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74B1 -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74B1
KR101864574B1 KR1020180044664A KR20180044664A KR101864574B1 KR 101864574 B1 KR101864574 B1 KR 101864574B1 KR 1020180044664 A KR1020180044664 A KR 1020180044664A KR 20180044664 A KR20180044664 A KR 20180044664A KR 101864574 B1 KR101864574 B1 KR 10186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housing
hook
clamping devic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열
이문석
고명철
Original Assignee
박태열
이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열, 이문석 filed Critical 박태열
Priority to KR102018004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실습판(300)의 슬롯(301)과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회전체(100); 상기 하우징(200)을 덮으며, 실습기자재(112)를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50);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의 원형 몸체(111)의 상측(上側)에 원호(Circular Arc)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01); 상기 가이드 돌기(101)의 회전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1); 상기 원형 몸체(111)는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210)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며;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돌출되며, 상기 슬롯(301)과 결합되는 훅(104);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훅(104)의 체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제1,2 걸림부(221,222); 상기 훅(104)의 중심 기준선과 40도 내지 50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몸체(111)를 회전시키는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상기 훅(104), 상기 원형 몸체(111) 및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며; 클램핑 장치는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본 발명은 실습이나 실험에 필요한 기자재들을 실습판(300) 위에 배치 및 체결할 수 있으며, 실습판(300)의 원하는 위치에 대하여 자유롭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학술적 연구, 기술개발을 위한 실험 및 공학 분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교육에서는 다양한 실험 및 실습기자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로서 생산장비나 구조물의 자동화시스템 구현을 위한 실험 실습 기자재로 액추에이터, 밸브 등 다양한 공압 또는 유압장비와 함께 전기전자 제어장비가 사용되며, 공학의 실험 과제에 따라 선택된 기자재들을 자유롭게 배치 및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실험 실습 기자재들을 자유롭게 배치 및 실험하기 위해서는 기자재들의 각 위치와 상호간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기자재들을 나사 또는 너트 및 볼트를 사용하여 원시적으로 고정하는 것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그 배치를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공학분야 실험 및 실습을 위하여 각 기자재를 손쉽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클램핑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9291호, 공고일 2004. 12. 03.(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실습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공개하였다. [특허문헌1]에서는 고가의 스프링 사용을 배제하므로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클램핑 조작에 힘이 덜 들일 수 있게 하여 조작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실습기자재를 수직이나 수평 또는 원하는 경사방향으로 고정 배치할 수 있고,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정숙한 분위기를 유지하는 등 학생들의 학습효과와 실무자들의 업무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2374호, 공고일 2008. 04. 16.(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클램핑 기구를 나타낸다. [특허문헌2]에서는 각종 교구재를 거치대에 손쉽게 탈착하면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핑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회전체를 매개로 둘 이상의 회전체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수고로움 없이 클램핑 기구가 둘 이상의 걸림블록을 매개로 거치대와 결합 고정되므로, 걸림블록 만으로 클램핑 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922호, 공고일 2012. 01. 02.(이하 [특허문헌3]이라함)에서는 자석을 이용하는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공개하였다. [특허문헌3]에서는 실습 기자재들을 배치하고 실연해 볼 수 있도록 각 실습 기자재에 부착 설치되고 실습판에 대해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습판으로는 단순한 철판을 사용하고 그 철판을 자기적 흡인력으로 부착되는 자석을 이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006호, 공고일 2018. 03. 21.(이하 [특허문헌4]이라함)에서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공개하였다. [특허문헌4]에서는 슬롯홈이 일정 간격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로파일 판(profile plate) 형태의 실습 테이블에 실습기자재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설치 하여 진동, 미끄럼 등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실습테이블의 높낮이가 다르거나 또는 슬롯홈의 두께가 상이하여도 정확한 클램핑이 되도록 하여 실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200호, 공고일 2014. 03. 31.