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741B1 -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741B1
KR101123741B1 KR1020100023264A KR20100023264A KR101123741B1 KR 101123741 B1 KR101123741 B1 KR 101123741B1 KR 1020100023264 A KR1020100023264 A KR 1020100023264A KR 20100023264 A KR20100023264 A KR 20100023264A KR 101123741 B1 KR101123741 B1 KR 10112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ece
plate
water resistance
test
bol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240A (ko
Inventor
홍두표
고영우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0002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4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및 전자 기기의 외곽의 방수 보호를 위하여 시행되는 내수성 시험에서 시험편이 안착되는 내수성 시험 장치의 시험편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편 안착장치는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판이 하판으로부터 90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시험편의 회전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에 대한 내수성 시험이 수행될 때 시험편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시험편 고정부가 상판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하고, 안전하게 내수성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Setting device for water-proofing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험 대상인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대가 90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KS 규정대로 1차 내수성 시험 후 2차 내수성 시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요자들은 산업제품, 특히 전기나 전자 기기들에 대해서 기능이나 품질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전성과 수명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제품의 안전성과 수명을 높이기 위해서 사전에 가압 및 내압, 외부 충격, 인장 압축등의 다양한 시험들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기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기 외곽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경우 제품에 막대한 손상이 가해지기 때문에 기기 외곽의 방수 처리는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 및 전자 기기의 내수성 시험을 위해 KS(한국표준약관)는 전기, 전자 기기의 내수성 시험에 대한 표준을 명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내수성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착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종래의 내수성 시험 장치(100)는 내부에서 내수성 시험이 수행되는 하우징(105)과, 하우징(105)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분사되는 진동관(101)과, 진동관(101)에 형성되는 분사 노즐(103)들과, 진동관(101)으로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부(119)와, 시험되는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대(109)와, 안착대(109)를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축(107)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5)은 측면들에 연결되는 격벽(113)이 지면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격벽(113)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진동관(101)과, 안착대(109)가 설치되어 내수성 시험이 수행되고, 하부에는 배수 처리시설(미도시)이 설치된다.
진동관(101)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하우징(105)의 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하우징(105) 외부에 설치된 물 공급부(119)로부터 공급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진동관(101)의 양단부는 하우징 외부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되어 내수성 시험이 수행될 때 양단부가 회전됨으로써 진동관(101)이 시험편에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도 2의 안착대(109)는 일정 넓이를 갖는 원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하면은 격벽(113)에 고정된 고정축(107)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시험 대상인 시험편이 안착된다. 이 때 고정축(107)은 용접등으로 격벽(113)에 고정되며, 안착대(109) 또한 고정축(107)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시험편은 안착대(109)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수성 시험 장치(100)는 KS(한국표준약관)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관(101)에서 시험편으로 5분 동안 물이 분사되는 1차 시험이 수행되도록 하고, 1차 시험이 끝나면 시험편을 90도로 회전되도록 한 후 진동관(101)에서 시험편으로 5분 동안 재차 물이 분사되는 2차 내수성 시험이 수행된다. 이 때 1차 시험과 2차 시험 중 진동관(101)은 가, 역적으로 회전되면서 시험편에 물이 분사됨으로써 시험편으로 상부 전 방향으로 내수성 시험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내수성 시험 장치(100)는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대(109)가 고정축(11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KS 규정대로 시험편이 90도로 회전되기 위해서는 시험자가 직접 들어서 시험편을 회전시켜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시험편의 중량과 부피가 큰 경우에는 1차 시험으로 인해 외면이 물에 젖어 매우 미끄럽기 때문에 시험자가 직접 들어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시험편을 떨어뜨리는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시험편의 외곽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시험편의 중량과 부피가 큰 경우 시험편을 회전하기 위해서는 최소 2명의 시험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이 소모되어 인력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내수성 시험 장치(100)는 안착대 부품이 파손이 되거나 녹이 발생되는 경우 부품의 교체 및 보수 작업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대의 상판이 하판으로부터 90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상판이 용이하게 회전되며, 시험자가 시험편을 직접 들 필요가 없어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어 시험의 안전성이 증가되며, 안착대가 포함된 시험편 안착장치가 하우징에 형성된 바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시험편 안착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며, 시험편이 지지되도록 하는 시험편 고정부가 상판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험편이 안착대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는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시험편이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시험편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시험편의 내수성을 시험하는 내수성 시험장치에 설치되는 내수성 시험장치의 시험편 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축;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볼트들이 관통되는 볼트공들이 원 중앙을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면을 관통하되 길이가 원 중앙에 대해 원호상으로 90도 이상이며 180도 미만의 대응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관통홈들이 원 중앙을 대칭으로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상부로 상기 상판이 대접되면 상기 볼트들 각각은 상기 상판에 대접되지 않은 상기 하판의 하부면의 상기 볼트공들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의 관통홈들을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으로부터 90도 이상이며 180도 미만의 회전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은 상기 양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는 고리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험편 안착장치는 상기 고정축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볼트공들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고정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벽들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홈을 갖는 막대형상의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받침대는 상기 바의 홈에 안착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험편 안착장치는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편을 지지하는 하는 시험편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험편 고정부는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는 판 형상의 고정봉 받침대와, 상기 고정봉 받침대의 상면에 기둥형상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은 원 중앙을 대칭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봉 받침대는 상기 상판의 볼트공들의 간격에 매칭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공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판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대의 상판은 하판에 결합되되 하판으로부터 90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시험편의 회전 작업이 간편해지고, 작업 시간이 절감된다.
