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614A -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614A
KR20180069614A KR1020160171961A KR20160171961A KR20180069614A KR 20180069614 A KR20180069614 A KR 20180069614A KR 1020160171961 A KR1020160171961 A KR 1020160171961A KR 20160171961 A KR20160171961 A KR 20160171961A KR 20180069614 A KR20180069614 A KR 2018006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usic
multimedia content
emotion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파이
Priority to KR102016017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614A/ko
Publication of KR2018006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악 추천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음악을 추천하고,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multimedia contents informa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음악 방송 서비스과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결합하여 적응적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은 사용자 수의 증가와 함께 게임, 뉴스, 음악,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제공할 수 있게 하였으며, 소비되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넘쳐나는 정보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찾고자 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정보가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의 정보 탐색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현재 많은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대형 방송국이 아니더라도, 많은 사용자들이 직접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소비 구조가 형성되었다.
현재도 사용자에게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재 기술의 추천 정확도가 높다고는 볼 수 없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추천 시스템을 많이 활용하지 않고, 추천 시스템을 통해 추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니라 별도의 직접적인 검색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선택 없이도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재반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음악을 추천하고, 상기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구현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 및/또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음악을 추천하고, 상기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특성 정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선택 없이도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과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재반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별도의 설정 없이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 맞는 음악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학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악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하나의 예로서 개시된다. 하지만, 음악이 아닌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에 대한 추천 방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맞춤형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이하,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100)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가 사용자에게 적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방송 서비스(100)는 개인 음악 방송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100)는 MCN(multi-channel network) 서비스와 같은 형태로서 1인 창작자 또는 중소 창작자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송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서비스(100)를 위해 DJ(disc jockey) 역할을 하는 사용자(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송출되는 방송을 청취하는 사용자(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존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 각각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또는 방송 캐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는 방송 서비스(100) 상에서 선곡된 음악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단말(이하, 수신 단말)로 제공하고 멘트, 노래, 악기 연주,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방송 서비스(10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100)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사이의 채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 없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를 통해 음악 선곡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응적으로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각각을 통해 서로 다른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방송 서비스(100)는 송신 단말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하고, 리디오 스트리밍 서비스(1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의해 결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100)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가 별도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100)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150) 간의 유기적인 동작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방법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을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맞춤형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이하,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은 송신 단말(2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 및 수신 단말(2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단말(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송신 단말)(200)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일 수 있다. 송신 단말(20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또는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송신 단말(200) 상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송신 단말(200) 상에서 음악 선곡 및 송출 서비스, 채팅 서비스,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송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 단말(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 단말)(240)은 방송 서비스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받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 단말(24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또는 어플리케이션 중계 서버)(22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단말(240) 상에서 방송 서비스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방송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추천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추천된 특정 방송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직접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송신 단말(200) 및/또는 수신 단말(240)과의 통신을 위해 구현된 통신부와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송신 단말(200) 및/또는 수신 단말(24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송신 단말(200) 및 수신 단말(240)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특정 방송 채널을 통해 송신 단말(200)에 의해 생성된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 단말(240)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를 위한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방송 채널 추천/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추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추천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방송 