(이하 [특허문헌5]이라함)에서는 교육기자재 착탈 블록을 공개하였다. [특허문헌5]에서는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작동부재가 캠부재와 걸림부재를 보다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원활한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부재를 누름 방식뿐만 아니라 당김 방식으로도 작동 시킬 수 있게 되므로 특이 형상을 가진 교육기자재를 프로파일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의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5]에서는 클램핑 동작을 위해서 클램핑 장치가 여러 가지 구성물들의 조립으로 클램핑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조립성이 나쁘고 조작이 불편하며, 구성 물품이 많을 경우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9291호, 공고일 2004. 12. 03.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2374호, 공고일 2008. 04. 16.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922호, 공고일 2012. 01. 02. [특허문헌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006호, 공고일 2018. 03. 21. [특허문헌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200호, 공고일 2014. 03. 31.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첫째, 클램핑 장치의 구조가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되어있으며, 가장 간단하며, 가장 저렴한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둘째, 별도의 미끄럼 방지부 없이 거치대에 고정된 클램핑 장치를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으며, 셋째, 고가(高價)의 스프링 및 쇠구슬이 없으므로 구성물의 변형이나 성능의 저하가 없으며, 넷째, 조립이 매우 간편한 실험 및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는 고가(高價)의 스프링 및 쇠구슬을 사용하지 않으며,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되어 있으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A)훅(104) (B)원형 몸체(111) 및 (C)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되어 있으므로 가장 간단하며, 가장 저렴한 클램핑 장치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의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는 첫째, 클램핑 장치의 구조가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되어있으며, 가장 간단하며, 가장 저렴한 클램핑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며, 둘쩨, 기어부와 스프링 및 쇠구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부분이 없고 클랭핑 장치의 수명이 길며, 셋째,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A)훅(104) (B)원형 몸체(111) 및 (C)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되어 있으므로 가격적인 경쟁력이 높으며, 넷째, 클램핑 장치의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이므로 조립도 용이하다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특허문헌1]에서 클램핑 장치 구성도
도 2는 [특허문헌2]에서 클램핑 기구 구성도
도 3은 [특허문헌3]에서 클램핑 장치 구성도
도 4는 [특허문헌4]에서 클램핑 장치 구성도
도 5는 [특허문헌5]에서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구성도
도 6은 제안된 클램핑장치 구성도
도 7은 클램핑장치 상측 사시도
도 8은 클램핑장치 하측 사시도
도 9는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정면도
도 10은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배면도
도 11은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좌측면도
도 12는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우측면도
도 13은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평면도
도 14는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저면도
도 15는 클램핑 장치의 동작상태 분해도
도 16은 클램핑 장치의 동작상태 저면도
도 17은 클램핑 회전체 하우징 크기별 호환 사용 상태도
도 18은 클램핑 회전체 정면도 상의 상세 치수도
도 19는 클램핑 회전체 평면도상의 상세 치수도
도 20은 하우징의 구성도
도 21은 클램핑 가이드부의 실시예
도 22는 클램핑 장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클램핑 사용 상태도
도 23은 클램핑 장치 사용상태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특허문헌1]에서의 클램핑 장치 구성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클램핑 장치는 대략 90도 회전하여 그 회전위치에 따라 실습판의 슬롯 개구를 출입할 수 있는 자세와 그 개구의 양 가장자리 이면에 걸려 고정되는 자세로 전환되는 회전형 클램프 요소를 구비한 클램핑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클램핑 장치의 구성은 베이스 부재와 클램프 회전체, 클램프 요소, 기어부, 연결회전체,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였다. 스프링 사용을 배제 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었지만 기어부를 통해 클램프 회전체와 클램프 요소를 동작하므로 기어부의 마모에 의해서 (1)클램프 사용 수명이 짧아지며, (2)클램프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3)제작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특허문헌2]에서의 클램핑 기구 구성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클램핑 기구는 3개의 제1, 제2, 제3 회전체와 회전체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기어부, 제2,3회전체에 각각 구비된 걸림블록을 포함하여 케이스에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돌출되도록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였다. 3개의 회전체를 구성하여 조립시 기어부가 맞물리는 부분이 일정하게 맞물려야 하므로 조립시 불편함이 있으며, 기어부가 각각의 회전체에 구성되어 기어부의 마모에 의해서 (1)클램프 사용 수명이 짧아지며, (2)클램프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3)제작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특허문헌3]에서의 클램핑 장치 구성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클램핑 장치는 케이싱 본체와, 케이싱, 조작 수단을 구성하는 전후 2개의 캠기어와 아이들러, 전위측 캠기어에 달린 조작레버, 4개의 자석, 2개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였다. 