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843B1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843B1
KR101863843B1 KR1020170006912A KR20170006912A KR101863843B1 KR 101863843 B1 KR101863843 B1 KR 101863843B1 KR 1020170006912 A KR1020170006912 A KR 1020170006912A KR 20170006912 A KR20170006912 A KR 20170006912A KR 101863843 B1 KR101863843 B1 KR 101863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plunger
loading arm
pip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휘
시대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43B1/ko
Priority to EP17891680.5A priority patent/EP3569486B1/en
Priority to CN201780082616.XA priority patent/CN110167836B/zh
Priority to SG11201906118VA priority patent/SG11201906118VA/en
Priority to PCT/KR2017/008431 priority patent/WO20181317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부유식 구조물은, 로딩암(loading arm), 상기 로딩암과 연결되는 플런저(plunger), 선체 상에 형성된 리세스에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압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플런저 베이스(plunger base),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로딩암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리세스에 형성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리세스 상에 축적된 유체를 배출하는 제1 배수관, 및 상기 압력 조절홀과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 베이스 내부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제2 배수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Natural Gas, 이하 "NG"라 함)를 약 -162로 냉각해서 액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서, NG와 비교해 약 1/600 정도의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NG의 이송 시 LNG로 액화시켜 이송할 경우 매우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일 예로 LNG를 해상으로 수송(운반)할 수 있는 LNG 운반선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해상에서 NG를 채취하여 액화한 후 저장할 수 있는 LNG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이하 "LNG FPSO"라 함)가 사용되고 있다.
LNG FPSO는 해상의 특정 지점에 계류되어, 해저의 가스정으로부터 NG를 채취하여 액화한 후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LNG FPSO에 저장된 LNG는 LNG 운반선으로 옮겨져 목적지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LNG FPSO에 저장된 LNG는 LNG 운반선이 LNG FPSO에 계류된 상태에서 LNG 운반선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LNG FPSO에는 로딩암(loading arm)이 설치되고, LNG 운반선에는 로딩 암에 대응되는 매니폴드(manifold)가 설치될 수 있으며, 로딩암이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LNG를 LNG 운반선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하지만, LNG의 이송은 LNG FPSO와 LNG 운반선이 모두 해상에 부유한 상태에서 이뤄진다. 이때, LNG FPSO와 LNG 운반선은 바람, 파도 등 해상의 조건에 따라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주변 환경에 의해 LNG FPSO와 LNG 운반선은 서로 다른 운동 응답을 보이게 되며, 그에 따라 과도한 수직 방향 상대 운동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 LNG FPSO의 로딩암을 LNG 운반선의 매니폴드에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연결 부분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결합이 느슨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01999 (공고일: 2013. 09. 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로딩암 승하강 장치 및 연결배관을 이용하여 운반선과 부유식 구조물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면서 로딩암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나의 배수관을 통해 선체 상에 축적된 유체의 배출 및 플런저 베이스 내부의 압력 조절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로딩암(loading arm), 상기 로딩암과 연결되는 플런저(plunger), 선체 상에 형성된 리세스에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압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플런저 베이스(plunger base),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베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로딩암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리세스에 형성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리세스 상에 축적된 유체를 배출하는 제1 배수관, 및 상기 압력 조절홀과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 베이스 내부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제2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배수관은 상기 제2 배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수관은 상기 제1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선체 상에 설치된 배관과 상기 로딩암을 연결하고, 상기 선체로부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로딩암이 배치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연결배관이 배치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세스의 하면은 상기 제1 리세스의 하면보다 상기 선체의 상면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제1 리세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복수의 상기 배수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수구 각각은 상기 플런저 베이스와 오버랩되지 않는 상기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과 운반선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E를 확대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리세스 상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로딩암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로딩암 승하강 장치의 동작에 따른 연결배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과 