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266B1 -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266B1
KR101866266B1 KR1020170095794A KR20170095794A KR101866266B1 KR 101866266 B1 KR101866266 B1 KR 101866266B1 KR 1020170095794 A KR1020170095794 A KR 1020170095794A KR 20170095794 A KR20170095794 A KR 20170095794A KR 101866266 B1 KR101866266 B1 KR 10186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creen
cover plate
screen
seal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to KR102017009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하면서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과, 상기 드럼 스크린의 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수류가 상기 드럼 스크린의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드럼 스크린 외부의 수류를 차단하는 커버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어 실링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드럼 스크린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DRUM SCREEN ASSEMBLY AND CONTAMINANT REMOV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 스크린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형 드럼 스크린은 하수나 오수처리공정의 전처리, 막 분리 공법의 전처리, 각종 공장이나 농장 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공정 또는 정수장 등에서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처리수를 방류하기 전에 처리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및 고형물을 회전하는 스크린 드럼에서 1차로 걸러 스크린 드럼의 정점에서 세척수를 내측으로 분사시켜 스크린 드럼 내측에 붙은 협잡물을 호퍼로 낙하시켜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상부로 이송시켜 압축 탈수부에서 압축 탈수한 후 케이크를 외부로 배출하는 설비이다.
도 1은 종래의 협잡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협잡물 제거장치는 드럼 스크린(11)을 회전하면서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여과부(10)와, 상기 여과부(10)에 의해 여과된 협잡물을 이송하도록 스크류 컨베이어(22)가 구비된 이송부(20)와, 상기 여과부(10)와 스크류 컨베이어(22)를 구동하는 구동부(30)와, 상기 드럼 스크린(11)을 세척하는 세척부(40)와, 이송되어온 협잡물을 압축하여 탈수시키는 압축 탈수부(50), 그리고 압출 탈수된 케이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드럼 스크린(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스크린(11)의 유입구 측에 사각 평판 형태로 마련되고 드럼 스크린(11)을 회전되게 지지하면서 수류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드럼 스크린(11)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틈이 발생하고, 이 틈을 통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11)에 의해 협잡물이 필터링되지 않은 물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47458호(2016.08.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드럼 스크린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 조립체는, 회전하면서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 상기 드럼 스크린의 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수류가 상기 드럼 스크린의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드럼 스크린 외부의 수류를 차단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어 실링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드럼 스크린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어 실링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드럼 스크린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면에 밀착되어 실링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 스크린은,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스크린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가 체결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실링부가 체결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삽입 체결되는 제1 링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실링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밀착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삽입 체결되는 제2 링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상기 드럼 스크린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 스크린에서 걸러낸 협잡물을 수거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의 타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고, 협잡물을 압축 탈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의 타측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실링수단의 제2 실링부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긴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긴장 조절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방사상으로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된 헤드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되는 볼트 스크류; 및 상기 볼트 스크류의 타측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에 따르면, 드럼 스크린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실링수단을 구비하여 드럼 스크린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수단을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하여 이중으로 실링하여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협잡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바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실링수단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스크린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바디부에 스크린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바디부에 레이크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잡물 제거장치에서 커버 플레이트에 긴장 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잡물 제거장치에서 커버 플레이트에 긴장 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바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실링수단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스크린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바디부에 스크린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드럼 스크린 조립체에서 드럼 스크린의 바디부에 레이크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 조립체는 회전하면서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100)과, 수류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내부로 향하도록 구비된 커버 플레이트(20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는 사각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수류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드럼 스크린(100) 외부의 수류를 차단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는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하고,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이 모두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내부로 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은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형태가 사각 평판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로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수단(30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 사이에 배치되어 실링한다. 