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486Y1 -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 Google Patents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486Y1
KR200406486Y1 KR2020050030939U KR20050030939U KR200406486Y1 KR 200406486 Y1 KR200406486 Y1 KR 200406486Y1 KR 2020050030939 U KR2020050030939 U KR 2020050030939U KR 20050030939 U KR20050030939 U KR 20050030939U KR 200406486 Y1 KR200406486 Y1 KR 200406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elastic band
coupling means
treatmen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순
문영훈
Original Assignee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4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형외과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목을 구성하는 편직 탄력섬유의 양단을 연결하는 신축밴드를, 봉제나 용착 등의 접합수단으로 상호 접합하여 원통모양의 캐스트(circular cast)를 만들고,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경화성수지)를 코팅할 때 연결수단은 경화성수지가 코팅이 되지 않도록 제작하고, 일측의 신축밴드 대신에 밸크로화스너 또는 슬라이드화스너를 선택적으로 취부하므로서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시술후 부목의 제거를 매우 쉽고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과 기능상의 특성은, 정형외과용 부목(10)을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탄력섬유(11)의 일단에, 합성고무나 직물 등으로 된 신축밴드(20)를 길이방향으로 봉제나 압착 등의 접합수단(22)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별도의 결합수단(21)을 연결하므로서 양단에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두어 골절이나 염좌 등의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 손으로서 절개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부목, 정형외과, 경화성수지, 신축밴드, 커버지, 원단

Description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splint for orthopedic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목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수단에 밸크로화스너를 접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 3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수단에 슬라이드화스너를 접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도 5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도 1에 대한 커버지를 쒸운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도 3에 대한 커버지를 쒸운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도 5에 대한 커버지를 쒸운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부목 11 : 탄력섬유
12 : 경화성수지 13 : 입구부
14 : 출구부
20 : 신축밴드 21 : 결합수단
22 : 접합수단 23 : 커버지
24 : 밸크로화스너 25 : 슬라이드화스너
본 고안은 골절, 염좌 등의 상해를 입은 환부를 안전하게 지지,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목을 구성하는 편직 탄력섬유의 양단을 연결하는 신축밴드를, 봉제나 용착 등의 접합수단으로 상호 접합하여 원통모양의 캐스트(circular cast)를 만들고,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경화성수지)를 코팅할 때 연결수단은 경화성수지가 코팅이 되지 않도록 제작하고, 일측의 신축밴드 대신에 밸크로화스너 또는 슬라이드화스너를 선택적으로 취부하므로서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시술후 부목의 제거를 매우 쉽고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이나 다리가 부러지거나 삐었을 때, 다친 상해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형외과용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하게 된다.
이러한 정형외과용 부목의 기능을 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환부에 감아 고정시키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시술방법은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환부에 붕대를 감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통기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땀이 많이 나면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시술후 경화가 완료된 상태에서 환부의 치료가 끝나게 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해야 되므로 절단도중 피부를 다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석고 붕대를 이용한 부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폴리에스터 편직물이나,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 등에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등의 경화성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이용하여 포장상태로 유통하고, 사용시에는 포장지를 벗겨내므로서 내부의 탄력섬유가 상온(常溫)에서 신속하게 자연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성형성을 개선한 부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부목을 이용하여 시술할 시에는 먼저 기밀 포장된 진공 포장을 개봉하여 부목을 물속에 담구어 내부의 경화성 심재에 물이 충분히 침투되게 한 다음, 물기를 짜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낸 후, 환부의 형상에 따라 밀착시키고 고탄력 붕대로서 부목이 맞닿인 환부 전체를 감아 고정시켜 주거나, 아니면 포장지 내부에 경화성수지가 함침된 상태로 내장된 부목을 상온(常溫)에 들어내어 신체부위에 감으면 서서히 경화되는 과정에서 환부의 조건에 맞도록 성형하므로서, 완전 경화가 가능하여 시술을 하게 되면 대략 3~4분 후에 경화성 심재가 견고하게 경화되어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므로서 부목 시술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목은, 위와 같이 시술시에는 성형성이나 경화성이 뛰어나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시술후 치료가 완료되면 상기 부목을 제거해야 하는데, 부목을 제거하기 위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주로 경화성수지가 함침된 상태의 탄력섬유의 표면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절단하므로서 부목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경화된 탄력섬유를 절단하게 되면 탄력섬유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탄력섬유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고열이 발생하여 피부에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회전커터가 탄력섬유를 절단할 시에 너무 깊이 들어가 탄력섬유와 함께 피부를 다치게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원통형(circular cast)에서는 아주 심각한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목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기존 부목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절개부를 별도 마련하여 시술 치료후 제거시에서는 상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절개부에 가위나 칼 등으로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역시 근본적인 목적은 얇은 부분을 쉽게 절개한다고 하지만, 실상 부목 전체에 경화성수지가 함침된 상태로 시술이 완료되므로 시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견고하게 경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설령 얇은 부위라 하더라도 절단이 용이치 못하게 되어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로서 제거하기란 사실상 난점이 많다.
