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978B1 - 의료용 캐스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캐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978B1
KR101866978B1 KR1020160062298A KR20160062298A KR101866978B1 KR 101866978 B1 KR101866978 B1 KR 101866978B1 KR 1020160062298 A KR1020160062298 A KR 1020160062298A KR 20160062298 A KR20160062298 A KR 20160062298A KR 101866978 B1 KR101866978 B1 KR 101866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inding
elastic fibers
band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091A (ko
Inventor
문병순
Original Assignee
문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순 filed Critical 문병순
Priority to KR102016006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7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의료용 캐스트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캐스트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신축밴드; 상기 신축밴드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되며,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탄력섬유;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신체 부위를 감쌀 때,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마주하게 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를 연결하는 평평한 형태의 다수 개의 결속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가 개시된다.
전술한 의료용 캐스트는 제조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낮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캐스트{Cast for Medical}
개시된 내용은 의료용 캐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캐스트란 골절, 탈구, 염좌 등이 발생한 신체 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석고붕대 또는 섬유유리붕대 등의 의료용품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시술의 용이성과 사용자(환자)의 편의성(가볍고, 바람이 잘 통하는 것이 편하고 좋다)을 위해, 다양한 소재와 형태의 의료용 캐스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일례로,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된 원통 형태의 탄력섬유(이하, '종래 기술 1'이라 칭함)가 있다. 종래 기술 1은 통상 기밀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는데, 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의사는 포장을 제거한 뒤, 탄력섬유를 물에 적신다.
다음으로, 탄력섬유에서 물기를 제거한 뒤, 양말을 신기듯이 탄력섬유를 환자의 환부에 착용시킨다.
마지막으로, 환부가 올바르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탄력섬유가 굳기 전에, 일정한 형태로 탄력섬유를 성형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 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수경화성 합성수지의 점착력 때문에, 탄력섬유를 환부에 용이하게 착용시키기가 쉽지 않다.
둘째, 치료가 완료되면, 경화된 탄력섬유를 톱을 이용하여 절단해야 하는데, 이 경우, 환자가 공포심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절단 과정에서 피부에 상처가 날 우려가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 1의 문제점을 보완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773862호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이하, '종래 기술 2'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 2는 정형외과용 부목(의료용 캐스트)을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에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코팅된 탄력섬유의 일단에 신축밴드를 길이방향으로 접합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결합수단을 연결하여 양단에 입구부와 출구부를 두며, 수경화성수지를 코팅할 때, 상기 신축밴드와 결합수단은 코팅이 되지 않도록 제작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 후 부목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나 결합수단을 절개하여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 2의 결합수단으로는 신축밴드가 사용될 수 있고, 벨크로(Velcro) 또는 슬라이드 파스너(Slide Fasten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결합수단으로 신축밴드가 사용될 경우, 종래 기술 1과 마찬가지로 탄력섬유를 환부에 착용시키기가 쉽지 않다.
결합수단으로 벨크로 또는 슬라이드 파스너가 사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의료용 캐스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캐스트(부목)를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저장된 용액에 담근 후, 롤러로 압착하여 지나치게 적셔진 용액을 짜내는 공정이 행해지게 되는데, 벨크로나 슬라이드 파스너에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묻으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비닐커버 등을 씌어야 한다. 따라서 공정이 복잡해진다.
더욱이, 비닐커버로 벨크로나 슬라이드 파스너를 완벽히 밀봉하기 어렵기 때문에, 비닐커버를 씌우더라도, 코팅 작업시 비닐커버 사이로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침투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슬라이드 파스너는 지퍼고리의 두께로 인해,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크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지퍼고리는 롤러의 압착을 방해하여,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탄력섬유에 균일하게 스며들지 못하게 한다.