즉, 상기 실링수단(30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의해 협잡물이 필터링되지 않은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실링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링수단(300)은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전면에 밀착되어 실링하는 제1 실링부(31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밀착되어 실링하는 제2 실링부(3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실링수단(30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이중으로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드럼 스크린(100)은, 도 4를 참조하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스크린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110)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115)와 제2 플랜지부(117)에 상기 제1 실링부(310)와 제2 실링부(320)가 각각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랜지부(115)는 길이 방향의 일측면 즉, 수류가 유입되는 전방측에 배치된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전면을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310)가 체결된다. 즉, 상기 제1 실링부(310)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전면에 밀착되어 1차로 실링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랜지부(117)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5)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115)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실링부(320)가 체결된다. 즉, 상기 제2 실링부(320)는 상기 제2 플랜지부(117)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밀착되어 2차로 실링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링부(310)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5)의 외주면에 삽입 체결되는 제1 링 플레이트(311)와, 일측은 상기 제1 플랜지부(115)와 상기 제1 링 플레이트(31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실링부재(312)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링부(310)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5)의 외주면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 측으로 이동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실링부재(31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밀착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플랜지부(11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실링부(310)가 상기 슬릿(116)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슬릿(116)에 의해 상기 제1 실링부(310)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 측으로 밀착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에 의해 상기 제1 실링부재(312)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의 밀착력이 저하되면, 상기 제1 링 플레이트(311)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나사 체결을 해제한 후 상기 제1 링 플레이트(311)와 상기 제1 실링부재(312)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 측으로 이동시킨 후 나사 체결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의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320)는 상기 제2 플랜지부(117)의 외주면에 삽입 체결되는 제2 링 플레이트(321)와, 일측은 상기 제2 플랜지부(117)와 상기 제2 링 플레이트(32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 실링부재(3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실링부재(312)가 밀착되어 실링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후면에는 상기 제2 실링부재(322)가 밀착되어 실링하고 있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이중으로 실링하여 상기 틈으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드럼 스크린(100)은 원통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크린부(120),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120)를 상기 바디부(110)에 체결하는 체결부(1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10)는 링 형태로 마련되어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 배치된 한쌍의 베이스 프레임(111)과, 상기 한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11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이 원통 형상을 갖도록 링 형태로 마련되고, 한쌍으로 마련되어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프레임(113)이 체결되어 드럼 스크린(100)의 골격인 바디부(1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부(120)의 길이 방향 양측단이 체결되는 플랜지부(112)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에 상기 스크린부(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부(112)를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부(120)의 양측 단부가 안착되어 체결되게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 프레임(113)은 드럼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ㄷ자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ㄷ자 형태로 마련되는 연결 프레임(113)은 보다 높은 굽힘 강도를 갖도록 개방된 측이 상기 바디부(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에 체결된다. 물론, 상기 연결 프레임(113)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 간을 연결하고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 이상의 굽힘 강도를 갖는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원기둥 형태가 복수로 분할된 형태로 마련된다. 즉, 하나의 스크린부(120)가 상기 바디부(110) 외주면을 원주 방향으로 일부를 감싸고, 다른 스크린부(120)가 연계하여 나머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나머지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크린부(120)는 폭 방향이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서로 연계되어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폭 방향의 양측단이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스크린부(120)는 복수로 분할 형성되므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의 굽힘 변형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 사이에 스크린(123)을 배치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123)은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미세 망 형태로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부(120)는 폭 방향이 곡선을 가지는 사각틀 형태로 마련되고 폭 방향의 양측단은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체결되는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1 프레임(121)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프레임(121)과 겹쳐지도록 체결되어 폭 방향의 양측단은 상기 제1 프레임(121)과 함께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체결되는 제2 프레임(122),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사이에 배치되고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2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스크린부(120)는 상기 스크린(123)을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을 체결하여 상기 스크린(123)을 원통 형태인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체결하기 위하여 폭 방향으로 일정 굴곡을 가지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굽힘 변형에 대한 일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부(120)는 길이 방향에 대한 굽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프레임(121) 및 상기 제2 프레임(122) 각각에 복수의 리브(121a, 1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121a, 122a)는 상기 스크린(123)이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서 곡선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123)의 중심 