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079B1 -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079B1
KR101184079B1 KR1020100012024A KR20100012024A KR101184079B1 KR 101184079 B1 KR101184079 B1 KR 101184079B1 KR 1020100012024 A KR1020100012024 A KR 1020100012024A KR 20100012024 A KR20100012024 A KR 20100012024A KR 101184079 B1 KR101184079 B1 KR 10118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curity
security door
door plate
out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548A (ko
Inventor
강정호
권희준
이정화
박시범
김진미
이철재
김하나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0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달리 충분한 시야확보와 높낮이에 상관없이 외부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또한 일방향으로만 투시가 가능하여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며, 문을 파손하고 침입을 시도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경보를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외측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도어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와; 내측 도어플레이트의 외측 도어플레이트와의 대향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빛을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범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crime prevention door by using smart glas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범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현관문의 방범 기능 등을 훼손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시키면서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서 외부로의 일방향 투시가 가능하여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출입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이 다가구 주택의 현관문은 실내와 외부를 차단시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외부인이 출입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현관문에는 문을 열지 않고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폰이나 도어뷰가 설치되어 있어서, 호출신호에 의해 외부인이 왔음을 알게 되면 인터폰을 통해 목소리를 확인하거나 상기 도어뷰를 통해 방문자를 확인한 다음에 열어주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현관문에 있어서는 인터폰을 통한 목소리 만으로 확인이 안되거나 해서 직접적인 확인이 필요한 경우, 직접 현관문까지 걸어가서 도어뷰의 렌즈를 통해 바깥쪽을 보면서 방문자를 일일이 확인한 다음, 문을 열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더불어, 도어뷰의 렌즈 직경이 작아 육안식별이 잘되지 않았으며, 또한 좁은 구멍을 통해 육안식별하기 위해서는 한 눈으로 문에 바짝 붙어서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시야의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한편, 기존의 현관문에 있어서, 비디오폰은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보내는 영상으로 바깥을 확인함에 있어 사각지대가 많아서 바깥상황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통상의 도어용 비디오폰은 카메라의 설치각도가 시공자에 의해 초기에 정해지면 사용자 스스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촬영 영역인 화각은 카메라를 직접 회전시켜 투사방향을 바꾸지 않는 한 변경할 수 없어, 비디오폰의 경우에 있어서도 바깥상황을 확인함에 있어 시야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현관문의 방범 기능 등을 훼손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시키면서 내부에서 외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서 외부로의 일방향 투시가 가능하여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출입문으로서의 방범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기존과는 달리, 충분한 시야확보와 높낮이에 상관없이 외부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또한 일방향으로만 투시가 가능하여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며, 문을 파손하고 침입을 시도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경보를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외측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도어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와, 내측 도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빛을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범문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의 방범문에 있어서; 초인종이 눌러지면 광원이 켜지는 단계와, 실내의 인터폰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스마트 유리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의 방범문에 있어서; 초인종이 눌러지면 광원이 켜짐과 아울러 스마트 유리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의 방범문에 있어서;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에 전원을 인가하여 항상 투명인 상태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은 스마트 유리와 편광필름을 이용한 방범문으로서, 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상황을 문 전체를 통해 눈으로 직접 식별이 가능하다.
즉, 스마트 유리를 통해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는 대신, 편광필름에 의해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여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으며, 시야가 문 전체이며,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문 바깥 상황의 파악이 매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외측 도어플레이트에 적용하는 한편, 침입 등에 따른 문의 파손을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방범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문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도로서, 광원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범문에 있어서의 문틀 및 광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범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지대가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문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도로서, 광원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범문에 있어서의 문틀 및 광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범문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외측 도어플레이트(1a)와; 상기 외측 도어플레이트(1a)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1b)와, 내측 도어플레이트(1b)의 외측 도어플레이트(1a)와의 대향면에 부착되는 편광필름(2)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문틀(3)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 사이의 공간에 빛을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와 문틀(3)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는 진공이 유기되고,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 혹은 문틀(3)에는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 사이의 공간 내부에 유기된 진공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4)은 진공 공간 외측에 설치되되, 방범문의 상?하?좌?우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광원(4) 외측에는 광원 배치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 사이의 공간 내부에 유기된 진공의 누설을 방지를 위한 지지프레임(4a)이 설치된다.