또한 안착대의 상판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이 형성되며, 돌출면에는 고리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시험자는 고리에 작은 힘을 가해 시험편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시험편의 회전 작업이 더욱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자가 시험편을 직접 들어서 시험편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의 위험성이 줄어들어 시험의 안전성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과 부피가 큰 시험편의 경우, 시험편의 회전을 위해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보완되어 인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편 안착장치의 고정 받침대가 하우징의 바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험편 안착장치의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수성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착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내수성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S를 나타내는 확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안착대의 상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5의 안착대의 하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시험편 안착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의 시험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시험편 안착장치에 시험편 고정부(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시험편 고정부에 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실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내수성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S를 나타내는 확장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도 5의 안착대의 상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5의 안착대의 하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시험편 안착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내수성 시험 장치(1)이고, 내수성 시험 장치(1)는 전기 및 전자 기기의 외곽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지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이며, KS(한국산업규격)에서 명시한 방진 보호 및 방수 보호 등급에 따라 시험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내수성 시험 장치(1)는 내부에서 내수성 시험이 수행되는 하우징(9)과, 하우징(9) 내부에 설치되어 시험 대상인 시험편에 물이 분사되는 진동관(3)과, 진동관(3)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투입 여부가 결정되는 물 공급부(7)와, 하우징(9)의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편이 고정되도록 하는 시험편 안착장치(5)로 이루어진다.
하우징(9)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내측면들에 연결되는 격벽(10)이 지면에 평행되게 형성되며, 격벽(10)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진동관(3)과 시험편 안착장치(5)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배수 처리시설(미도시)이 설치되고, 물 공급부(7)가 형성되는 일측면과 일측면에 대칭되는 타측면에는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막대형상의 바(11)가 설치된다.
또한 바(11)는 도 4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간 지점에는 내측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된 받침대(12)가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 때 받침대(12)의 각 모서리에 인접되는 지점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공(미도시)들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5)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9)은 시험편 및 장비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면이 개폐문(미도시)으로 설치되며, 개폐문에는 내수성 시험이 수행될 때 외부로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5)이고, 시험편 안착장치(5)는 하우징(9)의 바(11)에 형성된 받침대(12)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 받침대(57)와, 고정 받침대(57)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55)과, 고정축(55)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시험편이 안착되는 안착대(50)로 이루어진다.
고정 받침대(57)는 받침대(12)보다 작은 면적의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인접되는 지점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공(58)들이 형성된다. 이 때 고정 받침대(57)에 형성된 볼트공(58)들은 받침대(12)에 형성된 볼트공들에 매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 받침대(57)가 받침대(12)에 볼트 체결된다.
고정축(55)은 원기둥 형상의 봉으로 형성되며, 고정 받침대(57)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 받침대(57)에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안착대(50)가 설치된다.