해당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2개의 캠기어 및 상기 전위측 캠기어에 달린 조작레버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며, 조립시 기어부가 맞물리는 부분이 일정하게 맞물려야 하므로 조립시 불편함이 있으며, 기어부가 각각의 회전체에 구성되어 기어부의 마모에 의해서 (1)클램프 사용 수명이 짧아지며, (2)클램프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3)제작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특허문헌4]에서의 클램핑 장치 구성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클램핑 장치는 본체와 커버, 랙기어, 2개의 피니언기어, 2개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많은 구성 물품으로 제작단가가 높으며 2개의 피니언 기어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을 해야만 작동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맞물리는 부분이 마모에 의해서 (1)클램프 사용 수명이 짧아지며, (2)클램프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3)스프링에 의하여 클램프 장치가 실습판(300)에 결합되지 때문에 안정적으로 실습판에 결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을 가지고 있으며, (4)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특허문헌5]에서의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기존의 교육기자재 착탈블록은 케이스와 2개의 캠부재, 2개의 걸림부재, 작동부재, 2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캡부재 및 작동부재의 마모로 인하여 (1)클램프 사용 수명이 짧아지며, (2)클램프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며, (3)스프링에 의하여 클램프 장치가 실습판(300)에 결합되지 때문에 안정적으로 실습판에 결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을 가지고 있으며, (4)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제안된 클램핑장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클램핑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b)는 클램핑 장치의 하우징(200)이며, 도 6(c)는 클램핑 장치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A)훅(104) (B)원형 몸체(111) 및 (C)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첫째, 가장 간단하며, 가장 저렴한 클램핑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며, 둘쩨, 기어부와 스프링 및 쇠구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부분이 없고 클랭핑 장치의 수명이 길며, 셋째,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A)훅(104) (B)원형 몸체(111) 및 (C)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되어 있으므로 가격적인 경쟁력이 높으며, 넷째, 클램핑 장치의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이므로 조립도 용이하다는 매우 상승된 효과가 있다.
클램핑 회전체(100)가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이므로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클램핑 요소인 (A)훅(104) (B)원형 몸체(111) 및 (C)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으로 함께 움직여서 조작이 간편하고 구성이 간소하며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기어부와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장시간 사용시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부분이 없어 클랭핑 장치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고, 하우징의 제1,2 걸림부(221, 222)를 통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가이드부(245)는 하우징(200)을 실습판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고,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 조작시 하우징(200)이 유동하지 않게 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클램핑 회전체의 손잡이(107)[제1 기준선 Y]와 훅(104)[제2 기준선 Z]이 이루는 각도 X는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하우징(200)의 네 모퉁이를 상하로 관통하는 4개의 구멍들은 하우징(200)과 클램핑 장치 하우징 커버(150)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핀 등의 체결수단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내지4 결합홈(241,242,243,24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기준선 Z를 본 발명에서는 훅(104)의 중심 기준선이라고 정의하고 이하 설명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훅(104),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구성품 간의 이격(離隔)이 없어 실습판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됨은 물론, 구성품의 분실의 위험이 적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클램핑장치 상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의 하우징 커버(150)와 클램핑 회전체(100), 하우징(200)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개구부(211)가 있고, 클램핑 회전체(100)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클램핑 회전체(100)의 일측(一側)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00)의 전면부에 형성된 개구부(211)를 통해 돌출하여 직접 회전 조작할 수 있는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클램핑장치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밑면에는 그 중심에 고정부 결합홈(205)이 있고, 고정부 결합홈(205) 밖으로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이 돌출한다. 