상기 광원(4)으로서는 형광등이나 LED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문틀(3) 외측에서 접근하여 방범문 내측 공간의 진공 상태에 대한 훼손없이 교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측 도어플레이트(1a)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특수 폴리카보네이트는 강도, 내열성, 내환경성 등이 우수한 투명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정밀기계 부품에 많이 적용되며, 비결정성이기 때문에 투명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열성?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며 충격강도는 열가소성수지 중 가장 높다. 또한 흡습으로 인한 치수변화가 대단히 작고 온도변화에 따라 물리특성이 안정된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환경변화에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그리고, 스마트 유리(투과도 가변 유리)는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특수 유리로서, 평소에는 불투명하지만, 전기를 가하면 투명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광원(4)은 초인종에 연결되어 초인종이 눌러질 경우에 연동하여 온(on)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유리는 실내측의 인터폰(미도시)에 구비된 버튼을 누를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7은 잠금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범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범문은, 스마트 유리를 통해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는 대신, 편광필름(2)에 의해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여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으며, 시야가 문 전체이며,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문 바깥 상황의 파악이 매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은 내충격성 및 강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외측 도어플레이트(1a)에 적용하는 한편, 침입 등에 따른 방범문의 파손을 문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방범기능이 강화된다.
구체적으로, 외부인이 도착하여 초인종을 울리게 되면 초인종 눌림으로 인해 방범문의 광원(4)이 켜지게 된다.
그리고, 인터폰(미도시)에 있는 버튼을 이용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1b)에 전압을 인가하면 빛의 투과성이 변화되어 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문 전체를 통해 외부 상황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외부 상황을 확인한 후에 문을 열어주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항상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할 경우에는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1b)에 전원을 인가하여 항상 투명인 상태로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측 도어플레이트(1b)에 편광필름(2)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실내측이 외측에 비해 훨씬 밝지 않는 한, 외부에서 안쪽을 보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프라이버시가 지켜질 수 있다.
이는, 편광필름의 특성상, 빛이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여 외부에서는 거울을 보는 것과 같이 내부를 볼 수 없지만 내부에서는 외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항상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의 시선도 항상 차단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1b)에 전원을 인가하여 항상 투명인 상태로 둠과 아울러, 광원(4)을 항상 온(on) 상태로 하여 외부가 더 밝도록 하면 된다.
광원(4)을 항상 온 상태로 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밤이 되면 안이 더 밝아져 밖에서 안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외부에 임의로 광원(4)을 두어 항상 바깥쪽을 안쪽보다 밝게 유지시켜 주기 위함이다.
한편, 만약 외부에서 침입을 위해 외측 도어플레이트(1a)를 파손하게 되면 내측 도어플레이트(1b)와 외측 도어플레이트(1a) 사이의 공간에 유지되던 진공이 파괴됨으로써 압력센서(5)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외부 침입에 대한 경보가 이루어짐으로써 방범 기능이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방범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지대가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범문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1]과 동일하며, 다만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 사이의 공간에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방범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대(6)가 더 설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방범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의 방범문 역시, [실시예1]에서와 같이 평소에는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다 밖을 확인해야 할 경우 전기를 가하면 투명 상태가 되어 시야를 문 전체로 확장할 수 있으며, 외부 침입 등에 의한 출입문 손상시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대해 경보를 함으로써 방범 기능이 강화된다.
이에 덧붙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범문은,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 사이의 공간에 지지대(6)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방범문의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파손에 대해 더 큰 저항력을 나타내게 되며, 문 내부 공간에 대한 진공 인가시에도 내외측 도어플레이트(1a)(1b)의 변형을 막아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범문은 안에서만 밖을 볼 수 있는 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스마트 유리를 이용하여 평소에는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다 밖을 확인해야 할 경우 전기를 가해 투명 상태로 만들어 시야를 문 전체로 확장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바깥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울러 외부 침입 등에 의한 출입문 손상시 문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를 통해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으므로 방범 기능이 강화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초인종이 눌러지면 광원(4)이 켜짐과 아울러, 실내에서 인터폰의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스마트 유리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방범문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은 스마트 유리와 편광필름을 이용한 방범문으로서, 문을 열지 않고도 외부의 상황을 문 전체를 통해 눈으로 직접 식별이 가능하여,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여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도 시야가 문 전체로 확장되어 바깥 상황의 파악이 매우 쉬워지게 되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외측 도어플레이트(1a)에 적용하는 한편, 침입 등에 따른 문의 파손을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방범기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
1a: 외측 도어플레이트 1b: 내측 도어플레이트
2: 편광필름 3: 문틀
4: 광원 4a: 지지프레임
5: 압력센서 6: 지지대

Claims (9)

  1.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외측 도어플레이트와;
    상기 외측 도어플레이트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와;
    내측 도어플레이트에 부착되는 편광필름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의 외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빛을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와 문틀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는 진공이 유기되고,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 혹은 문틀에는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 내부에 유기된 진공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진공 공간 외측에 설치되되, 방범문의 상?하?좌?우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내외측 도어플레이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도어플레이트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6.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범문을 제어하기 위한 방범문 제어방법으로서,
    초인종이 눌러지면 광원이 켜지는 단계와,
    실내의 인터폰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스마트 유리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
  7.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범문을 제어하기 위한 방범문 제어방법으로서,
    초인종이 눌러지면 광원이 켜짐과 아울러 스마트 유리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
  8.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범문을 제어하기 위한 방범문 제어방법으로서,
    스마트 유리로 된 내측 도어플레이트에 전원을 인가하여 항상 투명인 상태로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광원을 항상 온(on) 상태로 하여 외부가 항상 더 밝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문 제어방법.
