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482B1 -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 Google Patents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482B1
KR101583482B1 KR1020140194536A KR20140194536A KR101583482B1 KR 101583482 B1 KR101583482 B1 KR 101583482B1 KR 1020140194536 A KR1020140194536 A KR 1020140194536A KR 20140194536 A KR20140194536 A KR 20140194536A KR 101583482 B1 KR101583482 B1 KR 10158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ner pipe
fixing hole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모
Original Assignee
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모 filed Critical 강준모
Priority to KR102014019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에 따르면, 타프, 스크린, 폴대, 발광스트립, 적외선센서, 점멸등, 무선통신부, 카메라부, 알람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및 태양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외측고정공이 형성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내측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고정공과 하단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내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내측고정공에 돌출되되 상기 외측파이프의 외측고정공과 내측고정공이 중첩되면 상기 외측고정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파이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측면에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버튼부가 텐션에 의해 상기 내측고정공 및 외측고정공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간부가 절곡된 텐션부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측파이프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텐션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텐션부를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내측파이프의 결합공과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삽입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내측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내측파이프 외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Tarp-Screen}
본 발명은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파이프가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때, 내측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수직 상하강 슬라이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타프스크린 또는 텐트를 이용하여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그런데, 타프스크린 또는 텐트를 칠 때 주로 사용하는 캠핑장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이용하게 되는데, 밤에는 설치된 타프스크린이나 텐트가 잘 보이지 않아서, 타프스크린이나 텐트의 사용자 뿐 아니라, 주변에 텐트를 설치한 다른 사람들이 이동을 하다가 타프스크린이나 텐트에 걸려 넘어지거나, 타프스크린이나 텐트를 밀어 쓰러트리는 일이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산속에서의 캠핑이 이루어질 경우, 타프스크린이나 텐트의 내부에 들어가 있는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접근하게 되는 사람 또는 동물을 전혀 알 수 없으며, 타프스크린이나 텐트를 비웠을 때 도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이 접근할 때,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텐트와 타프스크린의 고정수단으로는 폴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폴대를 설치시 폴대의 상부에는 텐트몸체 또는 천막을 지탱하고 있어, 상단 폴더를 힘껏 파지하지 않으면 상단폴더가 하단폴더의 내부로 삽입되어 텐트몸체 또는 천막이 쓰러지거나, 작업자의 손이 부상당하는 안전사고 상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텐트몸체 또는 천막의 설치 시 폴대의 높이조절을 위하여 2인 이상이 함께 설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천막의 설치에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며 야간의 경우에는 더욱 설치가 어려웠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2388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535824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파이프가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때, 내측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수직 상하강 슬라이딩이 되도록 가이드부재의 양끝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외측파이프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재가 가이드홈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버튼부를 외측고정공으로 용이하게 돌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에 따르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비 바람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타프; 상기 타프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독립된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 상기 타프와 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폴대; 상기 타프와 스크린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야광 또는 반사재질의 발광스트립; 상기 타프와 스크린에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타프와 스크린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의 영역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상기 타프와 스크린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구비되고, 점멸 가능한 다수개의 점멸등; 상기 타프 또는 스크린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 상기 타프 또는 스크린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되, 가시광 영상을 촬영하는 가시광카메라 및 가시광카메라와 동일 영역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를 포함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 상기 타프와 스크린에 설치되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상기 스크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가시광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외선센서, 점멸등, 무선통신부, 카메라부, 알람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외선센서, 점멸등, 무선통신부, 카메라부, 알람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해상도와 렌즈화각을 이용하여 계산되어 미리 메모리부에 저장된 1픽셀당 감지 면적에 따른 데이터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와 감지물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점멸등을 점멸시키되, 상기 이격거리가 짧아 질수록 점멸등이 점멸되는 시간 간격의 단축과 점멸되는 점멸등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알람부에서 발생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이격거리가 짧아 질수록 알람소리를 업시키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감지물의 접근을 알리는 문자메시지와 상기 가시광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SAFE' 또는 '안전'의 문구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점멸등을 소등시키며 알람부의 알람을 오프시키고,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DANGER' 또는 '위험'의 문구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시광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과 상기 타프와 스크린이 설치된 위치를 기 설정된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작동시켜 스크린의 내부에서 감지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물은, 사람 또는 동물이고, 상기 폴대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외측고정공이 형성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내측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고정공과 하단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내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내측고정공에 돌출되되 상기 외측파이프의 외측고정공과 내측고정공이 중첩되면 상기 외측고정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파이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측면에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버튼부가 텐션에 의해 상기 내측고정공 및 외측고정공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간부가 절곡된 텐션부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측파이프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텐션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텐션부를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내측파이프의 결합공과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삽입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내측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내측파이프 외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내측파이프가 외측파이프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때, 내측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수직 상하강 슬라이딩이 되도록 가이드부재의 양끝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외측파이프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재가 가이드홈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버튼부를 외측고정공으로 용이하게 돌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접근 파악이 가능한 텐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접근 파악이 가능한 텐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30)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은, 타프(10), 스크린(20), 폴대(30), 발광스트립(48), 적외선센서(49), 점멸등(50), 무선통신부(60), 카메라부(70), 알람부(80), 디스플레이부(90), 제어부(100) 및 태양발전부(110)를 포함한다.