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에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23)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프레임(121)은 상기 스크린(123)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122)과 비교하여 폭 방향으로 더 많은 리브(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 내측으로 외력이 작용하므로, 내부로 변형될 수 있는 굽힘 강도를 더 보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120)는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 사이에 상기 스크린(123)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21)의 제1 리브(121a)에 형성된 제1 체결홈(121b)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제2 리브(122a)에 형성된 제2 체결홈(122b)에 볼트가 나사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스크린부(120)를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탈착되게 체결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연결 프레임(11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나사산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삽입 체결되는 볼트(131)와, 상기 볼트(131)의 외주면에 상기 스크린부(120)의 양측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31)에 체결되는 너트(1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체결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31)가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내부에서 삽입되어 나사산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113)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31)가 구비된 상기 연결 프레임(113) 사이에 스크린부(120)가 배치된다. 즉, 하나의 연결 프레임(113)에는 두 개의 스크린부(120)의 측단부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볼트(131)에 너트(132)를 체결하여 두 개의 스크린부(120)의 측단부를 동시에 체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부(120)는 반원 형태의 홈이 폭 방향의 양측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상기 제2 프레임(122)의 폭 방향의 양측단에 각각 반원 형태의 제1 홈(121c)과 제2 홈(122c)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홈(121c, 122c)은 상기 스크린부(120)를 상기 바디부(110)에 체결하는 경우,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삽입 체결되어 있는 상기 볼트(13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결 프레임(113)과 연결 프레임(113) 사이에 하나의 스크린부(120)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부(120)의 양측단이 상기 연결 프레임(113) 각각에 안착되며, 상기 스크린부(120)에 형성된 홈(121c, 122c)에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구비된 볼트(131)의 외주면이 밀착되게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바디부(110)의 둘레를 따라 분할된 복수의 스크린부(120)를 탈착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연결 프레임(113)에는 두 개의 스크린부(120)의 측단부가 배치되므로, 두 개의 스크린부(120) 사이에 일정 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 스크린(100)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갭을 실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30)는 스크린부(120) 사이에서 발생한 갭의 실링과 더불어 스크린부(12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부(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120)와 상기 연결 프레임(113)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실링부재(133)와, 상기 연결 프레임(113)과 상기 실링부재(13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부(120)의 양측단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34),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120)와 상기 너트(132) 사이에 배치되고 절곡 형성되되 둔각을 가지는 측이 상기 스크린부(120)에 배치되어 상기 너트(132) 체결시 상기 스크린부(120)를 가압 체결하는 가압 플레이트(13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113)에 배치되는 스크린부(12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갭을 실링할 수 있고, 상기 연결 프레임(113)과 상기 스크린부(12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100)의 협잡물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110)에 레이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크(11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13)의 내측에 체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회전시 협잡물을 수집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회전시 상기 레이크(114)에 의해 협잡물의 수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100)은 스크린부(120)를 분할된 형태로 복수개 마련하여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탈착되게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스크린부(120)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 파손된 부분의 스크린부(120)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에서 커버 플레이트에 긴장 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우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잡물 제거장치는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드럼 스크린(100)과,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서 걸러낸 협잡물을 수거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400), 상기 이송부(400)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타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500), 그리고 상기 이송부(400)와 연통되고 협잡물을 압축 탈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6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세척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700)는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서 협잡물이 탈락되지 않고 누적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스크린(123)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100)을 세척한다.
나아가, 상기 세척부(700)를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상측에 배치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내부에서 걸러져 이동되는 협잡물을 상측에서 탈락시켜 상기 호퍼(410)로 낙하시켜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세척과 협잡물의 용이한 수거를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 스크린(100)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럼 스크린(100)에 해당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낙하하는 호퍼(410), 상기 호퍼(410)와 연통되고 원통 형태로 마련되는 이송관(420), 상기 이송관(420)의 내부와 상기 호퍼(410)의 내부로 연계하여 배치되고 일측단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바디부(110)에 체결되는 스크류 컨베이어(430), 그리고 상기 이송관(420)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구동부(440)가 동작하여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 스크린(10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상단부에서 자유낙하하는 협잡물이 상기 호퍼(410)에 낙하하게 되고, 상기 호퍼(410)에 낙하한 협잡물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에 의해 상기 이송관(42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500)는 상기 이송부(400)의 이송관(420)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타측 내부에 배치되는 원판 형태의 지지 프레임(510)과, 상기 지지 프레임(510)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5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일측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타측은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520)에 의해 회전되게 지지된다.
