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253B1 - 시편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시편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253B1
KR101916253B1 KR1020160110924A KR20160110924A KR101916253B1 KR 101916253 B1 KR101916253 B1 KR 101916253B1 KR 1020160110924 A KR1020160110924 A KR 1020160110924A KR 20160110924 A KR20160110924 A KR 20160110924A KR 101916253 B1 KR101916253 B1 KR 10191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cleaning
assembly
cover
clea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536A (ko
Inventor
김종태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1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2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시편 세정장치가 개시된다. 다수 개의 시편들을 탈거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시편 고정부; 상기 시편 고정부와 상기 시편을 회전 운동시키는 시편 회전 운동부; 상기 시편 고정부와 상기 시편을 상하 운동시키는 시편 상하 운동부; 및 상기 시편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부를 포함하여, 세척제의 분사와 시편의 상 및 회전 운동을 통해 다수 개의 시편들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이고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편 세정장치{TEST PIEC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편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강 소재의 각종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시편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세척제로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다수 개의 시편을 동시에 세정할 수 있는 시편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 소재의 각종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제작되는 시편의 표면에는 오일이나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묻어 있을 수 있다.
시편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시편의 시험 결과를 부정확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시편의 성분 분석 시험 전에 시편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작업이 행해지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작업자가 시편 표면에 세척제를 분사하고, 솜이나 걸레 등을 이용하여 시편의 표면을 문질러서 시편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시편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의 제거 과정에서 시편에 흠집이 발생하여 정밀한 시험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편에 작업자가 직접 세척제를 분사하여 세척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해한 세척제 분사 때문에 작업자가 세척 작업을 기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물질 제거가 정밀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한 시험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 개의 시편을 장착할 수 있고, 장착된 다수 개의 시편을 상하 이동시키고, 또한 회전 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시편의 운동 과정에 세척제를 분사하여 시편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편 표면으로부터 세척제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편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는, 다수 개의 시편들을 탈거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시편 고정부; 상기 시편 고정부와 상기 시편을 회전 운동시키는 시편 회전 운동부; 상기 시편 고정부와 상기 시편을 상하 운동시키는 시편 상하 운동부; 및 상기 시편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편 고정부는 조립봉; 및 상기 조립봉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시편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조립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조립대는 상기 조립봉에 키이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조립대는 상기 키이를 통해 상기 조립봉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시편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편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시편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양측에는 상기 시편의 양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시편을 고정할 수 있는 파지볼이 스프링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조립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인접한 2개의 조립대 사이에는 지지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제를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세척제 분사부에 상기 세척제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제 공급부는, 상기 세척제를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보관통; 상기 보관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제 분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시편 및 상기 시편 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정통; 상기 보관통에 수용된 상기 세척제를 펌핑하여 상기 세정통에 설치된 상기 세척제 분사부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세정통을 연결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제를 상기 세척제 분사부에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통 내부에서 세정이 완료된 시편들에 묻어 있는 세척제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체가 상기 세정통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제 분사부는 상기 세정통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제 공급부를 통해 세척제를 공급받아 상기 시편을 향해 상기 세척제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세척제 분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편 회전 운동부는, 상기 조립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조립봉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통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커버할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 상기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봉의 일단은 상기 덮개에 삽입되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시편 상하 운동부는, 상기 덮개를 상하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덮개에 연결된 이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상부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실린더는 상기 상부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실린더에 의한 상기 덮개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가이드 핀이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에는 상기 가이드 핀의 일단이 관통해서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측부에는 상기 세정통을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커버하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해 커버 실린더가 상기 커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세정통의 상부 개구부를 막아서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의 외측면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통에 담긴 상기 세척제를 상기 보관통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세정통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한 상기 세척제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밸브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에 의하면, 다수 개의 시편을 시편 고정부에 장착하고, 시편 상하 운동부를 통해 시편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세정통에 삽입되게 하며, 이어서 시편 및 시편 고정부를 시편 회전 운동부를 통해 회전시킴과 동시에 세척제 분사부를 통해 세척제를 세정통 내부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세척제가 회전 운동하는 시편에 분사되면서 시편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세정하게 된다.
