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26B1 - 부품 실장기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26B1
KR101864326B1 KR1020140004047A KR20140004047A KR101864326B1 KR 101864326 B1 KR101864326 B1 KR 101864326B1 KR 1020140004047 A KR1020140004047 A KR 1020140004047A KR 20140004047 A KR20140004047 A KR 20140004047A KR 101864326 B1 KR101864326 B1 KR 101864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ower
mounting portion
electrode
casset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926A (ko
Inventor
유지 오가타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5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실장기 본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가 상기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배치되는 부품 실장기에서,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는 각각 수전 전극을 가지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는 상기 각각의 수전 전극과 대향하도록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된 송전 전극을 가지고, 상기 송전 전극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전 전극으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An apparatus for mounting component}
본 발명은,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가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부품 유지 헤드를 부품 공급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부품 유지 헤드에 구비된 유지부로서의 노즐을 하강ㆍ상승시켜 노즐의 하단부에 부품을 진공 흡착하여 픽업하고, 이어 부품 유지 헤드를 기판의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노즐을 하강시켜 부품을 기판의 소정 좌표 위치에 실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 실장기에서, 상기 부품 공급부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부품 공급 카세트」가 알려져 있다.
부품 공급 카세트는,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반적으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가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장착된다.
부품 공급 카세트로서는, 캐리어 테이프에 의해 부품을 보유하도록 한 테이프 피더나, 부품을 분산시켜 수납한 벌크 케이스를 구비한 것이 이용되는데, 어느 쪽이든 부품 공급 카세트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품 공급 카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전력 공급을 위해 전선을 이용할 경우 탈부착할 때마다 전선의 접속 작업이 필요하여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또 그 경우 부품 공급 카세트는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복수개 장착되기 때문에 전선이나 커넥터의 수도 다수가 되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한다.
이에 대해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9-307283호에서는, 실장기 본체 측에 1차 코일을 포함한 송전(送電) 회로를 마련함과 동시에, 부품 공급 카세트 측에 2차 코일을 포함한 수전(受電) 회로를 마련함으로써,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해 실장기 본체로부터 부품 공급 카세트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구에서는, 그 원리상 송전 회로와 수전 회로를 일대일의 관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실장기 본체에는 부품 공급 카세트의 장착 개수만큼 송전 회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어 고비용의 문제점을 초래하고, 특히 부품 공급 카세트의 장착 개수가 증가되면 송전 회로의 설치 공간상의 문제도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를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부품 실장기에서, 실장기 본체 측으로부터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때 실장기 본체 측에 배치된 송전 회로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실장기 본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가 상기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배치되는 부품 실장기에서,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는 각각 수전 전극을 가지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는 상기 각각의 수전 전극과 대향하도록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된 송전 전극을 가지고, 상기 송전 전극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전 전극으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송되는 것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는 카트에 폭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상기 카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전 전극은 상기 부품 공급 카세트의 저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 카세트는 테이프 피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에 각각 수전 전극이 배치되고,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각각의 수전 전극과 대향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된 송전 전극을 배치하고, 송전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수전 전극으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을 전송하기 때문에 송전 전극을 포함한 송전 회로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게 된다. 즉, 부품 공급 카세트의 장착 개수가 증가해도 실장기 본체 측에 마련하는 송전 회로는 하나이면 되므로 실장기 본체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소형화), 아울러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한 전력 전송 기구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의 개략적인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1)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장기 본체(10)의 카세트 장착부(11)에는 「부품 공급 카세트」로서의 복수개의 테이프 피더(20)가 폭방향(X 방향)으로 병렬(竝列)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중의 참조부호 11a는 테이프 피더(20)를 카세트 장착부(11)에 장착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 라인부로서, 이들 가이드 라인부(11a) 사이에 테이프 피더(20)가 장착된다.
실장기 본체(10)는 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품 유지 헤드(10a)를 구비하고, 이 부품 유지 헤드(10a)를 테이프 피더(20)의 상면 전방에 있는 부품 공급부(21)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부품 유지 헤드(10a)에 구비된 유지부로서의 노즐(10b)에 하강ㅇ상승 동작을 실행시켜 노즐(10b)의 하단부에 부품을 진공 흡착하여 픽업한다.
그 다음 부품 유지 헤드(10a)를 기판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거기에서 다시 노즐(10b)에 하강 동작을 실행시켜 부품을 기판의 소정 좌표 위치에 실장한다. 한편 테이프 피더(20)는, 부품을 보유한 테이프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공급부(21)에 공급한다.
각 테이프 피더(20)의 저면에는 각각 수전 전극(22)이 배치되고, 카세트 장착부(11)에는 각각의 수전 전극(22)과 대향하도록 폭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송전 전극(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송전 전극(12)으로부터 각각의 수전 전극(22)으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송된다.
도 2는, 이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한 전력 전송 기구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 전극(12)과 수전 전극(22)은 일대다(一對多)의 관계로 전계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송전 전극(12)을 포함한 송전 회로(13)는 하나로 통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하나의 송전 회로(13)로부터 각 테이프 피더(20)의 수전 회로(23)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부품 실장기의 개략적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피더(20)를 카세트 장착부(11)에 직접 장착하도록 하였으나, 도 3의 예에서는 테이프 피더(20)가 카트(30)에 장착되어 있다. 즉, 복수의 테이프 피더(20)가 카트(30)에 폭방향(X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이 카트(30)가 카세트 장착부(11)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송전 전극(12)과 수전 전극(22)이 일대다(一對多)의 관계로 전계 결합하는데, 송전 전극(12)으로부터 각각의 수전 전극(22)으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송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예에서는, 카세트 장착부(11)에 송전 전극(12)이 돌출 설치되고, 카트(30)가 카세트 장착부(11)에 장착되면서 송전 전극(12)이 카트(30)에 마련한 오목부에 삽입되어 송전 전극(12)과 수전 전극(22)이 일대다(一對多)의 관계로 대향하여 전계 결합하게 된다.
이상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수전 전극(22)이 테이프 피더(20)의 저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피더(20)의 전면(前面) 측에 수전 전극(22')을 배치하고 카세트 장착부(11)에 이것과 대향하도록 송전 전극(12')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테이프 피더(20)의 형상을 고려하면 테이프 피더(20)의 저면에 수전 전극(22)을 배치하는 것이 전극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전극(22)을 테이프 피더(20)의 저면에 마련하고, 이와 대향하는 송전 전극(12)의 Y 방향의 길이(폭방향(X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길이)를 수전 전극(22)의 Y 방향의 길이보다 카트(30)(테이프 피더(20))의 인출 방향으로 더 길게 배치하면, 카트(30)(테이프 피더(20))를 약간 인출한 상태에서도 송전 전극(12)과 수전 전극(22)이 서로 전계 결합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테이프 피더(20)의 테이프(24)의 교환 작업을 카트(30)(테이프 피더(20))를 약간 인출한 상태로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 부품 공급 카세트를 제조하거나 이용하는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1: 부품 실장기 10: 실장기 본체
11: 카세트 장착부 12: 송전 전극
20: 테이프 피더 22: 수전 전극
30: 카트

