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314B1 -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 Google Patents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14B1
KR101140314B1 KR1020100039427A KR20100039427A KR101140314B1 KR 101140314 B1 KR101140314 B1 KR 101140314B1 KR 1020100039427 A KR1020100039427 A KR 1020100039427A KR 20100039427 A KR20100039427 A KR 20100039427A KR 101140314 B1 KR101140314 B1 KR 10114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cleral incision
depressor
pressing surfac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973A (ko
Inventor
박규형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3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1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82General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4Vitre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가압면을 포함하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가압부; 및 제1 공막절개창보다 면적이 큰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 따라 형성되는 공막절개창의 크기 및 절개위치에 관계없이 시술자가 간편하게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막절개창에 적합한 크기의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DEPRESSOR FOR SUTURELESS VITRECTOMY}
본 발명은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 따라 형성되는 공막절개창의 크기 및 절개위치에 관계없이 시술자가 간편하게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막절개창에 적합한 크기의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눈은 동물이 빛을 받아들여 뇌에 시각을 전달하는 빛의 감각기관을 말한다. 이 중 사람의 눈은 안구와 시신경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안구는 두개골의 안와에 위치한 구형체로서 시각을 담당하는 기관을 말하며, 시신경은 신경섬유로 이루어져 시각을 담당하는 지각신경을 말한다.
도 1은 사람의 눈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람의 눈(1)은 크게 각막(10, 角膜), 공막(20, 鞏膜), 맥락막(30, 脈絡膜), 모양체(40, 毛樣體), 홍채(50, 虹彩), 유리체(60, 琉璃體) 및 수정체(70, 水晶體) 등으로 이루어진다.
각막(10)은 안구벽 전방부의 1/6~1/5을 차지하는 흔히 검은자위라 하는 부분을 말하며, 공막(20)은 각막에 연결되어 후방부의 약 5/6를 차지하며 교원섬유(膠原纖維)가 밀집하여 있고 혈관이 적기 때문에 흰색을 띄는 부위를 말한다. 또한, 맥락막(30)은 전방부가 모양체(40)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말하며, 모양체(40)는 눈의 조절작용(초점을 맞추는 작용)을 담당하는 중막(中膜) 전방부가 안쪽으로 돌출한 부분을 말한다. 홍채(50)는 안구 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중막의 전단부로서 중앙에 원형의 동공(瞳孔)이 있는 원반 모양의 얇은 막을 말하며, 유리체(60)는 수정체(70)와 망막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무색투명한 젤리 모양의 조직을 말하고, 수정체(70)는 안구 앞쪽 중앙, 동공 및 홍채(50) 뒤쪽에 있으며 외계의 물체를 망막 상에 결상(結像)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을 말한다.
특히 유리체(60)는, 수정체(70)와 망막의 신경층을 단단하게 지지하여 안구의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시키고, 광학적으로는 빛을 통과시켜 망막에 물체의 상이 맺힐 수 있게 하며, 안구 내압을 형성시키는 부분이므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유리체(60)는 종종 안구의 외상, 망막의 여러 가지 출혈성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혈액질환 및 지주막하 출혈 등의 원인으로 손상(출혈)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망막박리 등의 질환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유리체(60)의 출혈은 환자에게 비문증(날파리증)을 느끼게 하거나, 보다 심한 경우 앞이 전혀 보이지 않을 정도의 시력 감소를 일으키거나, 실명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되어야할 질병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체(60) 질환이나 망박박리는 유리체(60) 수술에 의해 치료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결막 및 공막(20) 부분을 크게 절개한 뒤 유리체(60)를 수술하고 망막을 재유착한 뒤 절개부위를 봉합하는 봉합 유리체 절제술(Suture Vitrectomy) 방법을 따른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봉합 유리체 절제술 방법은 환자의 불편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염증 및 난시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절개부위를 봉합하지 않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Sutureless Vitrectomy)이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2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의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은 수술현미경(M)을 사용하여 시각을 확보한 상태에서 투관침(T, Trocar)을 사용하여 공막절개창(W)을 만들고, 이러한 공막절개창(W)을 따라 안압유지기구(81), 조직제거기구(82) 및 조명기구(83) 등의 유리체절제술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구(81, 82, 83)들을 삽입, 시술하여 유리체(60)를 복원시킨 뒤 투관침(T)을 제거하고 자연적으로 공막절개창(W)이 막히도록 하는 방법에 따라 시술된다.