즉, 전체 부목의 두께에 비해 특정 절개부만 두께를 얇게 형성한다 할지라도 경화성수지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 내지 피복된 상태로 경화되어 있으므로, 비록 얇게 형성된 부분이라도 경화된 수지에 의해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로서 절 단할 시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절단이 용이치 못하게 되어 시술의 효율성이 크게 저조하며, 자칫 치료를 마친 후 환부로부터 부목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부를 손상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목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골절이나 염좌 등의 상해를 입은 환부에 사용하는 정형외과용 부목을 이용하여 시술하고, 치료 후 이를 제거할 시에는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대략 마주보는 상태로 표면에 경화성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의 일단에 네오프렌 등 합성고무로 된 신축밴드를 길이방향으로 봉제나 압착 등의 접합수단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수단을 연결하여 양단에 입구부와 출구부를 두어 입구부를 통해 환부를 집어넣어 출구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골절이나 염좌 등의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상기 탄력섬유의 신축밴드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은 동일한 신축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고,
상기 탄력섬유의 신축밴드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은 밸크로화스너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탄력섬유의 신축밴드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은 슬라이드화스너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고,
한편으로는 상기 신축밴드나 결합수단은 비닐지 등의 기밀성 커버지를 덧쒸워 경화성수지의 함침시 커버지에 의해 덧쒸워진 부분에는 함침이 방지될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할 경우 시술의 용이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치료후 제거시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과 시술방법 및 제거방법 등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부목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해를 입은 환부에 사용하는 정형외과용 부목(1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시술하고, 경화된 상태로 치료 후 이를 제거할 시에는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대략 마주보는 상태로, 표면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탄력섬유(11)의 일단에, 네오프렌 등 합성고무로 된 신축밴드(20)를 길이방향으로 봉제나 압착 등의 접합수단(22)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수단(21)을 연결하므로서 양단에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두어 입구부(13)를 통해 환부를 집어넣어 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골절이나 염좌 등의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 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로서 절개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동일한 신축밴드(20)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로서 절개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밸크로화스너(24)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암.수 한쌍으로 된 각 밸크로화스너(24)를 상호 분리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슬라이드화스너(25)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결합수단(21)인 슬라이드화스너(25)를 개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한편으로는 상기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은 비닐지 등의 기밀성 커버지(23)를 덧쒸워 경화성수지(12)의 함침시 커버지(23)에 의해 덧쒸워진 부분에는 함침이 방지될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할 경우 시술의 용이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 또는 손으로 개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골절이나 염좌 등의 상해를 입 은 환부에 사용하는 정형외과용 부목(10)을 이용하여 시술하고, 치료 후 이를 제거할 시에는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대략 마주보는 상태로 표면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탄력섬유(11)의 일단에 네오프렌 등 합성고무로 된 신축밴드(20)를 길이방향으로 봉제나 압착 등의 접합수단(22)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수단(21)을 연결하여 양단에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두어 입구부(13)를 통해 환부를 집어넣어 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골절이나 염좌 등의 환부에 시술토록 하여 시술시 성형성을 보장함은 물론 치료후 이를 제거할 시 간단하게 절개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므로서 누구나 손쉽게 제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기능 등의 특성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환부에 시술할 시에는 먼저 시술부위에 부목(10)이 입구부(13)를 이용하여 먼저 환부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탄력섬유(11)의 자체적인 탄력성에 의해 밀려들어가게 되어 출구부(14)를 통해 나오게 된다.