서비스/맞춤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추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추천 서비스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복수의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 중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추천되는 추천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은 개인화된 채널(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만을 위한 채널)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취향만을 고려하여 음악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천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은 복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 및/또는 복수의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방송 서비스 및/또는 추천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220)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추천을 위해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 사용자 환경,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에 대한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나이 및 성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현재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받는 위치/상황/시간/계절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수신한 방송 채널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방송 채널 및/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통해 청취한 음악,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어, 음악)에 대한 감정, 느낌,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음악에 대한 감정, 음악에 대한 느낌, 음악과 연관된 다른 객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즐겁다', '행복하다', '우울하다', '슬프다', '고요하다', '평화롭다', '빠르다', '느리다' 등과 같은 다양한 감정/느낌/관념들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반응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자체에 대한 분석 정보, 다른 웹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등을 종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생성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는 음악의 특성/성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경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하위 특성 정보로서 음악에 대한 감정, 음악에 대한 느낌, 음악과 연관된 다른 객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는 즐거움, 행복함, 슬픔, 우울함, 평온함, 울음, 웃음 등과 같은 음악을 듣는 사람의 감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는 평화로움, 빠름, 느림, 조용함, 몽환적임, 시끄러움, 진취적임, 고요함 등과 같은 음악에 대한 사람의 느낌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연관된 다른 객체 정보는 음악과 관련되어 연상되는 정보로서 애국가를 들었을 경우, 독립운동가, 광복, 올림픽 등과 같은 음악과 연관되어 연상되는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여름과 관련된 가요를 들었을 때 바캉스, 태양, 해수욕장 등과 같은 연관되어 연상되는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에 연관된 다른 객체 정보는 음악에 가사가 존재하는 경우, 가사와 연동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사에 '눈', '겨울' 과 같은 단어가 임계 횟수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음악에 연관된 다른 객체 정보로서 '눈', '겨울'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우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결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300)를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상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 간의 채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채팅 서비스 상에서 방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음악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느낌/감정, 연상 이미지/관념 등)에 대한 대화가 진행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이러한 음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를 수집하여 특정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에 입장하여 우울한 기분을 달래기 위한 음악 A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에게 신청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는 음악 A를 선곡하여 해당 방송 채널 상에서 방송할 수 있다. 방송 채널의 채팅 창에서 음악 A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힘이 나내요', '신나네요', '기분이 업되네요', '우울할 때 힘이 되네요' 등)가 텍스트 정보로서 올라올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와 같은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 후 음악 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생성/관리할 수 있다.
방송 채널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 중 하나인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로서 반영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를 위한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제공될 음악을 선곡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가 별도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다른 다양한 웹에서 수집된 정보(320)를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빅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웹에서 특정 음악 및 특정 음악에 대한 감상/느낌/관념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서 특정 음악에 대한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관련된 특정 음악에 대한 감상평을 추출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NS/포털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들 간에 특정 음악 A의 음원, 뮤직 비디오가 제공되고, 많은 사용자들이 음악 A에 대한 감상 소감, 음악에 대한 느낌, 음악과 관련된 관념/이미지 등을 댓글로 남길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A에 대한 댓글 정보를 수집하고, 댓글 정보의 수집 후 댓글 중 음악 A와 관련도가 높은 댓글을 추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추출된 음악 A와 관련도가 높은 댓글을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를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음악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을 통해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음악의 조성, 음악의 선율, 음악의 빠르기, 사용되는 악기, 가수의 존재 여부, 가사의 의미 등과 같은 음악 자체가 내포하는 특성 정보(340)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음악 자체 특성 정보(340)를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 웹에서 수집된 음악에 대한 정보, 음악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 정보 등을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가 생성/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 동일한 음악에 대한 반응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동일한 음악 A에 대해서도 다양한 감상평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A를 '신나는 음악'이라고 판단하는 사용자가 있는 반면에 음악A를 '슬픈 음악'이라고 판단하는 사용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 A에 대한 평가 중 모순되는 평가가 존재하는 경우, 비율적으로 감정 임계 비율을 넘는 감정을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가 음악 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신나는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80%, 슬픈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20%이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감정 임계 비율이 70%인 경우, 음악 A에 대한 슬픈 음악이라는 감상평은 노이즈(noise) 정보로 판단되고 음악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에 포함되지 않고, 잠시 보류될 수 있다. 또는 신나는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60%, 슬픈 음악이라는 감상평이 40%이고, 감정 임계 비율이 70%인 경우, 음악 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신나는', '슬픈'이라는 특성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에 하위 정보로서 아직 포함되지 않고 보류될 수 있다. 이후 추가적인 정보 수집을 통해 특정 감정이 감정 임계 비율을 넘을 경우, 해당 감정이 음악A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로서 결정될 수 있다.