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은 환자의 불편을 줄이고, 수술 시간을 단축하며, 수술 후 염증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시력회복이 빠르다는 점에서 봉합 유리체 절제술에 비해 우수한 수술방법이기는 하나, 절개된 공막절개창(W)이 자연적으로 막히도록 하는 방법을 따르고 있으므로 수술 후 공막절개창(W)으로부터 안구 내 액체의 누출(Leakage) 및 저안압(Hypotony)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맥락막 박리 및 안내염의 가능성도 존재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의 시술 후 면봉 또는 스무드 포셉(Smooth Forceps) 등을 사용하여 공막절개창(W)을 가압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면봉을 통해 공막절개창(W)을 가압하면 면봉에 물이 흡수되어 공막절개창(W)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면봉의 크기가 공막절개창(W)의 크기에 비해 크므로 효율적으로 공막절개창(W)을 가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면봉은 일회용 제품이므로 공막절개창(W)의 가압에 사용된 후에는 의료폐기물로 이를 처리해야 하는바 처리비용을 증가시키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무드 포셉의 경우 끝이 공막절개창(W)의 크기와 맞지 않으므로 여러 번 반복해서 가압을 가해야 하고 공막절개창(W)에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인 공막절개창(W)에의 접근(Approximation)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봉 및 스무드 포셉은 모두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을 시술하는 시술자의 위치와 공막절개창(W)의 형성위치의 차이에 따라 시술자가 간편하게 공막절개창(W)을 가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 따라 형성되는 공막절개창의 크기 및 절개위치에 관계없이 시술자가 간편하게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막절개창에 적합한 크기의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가압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공막절개창보다 면적이 큰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다수의 가압면은,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1 가압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는, 일측면에 상기 제1 가압면이 마련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2 가압면이 마련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1 가압면의 가압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1 가압면의 가압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2 가압면은 각각, 모서리 부분이 곡선형태의 볼록면(convex surface)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5°내지 10°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2 가압면에는 각각, 1㎜ 내지 3㎜ 범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 형상의 누름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곡선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 가압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바디는, 곤봉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5°내지 10°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는 각각, 상기 제1 공막절개창 및 상기 제2 공막절개창의 가압부위를 시술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다각형상의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공막절개창을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따라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 따라 형성되는 공막절개창의 크기 및 절개위치에 관계없이 시술자가 간편하게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막절개창에 적합한 크기의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사람의 눈을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의 원리를 나타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의 제1 가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가압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의 제2 가압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의 제1 가압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가압부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도 3의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의 제2 가압부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100)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가압부(120)와, 메인프레임(11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제1 가압부(120) 및 제2 가압부(130)가 마련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며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시술자는 메인프레임(110)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 가압부(120)를 이용하여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거나 또는 제2 가압부(130)를 이용하여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10)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쉬우면서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메인프레임(110)은 다각형상의 외주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메인프레임(110)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가압부(120)는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1 공막절개창은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의 시술을 위해 삽입된 투관침(Troca)이 제거된 자리를 말한다.
제1 가압부(120)는 제1 가압면(121a)이 마련되는 제1 바디(121)와, 제2 가압면(122a)이 마련되는 제2 바디(122)를 포함한다.
제1 바디(121)는 일단부가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제1 가압면(121a)이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며 일측면에 제2 가압면(122a)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는 각각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바디(121)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가압면(121a)과 제2 바디(122)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2 가압면(122a)도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처럼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이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하는 것은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시술자의 편의를 위함이다.
