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749B1 - 통깁스용 절곡 부목 - Google Patents

통깁스용 절곡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749B1
KR101249749B1 KR1020110109124A KR20110109124A KR101249749B1 KR 101249749 B1 KR101249749 B1 KR 101249749B1 KR 1020110109124 A KR1020110109124 A KR 1020110109124A KR 20110109124 A KR20110109124 A KR 20110109124A KR 101249749 B1 KR101249749 B1 KR 101249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iber
horizontal
cover
splin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순
Original Assignee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749B1/ko
Priority to PCT/KR2012/008513 priority patent/WO20130622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화성 수지가 함침되어 수분에 의해 건조되면서 자연 경화되는 탄력섬유와 이를 외부에서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시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외피의 내부에 매우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시술시 환자의 체격에 맞추게 환부를 간편하게 감싸 정형시킬 수 있으며 치료후 편리하게 환부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성과 시술성 및 착용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와 상기 탄력섬유를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어, 절곡 부위가 있는 환부를 통채로 감싸 정형시키는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는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평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평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 수평부와,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직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 수직부와, 수평부와 수직부의 사이에 절구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되 환부의 절곡 각도에 대응되게 양측이 봉착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환부의 절곡 각도로 연결하는 절곡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탄력섬유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각각 수평부와 수직부 및 절곡부로 이루어진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되, 내피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양단과 외피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양단이 마감부재로 봉착되고, 내피의 절곡부는 양측이 봉착되지 않고 중간이 가로로 절결되어 커버의 내부로 탄력섬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력섬유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경화성 수지가 흡수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통깁스용 절곡 부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통깁스용 절곡 부목{Bending splint for full cast}
본 발명은 수분에 의해 자연 경화되는 경화성 수지를 탄력섬유에 함침시킨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하여 골절, 염좌, 염증 등의 상해를 입은 환부에 둘러 움직이지 않도록 정형시킴으로써 환부의 통증을 예방하고 환부의 회복을 빠르게 하기 위한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국내 등록특허 제10-0385790호, 2003.05.19.자 등록.
[문헌 2] 국내 등록특허 제10-0773862호, 2007.11.08.자 등록.
일반적으로 정형외과 등에서는 팔다리 등에 골절, 염좌, 염증 따위가 있는 경우 아픈 팔다리 등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신체정형용 부목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신체정형용 부목은 시술 형태에 따라, 환부를 완전히 감싸는 통깁스 부목과, 환부를 절반만 감싸는 반깁스 부목으로 대별된다. 특히, 통깁스 부목은 환부를 완전히 감싸 고정하므로 환부의 정형에 더욱 효과적이다.
예전에는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환부에 감아 고정하는 통깁스 부목이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통깁스 부목은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면서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환부에 붕대를 감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기성이 전혀 없어 장기간 고정시 땀이 차면서 가려움증과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며, 치료 완료 후 제거시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환부의 피부를 다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문헌 1 내지 문헌 2와 같이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대신하여 수분에 의해 자연 경화되는 경화형 폴리우레탄 등의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문헌 1의 반깁스용 절곡 부목은,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되고 가장자리가 일체로 봉착된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진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고 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탄력섬유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환부에 시술할 때는 절곡 부목을 통채로 물에 적신 후 환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커버와 탄력섬유의 각도를 환부의 형상에 맞게 손으로 형태로 잡고 붕대로 감아주면 된다. 그리고 치료가 완료되어 환부에서 분리할 때는 반깁스 형태이므로 붕대를 풀기만 하면 된다.
상기 문헌 2의 통깁스용 부목은, 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 탄력섬유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된 신축밴드, 탄력섬유의 양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게 설치되어 탄력섬유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슬라이드파스너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환부에 시술할 때는 결합수단을 체결한 상태에서 탄력섬유를 물에 적신 후 환부에 씌워 환부의 형상에 맞게 손으로 형태로 잡아주면 된다. 그리고 치료가 완료되어 환부에서 분리할 때는 결합수단을 서로 분리하고 신축밴드를 칼이나 가위로 길이방향으로 자르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 1의 반깁스용 절곡 부목은 커버와 탄력섬유가 모두 반원통형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풀깁스 구조로 변경하더라도 풀깁스 형태로는 시술이 불가능하므로 반깁스 형태로만 시술할 수밖에 없었다.