모순되지 않는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 음악에 대한 관념/이미지 정보 등은 해당 음악에 대한 하위 특성 정보로서 공존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35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사용자 정보의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나이, 사용자 성별, 사용자 환경,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정보(44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로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환경 정보(44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상황/시간/계절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400)는 수신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 정보 모듈과 연동되어 획득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 모듈은 위치 정보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위치 정보(40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장소(예를 들어, 집, 회사 등)에 대한 위치 정보(400)를 등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등록된 위치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400)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4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410)는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일하는 중인지, 휴식 중인지, 이동 중인지, 취침 중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 정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정보(410)는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위치 정보(400)와 연동되어 판단될 수도 있고, 수신 단말의 이동 여부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시간 정보(42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수신 단말 간의 동기화된 시간 정보(420)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계절 정보(43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와 수신 단말 간의 동기화된 계절 정보(430)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460)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수신한 방송 채널, 라디오 스트리밍 채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지금까지 청취한 음악에 대한 정보, 청취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환경 정보(440),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46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주로 듣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고요함', '템포가 느린' 등을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는 고요하고 템포가 느린 음악을 지시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와 유사한 정보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하위 특성 정보로서 '고요한', '조용한', '템포가 느린' 등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음악을 주로 청취한 기록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도 하위 정보로서 '고요함', '조용한', '템포가 느린' 등과 같은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46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상황 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가 결정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실내(또는 집)에 있을 때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동시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일할 시 선호했던 음악 등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상황별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가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집에서 주로 청취하였던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50)가 하위 특성 정보로서 '고요한', '조용한', '템포가 느린' 등을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외부에서 주로 청취하였던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50)가 하위 특성 정보로서 '템포가 빠른', '신나는', '긍정적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도 하위 정보로서 집('고요함', '조용한', '템포가 느린'), 외부('템포가 빠른', '신나는', '긍정적인') 등과 같은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470)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관리되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고려하여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맞춤형 음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음악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 상에서 단순히 선곡되어 재생되는 음악뿐만 아니라, 방송 서비스에서 DJ가 노래를 하는지 여부를 인식하여 DJ의 노래를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50) 및 사용자 정보가 설정될 수도 있다. 즉, DJ가 노래를 하는 경우, 선곡되어 재생되는 음악과 동일하게 간주하여 해당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400)와 사용자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방송 서비스에서 DJ가 노래를 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DJ의 멘트를 분석하여 멘트 상에서 선율(또는 음정의 변화)가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DJ가 노래를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추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도 5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처음 접속한 경우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가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접속할 수 있다(단계 S5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수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수신 단말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이 선택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수신 단말로 선택된 특정 방송 채널 또는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통해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가 생성된다(단계S51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방송 채널/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접속한 후 특정 방송 채널/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송 채널/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이용 과정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가 수집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음악을 청취시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가 병렬적으로 수집되어 사용자 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또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환경 정보가 매칭 또는 대응되어 생성/관리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된다(단계 S52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 및 사용자 환경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주로 듣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즐거운', '신나는', '템포가 빠른' 등을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을 청취시 대응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사용자의 시간 정보/사용자의 상황 정보 등이 병렬적으로 수집되어 사용자 정보로서 생성되므로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실내(또는 집)에 있을 때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이동시 선호했던 음악,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일할 때 선호했던 음악 등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상황별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단계 S530).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맞는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공되는 방송 채널 및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방송 채널에서 재생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채널의 속성 정보를 정의할 수 있고,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서 재생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는 전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와 유사할 수 있다.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서 재생된 음악들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수집되고, 임계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하위 특성 정보가 방송 채널의 속성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서 임계 비율(예를 들어, 80%) 이상의 음악이 '고요한' 하위 특성 정보를 가지는 음악이라면,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는 '고요함'일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의 속성 정보가 정의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속성 정보를 가지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이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로 결정될 수 있다.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한다는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만을 위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제공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또는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한다는 의미는 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와 유사한 취향을 가지는 다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를 그룹핑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 및 제공한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추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도 6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고, 사용자의 반응이 실시간으로 피드백 후 반영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로의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의 추천이 수행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방송 채널/추천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단계 S600).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를 통해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사용자 정보 및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1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 의해 피드백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 정보 및/또는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재결정된다(단계 S610).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는 접속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상에서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가 재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고요한 음악에 대해 선호 반응을 보이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선호 반응에 대한 정보가 제1 사용자 정보의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에 반영되고, 제1 사용자 정보는 제2 사용자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접속한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 상에서 제공되는 음악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해당 음악에 대한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특정 음악에 대해 고요한 음악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 특정 음악의 제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이 반영되어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로 재설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정보 및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단계 S620).