먼저, 타프(10)는,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비 바람 또는 햇빛을 차단한다.
스크린(20)은 타프(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독립된 공간을 구획한다.
폴대(30)는 타프(10)와 스크린(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30)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30)는, 천막, 텐트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발광스트립(48)은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띠 형상의 합성수지재 시트에 야광물질을 부착 또는 함침시켜 야간에 발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타프(10)와 스크린(20)의 각 모서리부분과 출입구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타프(10)와 스크린(20)의 외측면에 박음질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30)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은 타프(10)와 스크린(20)의 외측면에 발광스트립(48)이 부착되어, 야간에 발광스트립(48)이 발광되어 타프스크린의 전체적인 형태를 손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나 다른 사람들이 야간에 타프스크린이 보이지 않아서, 타프스크린에 걸려 넘어지거나, 타프스크린을 밀어 쓰러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발광스트립(48)은 스크린(20)의 출입구 둘레부에 구비되어, 야간에 사용자가 스크린(20)의 입구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스크린(20)은 외관상으로는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를 찾기 어려운데, 출입구의 둘레부에 발광스트립(48)이 구비됨으로, 야간에도 스크린(20)의 입구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광스트립(48)은 합성수지재질의 시트에 야광물질을 함침 또는 부착시킨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발광스트립(48)은 반사기능이 있는 반사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49)는, 타프(10)와 스크린(20)에 다수개가 구비되고, 타프(10)와 스크린(20)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의 영역을 감지한다.
점멸등(50)은, 타프(10)와 스크린(20)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구비되고, 점멸 가능한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부(60)는, 타프(10) 또는 스크린(20)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무선통신부(60)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로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하는 문자메시지는 제어부(100)에 의해 분석되고, 송신하는 문자메시지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
특히, 후술할 제어부(100)는, 무선통신부(60)가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문자메시지의 단어들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부(70)는, 타프(10) 또는 스크린(20)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카메라부(70)는, 가시광 영상을 촬영하는 가시광카메라(71) 및 가시광카메라(71)와 동일 영역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72)를 포함한다.
알람부(80)는, 타프(10)와 스크린(20)에 설치되어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알람부(80)는 타프(10)와 스크린(20)의 외부에 설치되고, 알람부(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온오프스위치와 볼륨스위치를 포함하고, 온오프스위치와 볼륨스위치는 스크린(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알람부(80)가 작동하게 되면 스크린(20)의 내부에 있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오프 및 알람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80)는 발생되는 알람소리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스위치를 포함한다. 변경스위치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각각 알람소리가 틀리다.
예를 들어, 호랑이, 사자, 경찰차 사이렌, 경적 등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100)에 제어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는, 스크린(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70)의 가시광카메라(71)로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된다.
이는, 내부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부(70)로 촬영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자 또는 동물의 접근에 따라 알람소리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적외선센서(49), 점멸등(50), 무선통신부(60), 카메라부(70), 알람부(80) 및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한다.
태양광발전부는, 적외선센서(49), 점멸등(50), 무선통신부(60), 카메라부(70), 알람부(80), 디스플레이부(90) 및 제어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태양광 패널로 자가발전하여 전원을 충전시킨다.