아울러, 벨크로나 슬라이드 파스너는 시술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비닐커버를 따로 제거해야 하며,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묻지 않게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개시된 내용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낮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의료용 캐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캐스트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신축밴드; 상기 신축밴드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되며,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탄력섬유;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신체 부위를 감쌀 때,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마주하게 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를 연결하는 평평한 형태의 다수 개의 결속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가 제시된다.
상기 결속 유닛은, 소정의 탄성을 지닌 재질로 된 수결속구와 암결속구로 구성되고, 상기 수결속구는 평평한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작살 형상의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결속구는 평평한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걸림결합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결속구의 몸체부에는 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연결블럭이 슬라이딩 돌출될 수 있도록 더 구비되고, 상기 수결속구의 몸체부에는 상기 연결블럭과 결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용 캐스트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신축밴드; 상기 신축밴드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되며,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탄력섬유; 졸대; 및,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신체 부위를 감쌀 때,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마주하게 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졸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졸대를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결속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 유닛에 삽입된 상기 졸대를 임의로 제거할 수 없도록, 상기 졸대의 양단부에는 래칫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이 제시된다.
상기 졸대는 탄성을 지닌 섬유로 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 유닛에 삽입되는 한 쌍의 기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 절에서 제시된 의료용 캐스트는 제조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낮고,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캐스트(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속 유닛(30)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속 유닛(30)에 연결블럭과 수용부가 더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캐스트(100')의 사시도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캐스트(100)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캐스트(100)는 신축밴드(10), 탄력섬유(20), 결속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축밴드(10)는 네오프렌(Neoprene) 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다. 의료용 캐스트(100)를 시술할 시, 신축밴드(10)는 주로 관절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신축밴드(10)는 가위나 칼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되며, 치료가 완료되면 이를 절단하여, 의료용 캐스트(100)를 손쉽게 해체할 수 있다.
탄력섬유(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신축밴드(1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재봉)된다. 탄력섬유(20)의 섬유조직 사이에는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되어(스며들어) 있어, 물(습기)이 가해지면 경화된다. 한 쌍의 탄력섬유(20)는 관절의 바깥쪽에 위치한 신축밴드(10)를 축으로 골절, 탈구, 염좌 등이 발생한 신체 부위를 감싼다.
즉, 물에 적셔지거나, 물이 뿌려진 탄력섬유(20)로 환부를 감싸면, 탄력섬유(20)가 경화되면서 환부를 고정하게 된다.
덧붙이면, 탄력섬유(20)는 폴리에스터 편직물, 유리섬유 편직물, 천연섬유, 합성섬유 등일 수 있고, 우레탄 탄력사 또는 고무사 등의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편직된 것일 수도 있는데, 재질이 어떠한 경우라도, 당기면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망상(網狀)으로 직조되는(Weaving)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 유닛(30)은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탄력섬유(20)가 신체 부위를 감쌀 때, 마주하게 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며, 한 쌍의 탄력섬유(20)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의료용 캐스트(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결속 유닛(30)이 재봉된 탄력섬유(20)를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저장된 용액에 담근 후, 롤러로 압착하여 지나치게 적셔진 용액을 짜내는 공정이 행해지게 되는데, 결속 유닛(30)이 탄력섬유(20)와 비슷한 두께로 평평하게 형성되면, 롤러로 인해 결속 유닛(30)이 파손될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다. 또한, 롤러가 결속 유닛(30)에 의해 동작을 방해받지 않으므로, 탄력섬유(20)에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균일하게 스며들게 된다.
