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89B1 - 스마트 텐트 - Google Patents

스마트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89B1
KR101866489B1 KR1020160084837A KR20160084837A KR101866489B1 KR 101866489 B1 KR101866489 B1 KR 101866489B1 KR 1020160084837 A KR1020160084837 A KR 1020160084837A KR 20160084837 A KR20160084837 A KR 20160084837A KR 101866489 B1 KR101866489 B1 KR 101866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opening
closing
sensing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003A (ko
Inventor
이민구
Original Assignee
이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구 filed Critical 이민구
Priority to KR102016008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텐트 사용자가 텐트로부터 이탈하거나 외출하는 경우에도 텐트 내부로의 무단침입을 예방하고, 텐트 열림상태를 텐트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전송하여 텐트 내부의 물건에 대한 분실위험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는 텐트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구 개폐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출입구의 개폐상태에 해당되는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개폐 감지부, 텐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개폐신호를 분석하며, 출입구가 열림상태이면 무선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통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그리고 텐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통신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텐트{SMART TENT}
본 발명은 보안기능이 강화된 스마트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 거처로 사용할 때 사용한다. 텐트는 야외 활동을 위해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텐트 내부에 캠핑 물품이나 중요한 물건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텐트는 방수천과 여러 개의 폴(pole)들이 조합되어 여행 목적 또는 사용자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텐트는 텐트 내부와 외부로의 이동을 위해 출입구가 구비되고, 텐트 내부로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방충망이 설치된다. 텐트에 설치된 출입문과 방충망은 지퍼(zipper)의 슬라이드 작동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텐트의 출입구는 대부분 지퍼로 이루어져 지퍼를 열고 닫음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였다. 그러나 텐트의 지퍼는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텐트 안에 사람이 없는 동안 외부의 침입자가 침입하여 물건을 훔쳐갈 수 있다. 특히 캠핑 이용객 및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는 텐트 내부로 무단 침입하거나 텐트 내부의 물건이 침입자로 인해 분실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았다. 그럼에도, 텐트 사용자가 텐트의 출입구를 닫은 상태에서 잠시 외출하거나 텐트 주변에서 이탈한 경우 텐트의 출입구가 개방되더라도 텐트 열림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없어 텐트 사용자의 불안감이 지속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텐트 사용자가 텐트로부터 이탈하거나 외출하는 경우에도 텐트 내부로의 무단침입을 예방하고, 텐트 열림상태를 텐트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전송하여 텐트 내부의 물건에 대한 분실위험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는 텐트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출입구 개폐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출입구의 개폐상태에 해당되는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개폐 감지부, 텐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개폐신호를 분석하며, 출입구가 열림상태이면 무선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통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그리고 텐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통신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개폐부는 양방향 지퍼를 포함하며, 양방향 지퍼는 제1 개폐 손잡이를 갖는 제1 지퍼, 그리고 제1 지퍼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2 개폐 손잡이를 갖는 제2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감지부는 제1 지퍼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자석을 구비하는 제1 감지부, 그리고 제2 지퍼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감지부와 마주보는 단부에 제1 자석과 대응되는 리드 스위치를 구비한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감지부는 제1 감지부와 제2 감지부가 접한 상태이면 온(ON)되어 출입구의 닫힘상태에 해당되는 닫힘신호를 발생하고, 제1 감지부와 제2 감지부가 떨어진 상태이면 오프(OFF)되어 출입구의 열림상태에 해당되는 열림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개폐 감지부는 제1 감지부와 제2 감지부가 제1 설정거리보다 짧게 근접한 상태이면 오프(OFF)되어 출입구의 닫힘상태에 해당되는 닫힘신호를 발생하고 제1 감지부와 제2 감지부가 제2 설정거리보다 길게 이격된 상태이면 온(ON)되어 출입구의 열림상태에 해당되는 열림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거리는 출입구로의 침입이 예방되는 범위내에서 출입구의 닫힘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를 포함하도록 약 1cm 내지 5cm로 설정하며, 제2 설정거리는 출입구로 침입이 예상되는 범위내에서 출입구의 열림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를 포함하도록 약 6cm 내지 20cm로 설정할 수 있다.
텐트 사용자가 텐트 내에서 취침하거나 외출하는 경우에도 텐트 열림에 대한 보안 기능을 강화하여 텐트 내부로의 무단침입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가 닫힘상태에서 외부 침입자로부터 텐트가 열리는 경우, 텐트 열림상태를 텐트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전송하여 텐트 내부의 물건에 대한 분실위험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의 개폐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의 개폐 감지부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의 개폐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는 개폐 감지부(100), 제어부(210), 무선통신부(220)를 포함한다.