재설정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사용자 정보 및 제2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추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기분에 맞는 방송 채널/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기분이 가장 우선적으로 반영되어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기존에 조용한 음악을 들었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가지나, 현재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신나고 빠른 음악을 듣고 싶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금일 음악 취향을 우선적으로 반영하거나 가중치를 두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방송 서비스/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방송 채널에 대한 현재 반응,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스트리밍 라디오 채널에 대한 현재 반응을 수집하여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예를 들어, 1일) 동안의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 간에 모순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를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 간에 모순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를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모순되는지 여부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에 의해 지시하는 하위 특성 정보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 특성 정보 간의 모순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템포가 느린' '고요함'을 지시하고,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가 '템포가 느린'을 지시하는 것과 같이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 간의 모순된 하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를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템포가 느린' '고요함'을 지시하고,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가 '템포가 빠른', '신나는'을 지시하는 것과 같이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 간의 모순된 하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를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740)를 제공할 수 있다. 하위 정보 간의 모순 여부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의해 설정되어 관리되는 하위 정보 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7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720)가 모순이 발생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별도의 판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를 재설정하고, 사용자 정보의 재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가 재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구체적인 방송 서비스/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에 대한 추천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에 모순이 발생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별도의 판단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를 재설정하고, 사용자 정보의 재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재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가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800)와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 간의 모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환경 정보에 대한 재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현재 사용자 환경 정보(사용자 위치/상황/시간/계절 등)(840)가 기존에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의 생성시 사용자 환경 정보(860)와 같은지 다른지(또는 유사) 여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의 생성시 사용자 환경 정보(860)와 현재 사용자 환경 정보(840)가 동일한 경우, 해당 환경에서 사용자가 기존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와 사용자가 청취한 모순이 발생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순이 발생된 음악을 청취하였다는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는 일시적인 변화로서 노이즈 정보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를 받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임계 횟수로 현재 음악 청취 취향 정보(800)에 매칭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가지는 음악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의 변화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순이 발생되는 음악을 청취하였다는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가 계속적으로 축척되어 임계 비율을 넘는 경우, 해당 모순이 발생되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도 사용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를 재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가 제1 사용자 환경에서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을 지시하고, 현재 제1 사용자 환경에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1 사용자 환경 하에서 청취하였던 기록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로서 추가될 수 있다.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1 사용자 환경하에서 청취하였던 기록이 계속 추가되어 임계 비율을 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제1 사용자 환경에서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에서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지시하는 것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의 생성시 사용자 환경 정보(860)와 현재 사용자 환경 정보(840)가 다른 경우,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는 현재 사용자 환경에 대한 별도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재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가 제1 사용자 환경(예를 들어, 출근길)에서 즐겁고/신나고/템포가 빠른 음악을 지시하고, 현재 제2 사용자 환경(예를 들어, 집)에 있는 사용자가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2 사용자 환경 하에서 청취하였던 기록이 사용자 기존 서비스 이용 내역 정보로서 추가되고, 멀티미디어 수신자의 제2 사용자 환경 하에서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820)는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지시할 수 있다. 