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518B1 -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518B1
KR101867518B1 KR1020160172623A KR20160172623A KR101867518B1 KR 101867518 B1 KR101867518 B1 KR 101867518B1 KR 1020160172623 A KR1020160172623 A KR 1020160172623A KR 20160172623 A KR20160172623 A KR 20160172623A KR 101867518 B1 KR101867518 B1 KR 10186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retainer
rail
frame
s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정
Original Assignee
(주)서연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연인테크 filed Critical (주)서연인테크
Priority to KR102016017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는 볼플런저가 구비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체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부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세레이션 및 상기 세레이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레이션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는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세레이션을 가압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를 고정시키며, 일정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는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결합되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체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부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일단과 타단이 회전축으로 형성된 벨트프레임; 상기 벨트프레임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벨트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는 레일; 상기 벨트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가 형성된 벨트 및 상기 벨트프레임의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의 상하 이동에 의해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미세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Headrest posi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볼플런저 및 교번하는 오목부와 볼록부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 세레이션 의해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일정하게 제어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 상단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어 편안하게 해주는 머리받침대로써, 사고시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함으로써 목 부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헤드레스트는 편안함과 안전함을 더하기 위해 쿠션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머리에 맞추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국등록특허 10-084928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구성의 한계로 인해 위치 조절 폭이 커 다양한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춰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자동차 시트 상단에 장착됨으로써, 헤드레스트를 승강시킬 시 자동차 시트와 헤드레스트 간의 틈이 생겨 자동차 충돌시 파편이 틈으로 들어오거나, 사람의 팔이 끼일 수 있는 불안요소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폭이 일정하게 형성된 세레이션에 가압되는 볼플런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볼플런저와 결합된 헤드레스트 구조체의 위치가 일정하게 제어되며, 헤드레스트를 시트 앞쪽에 배치하여 승하강시에도 틈이 발생되지 않는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는, 볼플런저가 구비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체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부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세레이션 및 상기 세레이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레이션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는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세레이션을 가압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를 고정시키며, 일정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및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리테이너의 결합은,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소켓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켓돌기가, 일단이 상기 리테이너에 장착되는 결합핀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경사면과 마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하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2개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는,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결합되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타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가 구비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체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부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일단과 타단이 회전축으로 형성된 벨트프레임; 상기 벨트프레임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벨트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는 레일; 상기 벨트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가 형성된 벨트 및 상기 벨트프레임의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가 움직여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무선모듈과 연결되어, 무선장치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결합구조로 되어있어, 헤드레스트의 장착이 간편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미세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으로 작동되어 편리하게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세레이션과 볼플런저의 접촉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시트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헤드레스트 프레임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리테이너와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세레이션과 볼플런저의 접촉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시트가 장착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헤드레스트 프레임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리테이너와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결합 상세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1)는, 리테이너(100) 및 레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100)는 볼플런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볼플런저(120)는 일정한 곡선의 형태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세레이션(210)을 가압하여 접촉하며, 세레이션(210)의 곡률을 따라 이동하는 부재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1)의 특징되는 구성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볼플런저(120)는 헤드레스트(400)가 결합된 타측에 형성되는 세레이션(210)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레이션(2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레일부(20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리테이너(100)는 리테이너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일부(200)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부(200)는 세레이션(210), 레일부 베이스(215) 및 레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세레이션(210)은 레일부(200)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레이션(21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곡선의 형태가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곡선의 형태는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212) 및 볼록부(211)가 교번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세레이션(210)의 형태는 파동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파동과 비교해 설명하면, 오목부(212)와 볼록부(211)의 교번은 파동이 생성될 때 위아래로 흔들리는 횡파의 모형과 유사하며, 오목부(212)간의 간격 또는 볼록부(211)간의 간격은 파동에서 마루와 마루 사이 또는 골과 골사이를 이루는 파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진폭을 이루는 파동과 같이 오목부(212)와 볼록부(211)도 소정의 폭을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오목부(212)와 볼록부(211)는 볼플런저(120)의 접촉부 곡률보다 완만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볼플런저(120)가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볼플런저(120)는 완만한 곡선의 볼록부(211)를 타고 이동하다가 오목부(212)에 도달했을 때 고정될 수 있다.