한편, 제어부(100)는, 적외선센서(49)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적외선 카메라의 해상도와 렌즈화각을 이용하여 계산되어 미리 메모리부에 저장된 1픽셀당 감지 면적에 따른 데이터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와 감지물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1픽셀당 감지 면적은 [수학식1]과 같이 적외선 카메라의 렌즈에 따른 측정가능면적(2H×2V)을 상기 적외선카메라(72)의 픽셀(x×y)로 나눈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2H는 이격거리(D)와 적외선 카메라의 수평화각(HFOV)에 따른 측정 가능 면적의 수평길이이고, 상기 2V는 이격거리(D)와 적외선 카메라의 수직화각(VFOV)에 따른 측정 가능 면적의 수직길이이다.
[수학식1]
Figure 112014128245832-pat00001
한편, 제어부(100)는, 적외선센서(49)를 이용하여 적외선 세기로 감지물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적외선센서(49)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점멸등(50)을 점멸시키되, 이격거리가 짧아 질수록 점멸등(50)이 점멸되는 시간 간격의 단축과 점멸되는 점멸등(50)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알람부(80)에서 발생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되 이격거리가 짧아 질수록 알람소리를 업시킨다.
이에 따라, 접근하는 감지물에게 경고를 가할 수 있어 스크린(20)으로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적외선센서(49)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무선통신부(60)를 제어하여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감지물의 접근을 알리는 문자메시지와 상기 가시광카메라(71)로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SAFE' 또는 '안전'의 문구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점멸등(50)을 소등시키며 알람부(80)의 알람을 오프시킨다.
반대로, 제어부(100)는,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DANGER' 또는 '위험'의 문구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시광카메라(71)로 촬영되는 영상과 타프(10)와 스크린(20)이 설치된 위치를 기 설정된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송신한다.
더불어, 제어부(100)는, 적외선센서(49)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90)를 작동시켜 타프(10)와 스크린(20)의 내부에서 감지물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물은, 사람 또는 동물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의 폴대(30)는 외측파이프(31), 내측파이프(36), 버튼부(45), 텐션부(47), 고정부재(40) 및 가이드부재(43)를 포함한다.
외측파이프(31)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외측고정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외측파이프(31)는, 후술할 내측파이프(36)가 외측파이프(31)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때, 내측파이프(36)가 길이방향으로 수직 상하강 슬라이딩이 되도록 가이드부재(43)의 양끝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33)은, 외측파이프(3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가이드부재(43)가 가이드홈(33)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후술할 버튼부(45)가 외측고정공(32)에 용이하게 돌출되어, 외측파이프(31)와 내측파이프(36)의 결합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33)은, 외측고정공(32)부터 외측파이프(31) 하측으로 일정구간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이는, 버튼부(45)가 외측고정공(32)에서 빠지게 되면, 폴대의 상부 결합핀(39)에 결합된 텐트, 타프, 또는 스크린 등의 무게에 의해 내측파이프(36)가 외측파이프(31)의 내부 슬라이딩을 순간적으로 하게 되는데, 그 슬라이딩을 지그재그로 형성된 가이드홈(33)의 일정구간이 초기에 제한한다.
즉, 버튼부(45)가 외측고정공(32)에서 빠지더라도, 후술할 가이드부재(43)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가이드홈(33)의 일정구간에 걸리기 때문에 내측파이프(36)는, 텐트, 타프 또는 스크린의 무게로 인하여 외측파이프(31)에 순간적으로 슬라이딩하며 내입되지 않는다.
더불어, 버튼부(45)가 파손된 경우에도 내측파이프(36)의 순간적인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어 텐트 또는 타프스크린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내측파이프(36)를 좌우방향으로 돌리면 가이드부재(43)의 양단이 지그재그로 형성된 가이드홈(33)의 일정구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외측파이프(31)는, 내주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가이드홈(33)에 돌출되어 내측파이프(36)의 슬라이딩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이동제한턱(34)이 형성된다.
이동제한턱(34)은, 내측파이프(36)가 외측파이프(31)의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겹쳐질 때, 내측파이프(36)가 외측파이프(31)의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내측파이프(36)의 슬라이딩되는 깊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외측고정공(32)과 이동제한턱(34) 사이의 외측파이프(31)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파이프(36)가 외측고정공(32)과 이동제한턱(34) 사이를 슬라이딩 할 때 내측파이프(36)의 내측고정공(37)으로 돌출된 버튼부(45)의 상부가 일부 삽입되는 이동간격홈(35)이 형성된다.