이후,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제2 사용자 환경 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고요하고/슬픈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 웹(또는 다른 서버)에서 수집된 음악에 대한 정보, 음악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 정보 등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들의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송 서비스 상에서 수집되는 채팅 기록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의 생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서비스가 아닌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상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반응이 존재할 수도 있고, 이러한 반응을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생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송 서비스 상에서 제공되는 채팅 서비스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에 대한 반응이 수집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재생 시작 시간(또는 재생 시작의 임계 시간 전)을 반응 수집 시작 시간, 재생 시간의 임계 시간 후를 반응 수집 종료 시간으로 설정하여 채팅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이하, 반응 수집 시작 시간부터 반응 수집 종료 시간까지의 구간은 반응 수집 구간(900)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분 간의 재생 시간을 가지는 음악의 경우, 음악의 재생 시작 시점이 반응 수집 시작 시간이고, 음악의 3분 동안의 재생 이후, 추가적인 임계 시간(예를 들어, 1분) 후가 반응 수집 종료 시간으로 설정되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음악에 대한 반응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체 반응 수집 구간(900)은 4분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의 재생시 전체 반응 수집 구간(900) 동안에 발생된 복수의 대화 문장을 포함하는 채팅 정보(910)를 수집하고, 복수의 대화 문장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의 생성을 위해 음악에 대한 느낌/감정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 예시적으로 개시되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관된 이미지/관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문장 중 감정/느낌을 표현하는 단어(이하, 감정/느낌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을 수집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감정/느낌 단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문장 내에 감정/느낌 단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기계 학습을 기반으로 감정/느낌 단어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감정/느낌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이하, 감정 표현 문장(920))에서 감정/느낌의 대상이 재생되는 음악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감정 표현 문장(920)에서 감정/느낌 단어의 대상이 음악이 아닐 수가 있다. 따라서, 감정 표현 문장(920) 내에 감정/느낌 단어의 대상이 현재 재생되는 음악인지 여부가 추가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감정 표현 문장(920)에서 감정/느낌의 대상이 재생되는 음악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감정 표현 문장 내에 감정/느낌 단어의 대상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정 표현 문장(920)의 주어가 음악(또는 음악과 관련된 정보(가수, 가사 등))을 지시하는 경우, 감정 표현 문장(920) 내의 감정/느낌 단어가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감정 표현 문장(920)의 주어가 음악을 지시하는 경우, 이러한 감정 표현 문장은 음악 감정 표현 문장(930)이라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반대로, 감정 표현 문장(920)의 주어가 음악과 관련 없는 객체를 지시하는 경우, 경우, 감정 표현 문장(920) 내의 감정/느낌 단어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 감정 표현 문장(920)의 주어가 음악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감정 표현 문장(920)은 기타 감정 표현 문장(940)이라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감정 표현 문장(920)의 주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감정 표현 문장 내의 감정/느낌 단어는 음악 감정 표현 문장(930) 내의 감정/느낌 단어와 관련성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로서 반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어가 존재하지 않는 감정 표현 문장은 비주어 감정 표현 문장(950)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A 의 전체 반응 수집 구간 내에서 수집된 음악 감정 표현 문장(930)으로 "노래가 슬프네요"라는 문장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악 A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음악 감정 표현 문장(930)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인 '슬픔'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우울하네요"와 같이 전체 반응 수집 구간 내에서 수집된 감정 표현 문장에 주어가 없는 경우, 주어가 없는 감정 표현 문장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 '우울'과 음악 감정 표현 문장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인 '슬픔'과의 관련도가 판단될 수 있다. 주어가 없는 감정 표현 문장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예를 들어, 우울)와 음악 감정 표현 문장(930)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예를 들어, 슬픔)와 관련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비주어 감정 표현 문장(950)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가 음악 A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주어 감정 표현 문장(950)에 포함된 감정/느낌 단어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중치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감정/느낌 단어 간의 관련도는 미리 설정된 감정 카테고리, 느낌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단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긍정 카테고리/부정 카테고리로 1차적인 카테고리에 대한 분류가 수행되고, 부정 카테고리 내에 슬픔, 화남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하위 카테고리는 계층적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계층적인 구조를 기반으로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된 감정/느낌 단어 간의 관련도가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감정을 기준으로 음악 감정 표현 문장(930), 기타 감정 표현 문장(940), 비주어 감정 표현 문장(950)으로 구분하였다. 하지만, 음악에 대한 감정뿐만 아니라 느낌, 이미지, 관념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문장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고 포괄적으로 음악 표현 문장, 기타 표현 문장, 비주어 표현 문장이라는 용어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어플리케이션은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음악을 추천할 수 있다.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 음악과 관련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상에서 수집된 채팅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채팅 기록은 음악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반응 수집 구간 동안 수집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채팅 기록에 포함된 복수의 문장을 음악 표현 문장, 기타 표현 문장, 비주어 표현 문장으로 구분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악 표현 문장을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음악 표현 문장은 제1 감정 정보, 제1 느낌 정보 또는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제1 감정 정보, 상기 제1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관념 정보)의 대상이 음악인 문장일 수 있다.
기타 감정 표현 문장은 제2 감정 정보, 제2 느낌 정보 또는 제2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제2 감정 정보, 제2 느낌 정보 또는 제2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음악이 아닌 문장일 수 있다.