레일부 베이스(215)는 세레이션(210)이 체결되고 레일(220)이 연결되는 판(plate)으로써, 레일부(200)의 기초를 이룬다. 이때, 레일부 베이스(215)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사각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220)은 세레이션(210)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며, 세레이션(210)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레일(220)과 마주하는 리테이너(100)의 면은 마찰이 감소되도록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레일(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부 베이스(21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레일(220)은 바(bar)형으로 형성되어, 판(plate)형의 레일부 베이스(215)의 양 사이드 정면부로 돌출되도록 레일부 베이스(215)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220)의 바(bar)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과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일(220)은 리테이너(100)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이며, 레일(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리테이너(100)는 이동하며 볼플런저(12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레일부(200)와 체결된 리테이너(100)의 타측에는 헤드레스트 프레임(300)이 결합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 프레임(300)은 헤드레스트(4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헤드레스트(400)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소켓(310)을 장착할 수 있다.
소켓(310)은 일단이 상기 리테이너(100)에 장착되는 결합핀(110)과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내측으로 경사지는 소켓돌기(311)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소켓(310)과 결합핀(110)에 의해 헤드레스트 프레임(300)과 리테이너(100)가 결합되는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1)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써, 소켓(310)의 소켓돌기(311)가 일단이 리테이너(100)에 장착되는 결합핀(110)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경사면(111)과 마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레스트 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된 헤드레스트(400)는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100)에 안전하게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이동하며 위치 제어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100)는 상하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2개의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리테이너(100)가 레일부(20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레일부(200) 내측으로 레일(220)이 형성되었을 때, 리테이너(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이때, 스토퍼(미도시)는 나사, 볼트, 돌기, 판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리테이너(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술한 모든 구성을 통하여 헤드레스트(400)는 일정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1)는 시트프레임(10)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2)는, 리테이너(500), 레일부(600), 헤드레스트 프레임(700), 헤드레스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레스트 프레임(700), 헤드레스트(80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1)의 헤드레스트 프레임(300), 헤드레스트(4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테이너(500)는 헤드레스트 프레임(7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500)는 헤드레스트 프레임(700)과 결합되는 타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미도시)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 핀, 끝단의 직경이 돌출된 돌기 등의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500)는 헤드레스트 프레임(700)과 결합된 타측에 형성된 레일부(600)와 체결될 수 있다.
레일부(600)는 벨트프레임(610), 레일(620), 벨트(615),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벨트프레임(610)은 레일부(600)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벨트프레임(610)의 일단과 타단은 회전축(6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벨트프레임(610) 양측에는 벨트프레임(610)과 동일한 길이의 레일(6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6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위치 구조(1)의 레일(220)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벨트(615)는 벨트프레임(61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미도시)가 고정되도록 결합부재(미도시)와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미도시)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부재(미도시)가 볼트로 형성될 시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홀로 구비되며, 결합부재(미도시)가 끝단이 돌출된 돌기로 형성될 시에는 소켓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부(미도시)는 결합부재(미도시)의 형태에 따라 상응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2)는 상기 벨트(615)의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8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벨트(615)는 벨트프레임(610)의 일단과 타단의 회전축(611)이 회전함으로써 동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회전축(611)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모터(미도시)의 구동은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모터전용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자동차의 전기적요소와 연결시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미도시)는 무선모듈(미도시)과 연결되어, 무선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버튼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모터(미도시)를 무선모듈(미도시)과 연결 시, 제어부(미도시)를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계기판에 탑재하여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계기판에서 벨트(615)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으며, 버튼부(미도시)와 연결 시, 버튼은 올림버튼과 내림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제어 구조(2)는 미세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작동 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구조