결속 유닛(30)은 수결속구(32)와 암결속구(34)로 구성되고, 수결속구(32)와 암결속구(34)는 체결된 후 강제로 파손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결속 유닛(30)의 파손 여부를 통해, 의료용 캐스트(100)의 임의 해체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결속 유닛(30)은 소정의 탄성을 지닌 합성수지(플라스틱 등) 재질로 제작되며, 시술 후 피부에 닿지 않도록 결속 유닛(30)은 탄성섬유(20)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결합 유닛(30)의 구조와 작동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수결속구(32)는 평평한 형태의 몸체부(32a)와, 몸체부(32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작살(또는 화살표) 형상의 걸림부(32b)로 이루어지고, 암결속구(34)는 평평한 형태의 몸체부(34a)와, 몸체부(34a)의 일측에 형성되고, 수결속구(32)의 걸림부(32b)에 걸림결합되는 삽입부(34b)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부(32b)의 후미 폭은 삽입부(34b)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암결속구(34)에 수결속구(32)를 밀어 넣으면, 걸림부(32b)의 후미가 삽입부(34b)에 결림결합되어 체결되며, 체결된 결속구(32, 34)는 걸림부(32b)를 강제 파손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결속 유닛(30)은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묻더라도 이상 없이 작동한다. 치료가 끝난 후에는 니퍼 등으로 걸림부(32)를 절단하여, 결속 유닛(3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벨크로나 슬라이드 파스너와 달리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결속 유닛(30)은 사이사이 공간에 바람이 통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성 향상을 위해, 한 쌍의 탄력섬유(20)는 완전히 맞닿지 않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암결속구(34)의 몸체부(34a)에는 하면에 걸림돌기(34d)가 형성된 연결블럭(34c)이 슬라이딩 돌출될 수 있도록 더 구비되고, 수결속구(32)의 몸체부(32a)에는 연결블럭(34c)과 결합될 수 있는 수용부(32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목욕이나 추가적인 X선 촬영 등의 이유로 부득이하게 수결속구(32)의 걸림부(32b)를 파손(절단)하여 부목을 해체하게 될 경우, 수결속구(32)와 암결속구(34)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캐스트(100')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캐스트(100')는 신축밴드(10), 탄력섬유(20), 결속 유닛(30'), 졸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속 유닛(30')의 내부에는 졸대(4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결속 유닛(30')은 졸대(40)를 매개로 연결된다. 결속 유닛(30')은 가능한 평평하고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 유닛(30')에 삽입된 졸대(40)를 임의로 제거할 수 없도록, 졸대(40)의 양단부에는 래칫돌기(40c)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득이하게 의료용 캐스트(100')를 해체한 후, 다시 착용해야 하는 경우, 래칫돌기(40c)를 가위나 칼 등으로 제거하여 졸대(40)를 결속 유닛(30')에서 빼내거나 재삽입하면 된다.
졸대(40)는 탄성을 지닌 섬유로 된 밴드부(40a)와, 밴드부(40a)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결속 유닛(30')에 삽입되는 한 쌍의 기둥부(40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술 후, 밴드부(40a)는 신축밴드(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밴드부(40a)와 신축밴드(10)는 환부에 가해질 수 있는 지나친 압박감을 일부 경감시킨다. 치료가 끝나면, 밴드부(40a)와 신축밴드(10)를 칼이나 가위 등으로 절단하여, 의료용 캐스트(100')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캐스트(100, 100')는 결속 유닛(30, 30')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제조 과정에서 롤러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낮다.
또한, 결속 유닛(30, 30')은 구조상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묻더라도 기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결속 유닛(30) 또는 졸대(40)의 파손 여부를 통해, 캐스트의 임의 해체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내용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시된 내용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고려되어야 한다.
