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426A -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426A
KR20160006426A KR1020140085973A KR20140085973A KR20160006426A KR 20160006426 A KR20160006426 A KR 20160006426A KR 1020140085973 A KR1020140085973 A KR 1020140085973A KR 20140085973 A KR20140085973 A KR 20140085973A KR 20160006426 A KR20160006426 A KR 2016000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network
guard
intrus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307B1 (ko
Inventor
임진강
Original Assignee
임진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강 filed Critical 임진강
Priority to KR102014008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3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사용 경계초소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출입 현황을 인지하고 경계망의 침입 여부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주둔지 방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은 상기 경계초소(100)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를 검출하기 위한 경계 교대 스위치(120)와, 상기 경계초소(100)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선택에 따라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경고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130)와,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120)와 비상 스위치(130)를 통하여 검출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는 감시제어장치(110)가 상기 경계초소(100)에 설치되고; 각각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상기 경계망(200)을 통한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검출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 또는 경계초소(100)로 전송하는 침입 검출센서(210)가 상기 경계망(200)에 설치되어, 군사 경계초소의 교대 근무에 따른 경계병의 출입 현황을 파악하고, 경계망의 침입 여부를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PROTECTION SYSTEM OF GUARD POST FOR MILITARY}
본 발명은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군사용 경계초소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출입 현황을 인지하고 경계망의 침입 여부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주둔지 방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의 침투가 예상되는 해안이나 공항 등과 같은 주요 시설물들에는 일반적으로 철책이나 담장 등을 설치하고 경계병을 배치하여 외부의 불법 출입을 통제하는 보안 및 경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각종 범죄가 지능화되는 추세이어서 주요 시설물에 단순히 철책이나 담장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보안 및 경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가 안보를 위하여 해안에 설치되는 철책 등은 해안 주민에 의하여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 지역이 방대하여 완벽한 감시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주요 시설물의 보안 및 경비를 위하여 다양한 무인 감시장치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주요 시설물 둘레에 설치된 철책이나 담장 등에 폐로(閉路)로 이루어진 전기 신호선 설치, 고압의 전력선 설치, 센서 설치, 무인 카메라 설치 등의 방식을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보안 및 경비를 위하여 철책이나 담장 등을 설치하는 경우 침입자가 철책을 절단하거나 파괴, 월담하여 침입이 가능하고, 일반 전기 신호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전기 신호선을 바이패스(Bypass) 회로로 구성한 후 절단 및 침투가 가능해진다. 또한, 고압 철책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육상 등에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밖에 없으며,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센서의 수신부에 발신부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한 후 침투가 가능하여 기술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며 설치환경의 제한성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6635 (2011.06.2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군사용 경계초소에 설치되는 경계망의 무단 침입 여부를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으며, 경계초소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출입 현황 또한 원격에서 인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은 군사용 주둔지 보호를 위한 경계망과 경계초소가 설치된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계초소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를 검출하기 위한 경계 교대 스위치와, 상기 경계초소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선택에 따라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경고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와,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와 비상 스위치를 통하여 검출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에 전송하는 감시제어장치가 상기 경계초소에 설치되고; 각각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상기 경계망을 통한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검출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 또는 경계초소로 전송하는 침입 검출센서가 상기 경계망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시 발로 밟아 터치할 수 있는 발판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계초소에는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감시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출입문 개폐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침입 검출센서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경계망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 진동센서, 상기 경계망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경계망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 또는 경계초소로 전송하는 CCTV 장치가 더 설치된다.
