아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아민계 경화제는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민과 1종 이상의 환형 아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방족 아민은 사슬 구조를 가져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신율을 부여할 수 있고, 환형 아민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민과 1종 이상의 환형 아민의 혼합물을 경화제로 사용함으로 인해 외장재(40)의 경화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민계 경화제는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아민계 경화제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화도가 낮아 외장재(4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교 밀도가 높아 신율이 낮아지고, 취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강화 섬유로는 금속 섬유, 금속화된 무기 섬유, 금속화된 합성 섬유,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흑연 섬유,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 미네랄 섬유, 현무암 섬유, 무기 섬유, 아라미드 섬유, 케나프 섬유, 주트 섬유, 아마 섬유, 대마 섬유, 셀룰로스 섬유, 사이잘 섬유 및 코이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 섬유로서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비중이 1.7~1.9인 탄소 섬유 토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75~1.85의 비중을 가지는 탄소 섬유 토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탄소 섬유 토우의 비중이 1.7 미만인 경우 탄소 섬유 토우를 형성하는 탄소 섬유 필라멘트에 보이드(void)가 많이 존재할 수 있어 탄소 필라멘트의 치밀성이 낮아질 수 있어 낮은 압축 강도를 가질 수 있고, 비중이 1.9 초과인 경우, 재료의 경량화 효과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소 섬유 토우의 토우당 필라멘트의 수는 1,000~300,000개일 수 있다.
이는 필라멘트의 수가 1,000개 미만인 경우 대면적의 탄소 섬유 복합 재료 제조 시 부피당 면적비가 낮아 제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300,000개를 초과하는 경우 탄소 섬유 토우당 필라멘트의 결점이 많아져 재료의 인장 강도나 압축 강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40)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 등의 매트릭스 수지 조성물로만 외장재(40)가 형성될 경우 고온다습한 환경에서의 반복적은 가압 평가 결과 안정성이 낮게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 조성물로 형성된 외장재(40)는 제올라이트의 우수한 흡습성으로 인해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반복 가압에 따른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 대비 3~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올라이트가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외장재(40)의 흡습성이 떨어질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매트릭스 수지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압력 용기의 외장재(40) 제조 공정에서의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조성물의 경화물인 외장재(40)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한 열 분석에 의한 유리 전이 온도가 100~150℃의 범위일 수 있다.
이는 외장재(40)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압력 용기에 연료의 충전 및 방전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유연해져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0℃를 초과하는 경우 취성이 크고 신율이 작아 압력 용기에 연료의 충전 및 방전 시 깨지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조성물의 경화물인 외장재(40)는 내가수분해성 측정 평가에 의해 얻어지는 물성 저하율, 즉 인장 강도 저하율이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조성물의 경화물인 외장재(40)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62호 검사 기준 7500회의 반복 가압에도 파열되지 않는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관능성 에폭시 수지(Diluted Epoxy Resin; 금호피앤비화학, KER 815) 100중량부에, 제1 경화제(Isophorone diamine; 국도화학, IPDA) 5중량부 및 제2 경화제(Polyether diamine; 헌츠만, JEFFAMINE® D-230) 20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5분동안 혼합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제올라이트를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 대비 3중량부 첨가한 뒤 고진공 회전 교반기(paste mixer, 대화테크)를 이용하여 400rpm으로 4분간 교반 후, 3분간 고진공으로 회전시키면서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탄소 섬유 토우에 함침시켜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습식 필라멘트 와인딩기(Wet Filament Winder)를 이용하여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을 100L 용량의 플라스틱 라이너에 감고, 경화로에 넣어 110℃에서 120분 동안 경화시켜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올라이트 5중량부, 제1 경화제를 7.5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17.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올라이트 7중량부, 제1 경화제를 10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1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올라이트 9중량부, 제1 경화제를 12.5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12.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올라이트 11중량부, 제1 경화제를 15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올라이트 13중량부, 제1 경화제를 17.5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7.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제올라이트 15중량부, 제1 경화제를 20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올라이트 17중량부, 제1 경화제를 9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6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제올라이트 20중량부, 제1 경화제를 12중량부 및 제2 경화제를 8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올라이트를 21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압력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측정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의 조건에 따라 경화된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5℃/분의 승온 속도로 측정하였다.