즉, 시술자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경우 시술자는 제1 가압면(121a)을 이용하게 되며, 시술자와 먼 위치에 형성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경우 시술자는 제2 가압면(122a)을 이용하게 된다. 물론, 시술자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경우 제1 가압면(121a)이 아닌 제2 가압면(122a)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경우 시술자가 용이하게 힘을 줄 수 있는 위치의 가압면(121a, 122a)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시술자는 가까운 위치의 제1 공막절개창의 경우 이에 수직하도록 제1 가압부(120)를 세운 상태에서 제1 가압면(121a)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고, 먼 위치의 제1 공막절개창의 경우 이에 수직하도록 제1 가압면(121a)으로 가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제1 가압부(120)를 눕힌 상태에서 제2 가압면(122a)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제1 가압부(120)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을 포함함으로써,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간편하게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압면(122a)은 제1 가압면(121a)이 가압하는 방향(P1)과 실질적으로 예각을 이루는 방향(P2)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가압면(122a)은 제1 가압면(121a)이 가압하는 방향(P1)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미도시)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가압면(122a)이 마련되는 제2 바디(122)의 일측면은 제1 바디(121)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은 각각 모서리 부분이 곡선형태의 볼록면(Convex Surface)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의 모서리 부분을 볼록면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에 접촉되는 환자의 결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각진 모서리 부분을 갖는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을 통해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게 되면 이러한 모서리 부분에 의해 환자의 결막이 긁힐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의 모서리 부분을 볼록면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에는 각각 정사각형 형상의 누름판(121b, 122b)이 마련된다. 누름판(121b, 122b)은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가 각각 1mm 내지 3mm 이내의 범위를 갖도록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가압면(121a)의 중앙영역 및 제2 가압면(122a)의 중앙역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누름판(121b, 122b)은 제1 공막절개창의 작은 부분을 효과적으로 누름으로써 제1 공막절개창을 효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누름판(121b, 122b)은 각각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을 마련한 뒤 이에 정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별도로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제1 가압면(121a) 및 제2 가압면(122a)에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제1 가압부(120)는 제2 바디(122) 이외에도 제1 바디(121)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가압면이 마련되는 다수의 바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술자가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 방향을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제1 가압부(120)는 다수의 가압면을 더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바디(121)는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 방향(도 3의 -Z 방향)으로 5°내지 10°각도(θ1)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렇게 제1 바디(121)를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경사지게 마련하는 것은 시술자가 제1 공막절개창을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공막절개창은 일정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눈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바 제1 바디(121)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시술자는 이러한 제1 공막절개창을 간편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의 제1 가압부(120)는 투명재질의 부재를 사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가압부(13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1 가압부(120)를 사용하여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면 가압되는 결막으로부터 소정의 물이 배출되는데 이러한 물은 시술자가 정확하게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하는데 방해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압부(120) 및 제2 가압부(130)를 투명재질의 부재를 사용하여 마련함으로써 가압되는 결막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경우라도 시술자가 정확하게 제1 공막절개창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시술자가 정확하게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가압부(120) 및 제2 가압부(130)의 재질에 의하여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 가압부(130)는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2 공막절개창은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의 시술을 위해 삽입된 투관침(Troca)이 제거된 자리를 말하며, 전술한 제1 공막절개창보다 큰 크기를 갖는 공막절개창을 의미한다.
즉,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공막절개창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공막절개창은 이러한 다양한 크기의 공막절개창 중 비교적 작은 크기의 공막절개창을 말하며, 제2 공막절개창은 제1 공막절개창보다 큰 크기를 갖는 공막절개창을 말한다.
제2 가압부(130)는 메인프레임(11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바디(131)와, 제1 바디(13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가압 바디(132)를 포함한다.
