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669B1 -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669B1
KR101863669B1 KR1020160171918A KR20160171918A KR101863669B1 KR 101863669 B1 KR101863669 B1 KR 101863669B1 KR 1020160171918 A KR1020160171918 A KR 1020160171918A KR 20160171918 A KR20160171918 A KR 20160171918A KR 101863669 B1 KR101863669 B1 KR 10186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ultimedia content
music
multimedi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주
Original Assignee
정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주 filed Critical 정우주
Priority to KR102016017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25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display capabilities, e.g. screen resolution of a mobile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33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manufacturer, processing or storag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악 추천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를 고려한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user's environ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음악 방송 서비스과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결합하여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적응적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은 사용자 수의 증가와 함께 게임, 뉴스, 음악,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제공할 수 있게 하였으며, 소비되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넘쳐나는 정보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찾고자 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정보가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의 정보 탐색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현재 많은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대형 방송국이 아니더라도, 많은 사용자들이 직접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소비 구조가 형성되었다.
현재도 사용자에게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재 기술의 추천 정확도가 높다고는 볼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추천 시스템을 많이 활용하지 않고, 추천 시스템을 통해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니라 별도의 직접적인 검색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선택 없이도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재반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를 고려한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구현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 및/또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를 고려한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선택 없이도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재반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별도의 설정 없이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 맞는 음악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공유를 기반으로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악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하나의 예로서 개시된다. 하지만, 음악이 아닌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에 대한 추천 방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맞춤형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이하,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100)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가 사용자에게 적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방송 서비스(100)는 개인 음악 방송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100)는 MCN(multi-channel network) 서비스와 같은 형태로서 1인 창작자 또는 중소 창작자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송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서비스(100)를 위해 DJ(disc jockey) 역할을 하는 사용자(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송출되는 방송을 청취하는 사용자(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존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 각각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또는 방송 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는 방송 서비스(100) 상에서 선곡된 음악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단말(이하, 수신 단말)로 제공하고 멘트, 노래, 악기 연주,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방송 서비스(10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100)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사이의 채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 없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를 통해 음악 선곡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응적으로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각각을 통해 서로 다른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방송 서비스(100)는 송신 단말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하고, 리디오 스트리밍 서비스(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의해 결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100)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가 별도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100)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 간의 유기적인 동작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방법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맞춤형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이하,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은 송신 단말(2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 및 수신 단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단말(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송신 단말)(200)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일 수 있다. 송신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또는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송신 단말(200) 상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송신 단말(200) 상에서 음악 선곡 및 송출 서비스, 채팅 서비스,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송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 단말(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 단말)(240)은 방송 서비스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받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 단말(2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또는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단말(240) 상에서 방송 서비스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방송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추천된 특정 방송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직접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송신 단말(200) 및/또는 수신 단말(240)과의 통신을 위해 구현된 통신부와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송신 단말(200) 및/또는 수신 단말(24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송신 단말(200) 및 수신 단말(240)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특정 방송 채널을 통해 송신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 단말(240)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를 위한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방송 채널 추천/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추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서비스/맞춤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추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추천 서비스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복수의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 중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추천되는 추천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은 개인화된 채널(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만을 위한 채널)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만을 고려하여 음악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천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은 복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복수의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방송 서비스 및/또는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추천을 위해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 사용자 환경,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에 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나이 및 성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현재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받는 위치/상황/시간/계절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수신한 방송 채널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방송 채널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통해 청취한 음악,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음악)에 대한 감정, 느낌,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음악에 대한 감정, 음악에 대한 느낌, 음악과 연관된 다른 객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즐겁다', '행복하다', '우울하다', '슬프다', '고요하다', '평화롭다', '빠르다', '느리다' 등과 같은 다양한 감정/느낌/관념들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반응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자체에 대한 분석 정보, 다른 웹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등을 종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생성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는 음악의 특성/성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경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하위 특성 정보로서 음악에 대한 감정, 음악에 대한 느낌, 음악과 연관된 다른 객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는 즐거움, 행복함, 슬픔, 우울함, 평온함, 울음, 웃음 등과 같은 음악을 듣는 사람의 감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는 평화로움, 빠름, 느림, 조용함, 몽환적임, 시끄러움, 진취적임, 고요함 등과 같은 음악에 대한 사람의 느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연관된 다른 객체 정보는 음악과 관련되어 연상되는 정보로서 애국가를 들었을 경우, 독립운동가, 광복, 올림픽 등과 같은 음악과 연관되어 연상되는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여름과 관련된 가요를 들었을 때 바캉스, 태양, 해수욕장 등과 같은 연관되어 연상되는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연관된 다른 객체 정보는 음악에 가사가 존재하는 경우, 가사와 연동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사에 '눈', '겨울' 과 같은 단어가 임계 횟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음악에 연관된 다른 객체 정보로서 '눈', '겨울'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우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결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300)를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간의 채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채팅 서비스 상에서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느낌/감정, 연상 이미지/관념 등)에 대한 대화가 진행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이러한 음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를 수집하여 특정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에 입장하여 우울한 기분을 달래기 위한 음악 A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에게 신청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는 음악 A를 선곡하여 해당 방송 채널 상에서 방송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의 채팅 창에서 음악 A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힘이 나내요', '신나네요', '기분이 업되네요', '우울할 때 힘이 되네요' 등)가 텍스트 정보로서 올라올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와 같은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 후 음악 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생성/관리할 수 있다.