즉, 내측파이프(36)는 외측파이프(31)의 내부를 슬라이딩하되, 폴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외측고정공(32)과 이동제한턱(34) 사이에서 중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외측파이프(31)의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내측파이프(36)의 내측고정공(37)에 돌출된 버튼부(45)의 상부가 이동간격홈(35)에 삽입되어 자동적으로 외측파이프(31)의 하측으로 슬라이딩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폴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외측파이프(31)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된 내측파이프(36)를 빼낼 때 버튼부(45)가 이동간격홈(35)에 삽입되어 내측파이프(36)가 빠진 상태에서 외측파이프(31)에 고정되므로 용이하게 폴대를 설치준비할 수 있다.
반대로, 내측파이프(36)를 외측파이프(31)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중첩시킨 뒤, 폴대를 보관할 때, 버튼부(45)가 이동간격홈(35)에 삽입됨으로써, 중첩시킨 상태로 유지되어 보관이 용이하다.
내측파이프(36)는, 외측파이프(31)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내측고정공(37)이 형성되고, 내측고정공(37)과 하단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38)이 형성된다.
버튼부(45)는, 내측파이프(36)의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버튼부(45)는 내측고정공(37)에 돌출되되 외측파이프(31)의 외측고정공(32)과 내측고정공(37)이 중첩되면 외측고정공(32)의 외부로 돌출되어 내측파이프(36)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한다. 즉, 버튼부(45)는 외측고정공(32)에 돌출됨에 따라 내측파이프(36)가 외측파이프(31)에 슬라이딩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는 내측파이프(36)와 외측파이프(31)가 최대길이로 결합된다.
또한, 버튼부(45)의 하부에는 내측파이프(36)의 내측고정공(37)으로 돌출되는 돌출높이를 제한하는 걸림돌기(46)가 형성된다.
텐션부(47)는, 버튼부(45)의 하측면에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버튼부(45)가 텐션에 의해 내측고정공(37) 및 외측고정공(3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간부가 절곡형성된다.
또한, 버튼부(45)와 텐션부(47)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참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0623호)
고정부재(40)는, 내측파이프(36)의 내부 하측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40)는, 내측파이프(36)의 결합공(38)과 연통되는 관통공(4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0)는, 텐션부(47)의 타단이 결합되어 텐션부(47)를 내측파이프(36)의 내부에 위치고정시킨다.
가이드부재(43)는, 내측파이프(36)의 결합공(38)과 고정부재(40)의 관통공(41)에 삽입고정된다.
또한, 가이드부재(43)는, 양단이 내측파이프(36)의 외주면에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내측파이프(36) 외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가이드부재(43)의 양단이 내측파이프(36)의 외주면에 돌출되되 가이드홈(3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홈(33)이 내입된 깊이보다 같거나 작은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통공(41)은, 관통공(41)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내입된 띠결합홈(42)이 형성된다.
또한, 띠결합홈(42)은, 관통공(41)의 길이방향 정중앙에 형성된다.
가이드부재(43)는, 가이드부재(43)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관통공(41)의 띠결합홈(42)에 결합되는 결합띠(44)가 형성된다.
