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23B1 - 부식실험장치 - Google Patents

부식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23B1
KR101867723B1 KR1020160173422A KR20160173422A KR101867723B1 KR 101867723 B1 KR101867723 B1 KR 101867723B1 KR 1020160173422 A KR1020160173422 A KR 1020160173422A KR 20160173422 A KR20160173422 A KR 20160173422A KR 101867723 B1 KR101867723 B1 KR 10186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nozzle
guide rod
unit
cor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필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는 챔버유닛, 시편이 자력에 의해서 고정되어 제공되고,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위치 변경되게 구비되는 시편고정유닛 및 상기 시편의 부식층을 탈락시키는 이탈제를 상기 시편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식실험장치{Apparatus for corrosion test}
본 발명은 부식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공개된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부식실험장치의 성능 및 소재의 품질평가 목적으로 표준샘플 또는 일정크기로 가공된 시편을 실험장치 내부 장입을 통해 염수분사 등 복합적 사이클 반복을 통해 표면 부식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이후 건조과정을 거쳐 표면 부식층 제거와 실험 전후 시편의 중량측정을 통해 성능 및 품질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부식 작업이 완료된 시편의 건조를 통한 부식층 제거작업은 일정크기의 밀폐공간에서 에어와 모래가 혼합된 이탈제를 시편의 표면에 분사하여 제거하고 있다.
여기서, 다수의 시편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부식실험장치 내부에 시편을 고정하는 것을 작업자가 직접 부식실험장치 내부에 고정시켜야 되므로 작업이 어렵고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탈제의 분사로 시야 확보가 어려우며 이탈제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의 이동에 따른 장치의 진동으로 정확하며 균일한 부식층 제거진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실험을 반복함에 따른 소요시간, 비용,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식실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 출원번호 제2006-0486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편에 대한 이탈제 분사시의 진동을 방지하고, 이탈제의 분사에 의하더라도 시야 확보가 가능한 부식실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는 챔버유닛, 시편이 자력에 의해서 고정되어 제공되고,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위치 변경되게 구비되는 시편고정유닛 및 상기 시편의 부식층을 탈락시키는 이탈제를 상기 시편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시편고정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력에 의해서 상기 시편의 고정을 조정하는 전자석부재, 상기 챔버유닛의 벽부에 구비된 가이드관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봉 및 일단부는 상기 챔버유닛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신축하는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봉에 연계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상기 가이드관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위치조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전자석부재는, 자력을 제공하는 면상에 상기 시편이 부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시편고정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홈과 기어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가이드봉은, 일단부에 연결탭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탭은 상기 위치조정실린더의 타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결합링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전자석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바디 및 상기 가이드봉이 연계된 상기 챔버바디의 양측벽부에 이웃한 상기 챔버바디의 전방벽부에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챔버유닛은, 양단부가 연결바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석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집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전자석부재가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챔버유닛의 상벽부와 결합되어 제공되는 노즐고정프레임 및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으로 이탈제를 분사하는 이탈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이탈노즐은 이탈제인 공기와 모래 또는 공기와 물의 혼합 물질을 함께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으로 부식제를 분사하는 부식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는 이탈제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이 고정되어 제공됨으로써, 시편에 대한 이탈제 분사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이탈제의 분사가 일정 영역에서만 수행되므로, 이탈제 분사에 의하더라도 시야 확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부식 실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재실험에 의한 소요 시간, 비용,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전자석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가이드봉과 위치조정실린더, 회전모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챔버유닛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수집망부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노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는 이탈제를 분사하는 노즐유닛(30)이 고정되어 제공됨으로써, 시편에 대한 이탈제 분사시의 진동을 방지하고, 이탈제의 분사가 일정 영역에서만 수행되므로, 이탈제 분사에 의하더라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서, 부식 실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부식층 제거시에 시편은 고정되어 있고, 분사노즐이 이동하며 분사하기 때문에, 분사되는 이탈제의 비산에 의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워지며, 이동과 분사가 동일 구성인 분사노즐에 의해서 수행되므로, 진동 발생과 분사 영역을 정확하게 컨트롤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는 챔버유닛(10), 시편이 자력에 의해서 고정되어 제공되고, 상기 챔버유닛(10)의 내부에 위치 변경되게 구비되는 시편고정유닛(20) 및 상기 시편의 부식층을 탈락시키는 이탈제를 상기 시편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제를 분사하는 노즐유닛(30)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시편이 고정되는 시편고정유닛(20)이 위치 변경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이탈제의 분사에 따른 진동 발생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이탈제 분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제는 고정된 위치에서만 분사되므로, 이탈제의 비산에 의해서 시야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챔버유닛(10)은 상기 시편고정유닛(20), 노즐유닛(30) 등이 구비되는 장치의 