100, 100' ; 의료용 캐스트
10 ; 신축밴드
20 ; 탄력섬유
30, 30' ; 결속 유닛
32 ; 수결속구
32a ; 몸체부
32b ; 걸림부
32c ; 수용부
34 ; 암결속구
34a ; 몸체부
34b ; 삽입부
34c ; 연결블럭
34d ; 걸림돌기
40 ; 졸대
40a ; 밴드부
40b ; 기둥부
40c ; 래칫돌기

Claims (6)

  1. 의료용 캐스트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신축밴드;
    상기 신축밴드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되며,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탄력섬유;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신체 부위를 감쌀 때,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마주하게 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를 연결하는 평평한 형태의 다수 개의 결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유닛은, 피부에 닿지 않도록 상기 탄력섬유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 유닛은,
    소정의 탄성을 지닌 재질로 된 수결속구와 암결속구로 구성되고,
    상기 수결속구는 평평한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작살 형상의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결속구는 평평한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걸림결합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부의 후미 폭은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결속구와 상기 암결속구는 체결된 후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결속구의 몸체부에는 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연결블럭이 슬라이딩 돌출될 수 있도록 더 구비되고,
    상기 수결속구의 몸체부에는 상기 연결블럭과 결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
  4. 의료용 캐스트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신축밴드;
    상기 신축밴드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되, 수경화성 합성수지가 도포되며, 신체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한 쌍의 탄력섬유;
    졸대; 및,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신체 부위를 감쌀 때, 상기 한 쌍의 탄력섬유가 마주하게 되는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졸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졸대를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결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유닛에 삽입된 상기 졸대를 임의로 제거할 수 없도록, 상기 졸대의 양단부에는 래칫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 유닛은, 피부에 닿지 않도록 상기 탄력섬유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졸대는 탄성을 지닌 섬유로 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 유닛에 삽입되는 한 쌍의 기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캐스트.
  6. 삭제
KR1020160062298A 2016-05-20 2016-05-20 의료용 캐스트 KR10186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98A KR101866978B1 (ko) 2016-05-20 2016-05-20 의료용 캐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98A KR101866978B1 (ko) 2016-05-20 2016-05-20 의료용 캐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91A KR20170131091A (ko) 2017-11-29
KR101866978B1 true KR101866978B1 (ko) 2018-06-14

Family

ID=6081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298A KR101866978B1 (ko) 2016-05-20 2016-05-20 의료용 캐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9795A4 (en) 2017-06-16 2021-01-13 Byung-Soon Moon MEDICAL FIXATION DEVICE FOR LESION
KR102525054B1 (ko) 2020-04-13 2023-04-26 윤영진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 기반의 의료용 부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93B1 (ko) * 2011-01-25 2013-02-06 (주)힐닉스 정형외과용 부목
KR101270252B1 (ko) 2011-04-06 2013-05-31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형상 조절이 가능한 부목 및 이를 이용한 개방형 스마트 보호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470B1 (ko) * 2004-03-29 2006-02-13 이기성 골절환자용 깁스
KR100773862B1 (ko) * 2005-11-01 2007-11-08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93B1 (ko) * 2011-01-25 2013-02-06 (주)힐닉스 정형외과용 부목
KR101270252B1 (ko) 2011-04-06 2013-05-31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형상 조절이 가능한 부목 및 이를 이용한 개방형 스마트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91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9448A (en) Easily removed tubular cast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 cast
US4215687A (en) Body or limb encircling therapeutic device
US6478761B2 (en) Rollable body part protector
US10517767B2 (en) Application of kinesiology tape bandage
EP0185197A1 (en) A fixation bandage
KR101866978B1 (ko) 의료용 캐스트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WO2019046865A1 (en) REVERSE FINGER BANDAGE WITH DEPLOYMENT BANDS
KR100773862B1 (ko)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JP4069142B2 (ja) 四肢体幹に圧迫力を与えるための医療具
KR101455709B1 (ko) 지혈 기능을 가지는 의료용 지지대
KR200486618Y1 (ko) 의료용 스플린트
KR20100006356U (ko) 미용팩
KR20140000548A (ko)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KR101249749B1 (ko) 통깁스용 절곡 부목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0475529B (zh) 医疗用患部固定装置
US20210100692A1 (en) Medical fixation apparatus for lesion
JP6993553B2 (ja) 関節用装具
KR101162608B1 (ko) 인장력에 대응하는 지혈밴드
JP2021007518A (ja) 手指関節装具用固定材及び手指関節装具
CA2973527C (en) Kinesiology tape bandage
CN217611609U (zh) 一种腕部弯曲限制装置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207575337U (zh) 一种下肢敷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