방송 채널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 중 하나인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로서 반영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를 위한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악을 선곡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가 별도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다른 다양한 웹에서 수집된 정보(320)를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빅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웹에서 특정 음악 및 특정 음악에 대한 감상/느낌/관념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서 특정 음악에 대한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관련된 특정 음악에 대한 감상평을 추출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NS/포털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들 간에 특정 음악 A의 음원, 뮤직 비디오가 제공되고, 많은 사용자들이 음악 A에 대한 감상 소감, 음악에 대한 느낌, 음악과 관련된 관념/이미지 등을 댓글로 남길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A에 대한 댓글 정보를 수집하고, 댓글 정보의 수집 후 댓글 중 음악 A와 관련도가 높은 댓글을 추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추출된 음악 A와 관련도가 높은 댓글을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음악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을 통해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음악의 조성, 음악의 선율, 음악의 빠르기, 사용되는 악기, 가수의 존재 여부, 가사의 의미 등과 같은 음악 자체가 내포하는 특성 정보(340)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음악 자체 특성 정보(340)를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 웹에서 수집된 음악에 대한 정보, 음악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 정보 등을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동일한 음악에 대한 반응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동일한 음악 A에 대해서도 다양한 감상평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A를 '신나는 음악'이라고 판단하는 사용자가 있는 반면에 음악A를 '슬픈 음악'이라고 판단하는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 A에 대한 평가 중 모순되는 평가가 존재하는 경우, 비율적으로 감정 임계 비율을 넘는 감정을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가 음악 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신나는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80%, 슬픈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20%이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감정 임계 비율이 70%인 경우, 음악 A에 대한 슬픈 음악이라는 감상평은 노이즈(noise) 정보로 판단되고 음악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에 포함되지 않고, 잠시 보류될 수 있다. 또는 신나는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60%, 슬픈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40%이고, 감정 임계 비율이 70%인 경우, 음악 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신나는', '슬픈'이라는 특성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에 하위 정보로서 아직 포함되지 않고 보류될 수 있다. 이후 추가적인 정보 수집을 통해 특정 감정이 감정 임계 비율을 넘을 경우, 해당 감정이 음악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결정될 수 있다.
