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568B1 - 안과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안과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568B1
KR101865568B1 KR1020180009592A KR20180009592A KR101865568B1 KR 101865568 B1 KR101865568 B1 KR 101865568B1 KR 1020180009592 A KR1020180009592 A KR 1020180009592A KR 20180009592 A KR20180009592 A KR 20180009592A KR 101865568 B1 KR101865568 B1 KR 10186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ophthalmic
auxiliary
eyebal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룡
김선호
임선택
이준성
Original Assignee
김창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룡 filed Critical 김창룡
Priority to KR102018000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3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83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means for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61F2009/0043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 A61F2009/0052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the instrument being supported on the patient's eye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진단 및 수술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의 진단 또는 수술을 위해 각막 위에 올려놓는 다양한 기구들을 지지할 수 있는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는 안구의 표면에 올려져 안과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링과, 지지링이 안구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지지링에 형성된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안과용 보조기구{auxiliary instruments for ophthalmology}
본 발명은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의 진단 또는 수술을 위해 각막 위에 올려놓는 다양한 기구들을 지지할 수 있는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안구는 해부학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부분들 즉, 전안부(anterior segment) 및 후안부(posterior segment)로 나누어진다.
전안부는 각막부터 홍채 수정체의 앞쪽 낭까지를 말하며, 후안부는 수정체낭 뒷쪽부터 망막 맥락막까지 포함한다.
전안부의 질환은 각막혼탁, 백내장 및 녹내장 등이 있으며 후안부의 질환은 망막전막(epiretinal membrane), 황반원공(macular hole)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연령과 관련된 황반변성(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유리체출혈(vitreous hemorrhage) 및 맥락망막염(chorioretinitis)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을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해 각막에 접촉하여 여러 종류의 기구를 올려놓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구의 예로 안구를 정밀하게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나 시술도구, 렌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막 위로 올려놓은 기구는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어야 하며 시술자의 의도에 반하여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각막은 구형이기 때문에 그 위에 올려놓은 기구의 위치가 고정되기 어렵다.
그래서 종래에는 원형의 링 형태를 갖는 렌즈고정기구를 공막 또는 결막부분에 실로 고정시켰다.
하지만, 이 경우 수술 중에 렌즈고정기구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어려우며, 수술 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5185호에는 초자체 수술용 콘텍트 렌즈 보관유지장치, 초자체 수술용콘텍트 렌즈 보관유지부 및 연결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기술은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링과 개검기를 연결부로 결합하여 렌즈링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특허기술은 렌즈 링 외에도 별도로 연결부를 구비해야 하고, 연결부로 렌즈 링과 개검기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렌즈 링의 고정과정이 복잡하다.
둘째, 상기 특허기술은 렌즈 링의 위치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또한, 수술 중에 렌즈 링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연결부를 렌즈 링으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 상기 특허기술은 연결부를 개검기에 결합하기 위해 개검기가 특정한 모양으로 굽어져 있어야 하므로 다른 형태의 개검기에는 연결부를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5185호: 초자체 수술용 콘텍트 렌즈 보관유지장치, 초자체 수술용콘텍트 렌즈 보관유지부 및 연결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안구의 진단 또는 수술을 위해 각막 위에 올려놓는 다양한 기구들을 개검기와 연결 없이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는 안구의 표면에 올려져 안과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이 상기 안구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지지링에 형성된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링의 하부에는 상기 안구의 표면과 인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포유동물의 공막 형상과 대응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억제수단은 상기 지지링에서 상기 안구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는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형의 스파이크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억제수단은 상기 지지링에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한다.
상기 요철부는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들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링의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링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윙을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윙은 하부에 상기 안구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윙은 상기 지지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다.