하우징(200)의 밑면에는 또한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의 동쪽, 서쪽, 북동쪽, 북서쪽, 남동쪽, 남서쪽에 배치된 6개의 돌기인 가이드부(245)가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245)는 하우징(200)을 실습판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고,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 조작시 하우징(200)이 유동하지 않게 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도 9는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100)는 기존의 클램핑 장치와 다르게 일체형으로 클램핑 회전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핑 회전체(100)에는 하우징의 가이드 홈을 따라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101)와 클램핑 요소로 사용되는 훅(104), 하우징(200)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 결합홈(205)은 훅(104)이 돌출되고 이 돌출된 훅(104)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탈을 방지하며 하우징(200)과 클램핑 회전체(100)가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105), 실습기자재(112)로부터 열이 방출될 때 방열 구멍(110)을 통해 열을 내보낼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01)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측으로만 분리가 가능하지만, 상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회전체 가이드 돌기 일부가 끊겨져 있는 원호(Circular Arc) 형태로 구성되며, 제1 분리 및 동작부(102)와 클램핑 회전체 가이드 돌기 제2 분리 및 동작부(103)가 구비되어 있어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에서도 비스듬히 기울여 조립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회전 조작 하는데 힘을 덜 들이고 조립과 분리가 편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1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습기자재(112)의 실습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클램핑 회전체 방열부(108)과 같은 방열 구조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핑 회전체 고정홈(109)이 구비되어 반대편으로 고정부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100)가 가이드 돌기(101), 훅(104), 고정부(105), 클램핑 결합부(106),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100)가 가이드 돌기(101), 훅(104), 고정부(105), 클램핑 결합부(106),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100)는 하우징의 가이드 홈(201)과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101), 상기 가이드 돌기(101)보다 더 돌출되어 하우징(200)의 가운데에 있는 구멍인 고정부 결합홈(205)에 결합되는 고정부(105), 클램핑 요소로 사용 되는 훅(104)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제안된 클램핑 회전체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장치의 회전체는 하우징의 가이드 홈과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101), 상기 가이드 돌기(101)보다 더 돌출되어 하우징의 가운데에 있는 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부(105), 클램핑 요소로 사용 되는 훅(104),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클램핑 장치의 동작상태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회전체(100)가 하우징(200)에 끼워져 있고 클램핑 회전체(100)가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속되고 가이드 홈에 따라 회전 이동이 허용되며 제1,2 과회전 방지부(231, 232)를 통해 90도 범위로 회전이동이 제한된다.
도 15(a)에서와 같이 클램핑 회전체가 제1 자세에서 하우징 전면의 개구부(211) 내에서 90도 범위로 회전 조작 될 수 있으며,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90도 회전 조작하면, 제1 자세에서 도 15(b)와 같이 제2 자세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90도 회전 조작시 하우징에 배치된 제1,2 걸림부(221, 222)를 통하여 회전 동작이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확인 할 수 있고, 제1, 2걸림부(221, 222)를 통하여 클램핑 회전체가 제1 자세와 제2 자세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클램핑 장치의 동작상태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클램핑 회전체의 손잡이(107)를 90도 회전 조작시 하우징(200)의 고정부 결합홈(205)을 통해 돌출된 훅이(104) 도 16(a) 도시된 바와 같이 훅(104)이 세로 방향으로 긴(제1 자세)에서 도 16(b)의 가로 방향으로 긴(제2 자세)로 전환이 되어 클램핑 회전체(100)와 함께 훅(104)이 회전되어 실습판에 고정되며, 가이드부(245)는 하우징(200)을 실습판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고,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 조작시 하우징(200)이 유동하지 않게 잡아 주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클램핑 회전체 하우징 크기별 호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다.
클램핑 회전체(100)는 하우징(200)의 크기별로 대형과 소형 크기에 호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습기자재(112)가 크기별로 다를 경우 하우징(200) 또한 크기별로 교체해야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우징(200)을 교체하는 경우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클램핑 회전체(100)는 호환이 가능하여 대형 또는 소형 하우징에 크기에 맞춰서 클램핑 회전체(100)를 결합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도 17(a)와 같이 하우징(200)과 도 17(b)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대형(大型) 하우징(250)에서 같은 크기의 클램핑 회전체(100)를 결합하여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같은 크기의 클램핑 회전체(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하우징(200)의 제1면(501)에서 제1 길이(401) 및 대형(大型) 하우징(250)의 제1면(601)에서 제1 길이(401)은 서로 동일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하우징(200)과 상기 대형(大型) 하우징(250)은 크기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대형(大型) 하우징(250)에서 제3 길이(403) 및 제5 길이(405)가 하우징(200)에서 제2 길이(402) 및 제4 길이(404)보다 크기 때문에 하우징의 크기가 크게 된다.
상기 하우징(200) 및 대형(大型) 하우징(250)의 제1 길이(401)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클램핑 회전체(100)를 상기 하우징(200) 및 대형(大型) 하우징(250)에서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8은 클램핑 회전체 정면도 상의 상세 치수도를 나타낸다.