비주어 표현 문장은 제3 감정 정보, 제3 느낌 정보 또는 제3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제3 감정 정보, 제3 느낌 정보 또는 제3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지정되지 않은 문장일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비주어 표현 문장에 포함된 제3 감정 정보, 제3 느낌 정보 또는 제3 객체에 대한 정보가 음악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비주어 표현 문장을 더 고려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비주어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3 감정 정보, 제3 느낌 정보 또는 제3 객체에 대한 정보가 음악에 대한 것인지 여부는 음악 표현 문장에 포함된 제1 감정 정보, 제1 느낌 정보 또는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와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서는 수집된 문맥/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우울한데 기분이 좋아지는 음악을 틀어줄 것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에게 요청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가 요청된 음악을 트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가 자체적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음악을 틀 것이라고 이야기를 한 후, 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위와 같은 이러한 문맥 정보(또는 상황 정보)을 기반으로 판단되는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재생되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황 정보를 판단하기 위하여 음악 재생 상황(1000)에 대한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 의해 생성된 '기분이 좋아지는 노래를 틀어달라', '슬픈 노래를 추천해달라'와 같은 제1 문장 이후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가 수락의 의미를 표시하는 제2 문장을 발생시키고, 음악이 재생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음악 재생 상황(1000) 하에서 제1 문장에 포함되는 음악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기분 좋아지는' 또는 '슬픈')(1010)가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1020)에 반영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생성된 '기분이 좋아지는 노래를 틀겠다', '슬픈 노래를 들려주겠다'와 같은 제3 문장 이후에 음악이 재생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음악 재생 상황(1000) 하에서 제3 문장에 포함된 음악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기분 좋아지는 또는 슬픈) (1010)가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1020)에 반영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방송 채널에서 음악이 재생되기 위해 발생되는 위와 같은 상황 정보(또는 대화 상황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 재생 전에 주로 반복되는 대화 상황이 있다면 해당 상황을 학습하여 해당 상황 내에 포함되는 특정 문장에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외부 서버(또는 웹)에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외부 서버(1100)에서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1120)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을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재생 서비스 서버(예를 들어, 유튜브 서버),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등에서 음악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1120)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악 재생 서비스 서버 상에서 특정한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가 댓글과 같은 형태로 달릴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를 포함하는 댓글을 수집하고, 댓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1120)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SNS 서버 상에서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가 원문 및 댓글과 같은 포맷 상에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음악에 대한 반응 정보를 포함하는 원문/댓글을 수집하고, 댓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112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감정 표현 단어/느낌 표현 단어/관념 표현 단어/이미지 표현 단어 등을 기반으로 댓글에 대한 문장 분석을 통해 댓글에 음악에 대한 감정 표현/느낌 표현/관념 표현/이미지 표현 등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의 학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에서는 감정 표현 단어/느낌 표현 단어/관념 표현 단어/이미지 표현 단어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 방법이 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로 1차적으로 설정된 감정 표현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 느낌 표현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 관념 표현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 이미지 표현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1차 학습(1210)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감정 표현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이 입력된 경우가 가정된다.
1차 학습(1210)을 위한 문장은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정 표현 단어를 포함하는 문장은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으로 1차적으로 카테고리가 분류될 수 있다. 다시 하위 분류로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은 기쁜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행복한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웃긴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등과 같은 하위 카테고리로 또 분류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후,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학습(1210)을 통해 입력된 문장을 기반으로 한 학습 결과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에 대한 분류가 되지 않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2차 학습(1220)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멜랑꼴리(melancholy)'와 같은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가 특정 문장에 포함된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가 특정 문장에 포함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1차 학습(1210)을 통해 감정의 분류를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2차 학습(1220)을 통해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특정 단어가 감정 표현 단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멜랑꼴리'라는 단어가 감정 표현 단어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기 위해 사전 데이터베이스(또는 별도의 검색 서버)를 이용하여 '멜랑꼴리'의 의미 및/또는 '멜랑꼴리'와 유사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멜랑꼴리'의 의미 및/또는 '멜랑꼴리'와 유사어가 기존에 1차 학습(1210)을 통해 학습된 감정 표현 단어에 