상기 보조윙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바깥으로 확장되는 스커트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링에는 상기 안과기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링에 스파이크와 같은 유동억제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개검기와 연결 없이도 지지링을 안구의 특정 위치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링의 위치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 지지링을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 다른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지지링의 위치 조절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지지링의 바깥에 보조윙 또는 스커트부를 형성하여 유동억제수단과 함께 지지링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는 안과의 진단 또는 수술을 위해 각막 위에 올려놓는 다양한 안과기구들을 지지한다. 여기서 안과기구는 간단한 도구에서부터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령, 안과기구의 예로 안과 진단을 위한 카메라나 안과 수술을 위한 시술도구, 콘택트렌즈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 망막수술이나 각막수술 등과 같은 안과 수술시 각막에 놓인 수술용 렌즈를 지지하는 용도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10)는 안구(1)의 표면에 올려져 안과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링(11)과, 지지링(11)이 안구(1)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10)는 인체에 무해한 금속, 합성수지,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링(11)은 내측이 비어 있는 링 구조로 형성된다. 도시된 지지링(11)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지지링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막(3)이 지지링(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링(11)의 내경은 각막(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링(11)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지지링(11)의 내측공간은 각막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지지링(11)의 하부는 안구의 표면과 인접하는 경사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3)은 지지링(11)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경사면(13)은 포유동물의 공막 형상과 대응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경사면(13)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링(11)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3)은 안구(1)와 직접 접촉되거나 안구(1)와 다소 이격되어 비접촉될 수 있다.
지지링(11)의 상부에 안과기구가 올려진다. 안과기구에 예로서 렌즈(5)가 지지링 위에 올려진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유동억제수단은 지지링(11)이 안구 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유동억제수단은 지지링(11)에 형성된다.
도시된 유동억제수단은 일 예로 다수의 돌기들로 이루어진다. 돌기는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뿔형의 스파이크(15)로 이루어진다.
스파이크들(15)은 지지링(11)에서 안구(1)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파이크들(15)은 지지링(11)의 경사면(13)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크들(15)은 일정 간격으로 2개 이상이 형성된다. 하나의 지지링(11)에 2 내지 30개의 스파이크들(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링(11)을 안구(3)에 올려놓으면 스파이크(15)의 뾰족한 단부가 안구를 살짝 누르면서 지지링(11)이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특정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링(11)에 형성된 스파이크(15) 구조에 의해 개검기와 연결 없이도 지지링(11)을 안구의 특정 위치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지지링(11)을 안구(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링(11)의 고정이 매우 간단하고 빠르다. 또한, 수술 중에 지지링(11)의 위치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 지지링(11)을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 다른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되므로 지지링(11)의 위치 조절이 매우 간편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유동억제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20)는 안구의 표면에 올려져 안과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링(21)과, 지지링(21)이 안구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한다.
지지링(21)은 상술한 제 1실시예에 적용된 지지링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유동억제수단으로 지지링(21)에 형성된 요철부(25)가 구비된다. 요철부(25)는 지지링(21)의 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25)는 일 예로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들(27)을 구비한다. 다수의 그루브들(27)에 의해 요철부(25)는 전체적으로 톱니 구조로 이루어진다.
각 그루브(27)는 경사면에서 일정 깊이로 인입된 홈으로 이루어진다. 각 그루브(27)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27)의 형상에 의해 2개의 그루브들 사이에는 뾰족한 돌출턱(29)이 형성된다.
지지링(21)이 원형일 경우 그루브(27) 역시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루브(27)는 지지링(2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다. 따라서 그루브들(27)은 동심원을 이룬다.