개폐 감지부(100)는 텐트(10)의 출입구(12)를 개폐하는 개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텐트(10)의 출입구(12) 개폐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출입구(12) 개폐상태에 해당되는 개폐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개폐 감지부(100)는 텐트(10)의 출입구(12)를 모니터링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개폐 감지부(100)는 텐트(10)의 출입구(12) 주변에 배치하여 출입구(12)의 열림상태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감지부(100)는 개폐부의 열림동작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모션 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텐트(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개폐 감지부(100)를 통해 전달되는 개폐신호를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출입구(12)가 열림상태이면 무선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300)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통신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10)는 스마트 텐트의 보안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스마트 텐트의 보안기능과 관련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텐트(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기(3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무선통신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기(300)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한다.
무선통신부(220)에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을 통해 보안기능과 관련된 데이터의 상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220)와 사용자 단말기(300)는 지그비(zigbee)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다. 지그비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며, 실내 통신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100m 내외의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비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여러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무선통신부(220)와 무선통신을 통해 텐트 열림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텐트 열림신호에 해당되는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터넷에 연결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와 무선통신부(220)는 보안기능이 모듈화된 스마트 가드(200)(smart guard) 형태로 형성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텐트에는 별도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모듈은 스마트 가드(200)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센서모듈에는 텐트(10)의 보안과 관련된 센서들과 텐트(10) 내부 또는 외부의 주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텐트에는 센서모듈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야간 조명 기능을 하는 LED 램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텐트는 텐트(10)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 텐트(10)의 열림상태를 촬영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트(10)의 열림상태를 침입자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용이하게 경고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텐트는 개폐 감지부(100) 이외에 텐트(10)의 보안과 주변 환경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센서모듈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센서모듈과 네트워크 시스템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텐트(10)의 무인 경비 및 네트워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텐트(10)의 출입구(12)에 스마트 가드(200)를 장착함에 따라 외부 침입자에게 보안기능이 강화된 텐트(10)임을 경고함으로써 텐트(10) 내부에 보관되는 캠핑장비 또는 소지품의 도난사고와 기타 안전사고의 발생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의 개폐 감지부(1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의 개폐 감지부(100)에 대한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개폐부는 텐트(10)를 구성하는 방수천의 일부를 원하는 길이와 형상으로 절개한 후에 절개된 방수천의 절개면에 부착되는 지퍼레일(102)과 지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는 텐트(10)를 양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외부에서 쉽게 텐트(10)의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텐트(10)의 내부에서도 쉽게 출입구(1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폐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개폐 감지부(100)는 개폐부 또는 개폐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 손잡이는 출입구(12)에 부착되는 지퍼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는 양방향 지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양방향 지퍼는 제1 지퍼(110)와 제2 지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퍼(110)는 제1 개폐 손잡이(112)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지퍼(120)는 제1 지퍼(110)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2 개폐 손잡이(122)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감지부(100)는 텐트(10)의 출입구(12)에 설치되는 개폐부의 열림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 감지부(100)는 개폐부 또는 개폐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폐 감지부(100)는 텐트(10)의 출입구(12) 개폐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개폐부의 개폐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손잡이의 일측에 개폐 감지부(100)를 장착하고 지퍼의 개폐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개폐 감지부(100)는 제1 감지부(112a)와 제2 감지부(122a)를 포함한다. 개폐 감지부(100)는 자력의 유무에 의해 온(ON), 오프(OFF)되는 마그네틱 센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틱 센서의 한쪽은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은 리드 스위치가 구비되어 자석이 가까이 가면 리드 스위치의 양쪽 접점이 붙는 구조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 감지부(100)는 제1 감지부(112a)는 제1 지퍼(110)의 제1 개폐 손잡이(112)에 결합되며, 제1 자석을 포함한다. 