포함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멜랑꼴리'를 감정 표현 단어 중 하나로 인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에 대한 의미를 기반으로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를 새로운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의 새로운 하위 특성 정보로 분류할 것인지 기존의 감정 표현 단어 중 하나로 분류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멜랑꼴리'의 의미가 '우울함'이고,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테츠 정보의 하위 특성 정보로서 '우울함'이 존재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멜랑꼴리'라는 새로운 하위 특성 정보를 생성할지, 아니면, '멜랑꼴리'라는 표현을 '우울함'과 동일한 하위 특성 정보로 분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우선적으로 새로운 감정 표현 단어 '멜랑꼴리'를 새로운 하위 특성 정보로 분류하는 것을 보류하고, 가장 유사한 기존의 하위 특성 정보인 '우울함'과 동일한 것으로 분류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멜랑꼴리'라는 표현이 감정 표현 단어로서 임계 횟수 이상 수집되는 경우, '멜랑꼴리'라는 표현을 하나의 별도의 하위 특성 정보로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감정 표현을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감정 표현 단어에 대한 학습이 수행되고, 감정 표현을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지 않는 표현에 대해서는 통합적인 하위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에서는 음악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음악 자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음악의 조성(1310)에 대한 분류, 음악의 빠르기(1320)에 대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음악의 조성(1310)에 대한 분류를 위해 음악이 장조인지 단조인지 여부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고, 음악의 빠르기(1320)에 대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이 장조인 경우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즐거움, 행복함, 기쁨 등의 감정과 관련성이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빠르기가 상대적으로 빠를수록 더욱 강한 감정으로 분류되어,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음악이 단조인 경우,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슬픔, 우울함, 애절함 등의 감정과 관련성이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빠르기가 상대적으로 느릴수록 더욱 강한 감정으로 분류되어,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가사(1330)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사(1330)가 존재하는 음악에서 가사(1330)가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감정을 결정하기 위해 차지하는 비중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가사(1330)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사(1330)의 분석을 위해 가사(1330)를 구성하는 단어에 대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가사(1330)를 구성하는 단어에 대한 분류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을 통해 획득된 감정 표현 단어/느낌 표현 단어/관념 표현 단어/이미지 표현 단어 등에 대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사(1330)에 '비가 내리는 길을 걷다 보면, 당신과 걷던 그 거리가 그립다'라는 문장이 포함된 경우, 감정 표현 단어로 '그립다'가 추출되고, 관념 표현 단어로 '거리', '비' 등이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단어는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정보 분류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가사(1330)에 포함된 단어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별에 관한 노래의 가사(1330)로 '어둠 속에 있는 것 같아 해가 뜬 건지 해가 진 건지 알 수가 없다' 또는 '난 항상 웃기만 해'라는 가사(1330)가 있다면, 실제적으로는 음악의 주된 감정은 슬픔일 수 있으나, 가사(1330)를 통해 '웃음'이라는 감정 표현 단어, '해'라는 관념 표현 단어/이미지 표현 단어가 추출되어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의 노이즈 정보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정보를 줄이기 위해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가사(1330)에 대한 문맥 정보를 통해 가사의 주제를 결정하고, 가사(1330)의 주제와 관련도가 높은 정보만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가사(1330)의 주제를 결정하기 위해 가사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는 가사(1330) 중 반복되는 문장/단어를 추출하고, 반복되는 문장/단어 간의 연관도를 고려하여 가사의 주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널 그리워한다', 그리움, 이별 등의 단어가 빈번하게 나오는 경우, 가사(1330)의 주제가 그리움, 이별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가사(1330)의 주제가 결정되면, 가사(1330)의 주제와 연관도가 높은 감정 표현 단어/느낌 표현 단어/관념 표현 단어/이미지 표현 단어만이 음악에 대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가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음악을 추천하고,
    상기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 상기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 상기 음악과 관련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상에서 수집된 채팅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팅 기록은 상기 음악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반응 수집 구간 동안 수집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채팅 기록에 포함되는 상기 음악에 대한 감정, 상기 음악에 대한 느낌 또는 상기 음악과 관련된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상에서 수집된 채팅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팅 기록은 상기 음악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반응 수집 구간 동안 수집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채팅 기록에 포함된 복수의 문장을 음악 표현 문장, 기타 표현 문장, 비주어 표현 문장으로 구분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음악 표현 문장을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음악 표현 문장은 제1 감정 정보, 제1 느낌 정보 또는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정 정보, 상기 제1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음악인 문장이고,