이어서 세정통 내부에 침지되어 있는 시편 및 시편 고정부를 시편 상항 운동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시키고 또한 시편 회전 운동부를 통해 시편을 회전시킴으로써, 시편이 세척제에 침지된 상태로 세척제에 의해 2차적으로 세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및 2차 세정 작업으로 시편의 세정이 완료되면, 세정통 내부에 들어 있는 세척제를 세정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에어 분사체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시편에 분사하여 시편에 잔류되어 이물 질 및 세척제를 동시에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1차 및 2차 세정 작업과 세척제 제거 작업에 의해 시편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확실하고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고, 시편의 이물질 제거 과정에 시편이 손상될 염려가 없으므로, 시편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일련의 동작이 작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시편의 이물질 제거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회전 운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봉에 조립대가 지지 스프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및 커버 실린더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에 의한 1차 세정 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에 의한 2차 세정 작업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에 의한 세척제 및 이물질 마무리 제거 작업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0)는 시편 세정장치의 지주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대(10)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판(20)이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고, 지지대(10)의 하부에는 세척액 혹은 세척제(30)를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통(40)이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보관통(40)의 상부에는 세정통(50)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보관통(40)과 세정통(50)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정통(50)의 바닥면에는 시편의 세정 후에 세정통(50)에 잔류하게 되는 세척제(30)를 보관통(40)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2)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구(52)를 통한 세척제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밸브(54)가 배출구(52)에 설치될 수 있다.
세정통(50)의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측면에는 세척제(30)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 혹은 세척제 분사체(60)가 설치될 수 있다.
세척제 분사체(60)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세정통(50)의 양측면에 세정통(50)의 내부를 향해 세척제(30)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세정통(50)의 상부, 즉 세척제 분사체(60)보다 위에는 에어를 세정통(5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는 에어 노즐 혹은 에어 분사체(70)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분사체(70)도 다수 개로 구성되어, 세정통(5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고,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각 에어 분사체(70)는 에어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분배하는 에어 투입구(80)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에어 투입구(80)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 펌프가 연결되어, 에어 펌프에서 가압된 공기가 에어 투입구(80)를 통해 각 에어 분사체(70)로 공급될 수 있으며, 각 에어 분사체(70)는 공급받은 가압 공기를 세정통(50)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세척제 분사체(60)는 보관통(40)의 내부에 담긴 세척제(30)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세척제 펌프(90)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세척제 분사체(60)는 세척제 분사부를 구성한다.
세척제 펌프(90)는 보관통(40)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고, 세척제 펌프(90)와 세척제 분사체(60)를 배관(92) 및 세척제 공급구(94)를 통해 연통되게 연결할 수 있다.
상부 고정판(20)에는 유압 혹은 공압으로 작동되는 이동 실린더(100)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동 실린더(100)의 피스톤 로드에는 세정통(50)을 위에서부터 덮어서 가릴 수 있는 덮개(1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실린더(100)가 유압 혹은 공압을 공급받아 신장 운동을 하면, 그 피스톤 로드가 신장(하강)하고, 이에 연결된 덮개(110)가 하강해서 세정통(50)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 커버할 수 있다.
이동 실린더(100)는 시편 상하 운동부를 구성한다.
덮개(110)가 이동 실린더(100)의 작동에 의해 하강 운동을 할 때에 덮개(110)의 하강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핀(12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핀(120)의 일단은 덮개(1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부 고정판(20)에는 가이드 핀(120)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110)가 이동 실린더(100)의 작동에 의해 하강 운동을 할 때에 그 가이드 핀(120)이 가이드 홀(22)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 홀(22)을 따라 이동되어, 덮개(110)의 하강 운동이 가이드 핀(120)과 가이드 홀(22)의 상호 작용으로 원활해질 수 있다.
덮개(110)의 하면에는 주름진 커버(130)가 설치될 수 있고, 커버(130)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기 위해 커버 실린더(140)가 덮개(11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실린더(140)의 피스톤 로드(142)가 커버(1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실린더(140)는 유압 혹은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덮개(110)의 하부에는 세정통(50)의 상부 개구부를 막아서 밀폐시킬 수 있는 차폐부(112)가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고, 차폐부(112)의 주변 가장자리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과 같은 씰링부재(114)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110)가 세정통(5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커버 실린더(140)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 운동을 하면, 커버(130)가 펼쳐지면서 세정통(50)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정통(50)의 내부에서 세척제를 분사할 때에, 차폐부(112)와 커버(130)에 의해 세척제(30)가 세정통(50)의 외부로 비산될 염려가 없게 된다.