즉, 통깁스 형태로 환부에 시술하기 위해서는 커버와 탄력섬유를 모두 원통형으로 제조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환부의 절곡 형상에 맞게 커버와 탄력섬유를 절곡시킬 때 커버와 탄력섬유의 절곡 부분 내측에 많은 주름이 생기게 되므로, 환부를 제대로 고정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문헌 1의 절곡 부목은 반깁스 형태로 시술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기능적인 한계로 인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조시 탄력섬유를 커버에 삽입하고 그 가장자리를 봉착시킬 때도 탄력섬유에 흡수되어 있는 경화성 수지가 다른 부분에 쉽게 묻어 봉착 작업에도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헌 2의 통깁스용 부목은 제조 과정에서 탄력섬유를 경화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필요 이상의 경화성 수지를 짜내기 위해 프레스로 압착할 때, 탄력섬유보다 결합수단의 높이가 높아 탄력섬유가 제대로 압착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경화성 수지의 제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탄력섬유에 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킬 때, 결합수단의 표면에 경화성 수지가 흡수되지 않도록 보호필름을 결합수단에 별도로 부착해야 한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작업 공수도 증가하여 제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탄력섬유가 어느 정도 신축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환자의 체격이 큰 경우에는 탄력섬유가 환부를 심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환부의 통증을 유발하고 환부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헌 1 내지 문헌 2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제조시 탄력섬유의 양단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커버의 내부로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시술시 환자의 체격에 맞추게 환부를 간편하게 감싸 정형시킬 수 있으며, 치료 완료 후 안전하고 편리하게 환부에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통깁스용 절곡 부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와 상기 탄력섬유를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어, 절곡 부위가 있는 환부를 통채로 감싸 정형시키는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는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평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평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 수평부와,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직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 수직부와, 수평부와 수직부의 사이에 절구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되 환부의 절곡 각도에 대응되게 양측이 봉착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환부의 절곡 각도로 연결하는 절곡부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탄력섬유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각각 수평부와 수직부 및 절곡부로 이루어진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되, 내피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양단과 외피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양단이 마감부재로 봉착되고, 내피의 절곡부는 양측이 봉착되지 않고 중간이 가로로 절결되어 커버의 내부로 탄력섬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력섬유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경화성 수지가 흡수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통깁스용 절곡 부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조시 절곡 부목임에도 불구하고 탄력섬유를 외피 내부로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경화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이를 짜내는 작업도 매우 편리하므로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시술시 환부를 감싸기만 하면 쉽게 시술이 완료되므로 시술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체격에 직경 변화가 가능하므로 환부의 통증과 혈액순환 장애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치료 완료 후 분리시 신축밴드에 의해 가위나 칼로써 쉽게 절단되므로 분리 작업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에 대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력섬유에 대한 전개도.
도 5과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분이 가해지면 단단하게 굳어지는 특성이 있는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10)와, 상기 탄력섬유(10)를 감싸 경화성 수지가 외부로 묻어나지 않게 하는 커버(20)로 구성되어, 골절, 염좌, 염증 따위가 있는 절곡 형태의 환부를 통채로 감싸 정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통깁스용 절곡 부목(100)이다.
특히, 본 발명의 통깁스용 절곡 부목(100)은 탄력섬유(10)의 양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10)를 커버(20)의 내부로 쉽게 삽입 가능하여 제조 작업이 간단하고, 환자의 체격에 맞게 탄력섬유(10)로 환부를 고정하여 시술 작업이 용이하며, 탄력섬유(10)를 환부에서 쉽게 분리되어 분리 작업도 편리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10)와 상기 탄력섬유(10)를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20)로 구성되어, 절곡 부위가 있는 환부를 통채로 감싸 정형시키는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10)는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평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평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수평부(10a)와,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직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평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수직부(10b)와, 수평부(10a)와 수직부(10b)의 사이에 절구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되 환부의 절곡 각도에 대응되게 양측이 봉착되어 수평부(10a)와 수직부(10b)를 환부의 절곡 각도로 연결하는 절곡부(10c)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20)는 탄력섬유(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각각 수평부(21a)(22a)와 수직부(21b)(22b) 및 절곡부(21c)(22c)로 이루어진 내피(21)와 외피(22)로 구성되되, 내피(21)의 수평부(21a)와 수직부(21b)의 양단과 외피(22)의 수평부(22a)와 수직부(22b)의 양단이 마감부재(23)로 봉착되고, 내피(21)의 절곡부(22c)는 양측이 봉착되지 않고 중간이 가로로 절결되어 커버(20)의 내부로 탄력섬유(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력섬유(1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경화성 수지가 흡수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밴드(30)로 구성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탄력섬유(10)를 커버(20)의 내부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커버(20)를 이루는 내피(21)의 중간이 절결되고, 탄력섬유(10)와 커버(20)는 환부의 절곡 부위에 대응되는 절곡 각도를 가지며, 탄력섬유(10)와 커버(20)의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평 부위와 수직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구조에 의한 것이다.