상기 경계초소에는 비상 스위치의 선택 또는 경계망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이를 알람 또는 램프로 표시하여 경고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관제서버에는 경계초소에 설치된 감시제어장치 또는 경계망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감지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되는 감지 신호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침입이 감지된 지역을 화면에 표시하고 경고하는 침입 경고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되는 감지 신호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침입이 감지된 지역을 담당하는 상황 근무자의 휴대전화로 무단 침입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근무자 통보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은 군사 경계초소의 교대 근무에 따른 경계병의 출입 현황을 인지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경계망의 침입 여부를 원격에서 감시함으로써, 경계병에 의한 감시 및 원격 감시를 토대로 군사 경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계초소와 경계망의 설치 일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초소에 설치되는 장치들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망에 설치되는 센서 및 CCTV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관제서버와 경계망 및 경계초소 간의 네트워크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계초소 및 경계망의 설치 일례이고, 도 2는 경계초소에 설치되는 장치들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경계망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 및 CCTV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중앙관제서버와 경계망 및 경계초소 간의 네트워크 연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은 군사적 요충지인 주둔지의 방호를 위해 주둔지 주변에 경계초소(100)를 설치하여 경계망 주변을 감시하며, 경계망(200)에 여러 종류의 감시용 센서(210)와 CCTV 장치(220)를 설치하여 이 센서 및 CCTV 장치(220)를 통하여 획득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망(200)에는 허가받지 못한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침입 검출센서(210)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이 침입 검출센서(210)에는 각각 식별코드 및 통신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검출 결과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침입 검출센서(210)는 외부인이 경계망(200)에 접근하는 경우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211)와, 외부인이 경계망(200)을 타고 넘어가거나 훼손하는 경우 경계망(200)의 진동을 감지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감지하는 진동센서(212)와, 경계망(200)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센서(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외선센서(211)와 진동센서(212)는 감지 거리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경계망(200)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 적외선센서(211)와 진동센서(212)에는 각각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식별코드를 통하여 해당 센서가 설치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계망(200)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센서(213)는 자석센서로 이루어져 자력의 통하여 출입문의 개폐 상황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 출입문 개폐센서(213) 또한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식별코드를 통하여 출입문 개폐센서(213)가 설치된 출입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적외선센서(211)와 진동센서(212) 및 출입문 개폐센서(213)에는 각각 통신모듈(211a)(212a)(213a)이 구비되어, 센서(211)(212)(213)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211)(212)(213)와 중앙관제서버(300)는 무선을 통신을 수행하게 되지만, 이는 필요에 따라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211)(212)(213)는 감지되는 신호를 경계초소(100)에 설치되는 감시제어장치(110)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경계초소(100)에서 경계망(200)에 센서(211)(212)(213)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파악하여 해당 지역으로 병력을 이동시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계망(200)의 주변에는 경계망(200)의 주변 상황을 감시하는 복수의 CCTV 장치(220)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 CCTV 장치(220)는 지지대에 의해 경계망(200) 주변에 고정 설치되어 경계망(200)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CCTV 장치(220)는 경계망(200)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221)와 상기 CCTV 카메라(221)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221a)이 구비되는데, 상기 CCTV 카메라(221)는 중앙관제서버(300)의 원격 제어에 따라 촬영 방향을 상하 좌우로 회전시켜 경계망(200)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렇게 CCTV 장치(220)에 의해 촬영되는 경계망(200) 주변 영상 정보는 필요한 경우 중앙관제서버(300) 뿐만 아니라, 통신망을 통하여 경계초소(100)의 감시제어장치(110)로 전송되어 경계초소(100)에서도 경계망(200) 주변 영상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초소(100)는 경계병이 근무하면서 경계망(200)을 넘어 주둔지로 무단 침입하는 외부인을 시각적으로 감시하는 초소로서, 이 경계초소(100)에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를 검출하기 위한 경계 교대 스위치(120)와, 경계병의 시각적 판단에 따라 외부인이 무단 침입하는 경우 이를 통지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130)와, 경계초소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센서(140)와, 상기 경계망(200)에 외부인이 무단 침입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150)와, 상기 각종 스위치 및 센서와 표시부(150)를 제어하고 관리하며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감시제어장치(110)가 설치된다.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120)는 경계초소(100)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용 교대 스위치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시 발로 밟아 손쉽게 터치할 수 있는 발판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비상 스위치(130)는 경계병의 경계 근무 도중 외부인이 경계망(200)에 무단 접근 또는 침입하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 이를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알려 경고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버튼 스위치나 토글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입문 개폐센서(140)는 출입문에 부착되는 자석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경계초소(100) 출입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120)의 동작과 함께 원격의 중앙관제서버(300)에서 경계초소(100)의 근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150)는 경계초소(100)의 근무 상태를 음향이나 램프 또는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 표시부(150)는 비상 스위치(130)를 통하여 경고 신호가 발생하거나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비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음향 및 램프 점멸 등을 표시하여 경계병에게 경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감시제어장치(110)는 상기 스위치(120)(130) 및 출입문 개폐센서(140)를 통하여 발생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고,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표시부(150)에 표시하여 경고하는 제어장치이다. 