지지링(21)을 안구에 올려놓으면 요철부(25)의 뾰족한 돌출턱(29)이 안구를 살짝 누르면서 지지링(21)을 특정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링의 경사면에 요철부와 함께 도 1과 같이 다수의 스파이크들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에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30)는 보조윙(37)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지지링(31)과 스파이크(35)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윙(37)은 지지링(31)의 외측면에서 지지링(3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윙(37)은 유동억제수단인 스파이크(35)와 함께 지지링(31)의 고정력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보조윙(37)은 지지링(31)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지지링(3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보조윙(37)은 지지링(31)의 외측면에 2개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달리 보조윙(37)은 지지링(31)의 외측면에 셋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는 지지링(31)에 3개의 보조윙(37)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보조윙(37)은 하부에 안구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면(39)이 형성될 수 있다. 안구와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보조윙(37)의 접촉면(39)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윙(37)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과 수술을 위해 안구(1)에 삽입되는 트로카(Trochar)(7)의 상부에 접촉되어 지지링(31)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구에 삽입되는 트로카들의 위치에 의해 보조윙은 다양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2개의 보조윙(37)이 80°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2개의 보조윙(37)이 60°간격으로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도 14에는 2개의 보조윙(37)이 100°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40)의 모습을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40)는 보조윙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링(41)과 스파이크(43), 보조윙(47)은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수술보조기구(30)와 동일하다.
간격조절수단은 일 예로, 보조윙(47)에 설치된 조인트부(50)와, 지지링(41)에 형성된 가이드부(60)로 이루어진다.
조인트부(50)는 보조윙(47)과 연결되는 돌출몸체(51)와, 돌출몸체(51)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삽입헤드(53)로 이루어진다.
돌출몸체(51)는 지지링(41)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보조윙(47)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삽입헤드(53)는 돌출몸체(5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60)는 지지링(41)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 이동홈부(65)와, 지지링(41)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이동홈부(65)와 연결되는 진입홈부(61)로 이루어진다. 진입홈부(61) 및 이동홈부(65)의 단면은 입구가 좁고 내측이 넓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진입홈부(61)는 조인트부(50)를 이동홈부(65)로 진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진입홈부(61)는 구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삽입헤드(53)가 통과하는 세로방향구형홈(62)과, 세로방향구형홈(62)과 연결되어 돌출몸체(51)가 통과하는 세로방향사각홈(63)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홈부(65)는 지지링(41)의 중간 높이 정도에 형성된다. 이동홈부(65)는 지지링(41)의 둘레는 따라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동홈부(65)는 진입홈부(61)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동홈부(65)는 구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삽입헤드(53)가 통과하는 가로방향구형홈(67)과, 가로방향구형홈(65)과 연결되어 돌출몸체(51)가 통과하는 가로방향사각홈(69)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홈부(65)는 지지링(41)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형성되거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50)를 진입홈부(61)에 삽입시킨 다음 이동홈부(65)를 따라 보조윙(47)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보조윙(47)을 지지링(41)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보조윙(47)을 지지링(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윙(47)을 좌우로 이동시켜 보조윙들(47)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를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고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70)는 스커트부(77)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지지링(71)과 스파이크(75)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스커트부(77)는 지지링(7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스커트부(77)는 지지링(71)의 바깥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스커트부(77)는 하부에 안구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안구와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스커트부(77)의 접촉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트부(77)는 유동억제수단인 스파이크(75)와 함께 지지링(71)의 고정력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를 도 21에 도시하고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80)는 고정홈(87)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지지링(81)과 스파이크(85)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홈(87)은 지지링(81)의 상부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된다. 고정홈(87)의 형태와 크기는 지지링(81) 위에 올려지는 안과기구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안과기구의 돌출부분이 고정홈(8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링(81) 위에 안과기구를 올려놓을 경우 안과기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가령, 렌즈의 가장자리에 돌기를 만들어서 지지링(81)의 고정홈(87)에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를 도 22에 도시하고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과용 진단 및 수술 보조기구(90)는 고정홈(87)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3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지지링(91)과 스파이크(95)는 제 3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홈(97)은 지지링(91)의 상부에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된다. 고정홈(97)의 형태와 크기는 지지링(91) 위에 올려지는 안과기구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97)은 도 21에 도시된 고정홈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술보조기구 11: 지지링
13: 경사면 15: 스파이크
37: 보조윙

Claims (5)

  1. 안과 진단 또는 수술시 각막 위에 올려놓는 안과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안과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안구의 표면에 올려져 상기 안과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이 상기 안구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지지링에 형성된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동억제수단은 상기 지지링에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철부는 나란하게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에는 상기 안과기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보조기구.