또한, 결합띠(44)는, 가이드부재(43)의 길이방향 정중앙에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재(43)가 고정부재(40)의 관통공(4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띠결합홈(42)에 결합띠(44)의 결합으로, 내측파이프(36)의 결합공(38)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43)의 양단 길이가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띠결합홈(42)에 결합띠(44)가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재(43)가 고정부재(4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타프 20: 스크린
30: 폴대 31: 외측파이프
32: 외측고정공 33: 가이드홈
34: 이동제한턱 35: 이동간격홈
36: 내측파이프 37: 내측고정공
38: 결합공 39: 결합핀
40: 고정부재 41: 관통공
42: 띠결합홈 43: 가이드부재
44: 결합띠 45: 버튼부
46: 걸림돌기 47: 텐션부
48: 발광스트립 49: 적외선센서
50: 점멸등 60: 무선통신부
70: 카메라부 71: 가시광카메라
72: 적외선카메라 80: 알람부
90: 디스플레이부 100: 제어부
110: 태양발전부

Claims (1)

  1.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비 바람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타프;
    상기 타프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독립된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
    상기 타프와 스크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폴대;
    상기 타프와 스크린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야광 또는 반사재질의 발광스트립;
    상기 타프와 스크린에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타프와 스크린을 중심으로 일정반경의 영역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상기 타프와 스크린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구비되고, 점멸 가능한 다수개의 점멸등;
    상기 타프 또는 스크린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
    상기 타프 또는 스크린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되, 가시광 영상을 촬영하는 가시광카메라 및 가시광카메라와 동일 영역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를 포함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
    상기 타프와 스크린에 설치되어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상기 스크린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가시광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외선센서, 점멸등, 무선통신부, 카메라부, 알람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외선센서, 점멸등, 무선통신부, 카메라부, 알람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해상도와 렌즈화각을 이용하여 계산되어 미리 메모리부에 저장된 1픽셀당 감지 면적에 따른 데이터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와 감지물과의 이격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점멸등을 점멸시키되, 상기 이격거리가 짧아 질수록 점멸등이 점멸되는 시간 간격의 단축과 점멸되는 점멸등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알람부에서 발생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되 상기 이격거리가 짧아 질수록 알람소리를 업시키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휴대단말기로 감지물의 접근을 알리는 문자메시지와 상기 가시광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송신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SAFE' 또는 '안전'의 문구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점멸등을 소등시키며 알람부의 알람을 오프시키고, 상기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DANGER' 또는 '위험'의 문구가 기재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가시광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과 상기 타프와 스크린이 설치된 위치를 기 설정된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일정반경의 내부로 들어오는 감지물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작동시켜 스크린의 내부에서 감지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물은, 사람 또는 동물이고,
    상기 폴대는,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외측고정공이 형성된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하부에 내측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고정공과 하단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내측파이프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내측고정공에 돌출되되 상기 외측파이프의 외측고정공과 내측고정공이 중첩되면 상기 외측고정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파이프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측면에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버튼부가 텐션에 의해 상기 내측고정공 및 외측고정공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중간부가 절곡된 텐션부와,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측파이프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텐션부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텐션부를 상기 내측파이프의 내부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내측파이프의 결합공과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삽입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내측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내측파이프 외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KR1020140194536A 2014-12-31 2014-12-31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KR10158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536A KR101583482B1 (ko) 2014-12-31 2014-12-31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536A KR101583482B1 (ko) 2014-12-31 2014-12-31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482B1 true KR101583482B1 (ko) 2016-01-12

Family

ID=5517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536A KR101583482B1 (ko) 2014-12-31 2014-12-31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380B1 (ko) * 2016-12-16 2017-05-22 송무상 오토리프트, 카메라 및 감지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44Y1 (ko) 2014-01-28 2014-04-30 김상기 수직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폴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44Y1 (ko) 2014-01-28 2014-04-30 김상기 수직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380B1 (ko) * 2016-12-16 2017-05-22 송무상 오토리프트, 카메라 및 감지장치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488B1 (ko)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KR101868602B1 (ko) 안전 펜스 보조 장치
US9940796B2 (en) Yellow fellow safety sign
KR101583482B1 (ko) 수직이동이 가능한 폴대가 구비된 타프스크린
KR10188997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휀스
JP2011122322A (ja) 自動ドアの警告表示装置
US20190005824A1 (en) Parking Assist Apparatus
US10891866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KR101585911B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KR102067087B1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빔
CN103114538B (zh) 一种智能光电光幕隔离带装置
KR20210059104A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101719360B1 (ko)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101822759B1 (ko) 스마트 우산
KR101583483B1 (ko) 외부접근 파악이 가능한 텐트
KR101611366B1 (ko) 다기능 가로등 및 그 제어방법
KR101717049B1 (ko) 안전센터로부터 모니터링 가능한 텐트
JP2021036352A (ja) 死角人又は車存在検出容易化装置
KR101717048B1 (ko) 방수의 기능을 갖는 텐트
KR101533285B1 (ko) 어두운 환경에서 위험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 및 적외선 영상 촬영방법
KR101717051B1 (ko) 온열매트가 구비된 텐트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WO2015130038A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KR101717052B1 (ko) 디엠비 시청이 가능한 텐트
KR101717050B1 (ko) 살균기가 구비된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