바디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써, 분사되는 이탈제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상기 시편에서 탈락된 부식층이 외부로 이탈되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챔버유닛(10)은 챔버바디(11), 개폐도어(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시편고정유닛(20)은 시험을 위한 시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상기 시편을 고정한 상태에서 위치 변경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노즐유닛(30)이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이탈제를 분사하더라도, 상기 이탈제가 상기 시편의 전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시편고정유닛(20)은 전자석부재(21), 가이드봉(22), 위치조정실린더(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시편고정유닛(20)은, 상기 챔버유닛(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력에 의해서 상기 시편의 고정을 조정하는 전자석부재(21), 상기 챔버유닛(10)의 벽부에 구비된 가이드관(13)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부재(21)와 결합되는 가이드봉(22) 및 일단부는 상기 챔버유닛(1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신축하는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봉(22)에 연계되어 상기 가이드봉(22)을 상기 가이드관(13)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위치조정실린더(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석부재(21)에서 상기 시편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봉(22)을 매개로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가 상기 전자석부재(21)의 위치를 왕복 변경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노즐유닛(30)이 상기 이탈제를 고정 위치에서 분사하더라도 상기 시편은 전면에서 상기 이탈제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석부재(21)는 자기력에 의해서 상기 시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자석부재(21)는 전자기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석부재(21)는 강자성체의 금속박스 내부에 코어와 코일이 구비된다. 상기 코어에 감겨진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금속박스에 자리력이 인가되고, 이는 상기 금속박스 외면에 부착될 시편과의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시편의 부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부재(21)는 상기 시편의 부착을 좀 더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안착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가이드봉(22)은 상기 전자석부재(21)와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를 매개하여 상기 전자석부재(21)를 위치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봉(22)은 상기 전자석부재(2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사이 챔버유닛(10)의 가이드관(13)에 삽입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22)은 상기 전자석부재(21)를 상기 가이드봉(22)의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 이동시키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전자석부재(21)를 상기 가이드봉(2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모터(24)와 연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전자석부재(21)에 상기 시편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는 상기 전자석부재(2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는 상기 전자석부재(21)와 결합된 상기 가이드봉(2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22)을 상기 가이드봉(22)의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봉(22)에 구비된 연결탭(22b)을 축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에는 결합링(23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노즐유닛(30)은 상기 시편으로 이탈제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노즐유닛(30)은 노즐고정프레임(31), 이탈노즐(3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전자석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전자석부재(21)는, 자력을 제공하는 면상에 상기 시편이 부착되는 안착홈(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석부재(21)는 상기 시편의 부착을 좀 더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안착홈(21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부재(21)에는 복수의 시편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21a)도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홈(21a)은 부착될 시편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시편이 자기력에 의해 부착 후에는 위치 변경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착홈(21a)은 상기 전자석부재(21)의 금속박스 외면에 상기 시편의 형상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 안착프레임을 끼워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프레임에 형성된 홀과 상기 금속박스 외면이 협력하여 형성하는 홈 형상으로 상기 안착홈(21a)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가이드봉(22)과 위치조정실린더(23), 회전모터(24)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시편고정유닛(20)은, 상기 챔버유닛(10)의 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22)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홈(22a)과 기어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2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4)는 상기 가이드봉(22)과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22)에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봉(22)이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에 의해서 상기 전자석부재(21)를 상기 가이드봉(22)의 축 방향으로 직선 방향 이동시키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전자석부재(21)를 상기 가이드봉(2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상기 챔버유닛(10)의 전방벽부에 구비되는 개폐도어(12)를 개방하여 시편을 상기 전자석부재(21)에 탈착시키는 경우에, 상기 전자석부재(21)가 상기 개폐도어(12)와 대면하는 면을 회전에 의해서 변경시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부재(21)에 상기 시편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24)가 상기 가이드봉(22)을 상기 가이드봉(2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더하여, 상기 가이드봉(22)이 상기 가이드봉(22)의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봉(22)에는 연결탭(22b)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에는 결합링(23a)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가이드봉(22)은, 일단부에 연결탭(22b)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탭(22b)은 상기 위치조정실린더(23)의 