도 6과 같이 안착대(50)는 고정축(55)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하판(53)(b)과, 하판(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51)(a)으로 형성되며, 하판(53)은 원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고정축(55)의 상단부에 용접등에 의하여 결합되고, 원의 중심을 대칭으로 좌, 우 양쪽으로 볼트공(54)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판(51)은 하판(53)과 동일한 면적의 원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면(62)이 형성되며, 돌출면(62)에는 원형상의 고리(64)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판(51)은 돌출면(62)이 형성된 지점에서부터 원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A)상에 인접되는 지점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65)들이 직선(A)에 대칭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호상의 관통홈(61), (63)들이 원의 중심을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 때 관통홈(61), (63)들의 길이는 상판(51)의 중앙에 대한 원호상의 대응각이 90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통홈(61)의 길이는 대응각이 90도를 이루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관통홈(61)은 대응각이 90도이상에서 180도미만을 이루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대(50)는 도 7과 같이 하판(53)의 상면이 상판(51)의 하면에 대접되도록 설치된 후 볼트(67)가 하판(53)에 형성된 볼트공(54)으로 삽입되어 상판(51)의 관통홈(61), (63)으로 관통되고, 관통홈(61), (63)의 상부에 노출된 볼트(67)의 단부에 너트(69)가 체결됨으로써 상판(51)이 하판(53)에 결합되며, 하판(53)의 볼트공(54)으로 삽입된 볼트(67)는 상판(51)에 형성된 관통홈(61)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판(51)은 볼트(67)가 관통홈(61)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거리 90도만큼 하판(53)으로부터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시험자는 돌출면(62)에 형성된 고리(64)에 힘을 가해 상판(5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진동관(31)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물 공급부(7)로부터 공급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시험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 노즐(33)이 설치되어 분사 노즐(33)을 통하여 수용된 물이 시험편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진동관(31)의 양단부는 하우징(9)의 측면에 연결되며, 하우징(9) 외부에 설치된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되어 내수성 시험 시 진동관(31)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가, 역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물 공급부(7)는 진동관(3)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72)와, 밸브(72)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계(71)와, 진동관(3)으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인 플렉시블 파이프(73)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에 설치되는 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의 시험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시험편 안착장치에 시험편 고정부(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시험편 고정부에 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실사진이다.
도 8의 시험편 고정부(8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5)의 안착대(50) 상판(51)의 상면에 설치되며,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 또는 이에 유사한 크기의 기기들이 시험편으로 사용될 때 시험편이 안착대(50)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시험편 고정부(80)는 안착대(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봉 받침대(85)와, 고정봉 받침대(83)의 상면에 설치되어 시험편(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이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봉(8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봉(8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고정봉 받침대(83)의 상부에 용접에 의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하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87)들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봉 받침대(83)는 고정봉(81)보다 직경이 큰 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원주에 인접되는 지점에는 볼트공(85)들이 형성되고, 도 9와 같이 볼트공(105)들의 상호 간격은 안착대(50)의 상판(5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볼트공(65)들의 간격에 매칭되게 형성됨으로써 고정봉 받침대(83)는 상판(51)의 B(중앙) 및 C(전방), D(후방) 지점 중 한 곳에 선택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시험편 고정부(80)가 안착대(50)의 상판(51)에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판(51)에 형성된 볼트공(65)이 고정봉 받침대(83)의 볼트공(85)과 너트(89)에 일체로 연결된 후 볼트(88)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너트(89)에 체결됨으로써 시험편 고정부(80)는 상판(51)에 결합된다. 이 때 볼트(88)의 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판(51)의 볼트공(65)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되 볼트(88)의 단부가 상판(51)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볼트(88)가 너트(89)와 볼트공(65)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판(51)에 결합된 고정봉(81)에 시험편(시각 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이 안착되면, 시험편은 고정봉(81)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안전띠(미도시)에 의해 고정봉(81)에 결속되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안전띠는 고정봉(81)에 형성된 돌출부(87)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험편 안착장치(5)는 안착대가 일정 넓이를 갖는 원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상판(51)과 하판(53)으로 이루어지며, 상판(51)의 상부에 시험편이 안착되며, 상판(51)이 하판으로부터 90도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2차 내수성 시험을 위한 시험편의 회전이 간단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시험편의 회전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는 시험편의 회전이 인력을 통해 이루어져 작업 과정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보완된다.
또한 안착대(50)의 상판(51)에는 고리(64)가 형성되어 시험자가 고리(64)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고 상판(51)이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시험편의 크기와 중량이 큰 경우, 1차 내수성 시험으로 물에 젖어 미끄러운 상태의 시험편을 시험자가 직접 손으로 들어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고의 위험성이 줄어들어 시험의 안전성이 증가된다.
또한 시험편 안착장치(5)는 고정 받침대(57)가 하우징(9)의 바(11)에 설치된 받침대(12)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부품의 손상이나 녹의 발생으로 인한 부품의 교체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시험편 안착장치(5)는 상판(51)의 상면으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가 지지되는 시험편 고정부(80)가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기가 시험편 고정부(8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시험의 안전성이 더욱 증가되게 된다.