상기 배출부(600)는 상기 이송관(420)에 배치되고, 이송되어온 협잡물을 압축 탈수하는 압축 탈수부(610), 상기 압축 탈수한 협잡물을 일정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부(620), 그리고 커팅된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63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탈수부(610)는 상기 이송관(4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를 따라 이송되어온 협잡물이 압축되어 협잡물에 함유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620)는 상기 이송관(420)의 내부에서 상기 압축 탈수부(6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430)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방향 스크류(621)와, 상기 역방향 스크류(621)에 구비되어 압축 탈수된 협잡물을 커팅하는 커터(62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압축 탈수부(610)에서 압축 탈수되어 이송되는 협잡물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배출구(630)는 상기 이송관(420)의 후단에서 지면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630)는 상기 커팅부(6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부(620)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된 압축 탈수된 협잡물이 자유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잡물 제거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간 사용에 의해 제2 실링부재(322)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의 밀착력이 저하되면 이를 보상하는 긴장 조절부(800)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에 구비된다.
상기 긴장 조절부(800)는 상기 지지 프레임(51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 간을 연결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를 이동시켜 상기 제2 실링부(32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밀착력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긴장 조절부(80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510)에 방사상으로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810)과, 외주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된 헤드(821)는 상기 고정 프레임(810)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에 관통 삽입되는 볼트 스크류(820), 그리고 상기 볼트 스크류(820)의 타측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8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장기간 사용에 의해 상기 제2 실링부재(322)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의 밀착력이 저하되면, 상기 조절부재(830)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를 상기 제2 실링부(32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실링부재(322)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를 더욱 밀착시켜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를 상기 제2 실링부(320) 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실링부(310)와의 밀착력이 저하되므로, 상기 제1 실링부(310)도 나사 체결을 해제한 후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에 다시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링수단(300)을 통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와 상기 드럼 스크린(100)의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 의해 밀착력이 저하되면 상기 긴장 조절부(800)를 이용하여 커버 플레이트(200)를 이동시켜 제2 실링부(320)와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제1 플랜지부(115)의 슬릿(116)에 이동되게 체결된 제1 실링부(310)를 이동시켜 제1 실링부(310)와의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드럼 스크린 110 : 바디부
111 : 베이스 프레임 113 : 연결 프레임
115 : 제1 플랜지부 117 : 제2 플랜지부
120 : 스크린부 121 : 제1 프레임
122 : 제2 프레임 123 : 스크린
130 : 체결부 200 : 커버 플레이트
300 : 실링수단 310 : 제1 실링부
311 : 제1 링 플레이트 312 : 제1 실링부재
320 : 제2 실링부 321 : 제2 링 플레이트
322 : 제2 실링부재 400 : 이송부
410 : 호퍼 420 : 이송관
430 : 스크류 컨베이어 440 : 구동부
500 : 회전 지지부 510 : 지지 프레임
520 : 가이드 롤러 600 : 배출부
610 : 압축 탈수부 620 : 커팅부
630 : 배출구 700 : 세척부
800 : 긴장 조절부 810 : 고정 프레임
820 : 볼트 스크류 830 : 조절부재

Claims (10)

  1. 회전하면서 수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드럼 스크린;
    상기 드럼 스크린의 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되게 지지하고, 수류가 상기 드럼 스크린의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드럼 스크린 외부의 수류를 차단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드럼 스크린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어 실링하는 제1 실링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에 체결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면에 밀착되어 실링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사이로 유입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드럼 스크린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삽입 체결되는 제1 링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에 밀착되는 제1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스크린은,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스크린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며, 상기 제1 실링부가 체결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1 플랜지부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실링부가 체결되는 제2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되게 체결되어, 상기 제1 실링부재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삽입 체결되는 제2 링 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탄성 절곡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2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조립체.