타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결합링(23a)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챔버유닛(10)을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챔버유닛(10)은, 상기 전자석부재(21)가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바디(11) 및 상기 가이드봉(22)이 연계된 상기 챔버바디(11)의 양측벽부에 이웃한 상기 챔버바디(11)의 전방벽부에 구비되는 개폐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챔버유닛(10)이 상기 챔버바디(11), 개폐도어(1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챔버유닛(10)은 노즐유닛(30)에서 분사되는 이탈제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상기 시편고정유닛(20)에 고정된 시편에서 탈락된 부식층이 외부로 이탈되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도어(12)는 상기 챔버바디(11)에 개폐가능한 힌지 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2)는, 상기 개폐도어(12)가 닫혀서, 상기 챔버바디(11)가 밀폐된 경우에도 상기 챔버바디(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유리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수집망부재(14)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챔버유닛(10)은, 양단부가 연결바(14a)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봉(22)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석부재(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집망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석부재(21)의 하부에 상기 수집망부재(1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자석부재(21)에 부착된 시편에 이탈제가 분사되어 상기 시편에서 부식층이 탈락한 경우에, 탈락한 상기 부식층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집망부재(14)는 메쉬망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분사되는 상기 이탈제는 통과시키고, 탈락한 상기 부식층만을 수집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시편의 부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부식층 제거 전후의 상기 시편의 중량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도 있으나, 상기 수집망부재(14)에 수집된 탈락된 부식층의 중량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도 있어, 시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가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에서 노즐유닛(30)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노즐유닛(30)은, 상기 전자석부재(21)가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챔버유닛(10)의 상벽부와 결합되어 제공되는 노즐고정프레임(31) 및 상기 노즐고정프레임(31)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으로 이탈제를 분사하는 이탈노즐(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노즐유닛(30)이 노즐고정프레임(31), 이탈노즐(32)을 포함함으로써,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제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이탈제의 분사시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분사 위치의 변경에 따른 실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노즐(32)에서 분사하는 이탈제는 상기 시편에 부착된 부식층을 탈락시켜야 하기 때문에, 분사가 가능하면서도 상기 부식층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부식층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이탈노즐(32)은 이탈제인 공기와 모래 또는 공기와 물의 혼합 물질을 함께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식실험장치는 상기 시편에 형성된 부식층을 탈락시키기 위해서, 이탈제만을 분사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시편에 부식층을 형성하는 부식제도 분사하게 구성함으로써, 시편에 대한 부식 실험을 하나의 장치에서 모두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실험장치의 상기 노즐유닛(30)은, 상기 노즐고정프레임(31)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으로 부식제를 분사하는 부식노즐(33)을 포함할 수 있다.
10: 챔버유닛 11: 챔버바디
12: 개폐도어 13: 가이드관
14: 수집망부재 20: 시편고정유닛
21: 전자석부재 22: 가이드봉
23: 위치조정실린더 24: 회전모터
30: 노즐유닛 31: 노즐고정프레임
32: 이탈노즐 33: 부식노즐

Claims (10)

  1. 챔버유닛;
    시편이 자력에 의해서 고정되어 제공되고,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위치 변경되게 구비되는 시편고정유닛; 및
    상기 시편의 부식층을 탈락시키는 이탈제를 상기 시편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시편고정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력에 의해서 상기 시편의 고정을 조정하는 전자석부재;
    상기 챔버유닛의 벽부에 구비된 가이드관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봉; 및
    일단부는 상기 챔버유닛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신축하는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봉에 연계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상기 가이드관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위치조정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전자석부재가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챔버유닛의 상벽부와 결합되어 제공되는 노즐고정프레임; 및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으로 이탈제를 분사하는 이탈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유닛은,
    양단부가 연결바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봉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석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메쉬망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시편에서 탈락한 부식층만을 수집하는 수집망부재;
    를 포함하는 부식실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재는, 자력을 제공하는 면상에 상기 시편이 부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실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고정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홈과 기어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포함하는 부식실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일단부에 연결탭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탭은 상기 위치조정실린더의 타단부에 결합된 복수의 결합링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실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전자석부재가 내부에 구비되는 챔버바디; 및
    상기 가이드봉이 연계된 상기 챔버바디의 양측벽부에 이웃한 상기 챔버바디의 전방벽부에 구비되는 개폐도어;
    를 포함하는 부식실험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노즐은 이탈제인 공기와 모래 또는 공기와 물의 혼합 물질을 함께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실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노즐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으로 부식제를 분사하는 부식노즐;
    을 포함하는 부식실험장치.