모순되지 않는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 음악에 대한 관념/이미지 정보 등은 해당 음악에 대한 하위 특성 정보로서 공존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사용자 정보의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 사용자 환경,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정보(44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로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환경 정보(4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상황/시간/계절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400)는 수신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 정보 모듈과 연동되어 획득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 모듈은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치 정보(40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장소(예를 들어, 집, 회사 등)에 대한 위치 정보(400)를 등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등록된 위치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400)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4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410)는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일하는 중인지, 휴식 중인지, 이동 중인지, 취침 중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 정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410)는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400)와 연동되어 판단될 수도 있고, 수신 단말의 이동 여부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시간 정보(4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수신 단말 간의 동기화된 시간 정보(420)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계절 정보(4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수신 단말 간의 동기화된 계절 정보(430)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460)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수신한 방송 채널, 라디오 스트리밍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지금까지 청취한 음악에 대한 정보, 청취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환경 정보(440),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46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주로 듣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고요함', '템포가 느린' 등을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는 고요하고 템포가 느린 음악을 지시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와 유사한 정보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하위 특성 정보로서 '고요한', '조용한', '템포가 느린' 등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음악을 주로 청취한 기록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도 하위 정보로서 '고요함', '조용한', '템포가 느린' 등과 같은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46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가 결정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실내(또는 집)에 있을 때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동시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일할 시 선호했던 음악 등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상황별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집에서 주로 청취하였던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50)가 하위 특성 정보로서 '고요한', '조용한', '템포가 느린' 등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외부에서 주로 청취하였던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50)가 하위 특성 정보로서 '템포가 빠른', '신나는', '긍정적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도 하위 정보로서 집('고요함', '조용한', '템포가 느린'), 외부('템포가 빠른', '신나는', '긍정적인') 등과 같은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관리되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맞춤형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음악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 상에서 단순히 선곡되어 재생되는 음악뿐만 아니라, 방송 서비스에서 DJ가 노래를 하는지 여부를 인식하여 DJ의 노래를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50)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될 수도 있다. 즉, DJ가 노래를 하는 경우, 선곡되어 재생되는 음악과 동일하게 간주하여 해당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00)와 사용자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방송 서비스에서 DJ가 노래를 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DJ의 멘트를 분석하여 멘트 상에서 선율(또는 음정의 변화)가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DJ가 노래를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추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도 5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처음 접속한 경우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가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단계 S5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수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수신 단말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이 선택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수신 단말로 선택된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통해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가 생성된다(단계S51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접속한 후 특정 방송 채널/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송 채널/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이용 과정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가 수집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음악을 청취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가 병렬적으로 수집되어 사용자 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또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가 매칭 또는 대응되어 생성/관리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된다(단계 S52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 및 사용자 환경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주로 듣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즐거운', '신나는', '템포가 빠른' 등을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을 청취시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사용자의 시간 정보/사용자의 상황 정보 등이 병렬적으로 수집되어 사용자 정보로서 생성되므로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실내(또는 집)에 있을 때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동시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일할 때 선호했던 음악 등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상황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단계 S530).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맞는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공되는 방송 채널 및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방송 채널에서 재생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채널의 속성 정보를 정의할 수 있고,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서 재생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는 전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와 유사할 수 있다.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서 재생된 음악들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수집되고, 임계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하위 특성 정보가 방송 채널의 속성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서 임계 비율(예를 들어, 80%) 이상의 음악이 '고요한' 하위 특성 정보를 가지는 음악이라면,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는 '고요함'일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가 정의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속성 정보를 가지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이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로 결정될 수 있다.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한다는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만을 위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제공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한다는 의미는 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와 유사한 취향을 가지는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를 그룹핑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 및 제공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추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도 6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고, 사용자의 반응이 실시간으로 피드백 후 반영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로의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의 추천이 수행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단계 S6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 의해 피드백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재결정된다(단계 S61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접속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상에서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가 재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고요한 음악에 대해 선호 반응을 보이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선호 반응에 대한 정보가 제1 사용자 정보의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에 반영되고, 제1 사용자 정보는 제2 사용자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접속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상에서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해당 음악에 대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음악에 대해 고요한 음악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 특정 음악의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이 반영되어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로 재설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정보 및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단계 S620).