제1 바디(131)는 가압 바디(132)가 마련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제1 가압부(120)의 제1 바디(121) 및 제2 바디(122)와 달리, 본 실시예의 제2 가압부(130)의 제1 바디(131)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제1 바디(131)의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가압 바디(132)는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바디(13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바디(132)는 곡선 형태의 외주면을 갖도록 제1 바디(131)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가압 바디(132)는 곤봉(Club)에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가압 바디(132)의 형상을 곤봉에 유사하도록 하는 것은 제1 공막절개창에 비해 큰 크기를 갖는 제2 공막절개창을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큰 크기를 갖는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전술한 제1 가압면(121a) 또는 제2 가압면(122a)을 사용한다면 제2 공막절개창을 여러 번 반복해서 눌러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면봉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는데, 면봉은 면봉을 공막절개창의 가압시 물이 흡수하므로 공막절개창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 함께 사용 완료 후 이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처리비용을 증가시키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비교적 큰 크기의 제2 공막절개창을 효율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가압 바디(132)는 면봉과 유사한 곤봉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시술자는 종래에 면봉을 사용하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압 바디(132)를 통해 제2 공막절개창을 간편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바디(131)는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상측 방향(도 3의 +Z 방향)으로 5°내지 10°각도(θ2)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렇게 제1 바디(131)를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경사지게 마련하는 것은 시술자가 제2 공막절개창을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 공막절개창은 일정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눈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바 제1 바디(131)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시술자는 이러한 제2 공막절개창을 간편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10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공막절개창 및 제2 공막절개창을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가압부(120) 및 제2 가압부(130)에 따라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 따라 형성되는 공막절개창의 크기 및 절개위치에 관계없이 시술자가 간편하게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막절개창에 적합한 크기의 균등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110 : 메인프레임
120 : 제1 가압부 121 : 제1 바디
121a : 제 가압면 121b : 누름판
122 : 제2 바디 122a : 제2 가압면
122b : 누름판 130 : 제2 가압부
131 : 제1 바디 132 : 가압 바디

Claims (13)

  1.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시술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가압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공막절개창보다 면적이 큰 제2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가압면은,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1 가압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일측면에 상기 제1 가압면이 마련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돌출연장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2 가압면이 마련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1 가압면의 가압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1 가압면의 가압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공막절개창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2 가압면은 각각, 모서리 부분이 곡선형태의 볼록면(convex surface)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5°내지 10°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2 가압면에는 각각, 1㎜ 내지 3㎜ 범위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 형상의 누름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곡선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 가압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디는, 곤봉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5°내지 10°각도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는 각각, 상기 제1 공막절개창 및 상기 제2 공막절개창의 가압부위를 시술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다각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KR1020100039427A 2010-04-28 2010-04-28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KR10114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427A KR101140314B1 (ko) 2010-04-28 2010-04-28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427A KR101140314B1 (ko) 2010-04-28 2010-04-28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73A KR20110119973A (ko) 2011-11-03
KR101140314B1 true KR101140314B1 (ko) 2012-05-02

Family

ID=4539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427A KR101140314B1 (ko) 2010-04-28 2010-04-28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1952A1 (en) 2006-09-29 2008-04-03 Josephberg Robert G Scleral de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1952A1 (en) 2006-09-29 2008-04-03 Josephberg Robert G Scleral depress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2001 *
카달로그;2006 *
카달로그;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73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1291B2 (en) Ophthalmic treatment solution delivery devices and delivery augmentation methods
US9810921B2 (en) Conformable therapeutic shield for vision and pain
AU747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urgery inside the human retina using fluidic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separation (Films)
EP3122296B1 (en) Ophthalmic treatment solution delivery devices and delivery augmentation methods
EP1661533A1 (en) Method for eye refractive surgery and device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GB2436068A (en) Surgical contact lens
US6641589B2 (en) Ophthalmic surgical lens
Zuberbuhler et al. Corneal surgery
KR101140314B1 (ko)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용 디프레서
OKAMURA et al. Scleral buckling procedures: IX. Complications during operation
US20060287655A1 (en) Method for eye refractive surgery and device for implanting an intraocular refractive lens
US10219939B1 (en) Surgical ophthalmic intra ocular access tool
Stem et al. Heads-up 3-D visualization in complex vitreoretinal surgery
CN220025021U (zh) 眼科用透镜保护装置
RU2317044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х показаний к фиксации иридохрусталиковой диафрагмы и расположения ее опорных элементов гаптической части на глазах с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ой аниридией и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ой афакией
Murray et al. A technique for facilitated visualization and dissection of the vitreous base, pars plana, and pars plicata
RU2203006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ней послойной оптической кератопластики
RU2281072C2 (ru) Способ лечебной кератопластики
Garg et al. Ophthalmic Microsurgery: Principle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Landers III et al. Use of the temporary keratoprosthesis in ocular trauma repair
Elksnis et al. An Isolated Posterior Capsule Rupture after Blunt Eye Injury: Management of Traumatic Cataract Case
RU2542965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зрения при факоэмульсификации
RU211677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леропласт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при отслойке сетчатки
RU2195240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афакии у детей
RU2553194C1 (ru) Способ интраоперацио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центральных и периферических отделов глазного дна после факоэмульсификации или лазерной экстракции катарак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