KR1020100012024A 2010-02-09 2010-02-09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KR10118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24A KR101184079B1 (ko) 2010-02-09 2010-02-09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24A KR101184079B1 (ko) 2010-02-09 2010-02-09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48A KR20110092548A (ko) 2011-08-18
KR101184079B1 true KR101184079B1 (ko) 2012-09-19

Family

ID=4492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24A KR101184079B1 (ko) 2010-02-09 2010-02-09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34B1 (ko) * 2013-11-12 2015-03-27 임태형 창호용 진공유리 및 창호용 진공유리 제조방법
CN104088568B (zh) * 2014-07-21 2015-12-09 武汉工程大学 一种多功能透风节能窗
KR102097548B1 (ko) * 2019-11-19 2020-05-26 주식회사 데코큐비클 조명 모듈이 매립된 포스트부 또는 도어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6077A (ja) * 2000-12-22 2004-08-26 エムデ,トーマス 窓部材
JP2006132082A (ja) * 2004-10-08 2006-05-25 Sankyo Alum Ind Co Ltd 複層パネル体
JP2009091818A (ja) * 2007-10-09 2009-04-30 Toin Gakuen 窓構造体
JP2010001628A (ja) * 2008-06-19 2010-01-07 Voc Direct:Kk 窓用の採光面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6077A (ja) * 2000-12-22 2004-08-26 エムデ,トーマス 窓部材
JP2006132082A (ja) * 2004-10-08 2006-05-25 Sankyo Alum Ind Co Ltd 複層パネル体
JP2009091818A (ja) * 2007-10-09 2009-04-30 Toin Gakuen 窓構造体
JP2010001628A (ja) * 2008-06-19 2010-01-07 Voc Direct:Kk 窓用の採光面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48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3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opening
KR101847687B1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US20120126979A1 (en) Alarm system having an indicator light that is external to an enclosed space for indicating the time elapsed since an intrusion into the enclosed spa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alarm system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101805859B1 (ko) 접근 형태에 따라 시큐리티 유지모드와 시큐리티 해제모드 간에 자동 전환하는 댁내 방범 시스템
KR101184079B1 (ko)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방범문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503A (ko)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기능이 구비된 창호
JP6475402B2 (ja) 防犯システム
US11293782B2 (en) Intrusion detecting sensors and method
CN105239901A (zh) 一种带影像显示的智能防盗门
US20230161117A1 (en) Magnetic Self-Mating Fiber Optic Connector and Fiber Optic Switch Sensor
KR101866489B1 (ko) 스마트 텐트
JP4263978B2 (ja) 防犯装置及び防犯サッシ
KR20100067887A (ko) 현관문 외부 감시장치
CN205277213U (zh) 一种带影像显示的智能防盗门
KR200441482Y1 (ko) 적외선 cctv 카메라용 차광막 일체형 윈도우
GB2404479A (en) Intruder alarm detecting motion in between a window or door and a blind, curtain or shutter
KR101005350B1 (ko) 적외선 감지기
JP5119540B2 (ja) 玄関扉
KR101609731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인터폰 및 그 작동 방법
KR102620218B1 (ko) 도어용 차폐 투시창
KR101230051B1 (ko) 방범 기능을 갖는 실내용 개폐 문틀
KR200208373Y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KR102026405B1 (ko) 방범용 스마트 램프
CN105405241A (zh) 远程提醒监控报警卷帘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