재설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정보 및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기분에 맞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기분이 가장 우선적으로 반영되어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기존에 조용한 음악을 들었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가지나,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신나고 빠른 음악을 듣고 싶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금일 음악 취향을 우선적으로 반영하거나 가중치를 두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방송 서비스/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방송 채널에 대한 현재 반응,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현재 반응을 수집하여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예를 들어, 1일) 동안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 간에 모순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를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 간에 모순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를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모순되는지 여부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에 의해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특성 정보 간의 모순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템포가 느린' '고요함'을 지시하고,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가 '템포가 느린'을 지시하는 것과 같이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 간의 모순된 하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를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템포가 느린' '고요함'을 지시하고,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가 '템포가 빠른', '신나는'을 지시하는 것과 같이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 간의 모순된 하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하위 정보 간의 모순 여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의해 설정되어 관리되는 하위 정보 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모순이 발생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별도의 판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재설정하고, 사용자 정보의 재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재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에 모순이 발생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별도의 판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재설정하고, 사용자 정보의 재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재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8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 간의 모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환경 정보에 대한 재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사용자 환경 정보(사용자 위치/상황/시간/계절 등)(840)가 기존에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의 생성시 사용자 환경 정보(860)와 같은지 다른지(또는 유사)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의 생성시 사용자 환경 정보(860)와 현재 사용자 환경 정보(840)가 동일한 경우, 해당 환경에서 사용자가 기존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와 사용자가 청취한 모순이 발생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순이 발생된 음악을 청취하였다는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일시적인 변화로서 노이즈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받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임계 횟수로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800)에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의 변화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순이 발생되는 음악을 청취하였다는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가 계속적으로 축척되어 임계 비율을 넘는 경우, 해당 모순이 발생되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도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를 재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가 제1 사용자 환경에서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을 지시하고, 현재 제1 사용자 환경에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1 사용자 환경 하에서 청취하였던 기록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로서 추가될 수 있다.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1 사용자 환경하에서 청취하였던 기록이 계속 추가되어 임계 비율을 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제1 사용자 환경에서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에서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지시하는 것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생성시 사용자 환경 정보(860)와 현재 사용자 환경 정보(840)가 다른 경우,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는 현재 사용자 환경에 대한 별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가 제1 사용자 환경(예를 들어, 출근길)에서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을 지시하고, 현재 제2 사용자 환경(예를 들어, 집)에 있는 사용자가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2 사용자 환경 하에서 청취하였던 기록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로서 추가되고, 멀티미디어 수신자의 제2 사용자 환경 하에서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는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지시할 수 있다. 이후,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사용자 환경 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환경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이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사용자 환경 정보 중 위치 정보(900)를 고려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에 머무르는 장소에 대한 위치 판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수신 단말은 위치 정보(900)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위치 정보(9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밤 12시 이후부터 오전 6시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머무르는 장소가 반복되는 경우, 해당 장소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전10시 이후부터 오후 6시 이전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머무르는 장소가 반복되는 경우, 해당 장소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직장/학교와 같은 주 사회 활동 장소로 판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를 특정 장소 기반으로 분류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장소에서 듣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장소(예를 들어, 집)(91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하였던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장소(910)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제2 장소(예를 들어, 회사)(920)에서 청취하였던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2 장소(920)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장소(910)에서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와 제2 장소(920)에서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위치 정보 별 별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와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 간의 유사도는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와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 각각에 포함되는 하위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 간의 동일/유사한 하위 특성 정보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높은 유사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소(예를 들어, 집)(910)에서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와 제2 장소(예를 들어, 회사)(920)에서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 간의 유사도가 높은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치 정보 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1 장소(예를 들어, 집)(910)에서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와 제2 장소(예를 들어, 회사)(920)에서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 간의 유사도가 낮은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치 정보 별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는 서로 다른 음악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소(예를 들어, 집)(910)에서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와 제2 장소(예를 들어, 회사)(920)에서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 간의 유사도가 높은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개별 장소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을 다시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과 유사도가 높지 않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제1 장소(910) 또는 제2 장소(920)에서 제공하고, 선곡에 대한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을 재확인하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고정된 음악 청취 취향에 해당하는 음악만을 듣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음악 청취 취향을 확장하여 찾아나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일정 시간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특정 장소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위치하는 여부를 고려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제1 특정 장소 정보, 