KR1020160173422A 2016-12-19 2016-12-19 부식실험장치 KR10186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22A KR101867723B1 (ko) 2016-12-19 2016-12-19 부식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22A KR101867723B1 (ko) 2016-12-19 2016-12-19 부식실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723B1 true KR101867723B1 (ko) 2018-06-14

Family

ID=6262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422A KR101867723B1 (ko) 2016-12-19 2016-12-19 부식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39U (ko) * 2020-06-01 2021-12-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에칭 검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11Y1 (ko) * 1995-11-30 2000-04-01 이구택 내 빌드업성 평가장치
KR100339894B1 (ko) * 2000-01-31 2002-06-10 백창기 열처리 레일의 방청장치
JP2006048652A (ja) 2004-07-01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プロセッサ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KR20120071665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시험편의 부식산화물 제거장치
KR20120097176A (ko) * 2011-02-24 2012-09-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치핑 시험이 가능한 복합 부식시험장치
KR20140002422A (ko) * 2012-06-29 201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캐스팅 금형용 코팅재 평가 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11Y1 (ko) * 1995-11-30 2000-04-01 이구택 내 빌드업성 평가장치
KR100339894B1 (ko) * 2000-01-31 2002-06-10 백창기 열처리 레일의 방청장치
JP2006048652A (ja) 2004-07-01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プロセッサ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KR20120071665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시험편의 부식산화물 제거장치
KR20120097176A (ko) * 2011-02-24 2012-09-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치핑 시험이 가능한 복합 부식시험장치
KR20140002422A (ko) * 2012-06-29 201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캐스팅 금형용 코팅재 평가 장치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39U (ko) * 2020-06-01 2021-12-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에칭 검사 장치
KR200496814Y1 (ko) 2020-06-01 2023-05-02 두산에너빌리티 (주) 휴대용 에칭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723B1 (ko) 부식실험장치
DE102014201076B3 (de) Transportbehälter für einen NMR MAS-Rotor
DE102009008251A1 (de) Flexibel verschiebbare Kopplungseinrichtung für die akustisch angeregte Rasterkraftmikroskopie mit akustischer Anregung der Probe
DE3708933C2 (ko)
JP5637304B2 (ja) 噴霧計測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噴霧試験装置
US10031054B2 (en) Solid-phase microextraction
JP6348262B2 (ja) 液体分注装置
KR20130037823A (ko) 고속 비상체의 충돌에 의한 내충격 성능 시험장치
KR101916253B1 (ko) 시편 세정장치
JP2016114477A (ja) 悪路耐久試験装置
KR101967958B1 (ko) 혼합용액 형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실험장치
JPH08233789A (ja) 超音波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123741B1 (ko)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JP2019174645A (ja) カメラ防護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鋳造装置
WO2005116677B1 (en) Sample catcher for nmr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thereof
DE102009025785A1 (de) Ausstossvorrichtung für bewegliche Möbelteile und Verfahren zum Ansteuern der Ausstossvorrichtung
KR101208987B1 (ko) 인체 모형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충돌체 뇌압 측정 장치
KR102119943B1 (ko) 시편배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밀착성 실험장치
KR20180014274A (ko) 충격시험장치
DE102018205535B3 (de) Transporteinrichtung für temperierte NMR-Messproben mit Doppelrohrsystem
KR101703730B1 (ko) 고정밀 디스펜서
CN206915041U (zh) 一种带有盖板的试剂盒
KR101779756B1 (ko) 비행체 고정 장치
CN221044970U (zh) 取样拭子及取样组件
KR102613130B1 (ko) 수류에 의해 진동·회전하는 와이어에 의한 튜브내 고착된스케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