운반선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과 운반선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0), 로딩암(loading arm)(110), 로딩암 승하강 장치(E) 및 유체 저장 탱크(미도시)를 포함한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예를 들어, 원유를 생산 및 저장하는 부유식 생산 저장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PSO)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0) 내부에 배치된 유체 저장 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유체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로딩암(110)을 통해 운반선(1)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로딩암(110)은 운반선(1)에 설치된 매니폴드(2)와 연결되어 유체를 운반선(1)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암(110)은 복수의 암(arm)이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운반선(1)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딩암(110)은 선체(10)에 설치된 로딩암 승하강 장치(E)에 고정 설치되고, 운반선(1)에 설치된 매니폴드(2)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암들 각각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로딩암(110)은 그 하부에 배치된 로딩암 승하강 장치(E)에 의해 선체(10)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100)은 로딩암 승하강 장치(E)를 이용하여 해상의 바람, 파도 등 해상의 환경 조건에 의해 변동되는 부유식 구조물(100)과 운반선(1)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E를 확대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리세스 상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로딩암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10), 제1 리세스(20), 제2 리세스(30), 배관(40), 로딩암(110), 플런저(plunger)(120), 플런저 베이스(plunger base)(130), 압력 조절홀(131), 실린더(140), 배수구(150), 제1 배수관(160), 연결배관(170), 제1 조인트(173), 제2 조인트(174), 제3 조인트(175) 및 제2 배수관(180)을 포함한다.
플런저(120)는 선체(10) 상에 배치된 로딩암(11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120)의 상면은 로딩암(110)과 연결될 수 있고, 플런저(120)는 플런저 베이스(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플런저(120)는 실린더(140)의 제1 단과 결합될 수 있다.
플런저 베이스(130)는 선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런저 베이스(130)는 선체(10) 상에 형성된 제1 리세스(20)에 연결될 수 있고, 플런저(120)가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플런저 베이스(130)는 실린더(140)의 제1 단과 반대되는 실린더(140)의 제2 단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런저 베이스(130)는 그 하부에 형성된 압력 조절홀(131)을 포함한다.
플런저 베이스(130)는 플런저(120)가 플런저 베이스(130)의 내부에서 해수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의 공기를 압력 조절홀(131)을 통해 압력 조절홀(131)과 연결된 제2 배수관(180)을 따라 유출시킴으로써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베이스(130)는 플런저(120)가 플런저 베이스(130)의 내부에서 선체(10)의 상면이 위치한 방향으로 승강하는 경우, 플런저 베이스(130) 외부의 공기를 압력 조절홀(131)을 통해 압력 조절홀(131)과 연결된 제2 배수관(180)을 따라 유입시킴으로써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실린더(140)는 플런저(120)와 플런저 베이스(13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40)의 제1 단은 플런저(120)와 결합되고, 실린더(140)의 제2 단은 플런저 베이스(130)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140)는 예를 들어, 유압을 이용하여 플런저(1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실린더(140)는 기계식 장치 예를 들어,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실린더(140)는 플런저(1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플런저(120)와 연결된 로딩암(11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100)은 실린더(140)를 이용하여 선체(10)의 상면으로부터의 로딩암(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배수구(150)는 선체(10) 상에 형성된 제1 리세스(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50)는 제1 리세스(20)의 하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배수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세스(20)에 연결된 플런저 베이스(130)와 오버랩되지 않는 제1 리세스(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수구(150)는 제1 리세스(20) 및 제1 리세스(20)에 인접한 제2 리세스(30)에 축적된 유체 예를 들어, 빗물 또는 해수를 각각의 배수구(150)와 연결된 제1 배수관(160)을 따라 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리세스(30)의 하면은 제1 리세스(20)의 하면보다 선체(10)의 상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리세스(30)의 하면으로부터 선체(10)의 상면까지의 제2 높이(h2)는 제1 리세스(20)의 하면으로부터 선체(10)의 상면까지의 제1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리세스(30)에 별도의 배수구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제1 리세스(20)에 형성된 배수구(150)을 통해 제1 및 제2 리세스(20, 30)에 축적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배수구(150)는 제2 리세스(3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배수구(150)는 제2 리세스(30)에만 형성될 수 있고, 제2 리세스(30)의 하면으로부터 선체(10)의 상면까지의 제2 높이(h2)는 제1 리세스(20)의 하면으로부터 선체(10)의 상면까지의 제1 높이(h1)보다 클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배수관(160)은 각각의 배수구(150)와 제2 배수관(18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배수관(160)은 배수구(150)를 통해 유입된 유체 예를 들어, 빗물 또는 해수를 제2 배수관(180)에 제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제2 배수관(180)은 일단이 플런저 베이스(130)의 하부에 형성된 압력 조절홀(131)과 연결되고, 측면에 제1 배수관(16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수관(180)은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의 압력에 따라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에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다.