이때, 편의상 본 고안에서는 다리부분에 착용하는 도면을 도시하였으나, 팔이나 가슴 등 신체의 시술이 필요한 부위에 따라 그 기능을 동일하지만 형상은 전혀 다르며, 가령 팔의 경우는 손가락의 파지(把持) 또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엄지손가락이 노출되도록 별도의 구멍을 뚫는 등의 구조는 변할 것이고, 특히 부목(10)을 이용한 시술방법(주로 반깁스와 통깁스로 대별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감안하여 일반적인 부목 시술로 보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탄력섬유(11)가 내장되어 이루어진 부목(10)을 포함함)에 따라 그 형상이나 구조가 약간 달라질 수 있으나, 전체를 통틀어서 설명키로 하고, 이와 같은 부목(10)은 탄력섬유(11) 자체에 애초부터 포장시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경우도 있을 것이고, 포장지를 벗겨낸 상태에서 경화성수지(12)를 침지하여 함침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동일한 과정으로 본다.
본 고안을 시술할 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시술이 필요한 환부를 입구부(13)를 통해 밀어넣어면 탄력섬유(11)의 자체적인 탄력성과 함께 양단에 각각 부착된 결합수단(21)의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시술이 필요한 환부가 밀려들어가 출구부(14)를 통해 노출된다.
이와 같이 부목(10)이 환부에 쒸워지게 되면 시술자는 경화성수지(12)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탄력섬유(11)를 만지면서 경화성수지(12)가 경화됨과 동시에 환부의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성형되면서 시술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러한 부목(10)의 기능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술이 완료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력섬유(11) 자체가 경화성수지(12)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면서 시술이 완료되고, 환부의 치료가 끝난 다음 이를 제거할 경우는 신축밴드(20)나 접합수단(22)이 네오프렌 등 합성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자르게 되면 용이하게 제거가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은 탄력성이 뛰어난 합성고무 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자체적인 신축성에 의해 시술을 할 시 환부의 조건에 따라 자체적인 탄력 성에 의해 피부에 밀착력이 대단히 뛰어나 이물감이 없을 뿐 아니라 착용감이 우수하여 환부의 치료효과를 증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동일한 신축밴드(20)로 구성할 경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술후 치료가 완료되면 동일한 신축밴드(20)를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로서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이 또한 탄력성이 뛰어나 환부의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밸크로화스너(24)를 채택할 경우는 일측의 신축밴드(20)를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로 절단할 수도 있으나, 신축밴드(20)는 그대로 두고, 암.수 한쌍이 마주 붙어있는 밸크로화스너(24)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암.수 한쌍을 상호 분리하여 환부에 시술된 부목(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는 시술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환부가 운동부족 등의 요인으로 약해질(가늘어질) 경우 암.수 한쌍의 밸크로화스너(24)를 분리하여 다시 당겨서 조이면서 상호 붙혀주면 용이하게 결합이 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밸크로화스너(24)의 경우는 시술완료 후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도 있지만, 시술시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통해 환부를 밀어넣는 방식이 아니고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밸크로화스너(24)를 상호 당겨서 붙혀주면 시술이 완료되므로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슬라 이드화스너(25)를 채택할 경우는, 치료완료 후 일측의 신축밴드(20)를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로 절단할 수도 있으나, 신축밴드(20)는 그대로 두고, 슬라이드화스너(25)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호 분리하여 환부에 시술된 부목(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 경우는 시술완료 후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도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밸크로화스너(24)의 기능과 동일하게 시술시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통해 환부를 밀어넣는 방식이 아니고 환부를 감싼 상태에서 슬라이드화스너(25)를 체결해주면 시술이 완료되므로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은 비닐지 등의 기밀성 커버지(23)를 덧쒸워 경화성수지(12)의 함침시 커버지(23)에 의해 덧쒸워진 부분에는 함침이 방지될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할 경우 시술의 용이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감싸고 있는 커버지(23)를 찢어내거나 절개한 상태에서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수단(21)인 밸크로화스너(24)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암.