클램핑 회전체(100)의 지름 a는 40[mm] 내지 45[mm]로 하우징(200)과 결합시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210)와 1[mm] 내지 2[mm]간격을 두고 결합이 되며, 가이드 돌기(101)의 지름 b는 24[mm] 내지 27[mm]로 하우징의 가이드 홈(201)과 결합이 되고, 고정부(105)의 지름 c는 12[mm] 내지 16[mm]로 하우징의 고정부 결합홈(205)에 결합이 되며,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의 길이 f는 40[mm] 내지 50[mm]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핑 요소인 훅(104)은 단폭부의 길이인 d가 7[mm] 내지 8.5[mm] 이며 장폭부의 길이인 e는 12[mm] 내지 16[mm]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습판 슬롯에 출입시 단폭부 상태에서 출입이 가능하며, 장폭부 상태에서 실습판 슬롯에 클램핑 요소로 작용되며, 클램핑 회전체의 손잡이(107)[제1 기준선 Y]와 훅(104)[제2 기준선 Z]이 이루는 각도 X는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통해 90도 회전 조작하면 클램핑 회전체(100)가 90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훅(104)이 세로로 긴 방향인 제1 자세에서 가로로 긴 방향인 제2 자세로 전환되며 90도 회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클램핑 회전체 평면도상의 상세 치수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클램핑 장치의 회전체(100)의 원형 몸체(111)의 높이 A는 9[mm] 내지 12[mm]로 구성되어 하우징(200)과 결합이 되며,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1)과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101) B의 높이는 1[mm] 내지 2[mm]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01)보다 1.5[mm] 내지 2[mm] 더 돌출된 고정부(105) C의 높이는 2.5[mm] 내지 4[mm]로 구성되고, 고정부(105)는 하우징(200)의 가운데에 있는 구멍인 고정부 결합홈(205)에 결합되고 실습판(300)과 접촉하여 클램핑 장치를 고정하며, 클램핑 요소로 사용 되는 훅(104)인 높이인 E는 5[mm] 내지 6[mm] 높이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실습판의 슬롯(301)과 결합이 가능하며, 실습판 슬롯(301)에 결합시 출입이 용이하도록 모서리 부분을 깎아서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훅(104)과 고정부(105) 사이의 높이인 D의 높이는 2[mm] 내지 3[mm]로 실습판 슬롯(301)과 결합되는 부분인 클램핑 결합부(106)를 포함하며 클램핑 회전체(1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하우징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하우징(200)에는 클램핑 회전체(100)가 결합시 접촉면에 구성된 가이드 돌기(101)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201)이 있으며, 클램핑 회전체의 고정부(105)와 결합되는 고정부 결합홈 (205)이 있고, 클램핑 회전체(100)가 회전이동시 하우징(200)의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210)는 클램핑 회전체(100)의 옆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있어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회전 이동하며,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의 과회전 조작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제1,2 과회전 방지부(231,232)가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00)의 네 모퉁이를 상하로 관통하는 4개의 구멍들은 하우징(200)과 클램핑 장치 하우징 커버(150)를 결합하는 볼트 또는 핀 등의 체결수단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내지4 결합홈(241,242,243,24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또는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전환시 제1,2 걸림부(221,222)를 통하여 완전하게 전환 되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전환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1은 클램핑 가이드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1에 도시된 클램핑 가이드부는 4개, 6개, 8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의 밑면에는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의 동쪽, 서쪽, 북쪽, 남쪽 4개 또는 북동쪽, 북서쪽, 남동쪽, 남서쪽 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부(24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의 동쪽, 서쪽, 북동쪽, 북서쪽, 남동쪽, 남서쪽 방향으로 6개의 가이드부(245)가 배치될 수 있고,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의 동쪽, 서쪽, 북쪽, 남쪽, 북동쪽, 북서쪽, 남동쪽, 남서쪽 방향으로 8개의 가이드부(2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45)는 하우징(200)을 실습판(300)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고, 일체형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 조작시 하우징(200)이 유동하지 않게 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부(245)는 돌출된 부분의 높이 H는 8[mm] 내지 9[mm]로 구성되고 하우징에 가까운 부분인 I의 두께는 7[mm] 내지 8[mm]로 구성되어 하우징이 유동하지 않게 견고하게 잡아주며, 실습판에 출입이 자유롭도록 끝 부분인 J의 두께가 6[mm] 내지 7[mm]로 구성되어 실습판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2는 클램핑 장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클램핑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다.