Claims (4)

  1.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실장기 본체를 구비하고,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가 상기 실장기 본체의 카세트 장착부에 폭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배치되는 부품 실장기에서,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의 저면측에는 각각 수전 전극을 가지고, 상기 카세트 장착부는 상기 각각의 수전 전극과 대향하도록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된 송전 전극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 카세트는 카트에 폭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상기 카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송전 전극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트가 상기 카세트 장착부에 장착되면서 상기 송전 전극이 상기 카트에 마련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송전 전극으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전 전극으로 전계 결합 방식에 의해 전력이 전송되며,
    상기 송전 전극이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송전 전극의 길이를 상기 수전 전극의 길이보다 더 길게 배치하는 부품 실장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04047A 2013-11-20 2014-01-13 부품 실장기 KR101864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0026A JP6320725B2 (ja) 2013-11-20 2013-11-20 部品実装機
JPJP-P-2013-240026 2013-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26A KR20150057926A (ko) 2015-05-28
KR101864326B1 true KR101864326B1 (ko) 2018-06-05

Family

ID=5337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047A KR101864326B1 (ko) 2013-11-20 2014-01-13 부품 실장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20725B2 (ko)
KR (1) KR101864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7587A1 (de) * 2019-05-23 2020-11-26 Optima consumer GmbH Energieversorgungsmodul für ein Transportsystem, Funktionseinheit, System, Verwendung und 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691A (ja) * 2005-09-06 2007-03-22 Yamaha Motor Co Ltd 表面実装機
JP2012160676A (ja) * 2011-02-03 2012-08-23 Fuji Mach Mfg Co Ltd 基板作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691A (ja) * 2005-09-06 2007-03-22 Yamaha Motor Co Ltd 表面実装機
JP2012160676A (ja) * 2011-02-03 2012-08-23 Fuji Mach Mfg Co Ltd 基板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99877A (ja) 2015-05-28
KR20150057926A (ko) 2015-05-28
JP6320725B2 (ja)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4944B2 (ja) 基板作業装置
US11212951B2 (en) Component mounting system
CN107950085B (zh) 另置式带盘保持装置
JP6498764B2 (ja) 実装システム
KR101864326B1 (ko) 부품 실장기
JP5845415B2 (ja) フィーダ装着用の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フィーダ装着方法
US10542649B2 (en) Component mounting related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related system
EP2882113B1 (en) Electrical device
JP2010067679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パーツフィーダ交換用台車
JP2013021207A (ja) 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フィーダ調整方法
US10491134B2 (en) Electrical machine and power converter
JP6075722B2 (ja) 作業機械
JP2007073691A (ja) 表面実装機
CN103068216B (zh) 带式供料器
JP2018085874A (ja) 給電装置
JP5878082B2 (ja) クリンチ装置、部品取付装置
JPWO2015052800A1 (ja) 部品実装機
WO2014049679A1 (ja) チップマウンタと装置
JP2007109753A (ja) 表面実装機
JP2018014364A (ja) 電子部品供給装置、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6441929B2 (ja) 非接触給電装置
CN210444748U (zh) 部件安装装置
JP6869734B2 (ja) 表面実装機、表面実装機のノズル交換プログラムおよび表面実装機のノズルの交換方法
JP374426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WO2013061791A1 (ja) テープ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