제2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특정 장소 정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915)를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특정 장소 정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925)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제1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집에서 듣기 좋은 음악)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고,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제2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집중력을 높여주는 음악)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서는 사용자 환경 정보 중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상황을 추정하기 위해 이동 속도, 지도 정보, 교통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위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속도 등을 트래킹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인도 상에서 걸어서 이동 중인지 자전거를 타고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도로 상에서 자동차/버스를 타고 어디로 이동 중인지 여부, 지하철을 타고 어디로 이동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동하는 속도가 설정된 최대 걷는 속도 이하이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가 특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변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걸어서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동하는 속도가 설정된 최대 걷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이되 차량 탑승 속도 이하이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가 특정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변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자전거를 타거나, 뛰어서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위치가 도로 상이고, 미리 입력된 대중 교통(예를 들어, 버스)의 경로에 따라 이동 중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번호의 버스를 타고 이동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위치가 지하철 역사로 이동한 위치이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가 간헐적으로 지하철의 실외 이동 구간에서 확인되는 경우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속도가 지하철의 이동 속도 범위에 포함되고, 이동 경로가 지하철의 이동 경로와 일치하는 경우, 특정 호선의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와 같은 이동 상황 별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상황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유사도에 따라서,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유사하되 상황과 밀접한 관련도를 가지는 음악,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유사도가 낮되 상황과 밀접한 관련도를 가지는 음악도 선곡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지하철을 타고 신촌역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신촌역, 지하철 등과 관련된 음악을 선곡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광화문 거리를 걷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되는 경우, 광화문과 관련된 음악을 선곡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상황 정보를 고려한 선곡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해당 장소를 주기적으로 방문한 기록이 있는 경우 수행되지 않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해당 장소에 간 기록이 일정 시간 이상 지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를 강가, 산, 바닷가와 같은 별도의 설정된 장소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음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위치가 한강변으로 판단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한강과 관련된 음악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위치가 바닷가로 판단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바다와 관련된 음악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따른 음악 제공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1 상황(1010)에서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1015)와 제2 상황(1020)에서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1025) 간의 유사도가 높은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을 확인하고, 음악 청취 취향을 확장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개별 상황 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을 다시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과 유사도가 높지 않은 음악을 제1 상황(1010) 또는 제2 상황(1020)에서 제공하고, 선곡에 대한 반응을 확인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을 재확인하거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고정된 음악 청취 취향에 해당하는 음악만을 듣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음악 청취 취향을 확장하여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속도 정보, 지도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상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제1 특정 상황 정보, 제2 특정 상황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특정 상황 정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제1 특정 상황 정보와 관련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관념, 이미지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등)를 고려하여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특정 장소 정보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제2 특정 장소 정보와 관련된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사용자 환경 정보 중 시간 정보/계절 정보를 고려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음악 청취 취향을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일상 정보를 고려하여 시간을 분할할 수 있다. 24시간 중 사용자의 일상의 변화를 고려하여 시간을 분할하여 제1 시간 구간(1110), 제2 시간 구간(1120) 등으로 분할한 후, 시간 구간 별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제1 시간 구간(1110)에 대한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1115), 제2 시간 구간(1120)에 대한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1125))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위치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기상 시간/취침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시간을 분할한 후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분할된 시간 구간이 아침인지, 점심인지, 저녁인지를 구분하여 별도로 시간 구간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시간 구간 별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하고, 시간 구간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스 서버는 사용자가 기상을 하여 직장 또는 학교로 나가기 전 까지를 제1 시간 구간을 설정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시간 구간에서는 시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에서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보다 활기차고 밝은 특성을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스 서버는 사용자가 직장 또는 학교로 이동하는 구간을 제2 시간 구간으로 설정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시간 구간에서는 시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시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보다 활기차고 밝은 특징을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스 서버는 사용자가 직장 또는 학교에서 위치한 시간 구간을 제3 시간 구간으로 설정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에 맞는 음악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스 서버는 사용자가 직장 또는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 구간을 제4 시간 구간으로 설정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4 시간 구간에서는 시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시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에 맞는 음악 또는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보다 차분한 특징을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스 서버는 사용자가 직장 또는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와서 집에 위치하여 활동하는 시간 구간을 제5 시간 구간으로 설정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5 시간 구간에서는 시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에서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에 맞는 음악 또는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보다 차분한/고요한 특징을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스 서버는 사용자가 집에서 취침 준비에 들어가는 시간 구간을 제6 시간 구간으로 설정하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6 시간 구간에서는 시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에서의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보다 차분하고 고요한 취침에 좋은 특징을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음악의 추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틴츠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되 시간 구간 별로 사용자의 취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공유를 기반으로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유사한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을 그룹핑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일정 유사도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이 그룹핑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분류를 위해 기준이 설정될 수 있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분류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이 그룹핑될 수 있다.