이때 탄력섬유(10)와 커버(20)는 환부의 형상에 꼭 맞도록 환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사전 성형된 것이다. 즉, 환부가 발목이면 탄력섬유(10)와 커버(20)는 발목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그 보다 여유 있는 면적을 갖도록 사전 성형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절곡 부목(100)의 제조 과정에서 경화성 수지에 함침시킨 탄력섬유(10)를 커버(20)의 내부로 삽입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되어 있는 내피(21)의 절곡부(21c)를 통해 탄력섬유(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20)의 내부로 삽입하면 된다.
즉, 탄력섬유(10)의 수평부(10a)와 수직부(10b)를 각각 내피(21)와 외피(22)의 수평부(21a)(22a)의 사이와 내피(21)와 외피(22)의 수직부(21b)(22b)의 사이로 완전히 삽입하고, 탄력섬유(10)의 절곡부(10c)를 외피(22)의 절곡부(22c)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서 삽입한 후, 중간이 가로로 절결된 내피(21)의 절곡부(21c)를 탄력섬유(10)의 절곡부(10c)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서 삽입하면 된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탄력섬유(10)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없이 커버(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탄력섬유(10)가 경화성 수지에 함침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커버(20)로의 삽입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절곡 부목(100)의 제조 과정에서 탄력섬유(10)를 경화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필요 이상의 경화성 수지를 제거하기 위해 프레스 작업을 행할 때도, 종래와 달리 슬라이드파스너와 같은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아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경화성 수지를 짜낼 수 있다.
따라서 경화성 수지의 제거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교하여 절곡 부목(100)의 제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곡 부목(100)을 환부에 시술할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의 절곡 부위에 내피(21)의 절곡부(21c)에 밀착시킨 후 탄력섬유(10)의 수평부(10a)와 커버(20)의 수평부(21a)(22a)로 환부의 수평 부위를 완전히 감싸고, 탄력섬유(10)의 수직부(10b)와 커버(20)의 수직부(21b)(22b)로 환부의 수직 부위를 완전히 감싼 후 탄력섬유(10)를 수부로 만지면서 환부의 형상에 맞게 성형하면 된다.
여기서 탄력섬유(10)의 수평부(10a)와 수직부(10b), 그리고 커버(20)의 수평부(21a)(22a)와 수직부(21b)(22b)는 환부의 둘레보다 긴 가로 길이를 가지므로, 환부를 감쌀 때는 도 6과 같이 탄력섬유(10)와 커버(20)의 양단을 서로 겹쳐진 상태로 환부를 감싸면 된다.
그런 다음 커버(20)의 외측으로 탄력붕대를 감아 마무리함으로써 시술이 완료된다. 이때 도 7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20)에는 탄력붕대를 대신할 수 있는 벨크로테이프(4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탄력붕대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술을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탄력섬유(10)와 커버(20)의 양단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경화되어 환부를 고정시키므로, 종래와 달리 탄력섬유(10)나 커버(20)의 양단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할 필요가 전혀 없어 시술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력섬유(10)와 커버(20)는 환부의 둘레보다 긴 가로 길이를 가짐에 따라, 환자의 체격이나 환부의 위치에 따라 직경이 다른 환부에 맞게 감쌀 수 있으므로, 조임으로 인한 환부의 통증이나 혈액순환 장애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커버(20)의 내피(21)는 환부와 직접 접촉되므로 부직포 등과 같이 쿠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환부를 더욱 더 편안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환부의 치료가 완료되어 절곡 부목(100)을 환부에서 분리할 때는 탄력섬유(1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신축밴드(30)와 함께 커버(20)를 가위나 칼로 절단하면 된다.
이때 신축밴드(30)는 경화성 수지를 흡수하지 않는 네오프렌 등의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탄력섬유(10)와 달리 단단히 경화되지 않으므로 가위나 칼로써 쉽게 절단 가능하다.