제2 배수관(180)은 제1 배수관(160)을 통해 제2 배수관(180)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고, 또한,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함으로써 선체(10) 내부의 배수관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연결배관(170)은 제2 리세스(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배관(170)은 선체(10) 상에 설치된 배관(40)과 연결되고, 선체(10)로부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연결배관(170)은 배관(40)과 연결된 제1 연결배관(171) 및 제1 연결배관(171)과 로딩암(11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17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배관(170)은 3개 이상의 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배관(171)은 제1 조인트(173)에 의해 배관(40)과 연결되어 배관(4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연결배관(172)은 제2 조인트(174)에 의해 제1 연결배관(171)과 연결되어 제1 연결배관(17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연결배관(172)은 제3 조인트(175)에 의해 로딩암(110)과 연결되어 로딩암(1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배관(171) 및 제2 연결배관(172)은 관절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 조인트(173, 174, 175)를 이용하여 로딩암(110)이 선체(10)의 상면으로부터 승강하는 경우에도 로딩암(110)과 배관(40) 사이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배관(171) 및 제2 연결배관(172)의 동작은 후술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관(40) 및 연결배관(170)을 따라 배선(예를 들어, 전기 배선, 유압 공급 배선, nitrogen 라인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로딩암 승하강 장치의 동작에 따른 연결배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로딩암 승하강 장치의 동작에 따른 연결배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플런저(120)가 플런저 베이스(130)에 삽입되어 로딩암(110)이 선체(10)의 상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연결배관(171, 172)은 배관(40)보다 해수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140)가 가동되어 플런저(120)를 승강시킴으로써 로딩암(110)이 선체(10)의 상면으로부터 승강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연결배관(171)은 제1 및 제2 조인트(173, 174)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2 연결배관(172)은 제2 및 제3 조인트(174, 175)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배관(170)은 로딩암(110)과 배관(40) 사이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연결배관(170)과 제1 내지 제3 조인트(173, 174, 175)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체(10) 상에 형성된 제2 리세스(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배관(170)은 로딩암(110)의 승강 또는 하강에도 불구하고 선체(10)의 상면의 간섭 없이 로딩암(110)과 배관(40) 사이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로딩암 승하강 장치(E) 및 연결배관(170)을 이용하여 운반선(1)과 부유식 구조물(100) 사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면서 로딩암(110)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100)은 제1 배수관(160)과 연결된 제2 배수관(180)을 이용하여 선체(10) 상의 제1 및 제2 리세스(20, 30)에 축적된 유체를 배출하고,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함으로써 선체(10) 내부의 배수관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운반선 10: 선체
20: 제1 리세스 30: 제2 리세스
40: 배관 100: 부유식 구조물
110: 로딩암 120: 플런저
130: 플런저 베이스 131: 압력 조절홀
140: 실린더 150: 배수구
160: 제1 배수관 170: 연결배관
180: 제2 배수관

Claims (5)

  1. 로딩암(loading arm)(110);
    상기 로딩암(110)과 연결되는 플런저(plunger)(120);
    선체 상에 형성된 리세스에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120)가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압력 조절홀을 포함하는 플런저 베이스(plunger base)(130);
    상기 플런저(120)와 상기 플런저 베이스(130)를 연결하고, 상기 로딩암(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140);
    상기 리세스에 형성된 배수구(150);
    상기 배수구(150)와 연결되어 상기 리세스 상에 축적된 유체를 배출하는 제1 배수관(160); 및
    상측 개구가 상기 압력 조절홀과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 베이스(130) 내부에 공기를 출입시키는 제2 배수관(18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수관(160)은 상기 제2 배수관(180)의 상측 개구의 아래에 형성된 측면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수관(180)은 상기 측면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배수관(16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는 부유식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상에 설치된 배관과 상기 로딩암(110)을 연결하고, 상기 선체로부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배관(170)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로딩암(110)이 배치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연결배관이 배치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세스의 하면은 상기 제1 리세스의 하면보다 상기 선체의 상면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150)는 상기 제1 리세스에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복수의 상기 배수구(150)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수구(150) 각각은 상기 플런저 베이스(130)와 오버랩되지 않는 상기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70006912A 2017-01-16 2017-01-16 부유식 구조물 KR101863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12A KR101863843B1 (ko) 2017-01-16 2017-01-16 부유식 구조물