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프로파일 실습판(300)에 결합시 도 22(a)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하였을 경우와 도 22(b)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사용 상태도이다.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실습판(300)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인 방향으로 자세를 바꾸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3은 클램핑 장치 사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3(a)에서와 같이 실습판(300)의 슬롯(301)에 가이드부(245)가 결합되며, 가이드부(245)는 하우징(200)을 실습판(300)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고, 하우징(200)이 유동하지 않게 잡아 주는 기능을 한다. 도 23(b)와 같이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 조작시 훅(104)이 실습판(300)의 슬롯(301)의 안쪽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클램핑되는 슬롯(301)의 폭보다 큰 장폭부로 전환되며, 상기 가이드부(245)는 돌출된 부분의 높이 H는 8[mm] 내지 9[mm]로 구성되고 하우징에 가까운 부분인 I의 두께는 7[mm] 내지 8[mm]로 구성되어 하우징이 유동하지 않게 견고하게 잡아주며, 실습판에 출입이 자유롭도록 끝 부분인 J의 두께가 6[mm] 내지 7[mm]로 구성되어 실습판 위에 배치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며, 실습판(300)의 슬롯(301)의 홈의 길이 l은 8[mm] 내지 9[mm]로 구성되며 실습판 한 개의 판의 길이 k는 16[mm] 내지 17[mm]로 구성되며, 실습판의 두께 n은 2[mm] 내지 3[mm]로 구성되고 실습판과 실습판 상측과 중심과의 거리는 m은 13.5[mm]로 구성되며 실습판 하측과 중심과의 거리 o는 10.5[mm] 내지 11[mm]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실습판(300)의 슬롯(301)과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회전체(100); 상기 하우징(200)을 덮으며, 실습기자재(112)를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50);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의 원형 몸체(111)의 상측(上側)에 원호(Circular Arc)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01); 상기 가이드 돌기(101)의 회전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1); 상기 원형 몸체(111)는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210)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며;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돌출되며, 상기 슬롯(301)과 결합되는 훅(104);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훅(104)의 체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제1,2 걸림부(221,222); 상기 훅(104)의 중심 기준선과 40도 내지 50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몸체(111)를 회전시키는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상기 훅(104), 상기 원형 몸체(111) 및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며; 클램핑 장치는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 부재
2 : 클램프회전체
3 : 연결회전체
4 : 클램프회전체 기어부
5 : 연결회전체 기어부
6 : 클램프 요소
7 : 조작레버
8 : 실습기자재
11 : 클램핑기구
12 : 제1 회전체
13 : 제2 회전체
14 : 제3 회전체
15 : 레버
16 : 케이스
17 : 커버
22 : 제1 회전체 기어
23 : 제2 회전체 기어
24 : 제3 회전체 기어
25 : 제1 걸림블럭
26 : 제2 걸림블럭
31 : 케이싱 본체
32 : 케이싱
33 : 자석
34 : 자석홀더
35 : 제1 캠기어
36 : 아이들러
37 : 제2 캠기어
38 : 스프링
40 : 조작레버
41 : 개구부
45 : 제1 캠기어 기어부
46 : 아이들러 기어부
47 : 제2 캠기어 기어부
50 : 제1 락/해지 본체
51 : 제1 피니언기어
52 : 제1 클램핑 요소
55 : 제2 락/해지 본체
56 : 제2 피니언기어
57 : 제2 클램핑 요소
60 : 제1 텐션부재
61 : 제2 텐션부재
70 : 작동체
71 : 레버
72 : 랙기어
75 : 본체
76 : 커버
80 : 작동부재
81 : 손잡이판
82 : 이동레일부
83 : 캠부재 접속부
84 : 제1 탄성부재 접속부
85 : 제2 탄성부재 접속부
90 : 케이스
91 : 제1 캠부재 회전지지부
92 : 제2 캠부재 회전지지부
93 : 탄성부재 수납부
94 : 작동부재 가이드부
95 : 캠부재
96 : 걸림부재
97 : 제1 탄성부재
98 : 제2 탄성부재
100 : 클램핑 회전체
101 : 가이드 돌기
102 : 제1 분리 및 동작부
103 : 제2 분리 및 동작부
104 : 훅
105 : 고정부
106 : 클램핑 결합부
107 :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
108 : 클램핑 회전체 방열부
109 : 클램핑 회전체 고정홈
110 : 방열 구멍
111 : 원형 몸체
112 : 실습기자재
150 : 하우징 커버
200 : 하우징
201 : 가이드 홈
205 : 고정부 결합홈
210 :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
211 : 개구부
221 : 제1 걸림부
222 : 제2 걸림부
231 : 제1 과회전 방지부
232 : 제2 과회전 방지부
241 : 제1 결합홈
242 : 제2 결합홈
243 : 제3 결합홈
244 : 제4 결합홈
245 : 가이드부
246 : 하우징 밑면
250 : 대형(大型) 하우징
300 : 실습판
301 : 슬롯
401 : 제1 길이
402 ; 제2 길이
403 : 제3 길이
404 : 제4 길이
405 : 제5 길이
501 : 하우징의 제1면
502 : 하우징의 제2면
503 : 하우징의 제3면
504 : 하우징의 제4면
601 : 대형(大型) 하우징의 제1면
602 : 대형(大型) 하우징의 제2면
603 : 대형(大型) 하우징의 제3면
604 : 대형(大型) 하우징의 제4면
A : 클램핑 회전체의 본체 높이
B : 가이드 돌기 높이
C : 고정부 높이
D : 클램핑 결합부 높이
E : 훅 높이
H : 가이드부 높이
I : 가이드부 하우징에 가까운 부분 두께
J : 가이드부 끝 부분 두께
a : 클램핑 회전체의 지름
b : 가이드 돌기 지름
c : 고정부 지름
d : 훅 단폭부 길이
e : 훅 장폭부 길이
f :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 길이
h : 하우징의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의 지름