  7.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드럼 스크린 조립체;
    상기 드럼 스크린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 스크린에서 걸러낸 협잡물을 수거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의 타측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이송부와 연통되고, 협잡물을 압축 탈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의 타측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상기 실링수단의 제2 실링부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긴장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 조절부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방사상으로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된 헤드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관통 삽입되는 볼트 스크류; 및
    상기 볼트 스크류의 타측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170095794A 2017-07-28 2017-07-28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186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94A KR101866266B1 (ko) 2017-07-28 2017-07-28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794A KR101866266B1 (ko) 2017-07-28 2017-07-28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266B1 true KR101866266B1 (ko) 2018-06-12

Family

ID=6262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794A KR101866266B1 (ko) 2017-07-28 2017-07-28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26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784A (zh) * 2019-02-27 2019-04-26 新乡市高服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筛分设备的网笼安装结构
KR20200030235A (ko) * 2018-09-12 2020-03-20 (주)유원산업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KR102145302B1 (ko) * 2020-01-10 2020-08-18 주식회사 타 셋 미세목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57098A (ko) * 2020-06-19 2021-12-28 정유미 개선된 탈수시스템 및 그에 의한 유지보수방법
CN114670481A (zh) * 2022-04-02 2022-06-28 安庆市恒玉油脂股份有限公司 一种除杂装置
KR102471173B1 (ko) * 2022-06-14 2022-11-28 주식회사 우성네이처 드럼스크린 메시망 장력 조절장치
KR20230057870A (ko) 2021-10-22 2023-05-02 고영재 원터치 결합방식의 스크린망이 구비된 드럼스크린
KR102550705B1 (ko) 2023-02-09 2023-07-03 (주)덕성산업기계 수처리용 드럼 스크린
KR102567696B1 (ko) * 2023-03-06 2023-08-17 주식회사 타 셋 타공망 교체가 가능한 절곡형 드럼스크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5462B1 (ja) * 2013-09-11 2014-05-07 ミジャ ユン ドラムスクリーン
KR20160040013A (ko) *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47458B1 (ko) 2016-02-19 2016-08-11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수로형 드럼 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5462B1 (ja) * 2013-09-11 2014-05-07 ミジャ ユン ドラムスクリーン
KR20160040013A (ko) *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47458B1 (ko) 2016-02-19 2016-08-11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수로형 드럼 스크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35A (ko) * 2018-09-12 2020-03-20 (주)유원산업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KR102209981B1 (ko) * 2018-09-12 2021-02-01 (주)유원산업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CN109675784A (zh) * 2019-02-27 2019-04-26 新乡市高服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筛分设备的网笼安装结构
CN109675784B (zh) * 2019-02-27 2023-10-27 新乡市高服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筛分设备的网笼安装结构
KR102145302B1 (ko) * 2020-01-10 2020-08-18 주식회사 타 셋 미세목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57098A (ko) * 2020-06-19 2021-12-28 정유미 개선된 탈수시스템 및 그에 의한 유지보수방법
KR102401070B1 (ko) 2020-06-19 2022-05-24 정유미 개선된 탈수시스템 및 그에 의한 유지보수방법
KR20230057870A (ko) 2021-10-22 2023-05-02 고영재 원터치 결합방식의 스크린망이 구비된 드럼스크린
CN114670481A (zh) * 2022-04-02 2022-06-28 安庆市恒玉油脂股份有限公司 一种除杂装置
CN114670481B (zh) * 2022-04-02 2024-02-06 安庆市恒玉油脂股份有限公司 一种除杂装置
KR102471173B1 (ko) * 2022-06-14 2022-11-28 주식회사 우성네이처 드럼스크린 메시망 장력 조절장치
KR102550705B1 (ko) 2023-02-09 2023-07-03 (주)덕성산업기계 수처리용 드럼 스크린
KR102567696B1 (ko) * 2023-03-06 2023-08-17 주식회사 타 셋 타공망 교체가 가능한 절곡형 드럼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266B1 (ko) 드럼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US9339745B2 (en) Trash tolerant filter support for a disc filter
US9023208B2 (en) Disc filter
US10207210B2 (en) High flow disc filter
KR100732984B1 (ko) 폐수처리용 스크루 프레스 탈수장치
KR102147259B1 (ko)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JPS6190716A (ja) 動的ろ過装置
KR101080939B1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1648140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JP2998552B2 (ja) 回転ドラム型固液分離装置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200348744Y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KR20090061398A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0638355B1 (ko) 로터리형 드럼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43586B1 (ko) 수 처리용 회전형 여과 장치
CN218451925U (zh) 一种自来水管网过滤装置以及过滤系统
CN217490001U (zh) 一种集成式固体过滤回收机
JPS6156006B2 (ko)
CN112675598A (zh) 一种水处理固液分离机
CN118079514A (zh) 浓浆固液分离器
JPH0422806Y2 (ko)
TR202022768A2 (tr) Ön fi̇ltrasyon si̇s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