수 한쌍을 상호 분리하면 제거할 수 있고, 슬라이드화스너(25) 역시 일반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분리하므로서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부목(10)(반깁스 및 통깁스 포함)의 탄력섬유(11)에 함침된 경화성수지(12)의 경화됨에 따라 치료후 부목(10)을 제거할 시 탄력섬유(11)를 연결하는 신축밴드(20) 및 결합수단(21)을 이용하여 가 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하여 절단하므로서 환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서는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밸크로화스너(24)나 슬라이드화스너(25)를 이용하여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으로 시술을 용이하게 하면서 치료후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에 비닐지 등 커버지(23)를 덧쒸우므로서 신축밴드(20) 및 결합수단(21) 부분에는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되지 못하게 하여 경화된 후 이를 분리하여 제거가 용이한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형외과용 부목(10)을 이용하여 시술하고, 치료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대략 마주보는 상태로 표면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탄력섬유(11)의 일단에 네오프렌 등 합성고무로 된 신축밴드(20)를 길이방향으로 봉제나 압착 등의 접합수단(22)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수단(21)을 연결하여 양단에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두어 입구부(13)를 통해 환부를 집어넣어 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시술하고, 치료가 완료된 후 경화된 부목(10)의 결합수단(21)을 간단하게 절개하거나 개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각종 정형외과용 부목(10)으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5)

  1. 정형외과용 부목(10)을 구성함에 있어서,
    표면에 경화성수지(12)가 함침된 탄력섬유(11)의 일단에, 합성고무나 직물 등으로 된 신축밴드(20)를 길이방향으로 봉제나 용착 등의 접합수단(22)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타측에는 별도의 결합수단(21)을 연결하므로서 양단에 입구부(13)와 출구부(14)를 두며,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경화성수지(12)를 코팅할 때 상기 신축밴드(20)와 결합수단(21)은 코팅이 되지 않도록 제작하여 골절이나 염좌 등의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 손으로서 절개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동일한 신축밴드(20)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로서 절개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밸크 로화스너(24)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암.수 한쌍으로 된 각 밸크로화스너(24)를 상호 분리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섬유(11)의 신축밴드(20)가 접합된 반대편의 결합수단(21)은, 슬라이드화스너(25)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환부에 시술토록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결합수단(21)인 슬라이드화스너(25)를 개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은 비닐지 등의 기밀성 커버지(23)를 덧쒸워 경화성수지(12)의 함침시 커버지(23)에 의해 덧쒸워진 부분에는 함침이 방지될 수 있게 하고, 치료후 부목(10)의 제거시에는 신축밴드(20)나 결합수단(21)을 가위나 칼 또는 손을 이용하여 개방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KR2020050030939U 2005-11-01 2005-11-01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KR200406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39U KR200406486Y1 (ko) 2005-11-01 2005-11-01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39U KR200406486Y1 (ko) 2005-11-01 2005-11-01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668A Division KR100773862B1 (ko) 2005-11-01 2005-11-01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486Y1 true KR200406486Y1 (ko) 2006-01-23

Family

ID=4175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939U KR200406486Y1 (ko) 2005-11-01 2005-11-01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862B1 (ko)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US7314457B2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KR101936952B1 (ko)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JP2005523768A (ja) 硬化性整形外科用支持具
KR101444154B1 (ko)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200406486Y1 (ko)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
KR20140000548A (ko)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KR101249749B1 (ko) 통깁스용 절곡 부목
KR20050096028A (ko) 골절환자용 깁스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9346A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US20040147859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KR101866978B1 (ko) 의료용 캐스트
KR101332577B1 (ko)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200340541Y1 (ko) 경화성 심재 분리형 정형외과용 부목
JP5974015B2 (ja)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KR20110006100A (ko) 골절 환자용 깁스부재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US20040002671A1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JP2975363B1 (ja) 指固定具
KR20110032392A (ko) 신체 정형용 분할형 부목
WO2015134046A1 (en) Functional cast therapy product and method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26640Y1 (ko) 정형외과용 부목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KR20010016563A (ko) 부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