제2 감지부(122a)는 제2 지퍼(120)의 제2 개폐 손잡이(122)에 결합되어 제1 감지부(112a)와 마주보는 단부에 제1 자석과 대응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석과 리드 스위치는 각각의 개폐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과 리드 스위치는 개폐부를 닫았을 때 양측에 배치되는 개폐 손잡이의 일단부가 서로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자석과 리드 스위치는 개폐 손잡이를 자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지퍼의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개폐 감지부(100)는 개폐 손잡이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텐트(10)의 출입구(12)에 대한 열림상태(104)를 알리기 위한 열림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개폐 감지부(100)는 개폐 손잡이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결합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텐트(10)의 출입구(12)가 닫힘상태에서 마그네틱 센서가 오프로 되고 텐트(10)의 출입구(12)가 열림상태(104)에서 마그네틱 센서가 온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텐트(10)의 출입구(12)가 닫힘상태에서 마그네틱 센서가 온되고 텐트(10)의 출입구(12)가 열림상태(104)에서 마그네틱 센서가 오프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폐 감지부(100)는 제1 감지부(112a)와 제2 감지부(122a)가 접한 상태이면 온(ON)되어 출입구(12)의 닫힘상태에 해당되는 닫힘신호를 발생하고, 제1 감지부(112a)와 제2 감지부(122a)가 떨어진 상태이면 오프(OFF)되어 출입구(12)의 열림상태(104)에 해당되는 열림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양방향 지퍼는 텐트(10)의 실외에 구비되는 외측 지퍼와 텐트(10)의 실내에 구비되는 내측 지퍼를 포함하는 이중 지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 감지부(100)는 외측 지퍼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 감지부(100)를 외측 지퍼에만 구비하는 경우, 침입자에게 경고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감지부(100)는 내측 지퍼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개폐 감지부(100)를 내측 지퍼에만 구비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개폐 감지부(100)는 센서와 연동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송신부는 제1 감지부(112a)와 제2 감지부(122a)가 서로 이격된 상태이면 텐트 열림상태를 알리기 위한 텐트 열림신호를 제어부(210) 또는 무선통신부(220)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양측에 배치된 제1 감지부(112a)와 제2 감지부(122a)가 서로 붙은 상태에서는 텐트 열림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 감지부(112a)와 제2 감지부(122a)가 서로 이격되면 텐트 열림신호를 제어부(210) 또는 무선통신부(220)로 무선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의 개폐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감지부(100)는 비접촉 센싱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개폐 감지부(100)는 비접촉 방식으로 대상물이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하거나, 이동하는 대상물이 일정한 거리에 들어온 것을 검출하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감지부(100)는 개폐부를 구성하는 제1 감지부(110a)와 제2 감지부(120a)가 설정된 거리보다 짧게 근접한 상태이면 오프(OFF)되고 제1 감지부(110a)와 제2 감지부(120a)가 설정된 거리보다 길게 이격된 상태이면 온(ON)되는 방식으로 전기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거리는 침입자의 손 또는 신체 일부가 텐트(10)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1 설정거리(d1)와 제2 설정거리(d2)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설정거리(d1)는 출입구(12)로의 침입이 예방되는 범위내에서 출입구(12)의 닫힘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를 포함하도록 약 1cm 내지 5cm로 설정하며, 제2 설정거리(d2)는 출입구(12)로 침입이 예상되는 범위내에서 출입구(12)의 열림상태(104)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를 포함하도록 약 6cm 내지 20cm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10a)와 제2 감지부(120a)가 제1 설정거리(d1)보다 짧게 근접한 상태이면 오프(OFF)되어 출입구(12)의 닫힘상태에 해당되는 닫힘신호를 발생하고 제1 감지부(110a)와 제2 감지부(120a)가 제2 설정거리(d2)보다 길게 이격된 상태이면 온(ON)되어 출입구(12)의 열림상태(104)에 해당되는 열림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감지부(110a)와 제2 감지부(120a)가 제1 설정거리(d1)보다 짧게 근접한 상태이면 온(ON), 제1 감지부(110a)와 제2 감지부(120a)가 제2 설정거리(d2)보다 길게 이격된 상태이면 오프(OFF)되도록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개폐 감지부(100)는 모션 센서와 타이머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감지부(100)는 자기의 영향으로 내부의 전류가 변화하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결합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결합시킨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틈새의 이격을 검출하기 위한 저항 방식을 기반한 변위 센서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감지부(100)는 지퍼의 돌기와 홈이 반복되는 구간에서 돌기 부분을 지나가면 자기장이 커지고 홈 부분을 지나가면 자기장이 약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 감지부(100)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서 1초 동안 돌기 부분이 몇 개 지나갔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개폐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텐트(10)의 출입구(12)가 열리면 텐트 열림상태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텐트 열림상태를 경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텐트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텐트(10)의 출입구(12) 열림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텐트(10)의 출입구(12) 열림상태 감지기능을 포함한 텐트(10) 보안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가드(200)를 텐트(10)에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 가드(200)가 구비된 스마트 텐트는 텐트(10) 사용자의 외출 및 부재 시 텐트(10) 내부로 외부 침입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300)로 자동으로 영상 및 음성자료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텐트(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개폐 감지부(100)의 동작에 연동되어 구동되며, 텐트(10) 주변을 촬영하고 해당되는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영상과 음성으로 텐트(10)의 출입구(12) 열림상태 및 침입상황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텐트 12 ; 출입구