덮개(110)의 차폐부의 하면에는 조립봉(150)이 모터(16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관통(40)과, 세정통(50), 펌프(90), 배관(92) 및, 세척제 공급구(94)는 세척제 공급부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160)에는 출력 기어(162)가 결합되어 있고, 조립봉(150)에는 출력 기어(162)와 치합하는 전달 기어(152)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터(160)가 회전하면, 모터(160)의 회전력이 출력 기어(162)를 통해 전달 기어(152)를 거쳐서 조립봉(150)에 전달되어, 조립봉(15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덮개(110)의 하면에는 마운팅 플레이트(170)가 장착되고, 마운팅 플레이트(170)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며, 조립봉(150)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모터(160)는 시편 회전 운동부를 구성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조립봉(15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조립대(18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조립대(180)는 조립봉(150)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조립대(180)와 조립봉(150)은 시편 고정부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조립대(180)는 조립봉(150)에 키이(182)를 매개로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각 조립대(180)는 키이(182)를 통해 조립봉(150)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바디(184)와, 이 바디(18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시편(190)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대(18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시편 고정대(186)의 일측에는 시편(190)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홈(188)이 구비되어 있고, 끼움홈(188)의 양측에는 시편(190)의 양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시편(190)을 고정할 수 있는 파지볼(189)이 스프링(187)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즉, 시편(190)이 끼움홈(188)을 통해 삽입되면, 스프링(18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파지볼(189)이 스프링(187)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홈(188)의 내부로 돌출하여 시편(190)의 양측면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시편(190)을 고정하게 된다.
물론, 시편(190)을 끼움홈(188)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시편 고정대(186)로부터 시편(19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조립대(180)는 조립봉(150)에 키이(182)만으로 일체로 회전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각 조립대(180)는 조립봉(15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데, 각 조립대(180) 사이에 적절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 스프링(200)이 조립봉(150)의 외주면에 감기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 스프링(200)은 각 조립대(180) 사이에 개재되어, 각 조립대(180) 사이에 적절한 간격이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세정장치를 통해 시편을 세정하는 세정 작업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가 각 조립대(180)의 끼움홈에 시편(190)을 끼워서 고정한다.
이어서 이동 실린더(100)를 작동시켜 덮개(110)와 조립봉(150)을 하강시켜서 조립봉(150)의 하단부가 세정통(50)의 바닥면에 닿거나 거의 닿게 하여, 각 조립봉(150)에 조립된 시편(190)들이 세정통(50)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게 한다.
그런 다음, 모터(160)를 작동시켜 조립봉(150)을 회전시키면, 시편(190)이 조립봉(15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펌프를 가동하여 보관통에 담긴 세척제를 펌핑해서 세척제 공급구(94)를 통해 세척제 분사체(60)에 공급되게 한다.
각 세척제 분사체(60)는 회전하고 있는 시편(190)을 향해 세척제를 분사하게 되고, 세척제는 회전 운동하고 있는 시편(190)에 충돌하면서 시편(19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1차 세정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세척제(30)는 세정통(50)의 내부에 점점 충진되게 되고, 시편(190)들이 세척제(30)에 완전히 잠기게 되면, 이동 실린더(100)를 동시에 작동시켜 덮개(110)를 상하 운동시킨다.
즉, 시편(190)들은 세척제(30)에 침지된 상태에서 모터(160)에 의한 회전 운동과 이동 실린더(100)에 의한 상하 운동을 동시에 하게 되어, 시편(19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세척제(30)에 의해 2차적으로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실린더(100)를 작동시켜 조립봉(150)을 상승시킨다. 이때에 조립봉(150)에 장착된 시편(190)들이 세척제(30)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하고, 세척제(30)는 조절 밸브(54)를 조작하여 배출구(52)를 통해 보관통(40)으로 회수되게 한다.
그런 다음에는 에어 투입구(80)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 분사체(70)를 통해 세정통(50)의 내부로 분사되게 해서 시편(190)에 묻어 있는 이물질 찌꺼기와 세척제(30)를 시편(19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게 함으로써, 시편의 세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시편(190)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0)에 의해 회전되게 하여, 에어에 의한 세척제 및 이물질의 제거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대
20: 상부 고정판
30: 세척제
40: 보관통
50: 세정통
60: 세척제 분사체
70: 에어 분사체
80: 에어 투입구
90: 펌프
100: 이동 실린더
110: 덮개
120: 가이드 핀
130: 커버
140: 커버 실린더
150: 조립봉
160: 모터
170: 마운팅 플레이트
180: 조립대
190: 시편
200: 지지 스프링

Claims (18)

  1. 다수 개의 시편들을 탈거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시편 고정부;
    상기 시편 고정부와 상기 시편을 회전 운동시키는 시편 회전 운동부;
    상기 시편 고정부와 상기 시편을 상하 운동시키는 시편 상하 운동부; 및
    상기 시편에 세척제를 분사하는 세척제 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 고정부는 조립봉; 및 상기 조립봉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시편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조립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립대는 상기 조립봉에 키이를 매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립대는 상기 키이를 통해 상기 조립봉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시편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고정대의 일측에는 상기 시편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양측에는 상기 시편의 양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시편을 고정할 수 있는 파지볼이 스프링을 통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조립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인접한 2개의 조립대 사이에는 지지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를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세척제 분사부에 상기 세척제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공급부는,
    상기 세척제를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보관통;
    상기 보관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제 분사부가 설치되며, 상기 시편 및 상기 시편 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정통;
    상기 보관통에 수용된 상기 세척제를 펌핑하여 상기 세정통에 설치된 상기 세척제 분사부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세정통을 연결하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제를 상기 세척제 분사부에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통 내부에서 세정이 완료된 시편들에 묻어 있는 세척제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체가 상기 세정통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분사부는 상기 세정통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제 공급부를 통해 세척제를 공급받아 상기 시편을 향해 상기 세척제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세척제 분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회전 운동부는,
    상기 조립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조립봉에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통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커버할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 상기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봉의 일단은 상기 덮개에 삽입되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상하 운동부는,
    상기 덮개를 상하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덮개에 연결된 이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게 장착된 상부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실린더는 상기 상부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실린더에 의한 상기 덮개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가이드 핀이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판에는 상기 가이드 핀의 일단이 관통해서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측부에는 상기 세정통을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커버하는 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신장 및 수축시키기 위해 커버 실린더가 상기 커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세정통의 상부 개구부를 막아서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의 외측면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통에 담긴 상기 세척제를 상기 보관통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상기 세정통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한 상기 세척제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밸브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세정장치.