1:내수성 시험 장치 3:진동관 5:시험편 안착장치
7:물 공급부 9:하우징 10:격벽
11:바 12:받침대 50:안착대
51:상판 53:하판 55:고정봉
57:고정축 61, 63:관통홈 62:돌출면
64:고리 80:시험편 고정부 81:고정봉
83:고정봉 받침대 87:돌출부

Claims (6)

  1. 시험편이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시험편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시험편의 내수성을 시험하는 내수성 시험장치에 설치되는 내수성 시험장치의 시험편 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축;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평행하게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볼트들이 관통되는 볼트공들이 원 중앙을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면을 관통하되 길이가 원 중앙에 대해 원호상으로 90도 이상이며 180도 미만의 대응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관통홈들이 원 중앙을 대칭으로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의 상부로 상기 상판이 대접되면 상기 볼트들 각각은 상기 상판에 대접되지 않은 상기 하판의 하부면의 상기 볼트공들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의 관통홈들을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으로부터 90도 이상이며 180도 미만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안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상판은 상기 양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는 고리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안착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시험편 안착장치는
    상기 고정축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볼트공들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고정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벽들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에 홈을 갖는 막대형상의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받침대는 상기 바의 홈에 안착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안착장치.
  5. 청구항 1, 3,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 안착장치는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편을 지지하는 시험편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험편 고정부는
    상기 상판의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는 판 형상의 고정봉 받침대와, 상기 고정봉 받침대의 상면에 기둥형상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안착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상판은 원 중앙을 대칭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봉 받침대는 상기 상판의 볼트공들의 간격에 매칭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공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판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편 안착장치.
KR1020100023264A 2010-03-16 2010-03-16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KR10112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264A KR101123741B1 (ko) 2010-03-16 2010-03-16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264A KR101123741B1 (ko) 2010-03-16 2010-03-16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240A KR20110104240A (ko) 2011-09-22
KR101123741B1 true KR101123741B1 (ko) 2012-03-20

Family

ID=4495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264A KR101123741B1 (ko) 2010-03-16 2010-03-16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3628B (zh) * 2011-07-06 2013-08-14 上海林频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摆管淋雨试验装置
CN106404546B (zh) * 2016-05-27 2018-09-21 广东省建筑科学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不透水试验机
CN107589353A (zh) * 2017-09-18 2018-01-16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绝缘子淋雨试验装置及淋雨试验方法
CN109827710B (zh) * 2019-04-03 2020-07-14 南京工程学院 一种电动汽车电池箱用防水性能试验装置
CN110553796B (zh) * 2019-09-21 2021-10-19 苏州华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箱式淋雨测试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914Y1 (ko) * 1994-12-31 1998-08-01 김만제 내우성 측정장치
JPH1123448A (ja) 1997-06-27 1999-01-29 Osaka Gas Co Ltd 電装基板の結露試験装置および電装基板の結露試験方法
KR200260125Y1 (ko) * 2001-10-06 2002-01-10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시편 절단용 지그
KR20070048833A (ko) *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편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914Y1 (ko) * 1994-12-31 1998-08-01 김만제 내우성 측정장치
JPH1123448A (ja) 1997-06-27 1999-01-29 Osaka Gas Co Ltd 電装基板の結露試験装置および電装基板の結露試験方法
KR200260125Y1 (ko) * 2001-10-06 2002-01-10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시편 절단용 지그
KR20070048833A (ko) *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편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240A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741B1 (ko)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KR101219593B1 (ko) 내수성 시험 장치
KR101918804B1 (ko) 전지 시험 장치
KR20160037494A (ko) 콘크리트 전주 손상 진단장치
KR20180000746U (ko) 산업용 밸브의 기밀시험장치
CN205175603U (zh) 一种用于螺栓轴力测量的固定装置和螺栓轴力测量装置
CN211402010U (zh) 一种防水试验装置
KR20160145337A (ko) 앵커의 인장력 시험장치
KR101058402B1 (ko) 내수성 시험 장치
KR102018825B1 (ko)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 및 볼트-너트 풀림 시험기의 작동 방법
CN216483812U (zh) 一种密封销钉快卸锁振动试验工装
CN111473926A (zh) 歧管气密性检测设备
KR20140004986U (ko)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CN216306065U (zh) 一种航空发动机离心通风活门排气装置
CN211477874U (zh) 一种拉力测试机
CN204710626U (zh) 用于螺栓检测的胶体涂覆装置及螺栓轴力测试系统
KR20190002250U (ko) 터빈 로터 오일 가진 시험용 하우징
KR20090106141A (ko) 파이프를 고정하는 클램프 및 이를 장착한 파이프 수압시험기
KR102354564B1 (ko) 시험 장치
CN203376208U (zh) 一种化学锚固栓钉抗剪疲劳性能试验装置
CN110514525B (zh) 一种内压力对比试验装置
KR20150057666A (ko) 마그넷을 이용한 방진 서포트
CN217004078U (zh) 无线遥控试压保护装置
CN103323169B (zh) 一种压嵌式瓷套扭矩检验设备
KR20140004085U (ko) 도어트림 탈부착식 충돌시험용 충격 부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