(2)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의 인장 강도 측정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의 조건에 따라 경화된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의 인장 강도를 Instron Model 8501 UTM을 이용하여 ASTM D638 규격으로 평가하였다. 이 때, 최대 하중 10톤의 로드 셀(load cell)을 이용하였으며, 인장 시험 시, 크로스 헤드 속도(cross head speed)는 0.05mm/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며 실험하였다.
(3)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의 물성저하율 측정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의 조건에 따라 제조된 압력 용기의 물성 저하율은 100℃의 온도 조건과 95%의 습도 조건에서 200시간 노출한 전후의 인장 강도 값의 비교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 때, 상기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에 노출된 전 후의 압력 용기 외장재의 인장 강도는 Instron Model 8501 UTM을 이용하여 ASTM D638 규격으로 평가하였다. 이 때, 최대 하중 10톤의 로드 셀(load cell)을 이용하였으며, 인장 시험 시, 크로스 헤드 속도(cross head speed)는 0.05mm/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며 실험하였다.
압력 용기 외장재의 물성 저하율은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수학식 1]
물성저하율(%)= (노출 전 인장 강도- 노출 후 인장 강도)/ (노출 전 인장 강도X 100)
(4) 압력 용기의 고온 반복 가압 시 안정성 측정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의 조건에 따라 경화된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의 고온 반복 가압 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62호 규격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압력 용기를 85℃의 온도 조건 및 95%의 습도 조건에서 48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85℃의 고온수를 이용하여 2MPa에서 충전압인 70MPa의 125%까지 반복하여 가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7,500회까지 압력 용기의 파열이나 누출이 없을 경우 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실험예에 따라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Tg(℃) 인장강도
(MPa)
신율(%) 물성저하율
(%)
안정성 측정
비교예1 153 112.8 1.5 1.0 150
비교예2 78 46.5 5.8 35.0 4000
실시예1 91 59.6 5.5 6.8 7600
실시예2 98 65.6 5.2 6.1 7700
실시예3 102 68.7 4.9 5.7 8000
실시예4 105 71.3 4.6 5.6 8150
실시예5 112 75.2 4.4 4.3 8155
실시예6 115 79.8 3.8 3.5 8210
실시예7 121 83.4 2.9 2.1 8000
실시예8 92 51.2 5.9 7.7 7510
실시예9 96 62.7 5.7 6.2 762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력 용기의 경우 환형 아민 경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 전이 온도는 증가하고 항온항습 후 물성 저하율이 낮아지며, 고온반복가압 시험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환형 아민 경화제가 증가함에 따라 에폭시 수지 분자의 운동성을 제한하고, 그에 따라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증가시키고, 환형 아민 경화제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고분자 사슬 내로 침투한 수분의 가수분해에 대해서도 강한 결합력으로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력 용기의 경우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이나 제올라이트가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된 비교예 2에 비해 고온 반복 가압에 따른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온 반복 가압에 따른 안정성은 제올라이트를 13중량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6에 따른 압력 용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에 따르면, 다양한 환경에서 압력 용기의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연료 유입구 20: 연료 방출구
30: 라이너 40: 외장재

Claims (12)

  1.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민 및 1종 이상의 환형 아민의 혼합물을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노볼락 에폭시, 환형지방족 에폭시 및 고무 변성 에폭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5. 제2항에서,
    상기 강화 섬유는 금속 섬유, 금속화된 무기 섬유, 금속화된 합성 섬유,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흑연 섬유,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 미네랄 섬유, 현무암 섬유, 아라미드 섬유, 케나프 섬유, 주트 섬유, 아마 섬유, 대마 섬유, 셀룰로스 섬유, 사이잘 섬유 및 코이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6. 연료 유입구 및 연료 방출구를 포함하고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라이너(liner), 및
    상기 라이너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매트릭스 수지, 아민계 경화제, 강화 섬유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7. 제6항에서,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노볼락 에폭시, 환형지방족 에폭시 및 고무 변성 에폭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8. 제7항에서,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상기 아민계 경화제는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아민 및 1종 이상의 환형 아민의 혼합물을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9. 제8항에서,
    상기 강화 섬유는 금속 섬유, 금속화된 무기 섬유, 금속화된 합성 섬유,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흑연 섬유,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 미네랄 섬유, 현무암 섬유, 아라미드 섬유, 케나프 섬유, 주트 섬유, 아마 섬유, 대마 섬유, 셀룰로스 섬유, 사이잘 섬유 및 코이어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10. 제6항에서,
    상기 외장재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한 열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0~150℃인 압력 용기.