간단한 예를 들어,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분류를 위한 기준이 '즐거운'이라는 제1 분류 기준(1210), '슬픈'이라는 제2 분류 기준(122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즐거운'이라는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하위 특성 정보와 유사한 하위 특성 정보(예를 들어, '행복한', '신나는', '템포가 빠른' 등)은 제1 분류 기준(1210)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슬픈'이라는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하위 특성 정보와 유사한 하위 특성 정보(예를 들어, '우울한', '눈물이 나는', '템포가 느린' 등)은 제2 분류 기준(1220)에 통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분류 기준(1210) 및 제2 분류 기준(1220)의 설정 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제1 분류 기준(1210)에 가까운지 제2 분류 기준(1220)에 가까운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제1 분류 기준(1210)에 가까운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제1 그룹(1215)으로 분류되고, 제2 분류 기준(1220)에 가까운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제2 그룹(1225)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그룹핑 후, 같은 그룹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A가 제1 그룹(1215)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 그룹(1215)에 포함되는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B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A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분류를 위한 기준은 보다 정확한 음악 추천을 위해 보다 세분화되어 설정될 수 있고, 세분화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음악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추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를 고려한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 환경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 상황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마다 또는 상기 상황 정보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위치 정보별 또는 상기 상황 정보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별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유사도가 높은 음악 청취 취향 정보에 대해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개별 위치별로 또는 개별 상황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을 재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일정 시간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특정 장소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위치하는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특정 장소 정보, 제2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특정 장소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2 특정 장소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제1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제2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속도 정보, 지도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제1 특정 상황 정보, 제2 특정 상황 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특정 상황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상기 제1 특정 상황 정보와 관련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2 특정 장소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상기 제2 특정 장소 정보와 관련된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서,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구현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 및/또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를 고려한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 환경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 상황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마다 또는 상기 상황 정보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위치 정보별 또는 상기 상황 정보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별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관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사도가 높은 음악 청취 취향 정보에 대해 주기적으로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개별 위치별로 또는 개별 상황별로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을 재확인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특정 장소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위치하는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특정 장소 정보, 제2 특정 장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특정 장소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특정 장소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제1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제2 특정 장소와 관련된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이동 속도 정보, 지도 정보 및/또는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상황 정보는 제1 특정 상황 정보, 제2 특정 상황 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특정 상황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상기 제1 특정 상황 정보와 관련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특정 장소 정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상기 제2 특정 장소 정보와 관련된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KR1020160171918A 2016-12-15 2016-12-15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18A KR101863669B1 (ko) 2016-12-15 2016-12-15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18A KR101863669B1 (ko) 2016-12-15 2016-12-15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669B1 true KR101863669B1 (ko) 2018-06-01

Family

ID=6263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918A KR101863669B1 (ko) 2016-12-15 2016-12-15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6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48A (ko) * 2010-06-30 2012-01-05 엔에이치엔(주) 자동으로 컨텐츠를 추천하는 모바일 시스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컨텐츠 추천 방법
KR20130083012A (ko) * 2011-12-27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악컨텐츠 추천장치, 그 추천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97894A (ko) * 2014-02-18 2015-08-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기분에 기초한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48A (ko) * 2010-06-30 2012-01-05 엔에이치엔(주) 자동으로 컨텐츠를 추천하는 모바일 시스템,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컨텐츠 추천 방법
KR20130083012A (ko) * 2011-12-27 2013-07-2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음악컨텐츠 추천장치, 그 추천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97894A (ko) * 2014-02-18 2015-08-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기분에 기초한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168B1 (ko) 청취 로그 및 음악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275542B2 (en) Location-indexed audio content
Westlund et al. Generation, life course and news media use in Sweden 1986–2011
US10462508B2 (en) Method of recommending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CN102272828B (zh) 提供话音接口的方法和系统
US20190007510A1 (en) Accumulation of real-time crowd sourced data for inferring metadata about entities
US20150188967A1 (en) Seamless integration of audio content into a customized media stream
CN103327053B (zh) 在线音乐推送方法和系统
KR20120104648A (ko)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59089B2 (en) Mobile audio player with individualized radio program
KR20130083012A (ko) 음악컨텐츠 추천장치, 그 추천방법 및 기록매체
CN108900616B (zh) 有声资源的收听方法和装置
JP6038848B2 (ja) 再生プログラム、配信装置、再生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86367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9616A (ko)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9332B1 (ko)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3669B1 (ko)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Turnbull et al. Using personalized radio to enhance local music discovery
JP6289134B2 (ja) データ処理装置、表示装置、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20113284A (ja) 音楽年齢に基づいて音楽コンテンツを推薦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80069614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9621A (ko) 필터링 및 태그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3670B1 (ko) 필터링 및 태그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51983A (ko) 차량의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RU2658876C1 (ru) Способ и серве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датчика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оздания вектора объекта, связанного с физическим полож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