이 감시제어장치(110)에는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120)와 비상 스위치(130), 출입문 개폐센서(140), 표시부(150)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12)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암호화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113)와, 상기 신호처리부(113)를 통하여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는 통신부(114)와, 상기 신호처리부(113)를 통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5)와, 상기 각 구성부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감시제어부(111)와, 감시제어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감시제어부(111)는 신호처리부(113)를 통하여 처리되는 신호를 표시부(150)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즉 경계 교대 스위치(120)로부터 교대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부(150)에 전송하여 표시하고, 비상 스위치(130)로부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부(150)에 전송하여 경고하게 되며, 출입문 개폐센서(140)로부터 개폐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부(150)에 전송하여 표시함으로써, 경계초소(100)에 근무하는 경계병이 각 스위치 및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부(111)는 신호처리부(113)를 통하여 처리되는 신호를 통신부(114)를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며, 역으로 통신부(114)를 통하여 중앙관제서버(300)로부터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신호처리부(113)를 통하여 복호화한 후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하여 표시부(150)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계망(200)과 경계초소(100)에 설치된 장치들로부터 획득되는 신호 및 데이터는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되게 되는데,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경계망(200) 및 경계초소(100)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감시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경계초소(100) 및 경계망(200)에 설치된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경계망(200) 및 경계초소(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중앙관제서버(300)에는 경계초소(100) 및 경계망(200)에 설치된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4)와, 상기 통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경계초소(100) 및 경계망(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30)와, 상기 모니터링되는 신호를 통하여 외부인의 불법 침입이 감지되는 이를 경고하는 침입 경고부(340)와, 외부인의 불법 침입이 감지되는 해당 경계 지역의 근무자에게 이를 통보하는 근무자 통보부(350)와, 모니터링되는 신호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360)와, 상기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10)와, 상기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링부(330)는 통신부(114)를 통하여 수신되는 경계초소(100)의 감시제어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경계 교대 스위치 신호와 비상 스위치 신호 및 출입문 개폐센서 신호와, 경계망(200)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210) 및 CCTV 카메라(2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및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모니터링하게 된다. 특히, 상기 모니터링부(330)는 경계초소(100)의 위치와 경계망(200)의 각종 센서 및 CCTV 장치(220)가 설치된 위치를 그래픽 화면으로 표출하고, 여기에 수신되는 신호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모니터링 시 근무자가 실제 신호가 감지되는 위치를 그래픽 상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입 경고부(340)는 모니터링부(330)를 통하여 모니터링되는 신호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하고 부저 또는 램프 등을 통하여 경고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고시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된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근무자가 무단 침입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무자 통보부(350)는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무단 침입이 감지된 지역을 담당하는 상황 근무자의 휴대전화로 무단 침입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 근무자의 정보는 근무 일정에 따라 저장장치(360)에 미리 설정되어 있게 된다.
한편, 중앙관제서버(300)는 경계 근무에 필요한 지시 사항을 통신망을 통해 경계초소(100)의 감시제어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렇게 경계초소(100)의 감시제어장치(110)에 전송되는 정보는 표시부(150)에 표시되어 해당 경계 근무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CCTV 장치(2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CCTV 장치(220)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켜 경계망(200) 주변을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사용 경계초소(100)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은 경계망(200) 주변에 설치된 CCTV 장치(220)가 경계망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게 되고, 중앙관제서버(300)에서는 CCTV 장치(220)를 통하여 획득되어 전송되는 경계망 주변 영상을 모니터링부(330)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경계망 주변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 또한, 경계망(200)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210)는 경계망(200)에 접근 또는 경계망(200)을 훼손하는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감시하여 검출하게 되고,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중앙관제서버(300)는 모니터링부(330)를 통하여 표시되는 CCTV 영상 및 침입 검출센서(210)의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다가, 외부인이 무단 침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침입 경고부(340)를 통하여 이를 경고하고, 동시에 해당 감지 지역의 담당 근무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 상황을 알리게 된다.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의 근무자는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해당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CCTV 장치(220)의 촬영 방향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지역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00)는 무단 침입이 감지된 지역을 경계하는 경계초소(100)의 감시제어장치(110)에 무단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경계초소(100) 근무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된다.
한편, 경계초소(100)에서 경계를 서는 경계병은 근대 교대시 경계 교대 스위치(120)를 발로 밟아 근무 교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해당 근무 교대 신호는 감시제어장치(110)에 의해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됨으로써 중앙관제서버(300)에서 경계병의 근무 교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계초소(100)의 출입문이 개폐되는 경우 출입문 개폐센서(140)를 통하여 감지되어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중앙관제서버(300)에서는 경계초소(100)의 출입문 개폐 상태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계초소(100)의 경계병은 경계를 서면서 경계망(200)에 접근하거나 경계망(200)을 무단 침입하는 외부인이 발견되면, 비상 스위치(130)를 선택하여 중앙관제서버(300)에 이를 알리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은 경계 교대 스위치(120) 및 출입문 개폐센서(140)를 통하여 경계초소(100)의 교대 근무에 따른 경계병의 출입 현황을 원격의 중앙관제서버(300)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경계망(200)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210) 및 CCTV 장치(220)를 통하여 경계망(200)의 무단 침입 여부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경계초소 110 : 감시제어장치
111 : 감시제어부 112 : 인터페이스부
113 : 신호처리부 114 : 통신부
115 : 메모리 116 : 전원부
120 : 경계 교대 스위치 130 : 비상 스위치
140 : 출입문 개폐센서 150 : 표시부
200 : 경계망 210 : 침입 검출센서
211 : 적외선센서 211a, 212a, 213a, 221a : 통신모듈
212 : 진동센서 213 : 출입문 개폐센서
220 : CCTV 장치 221 : CCTV 카메라
300 : 중앙관제서버 310 : 중앙제어부
320 : 통신부 330 : 모니터링부
340 : 침입 경고부 350 : 근무자 통보부
360 : 저장장치 370 : 전원부

Claims (8)