    상기 기타 감정 표현 문장은 제2 감정 정보, 제2 느낌 정보 또는 제2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감정 정보, 상기 제2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음악이 아닌 문장이고,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은 제3 감정 정보, 제3 느낌 정보 또는 제3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감정 정보, 상기 제3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3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지정되지 않은 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3 감정 정보, 상기 제3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3 객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음악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을 더 고려하여 결정하고,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3 감정 정보, 상기 제3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3 객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음악에 대한 것인지 여부는 상기 음악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1 감정 정보, 상기 제1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와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는,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구현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단말 및/또는 상기 수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직접적으로 또는 중계 서버를 통해 상기 송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 단말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에게 음악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음악 추천 서비스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의 음악 청취 취향 정보와 매칭되는 음악을 추천하고,
    상기 음악 청취 취향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수신자가 청취한 음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음악에 대한 감정 정보, 상기 음악에 대한 느낌 정보, 상기 음악과 관련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상에서 수집된 채팅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팅 기록은 상기 음악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반응 수집 구간 동안 수집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채팅 기록에 포함되는 상기 음악에 대한 감정, 상기 음악에 대한 느낌 또는 상기 음악과 관련된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상에서 수집된 채팅 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채팅 기록은 상기 음악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반응 수집 구간 동안 수집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팅 기록에 포함된 복수의 문장을 음악 표현 문장, 기타 표현 문장, 비주어 표현 문장으로 구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 표현 문장을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음악 표현 문장은 제1 감정 정보, 제1 느낌 정보 또는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정 정보, 상기 제1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음악인 문장이고,
    상기 기타 감정 표현 문장은 제2 감정 정보, 제2 느낌 정보 또는 제2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감정 정보, 상기 제2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음악이 아닌 문장이고,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은 제3 감정 정보, 제3 느낌 정보 또는 제3 객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단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감정 정보, 상기 제3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3 객체에 대한 정보의 대상이 지정되지 않은 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3 감정 정보, 상기 제3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3 객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음악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을 더 고려하여 결정하고,
    상기 비주어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3 감정 정보, 상기 제3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3 객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음악에 대한 것인지 여부는 상기 음악 표현 문장에 포함된 상기 제1 감정 정보, 상기 제1 느낌 정보 또는 상기 제1 객체에 대한 정보와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서버.
KR1020160171961A 2016-12-15 2016-12-15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9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61A KR20180069614A (ko) 2016-12-15 2016-12-15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961A KR20180069614A (ko) 2016-12-15 2016-12-15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614A true KR20180069614A (ko) 2018-06-25

Family

ID=6280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961A KR20180069614A (ko) 2016-12-15 2016-12-15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595B1 (ko) * 2022-08-18 2022-10-28 주식회사 리플에이아이 게임 방송에서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595B1 (ko) * 2022-08-18 2022-10-28 주식회사 리플에이아이 게임 방송에서의 실시간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811B2 (en) Accumulation of real-time crowd sourced data for inferring metadata about entities
KR101983635B1 (ko) 개인방송 컨텐츠 추천방법
CN101990119B (zh) 音乐视频服务器及其音乐视频个性化设置方法
US20080268772A1 (en) Personalized radio engine for mobile devices
JP2007519047A (ja) 会話の話題を決定して関連するコンテンツを取得して提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441667A (zh) 一种音乐推荐方法及装置
JP2011528879A (ja) テレビジョンシーケンス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184419B2 (en) Retrieval and playout of media content
KR10186367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93544B2 (en) Analyzing captured sound and seeking a match for temporal and geographic presentation and navigation of linked cultural, artistic, and historic content
CN108900616B (zh) 有声资源的收听方法和装置
US11785076B2 (en) Retrieval and playout of media content
JP201321072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05169B1 (ko) 대화형 실시간 음악 또는 음악 파일 전송 방법
JP449219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KR101869332B1 (ko)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9616A (ko)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15070B1 (ko) 디지털음성송신 기반의 음악 라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9614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65611A (ko)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80069621A (ko) 필터링 및 태그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3670B1 (ko) 필터링 및 태그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63669B1 (ko) 사용자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302933A1 (en) Generation of audio stories from text-based media
US202304107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seg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