KR1020160110924A 2016-08-30 2016-08-30 시편 세정장치 KR10191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24A KR101916253B1 (ko) 2016-08-30 2016-08-30 시편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924A KR101916253B1 (ko) 2016-08-30 2016-08-30 시편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36A KR20180024536A (ko) 2018-03-08
KR101916253B1 true KR101916253B1 (ko) 2018-11-07

Family

ID=6172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924A KR101916253B1 (ko) 2016-08-30 2016-08-30 시편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2125B (zh) * 2018-11-13 2023-09-26 中国民用航空总局第二研究所 一种油质液体储存分层测试装置
CN110328178A (zh) * 2019-07-10 2019-10-15 海思博瑞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医疗设备的驱动机构用保养装置
CN110756492B (zh) * 2019-11-07 2020-12-08 灵璧县浩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水循环利用的医疗器械清洗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530830A (zh) * 2020-05-18 2020-08-14 江西弘珽金属制品有限公司 塑料制品加工的外表面清洗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25Y1 (ko) 2000-06-23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아연도금강판의 결함검사장치
JP2001179191A (ja) 1999-12-22 2001-07-03 Toyo Uchinami Techno Clean:Kk 筒形ワークの洗浄装置
KR200269655Y1 (ko) * 2001-12-24 2002-03-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시편세척장치
KR100555836B1 (ko) 2001-11-09 2006-03-03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시험편 자동 세척장치
KR101615870B1 (ko) * 2016-02-12 2016-05-11 엄인흠 양면 스핀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9191A (ja) 1999-12-22 2001-07-03 Toyo Uchinami Techno Clean:Kk 筒形ワークの洗浄装置
KR200202425Y1 (ko) 2000-06-23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아연도금강판의 결함검사장치
KR100555836B1 (ko) 2001-11-09 2006-03-03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시험편 자동 세척장치
KR200269655Y1 (ko) * 2001-12-24 2002-03-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시편세척장치
KR101615870B1 (ko) * 2016-02-12 2016-05-11 엄인흠 양면 스핀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36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253B1 (ko) 시편 세정장치
TW201804948A (zh) 具有可旋轉的清潔滾筒之濕式清潔設備
CN105834181A (zh) 往复式长缸筒清洗机
KR101994606B1 (ko) 유리판 연마장치
KR20140056074A (ko) 연마 장치 및 연마 방법
CA2940006C (en) Inkjet-head cleaning device and method
KR101183086B1 (ko) 유압부품류 침적 세척장치
KR101896849B1 (ko) 스터드 홀 세척 장치
KR101113272B1 (ko) 필터 클리너
US20210039127A1 (en) Clean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12135706A (ja) 容器内洗浄装置
CN107007239B (zh) 一种无尘车间用清洁装置
DE202006005273U1 (de) Hochdruck-Vakuum-Reinigungsgerät
KR20200110861A (ko) 니들 세척기
KR101904645B1 (ko) 세정 및 린스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세척기
KR101643903B1 (ko) 산업용 스프레이 세척장치
KR20190044271A (ko) 유리판 연마장치
KR20170089634A (ko) 산업용 세척장치
KR101473913B1 (ko) 염료 자동 조액장치에 설치되는 염료 이송장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CN220497115U (zh) 一种金属零件清洗机
CN215971701U (zh) 一种有机肥运输车
CN213355099U (zh) 一种便于自动冲洗的立式半自动灌装机
JPH09239337A (ja) 給水槽内洗浄装置
KR20110096708A (ko) 금속시트재의 부분 에칭장치
JPH03199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