i : 가이드 홈 지름
j : 고정부 결합홈 지름
k : 실습판 한 개의 판의 길이
l : 슬롯의 폭
m : 실습판 상측과 중심과의 거리
n : 실습판의 두께
o : 실습판 하측과 중심과의 거리
X :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와 이루는 훅의 각도
Y : 제1 기준선
Z : 제2 기준선[훅(104)의 중심 기준선]

Claims (12)

  1.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실습판(300)의 슬롯(301)과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회전체(100);
    상기 하우징(200)을 덮으며, 실습기자재(112)를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50);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의 원형 몸체(111)의 상측(上側)에 원호(Circular Arc)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01);
    상기 가이드 돌기(101)의 회전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1);
    상기 원형 몸체(111)는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210)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며;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돌출되며, 상기 슬롯(301)과 결합되는 훅(104);
    상기 하우징(200)과 상기 훅(104)의 체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제1,2 걸림부(221,222);
    상기 훅(104)의 중심 기준선과 40도 내지 50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몸체(111)를 회전시키는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상기 훅(104), 상기 원형 몸체(111) 및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며;
    클램핑 장치는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2.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실습판(300)의 슬롯(301)과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 회전체(100);
    상기 하우징(200)을 덮으며, 실습기자재(112)를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50);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의 원형 몸체(111)의 상측(上側)에 원호(Circular Arc)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01);
    상기 가이드 돌기(101)의 회전이동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하우징(200)의 가이드 홈(201);
    상기 원형 몸체(111)는 클램핑 회전체 수용부(210) 내부에서 회전 이동하며;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돌출되며, 상기 슬롯(301)과 결합되는 훅(104);
    상기 훅(104)의 중심 기준선과 40도 내지 50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몸체(111)를 회전시키는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상기 훅(104), 상기 원형 몸체(111) 및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며;
    클램핑 장치는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밑면(246)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245);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245)는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을 중심으로 동쪽, 서쪽, 북동쪽, 북서쪽, 남동쪽, 남서쪽 방향으로 6개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밑면(246)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245);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245)는 클램핑 회전체의 훅(104)을 중심으로 동쪽, 서쪽, 북쪽, 남쪽, 북동쪽, 북서쪽, 남동쪽, 남서쪽 방향으로 8개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5.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104)과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부(105) 사이의 높이 D는 2[mm]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6.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의 원형 몸체(111)의 높이 A는 9[mm] 내지 12[mm]이며;
    상기 가이드 돌기(101)의 높이는 B는 1[mm] 내지 2[mm]이며;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부(105)의 높이 C는 2.5[mm] 내지 4[mm]이며;
    상기 훅(104)의 높이 E는 5[mm] 내지 6[mm]이며;
    상기 훅(104)과 상기 고정부(105) 사이의 높이 D는 2[mm] 내지 3[mm]인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의 지름 a는 40[mm] 내지 45[mm]이며;
    상기 가이드 돌기(101)의 지름 b는 24[mm] 내지 27[mm]이며;
    상기 훅(104)과 상기 원형 몸체(111)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부(105)의 지름 c는 12[mm] 내지 16[mm]이며;
    상기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의 길이 f는 40[mm] 내지 50[mm]인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훅(104)은 단폭부의 길이 d가 7[mm] 내지 8.5[mm]이며, 장폭부의 길이 e는 12[mm] 내지 16[mm]인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9.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습판(300)의 슬롯(301)의 폭 l은 8[mm] 내지 9[mm]이며;