  3. 안과 진단 또는 수술시 각막 위에 올려놓는 안과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안과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안구의 표면에 올려져 상기 안과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이 상기 안구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지지링에 형성된 유동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링의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링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윙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윙은 상기 지지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윙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보조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윙은 하부에 상기 안구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보조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에는 상기 안과기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보조기구.

KR1020180009592A 2018-01-25 2018-01-25 안과용 보조기구 KR101865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92A KR101865568B1 (ko) 2018-01-25 2018-01-25 안과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92A KR101865568B1 (ko) 2018-01-25 2018-01-25 안과용 보조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400A Division KR101843131B1 (ko) 2017-11-20 2017-11-20 안과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568B1 true KR101865568B1 (ko) 2018-06-08

Family

ID=6259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92A KR101865568B1 (ko) 2018-01-25 2018-01-25 안과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5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795A (ja) * 1995-06-01 1996-12-10 Toome:Kk 角膜厚さ測定用器具
JP2003024366A (ja) * 2001-07-16 2003-01-28 Kiyoshi Kita 眼科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KR100635185B1 (ko) 2001-06-21 2006-10-16 호야 헬쓰케어 가부시키가이샤 초자체 수술용 콘텍트 렌즈 보관유지장치, 초자체 수술용콘텍트 렌즈 보관유지부 및 연결부
JP4030004B2 (ja) * 2002-05-22 2008-01-09 Hoyaヘルスケア株式会社 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固定用リングへの装着具、および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固定用リング
KR101499392B1 (ko) * 2014-04-17 2015-03-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안과 수술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795A (ja) * 1995-06-01 1996-12-10 Toome:Kk 角膜厚さ測定用器具
KR100635185B1 (ko) 2001-06-21 2006-10-16 호야 헬쓰케어 가부시키가이샤 초자체 수술용 콘텍트 렌즈 보관유지장치, 초자체 수술용콘텍트 렌즈 보관유지부 및 연결부
JP2003024366A (ja) * 2001-07-16 2003-01-28 Kiyoshi Kita 眼科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JP4030004B2 (ja) * 2002-05-22 2008-01-09 Hoyaヘルスケア株式会社 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固定用リングへの装着具、および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固定用リング
KR101499392B1 (ko) * 2014-04-17 2015-03-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안과 수술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6452A (en) Contact lens for laser surgery
EP2613688B1 (en) Ophthalmoscopic surgical contact lens
JP4791009B2 (ja) 硝子体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保持リング
KR102481042B1 (ko) 레이저 방법 및 시스템용 환자 인터페이스 장치
US20170325997A1 (en) Ophthalmic interface apparatus, method of interfacing a surgical laser with an eye, and support ring for use with a suction ring
US10413178B2 (en) Flexible gonioscopic lens
KR101843131B1 (ko) 안과용 보조기구
US10856969B2 (en) Toric intraocular lens and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US6641589B2 (en) Ophthalmic surgical lens
KR101865568B1 (ko) 안과용 보조기구
JP2012513864A (ja) 眼科装置および硝子体内方法
US10660629B2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an eye
US20200305858A1 (en) Eyelid Speculum
KR100752822B1 (ko)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US9662244B2 (en) Medical treatment device
KR20200055997A (ko) 안과용 보조기구
JP7116161B2 (ja) 低侵襲性緑内障外科手術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関連方法
JP5632249B2 (ja) 眼内観察用レンズ
Agarwal et al. Sleeveless-extrusion cannula for levitation of dislocated intraocular lens
US20240108504A1 (en) Needle for attachment to ophthalmic surgical handpieces
NL2023743B1 (en) Ocular injection assist device
KR102377821B1 (ko) 안검 장력 측정 장치 및 안검 장력 측정 시스템
EP3769729A1 (en) An intraocular administration device for intraocular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for example a medication, into a human or animal eye
CN208287143U (zh) 一种眼科治疗泪小点膜闭的泪点成形装置
DOSUNMU The Eye and 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