  1. 군사용 주둔지 보호를 위한 경계망과 경계초소가 설치된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계초소(100)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를 검출하기 위한 경계 교대 스위치(120)와, 상기 경계초소(100)에 근무하는 경계병의 선택에 따라 외부인의 무단 침입을 경고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130)와,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120)와 비상 스위치(130)를 통하여 검출되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에 전송하는 감시제어장치(110)가 상기 경계초소(100)에 설치되고;
    각각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상기 경계망(200)의 외부인 무단 침입을 검출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 또는 경계초소(100)로 전송하는 침입 검출센서(210)가 상기 경계망(2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교대 스위치(120)는 경계병의 근무 교대시 발로 밟아 터치할 수 있는 발판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초소(100)에는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감시제어장치(110)에 전송하는 출입문 개폐센서(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검출센서(210)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경계망(20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 진동센서(212), 상기 경계망(200)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센서(14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망(200)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중앙관제서버(300) 또는 경계초소(100)로 전송하는 CCTV 장치(2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초소(100)에는 상기 비상 스위치(130)의 선택 또는 경계망(200)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210)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이를 알람 또는 램프로 표시하여 경고하는 표시부(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서버(300)에는
    상기 경계초소(100)에 설치된 감시제어장치(110) 또는 경계망(200)에 설치된 침입 검출센서(2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감지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30)와,
    상기 모니터링되는 감지 신호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침입이 감지된 지역을 화면에 표시하고 경고하는 침입 경고부(3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되는 감지 신호를 통하여 외부인의 무단 침입이 감지되면, 침입이 감지된 지역을 담당하는 상황 근무자의 휴대전화로 무단 침입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근무자 통보부(3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KR1020140085973A 2014-07-09 2014-07-09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KR10161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73A KR101619307B1 (ko) 2014-07-09 2014-07-09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73A KR101619307B1 (ko) 2014-07-09 2014-07-09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426A true KR20160006426A (ko) 2016-01-19
KR101619307B1 KR101619307B1 (ko) 2016-05-10

Family

ID=5530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73A KR101619307B1 (ko) 2014-07-09 2014-07-09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3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6095U1 (ru) * 2016-11-18 2017-12-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 "Общевойсковая Академия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обрыва линейной части электрошокового барьера
WO2018230757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센서웨이 다기능 복합펜스센서를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CN113823054A (zh) * 2021-11-24 2021-12-21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换流站的综合安防管理系统、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220122284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센서웨이 침입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85B1 (ko) 2021-11-01 2022-05-09 (주)에이에스티홀딩스 엣지 클라우드에서 현장 경계와 지휘 통제 간 실감 콘텐츠 기반의 원격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393289B1 (ko) 2021-11-17 2022-05-09 (주)에이에스티홀딩스 엣지 클라우드 기반 인지 시각적 능력이 향상된 비정형 데이터 마이닝에서 현장과 지휘 통제 간의 협업을 위한 확장 현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35B1 (ko) 2011-01-05 2011-07-06 (주)아이제이일렉트론 보안펜스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61Y1 (ko) * 2005-11-14 2006-02-06 (주)조은시스템 외부 침입 감지 및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35B1 (ko) 2011-01-05 2011-07-06 (주)아이제이일렉트론 보안펜스 침입감지시스템 및 침입감지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6095U1 (ru) * 2016-11-18 2017-12-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 "Общевойсковая Академия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обрыва линейной части электрошокового барьера
WO2018230757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센서웨이 다기능 복합펜스센서를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KR20220122284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센서웨이 침입 감지 시스템
CN113823054A (zh) * 2021-11-24 2021-12-21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换流站的综合安防管理系统、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307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307B1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KR101470315B1 (ko) 객체의 움직임 감지에 의한 위험 감지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12839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US8346056B2 (en) Graphical bookmarking of video data with user inputs in video surveillance
US9472067B1 (en) Security devices and related features
KR101036947B1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936837B1 (ko) 맵기반 지능형 영상통합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KR102499410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스마트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2797B1 (ko) 비상 경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 경보 시스템
JP2007195130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KR100878047B1 (ko)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959B1 (ko) 사물 인터넷 카메라를 이용하는 딥러닝 기반의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N112634562A (zh) 一种智能电力安防系统
JP2009016926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EP2966862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EP2333735A1 (en) Filtering video events in a secured area using loose coupling within a security system
KR101452874B1 (ko) 주택 보안 시스템
KR101937836B1 (ko) 영상 및 음성 복합 상황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1393304B1 (ko) Cctv의 절취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WO2022266092A1 (en) Keep out zone system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20230129636A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