  11. 제6항에서,
    상기 외장재는 100℃의 온도 조건 및 95%의 습도 조건에서 200시간동안 노출 후의 인장 강도 저하율이 10% 이하인 압력 용기.
  12. 제6항에서,
    상기 압력 용기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62호의 검사 기준에 의해 85℃의 온도 조건 및 95%의 습도 조건에서 7500회 이상의 반복 가압에도 파열되지 않는 압력 용기.
KR1020170003792A 2017-01-10 2017-01-10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KR10186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92A KR101867752B1 (ko) 2017-01-10 2017-01-10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792A KR101867752B1 (ko) 2017-01-10 2017-01-10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752B1 true KR101867752B1 (ko) 2018-06-14

Family

ID=6262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792A KR101867752B1 (ko) 2017-01-10 2017-01-10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54A1 (ko) * 2021-12-29 2023-07-06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557A (en) * 1991-05-09 1996-08-06 Toyo Seikan Kaisha, Ltd. Container closure wth l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9541665A (ja) * 2006-06-23 2009-11-26 オングストローム パワー インク. 流体容器およびそれに関する方法
KR20140116141A (ko) * 2011-12-22 2014-10-01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제 컴파운드를 보호하기 위한 라이너
KR101638574B1 (ko) * 2015-12-15 2016-07-1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저점도 액상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2557A (en) * 1991-05-09 1996-08-06 Toyo Seikan Kaisha, Ltd. Container closure wth l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9541665A (ja) * 2006-06-23 2009-11-26 オングストローム パワー インク. 流体容器およびそれに関する方法
KR20140116141A (ko) * 2011-12-22 2014-10-01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접착제 컴파운드를 보호하기 위한 라이너
KR101638574B1 (ko) * 2015-12-15 2016-07-1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저점도 액상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54A1 (ko) * 2021-12-29 2023-07-06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394B1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토우프레그
KR101802631B1 (ko) 저점도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토우프레그와 그의 제조방법 및 토우프레그를 이용한 압력용기의 제조방법
JP6683962B2 (ja) 低粘度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る圧力容器
KR20180097592A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섬유 강화 복합 재료, 성형품 및 압력 용기
CN111087761A (zh) 一种环氧树脂及其制备方法
KR101867752B1 (ko)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US6187443B1 (en) Thermosetting composition, uses thereof and a flexible deployable preform comprising the composition
KR102118285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토우프레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1164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토우프레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37633A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및 압력용기
KR101794469B1 (ko) 압력 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
US2021031649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ressed-gas container
CA2053439C (en) Epoxy resin blend for resin transfer molding and filament winding
KR102453290B1 (ko) 강도전이율이 향상된 탄소섬유 복합재료와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용기
RU2304599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14571712A (zh) 复合高压储氢容器塑料内胆缠绕结构及方法
KR102307642B1 (ko) 압력용기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테이프 형상의 프리프레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01407A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력용기
Kim et 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osite CNG pressure vessels
KR20230140109A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탄소섬유 복합재료
US20240166797A1 (en) Cryogenic Elastomer from Ionic Liquid Epoxy
KR101708546B1 (ko) 인장강도와 파괴인성이 향상된 복합재료와 기계적 특성과 내압 특성이 우수한 압력용기
KR102422403B1 (ko) 개섬 섬유를 이용한 토우프레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6363B1 (ko) 2차 가스배리어 및 그 제조방법
EP4261027A1 (en)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