2 :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제어 구조
10 : 시트프레임 20 : 시트
100 : 리테이너 110 : 결합핀
111 : 경사면 120 : 볼플런저
200 : 레일부 210 : 세레이션
211 : 볼록부 212 : 오목부
215 : 레일부 베이스 220 : 레일
300 : 헤드레스트 프레임 310 : 소켓
311 : 소켓돌기 400 : 헤드레스트
500 : 리테이너 600 : 레일부
610 : 벨트프레임 611 : 회전축
615 : 벨트 620 : 레일
700 : 헤드레스트 프레임 800 : 헤드레스트

Claims (6)

  1. 하나의 볼플런저가 구비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체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레일부 중앙에서 상하측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소정의 폭을 가진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세레이션;
    상기 세레이션이 체결되는 판(plate)형의 레일부 베이스 및
    상기 세레이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레이션과 동일한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레일부 베이스와 연결되는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은 바(bar)형으로 형성되어, 판(plate)형의 레일부 베이스의 양 사이드 정면부로 돌출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바(bar)형의 레일의 모든 면에 모두 마주하도록 거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하나의 볼플런저는 상기 리테이너 중심에 결합되고,
    상기 볼플런저가 상기 세레이션을 가압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를 고정시키며, 일정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프레임 및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리테이너의 결합은,
    헤드레스트 프레임에 장착되는 소켓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켓돌기가, 일단이 상기 리테이너에 장착되는 결합핀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경사면과 마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상하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2개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60172623A 2016-12-16 2016-12-16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KR10186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23A KR101867518B1 (ko) 2016-12-16 2016-12-16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23A KR101867518B1 (ko) 2016-12-16 2016-12-16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518B1 true KR101867518B1 (ko) 2018-06-14

Family

ID=6262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623A KR101867518B1 (ko) 2016-12-16 2016-12-16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731A (ja) * 1994-03-11 1995-10-03 Tachi S Co Ltd 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200314480Y1 (ko) * 2003-03-05 2003-06-02 주식회사 리바트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100093884A (ko) * 2009-02-17 2010-08-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시트 무선제어장치
KR100994822B1 (ko) * 2009-02-19 2010-11-16 주식회사 리바인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103560B1 (ko) * 2009-09-10 2012-01-11 (주)제일씨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731A (ja) * 1994-03-11 1995-10-03 Tachi S Co Ltd 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200314480Y1 (ko) * 2003-03-05 2003-06-02 주식회사 리바트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100093884A (ko) * 2009-02-17 2010-08-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시트 무선제어장치
KR100994822B1 (ko) * 2009-02-19 2010-11-16 주식회사 리바인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103560B1 (ko) * 2009-09-10 2012-01-11 (주)제일씨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44692A1 (en) Adjusting device of a lumbar support or of a side-bolster adjuster having a spindle drive for a seat element of a vehicle seat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US7152928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ssembly
KR20190048405A (ko)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KR101598960B1 (ko) 차량용 럼버서포트
CN203110980U (zh) 一种头枕高度可调的车用儿童安全座椅
KR101867518B1 (ko) 헤드레스트 위치 제어 장치
CN104309570B (zh) 一种安全带高度调节器、安全带装置以及车辆
KR100775371B1 (ko) 헤드 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US5333905A (en) Shoulder anchor weight adjusting apparatus
CN108973786A (zh) 一种汽车座椅
KR101301070B1 (ko)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의 무단 높이 조절 장치
KR200463979Y1 (ko) 차량용 시트 완충장치
CN111038543A (zh) 用于车辆的桌台
KR101867493B1 (ko)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WO2007028891A3 (fr) Siege automobile pour enfant
CN108407836A (zh) 可移动火车卧铺
KR10149113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US9902302B2 (en) Motor vehicle seat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479785B1 (ko) 각도와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한 시트 팔걸이 장치
JPH07266951A (ja) 立ち運転用フォークリフトの作業員用の支持装置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CN114750655B (zh) 一种安全座椅头靠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