    상기 실습판(300)의 두께 n은 2[mm] 내지 3[mm]인 것과 결합되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10.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실습판(300)의 슬롯(301)과 결합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인 클램핑 회전체(100) - 상기 클램핑 회전체(100)를 형성하는 훅(104), 원형 몸체(111) 및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됨 -;
    상기 훅(104)의 중심 기준선과 40도 내지 50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몸체(111)를 회전시키는 클램핑 회전체 손잡이(107)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0)을 덮으며, 실습기자재(112)를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커버(150);
    상기 클램핑 장치는 (1)하우징(200) (2)클램핑 회전체(100) (3)하우징 커버(150)의 단지 3가지 구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11. 청구항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제1면(501)에서 제1 길이(401) 및 상기 하우징(200)보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대형(大型) 하우징(250)의 제1면(601)에서 제1 길이(401)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12.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동일(同一)한 크기의 클램핑 회전체(100)를 상기 하우징(200) 및 하우징(200)보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대형(大型) 하우징(250)에서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KR1020180044664A 2018-04-17 2018-04-17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KR10186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64A KR101864574B1 (ko) 2018-04-17 2018-04-17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64A KR101864574B1 (ko) 2018-04-17 2018-04-17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574B1 true KR101864574B1 (ko) 2018-06-04

Family

ID=6262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664A KR101864574B1 (ko) 2018-04-17 2018-04-17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5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91B1 (ko) 2003-03-10 2004-12-03 주식회사 이디 실습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0822374B1 (ko) 2007-09-18 2008-04-16 (주)청파이엠티 클램핑 기구
KR101100922B1 (ko) 2009-10-19 2012-01-02 (주)아이지 자석을 이용하는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101335232B1 (ko) * 2013-05-22 2013-11-29 오재준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KR101379200B1 (ko) 2013-10-15 2014-03-31 주식회사 애니비스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KR20150056138A (ko) * 2013-11-15 2015-05-26 (주)아이지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200486006Y1 (ko) 2016-02-01 2018-03-21 김인옥 실습기자재용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91B1 (ko) 2003-03-10 2004-12-03 주식회사 이디 실습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0822374B1 (ko) 2007-09-18 2008-04-16 (주)청파이엠티 클램핑 기구
KR101100922B1 (ko) 2009-10-19 2012-01-02 (주)아이지 자석을 이용하는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101335232B1 (ko) * 2013-05-22 2013-11-29 오재준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KR101379200B1 (ko) 2013-10-15 2014-03-31 주식회사 애니비스 교육기자재 착탈블록
KR20150056138A (ko) * 2013-11-15 2015-05-26 (주)아이지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200486006Y1 (ko) 2016-02-01 2018-03-21 김인옥 실습기자재용 클램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799B1 (ko) 벽걸이 장착 장치
US9267518B2 (en) Holder mechanism
US8231162B2 (en) Clamp mechanism
ATE336630T1 (de) Elektrisches schloss mit magnetischer halterung des kupplungselementes
KR101864574B1 (ko)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CN107627104B (zh) 压装设备
KR20100137703A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US8550231B2 (en) Conveying device
JP6831559B2 (ja) クランプシステム
JP3224744U (ja) 扇風機
KR101100922B1 (ko) 자석을 이용하는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JP3456928B2 (ja) 電磁弁集合体の給電装置
US11279019B2 (en) Magnetic base
CN102733670B (zh) 可直接替换机械锁头的一种双开电子锁头
CN110561326B (zh) 卡扣组装治具及其使用方法
JP6694189B2 (ja) 切断装置
CN113524064A (zh) 电子设备的装夹装置
CN219987253U (zh) 定位装置
CN220338152U (zh) 一种快拆座及快拆组件
CN219639838U (zh) 电子终端设备固定装置
JP6744681B1 (ja) 切断装置
WO2005089367A2 (en) Indexing mechanism
CN214054185U (zh) 一种焊接桌腿的定位装置
KR101603094B1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CN212245865U (zh) 一种发动机缸盖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