EP17891680.5A EP3569486B1 (en) 2017-01-16 2017-08-04 Floating type structure
CN201780082616.XA CN110167836B (zh) 2017-01-16 2017-08-04 漂浮式结构体
SG11201906118VA SG11201906118VA (en) 2017-01-16 2017-08-04 Floating type structure
PCT/KR2017/008431 WO2018131765A1 (ko) 2017-01-16 2017-08-04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12A KR101863843B1 (ko) 2017-01-16 2017-01-16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43B1 true KR101863843B1 (ko) 2018-06-01

Family

ID=6263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12A KR101863843B1 (ko) 2017-01-16 2017-01-16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983A (ko) * 2002-06-11 2003-12-18 라근팔 충격흡수용 실린더
KR20050052806A (ko) * 2003-12-01 2005-06-07 송병목 절첩식 가로등용 지주와 그 지주의 보수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6029A (ko) * 2010-10-07 2012-04-1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20050791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1999B1 (ko) 2011-11-23 2013-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체
KR20140144827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매니폴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983A (ko) * 2002-06-11 2003-12-18 라근팔 충격흡수용 실린더
KR20050052806A (ko) * 2003-12-01 2005-06-07 송병목 절첩식 가로등용 지주와 그 지주의 보수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6029A (ko) * 2010-10-07 2012-04-1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20050791A (ko) * 2010-11-11 2012-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1999B1 (ko) 2011-11-23 2013-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체
KR20140144827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매니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8711B (zh) 用于在两个海底流体运输管线之间进行上部连接的装置
US7225877B2 (en) Subsea intervention fluid transfer system
US7793723B2 (en) Submerged loading system
WO1995020717A1 (en) Hydrocarbon fluid transport system
US9074428B2 (en) Connector for steel catenary riser to flexible line without stress-joint or flex-joint
CA2506583C (en) Two-part telescopic tensioner for risers at a floating installation for oil and gas production
US6817809B2 (en) Seabed oil storage and tanker offtake system
US20120082514A1 (en) Tension buoyant tower
US20150128840A1 (en) Frontier Field Development System for Large Riser Count and High Pressures for Harsh Environments
KR101863843B1 (ko) 부유식 구조물
US20080089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Riser To A Target Structure
WO2016111408A1 (en) Submersible mooring apparatus and submersible moor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150197989A1 (en) Underwater drilling rig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nderwater drilling rig assembly
KR101824146B1 (ko) 부유식 구조물
EP3569486B1 (en) Floating type structure
US20110073314A1 (en) Riser termination
AU2012252921A1 (en) An offshore system
US20040146363A1 (en) Riser tensioning arrangement
KR101797612B1 (ko) 해양 구조물의 문풀 플랩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리프팅 공법
KR101665405B1 (ko) 자연 유하식 적하역 장치
US9133691B2 (en) Large-offset direct vertical access system
US20020054789A1 (en) Marine riser
AU2013248193A1 (en) Loading system
KR101711471B1 (ko) 시추 장치
KR102016707B1 (ko) 원통형 선체용 화물 하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해상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