100 ; 개폐 감지부 102 ; 지퍼 레일
110 ; 제1 지퍼 112 ; 제1 개폐 손잡이
120 ; 제2 지퍼 122 ; 제2 개폐 손잡이
112a ; 제1 감지부 122a ; 제2 감지부
200 ; 스마트 가드 210 ; 제어부
220 ; 무선통신부 3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텐트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 개폐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출입구의 개폐상태에 해당되는 개폐신호를 발생하는 개폐 감지부,
    상기 텐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감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개폐신호를 분석하며, 상기 출입구가 열림상태이면 무선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통신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텐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통신제어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텐트 열림신호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양방향 지퍼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지퍼는
    제1 개폐 손잡이를 갖는 제1 지퍼, 그리고
    상기 제1 지퍼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2 개폐 손잡이를 갖는 제2 지퍼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감지부는
    상기 제1 지퍼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자석을 구비하는 제1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지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감지부와 마주보는 단부에 상기 제1 자석과 대응되는 리드 스위치를 구비한 제2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감지부는
    자력의 유무에 의해 온(ON), 오프(OFF)되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가 접한 상태이거나,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가 제1 설정거리보다 짧게 근접한 상태이면 상기 출입구의 닫힘상태에 해당되는 닫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가 떨어진 상태이거나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가 제2 설정거리보다 길게 이격된 상태이면 상기 출입구의 열림상태에 해당되는 열림신호를 발생하는 스마트 텐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설정거리는 상기 출입구로의 침입이 예방되는 범위내에서 상기 출입구의 닫힘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를 포함하도록 1cm 내지 5cm로 설정하며, 상기 제2 설정거리는 상기 출입구로 침입이 예상되는 범위내에서 상기 출입구의 열림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를 포함하도록 6cm 내지 20cm로 설정하는 스마트 텐트.
KR1020160084837A 2016-07-05 2016-07-05 스마트 텐트 KR101866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37A KR101866489B1 (ko) 2016-07-05 2016-07-05 스마트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37A KR101866489B1 (ko) 2016-07-05 2016-07-05 스마트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03A KR20180005003A (ko) 2018-01-15
KR101866489B1 true KR101866489B1 (ko) 2018-06-11

Family

ID=6100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37A KR101866489B1 (ko) 2016-07-05 2016-07-05 스마트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529B1 (ko) 2019-12-17 2020-09-18 박기한 경비 로봇을 이용한 실내외 경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97Y1 (ko) * 2013-09-26 2014-02-19 박상일 도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물놀이용 가방
WO2014163191A1 (ja) * 2013-04-04 2014-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施開錠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191A1 (ja) * 2013-04-04 2014-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施開錠検知装置
KR200471297Y1 (ko) * 2013-09-26 2014-02-19 박상일 도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물놀이용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529B1 (ko) 2019-12-17 2020-09-18 박기한 경비 로봇을 이용한 실내외 경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003A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2833A1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thereof
US20180337495A1 (en) HomeShield Plug
US8432281B2 (en) Portable boundary sensor system and method
KR101424077B1 (ko)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102283214B1 (ko)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JP2010112044A (ja) 警備システム
KR102499410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6489B1 (ko) 스마트 텐트
KR20160006426A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US20150048944A1 (en) Magnetic induction alarm device
JP5874028B2 (ja) 防犯システム
KR101523475B1 (ko) 출입 감지 장치
JP2010180592A (ja) 防犯システム
KR20160095901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723559B1 (ko) 창문용 방범 장치 및 창문용 방범 장치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KR101184079B1 (ko)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KR102275661B1 (ko) 도어 뷰어 및 그 동작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7241965A (ja) 赤外線式防犯警報システム
GB2404479A (en) Intruder alarm detecting motion in between a window or door and a blind, curtain or shutter
JP6978810B2 (ja) 開閉装置、セキュリティサーバ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131659B1 (ko)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JP2010250462A (ja) 防犯システム
JP2007065933A (ja) 防犯装置
KR100674591B1 (ko) 야외시설물 도난 방지 장치
KR101583482B1 (ko)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