그러면 탄력섬유(10)가 커버(20)와 함께 신축밴드(3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분되된 상태이고 탄력섬유(10)와 커버(20)의 양단은 단순히 상하로 겹쳐져 있는 상태이므로, 절곡 부목(100)은 환부에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통깁스 부목을 환부에서 분리하기 위해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을 깁스 전용의 커터로 절단해야 했던 종래와 달리, 가위나 칼로서 신축밴드(30)를 절단하기만 하면 되므로 분리 작업을 매우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탄력섬유 10a: 수평부
10b: 수직부 10c: 절곡부
20: 커버 21: 내피
21a: 수평부 21b: 수직부
21c: 절곡부 22: 외피
22a: 수평부 22b: 수직부
22c: 절곡부 23: 마감부재
30: 신축밴드 40: 벨크로테이프
100: 절곡 부목

Claims (2)

  1. 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10)와 상기 탄력섬유(10)를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20)로 구성되어, 절곡 부위가 있는 환부를 통채로 감싸 정형시키는 통깁스용 절곡 부목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10)는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평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평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 수평부(10a)와, 양단이 겹쳐지면서 환부의 수직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는 가로 길이를 가지며 환부의 수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 수직부(10b)와, 수평부(10a)와 수직부(10b)의 사이에 절구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되 환부의 절곡 각도에 대응되게 양측이 봉착되어 수평부(10a)와 수직부(10b)를 환부의 절곡 각도로 연결하는 절곡부(10c)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20)는 탄력섬유(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각각 수평부(21a)(22a)와 수직부(21b)(22b) 및 절곡부(21c)(22c)로 이루어진 내피(21)와 외피(22)로 구성되되, 내피(21)의 수평부(21a)와 수직부(21b)의 양단과 외피(22)의 수평부(22a)와 수직부(22b)의 양단이 마감부재(23)로 봉착되고, 내피(21)의 절곡부(22c)는 양측이 봉착되지 않고 중간이 가로로 절결되어 커버(20)의 내부로 탄력섬유(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주머니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탄력섬유(1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경화성 수지가 흡수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밴드(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통깁스용 절곡 부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외피(22)에는 복수의 벨크로테이프(4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통깁스용 절곡 부목.
KR1020110109124A 2011-10-25 2011-10-25 통깁스용 절곡 부목 KR10124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24A KR101249749B1 (ko) 2011-10-25 2011-10-25 통깁스용 절곡 부목
PCT/KR2012/008513 WO2013062263A1 (ko) 2011-10-25 2012-10-18 통깁스용 절곡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24A KR101249749B1 (ko) 2011-10-25 2011-10-25 통깁스용 절곡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749B1 true KR101249749B1 (ko) 2013-04-05

Family

ID=4816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24A KR101249749B1 (ko) 2011-10-25 2011-10-25 통깁스용 절곡 부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9749B1 (ko)
WO (1) WO201306226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36B1 (ko) * 2016-12-15 2017-03-28 이숙자 스플린트용 커버 조립체
KR20180002102U (ko) 2016-12-29 2018-07-09 정은희 절곡부목
WO2018230753A1 (ko) * 2017-06-16 2018-12-20 문병순 의료용 환부고정장치
KR20200107407A (ko) 2019-03-07 2020-09-16 고용운 원스텝 몰딩으로 성형된 의료용 부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768A (ja) * 2002-04-29 2005-08-11 ロイス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KR20090077429A (ko) * 2008-01-11 2009-07-15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한 하프깁스 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3768A (ja) * 2002-04-29 2005-08-11 ロイス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KR20090077429A (ko) * 2008-01-11 2009-07-15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자유성형부목을 이용한 하프깁스 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736B1 (ko) * 2016-12-15 2017-03-28 이숙자 스플린트용 커버 조립체
KR20180002102U (ko) 2016-12-29 2018-07-09 정은희 절곡부목
WO2018230753A1 (ko) * 2017-06-16 2018-12-20 문병순 의료용 환부고정장치
JP2020515357A (ja) * 2017-06-16 2020-05-28 ムン ビョンスンMOON, Byung−Soon 医療用患部固定装置
US11576805B2 (en) 2017-06-16 2023-02-14 Byung-Soon Moon Medical fixation apparatus for lesion
KR20200107407A (ko) 2019-03-07 2020-09-16 고용운 원스텝 몰딩으로 성형된 의료용 부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2263A1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49B1 (ko) 통깁스용 절곡 부목
US20150051523A1 (en) Graduated compression device having separate body and bands
KR101417682B1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US4111194A (en) Posterior knee immobilizing brace
KR101936952B1 (ko)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KR100773862B1 (ko)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US4299214A (en) Cuff for the relief of tennis elbow and the like
KR20140000548A (ko)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KR20190072750A (ko) 깁스용 양말
KR20060080674A (ko)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US20100256542A1 (en) Cast shrink
KR101866978B1 (ko) 의료용 캐스트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577B1 (ko)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JP3009547U (ja) 医療用副木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JP3189271U (ja) アキレス腱ガイドおよびアキレス腱治療具
JP2014503245A (ja) 成形可能な損傷治療器具及び方法
JP2021007518A (ja) 手指関節装具用固定材及び手指関節装具
KR200401774Y1 (ko) 상처보호 주름밴드
JP6936334B2 (ja) 医療用患部固定装置
KR200406486Y1 (ko)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199982Y1 (ko) 튜브형 붕대
PT1066064E (pt) Ligadura rigida sinte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