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002B1 - 절곡금형 - Google Patents

절곡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002B1
KR101863002B1 KR1020170121280A KR20170121280A KR101863002B1 KR 101863002 B1 KR101863002 B1 KR 101863002B1 KR 1020170121280 A KR1020170121280 A KR 1020170121280A KR 20170121280 A KR20170121280 A KR 20170121280A KR 101863002 B1 KR101863002 B1 KR 10186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ntact
support
ben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주
Original Assignee
최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주 filed Critical 최영주
Priority to KR102017012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금형 및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되,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절곡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상부금형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탄성 변형되고, 상기 상부금형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제1 각도 회동되는 회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 회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 회동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접촉이 유지되되, 상기 제1 각도만큼 회동되는 경우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면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평면부, 상기 제1 평면부와 제2 각도(A2)를 형성하는 제2 평면부 및 상기 제1 평면부와 상기 제2 평면부를 연결하는 제1 굴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각도(A1)와 상기 제2 각도(A2)는 90°+ A1 = A2의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하여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함에 있어, 상기 접촉부와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접촉면적을 확장되도록 하고 접촉부와의 접촉면적 확장으로 인해 접촉부가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금속플레이트가 함몰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곡금형{Bending mold}
본 발명은 절곡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장치에 이용하되 구조 개선을 통해 절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곡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곡장치란 금속플레이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절곡금형이 설치되도록 일정한 틀을 이루는 장치이다.
이러한 절곡장치에 설치되는 절곡금형은 절곡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금형과 절곡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절곡장치에는 상부금형을 상하 운동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이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의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금형에 놓이는 금속플레이트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부금형이 상하 운동함에 따라 절곡되게 되며, 이러한 금속판의 절곡형상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종래 이러한 절곡하고자 하는 금속판의 절곡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절곡금형이 사용된다.
이러한 절곡금형의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88161호에는 금속플레이트를 직각으로 절곡할 수 있는 절곡장치용 금형이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금형에 의하면, 금속플레이트의 절곡 정밀도가 매우 떨어지게 되어 불량률이 현저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절곡된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가 매우 불규칙하게 절곡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금속플레이트는 절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조 개선을 통해 절곡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두꺼운 금속판도 절곡이 가능한 절곡장치용 절곡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절곡하는 접촉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함에 있어, 상기 접촉부와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접촉면적을 확장되도록 하고 접촉부와의 접촉면적 확장으로 인해 접촉부가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금속플레이트가 함몰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곡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은, 금속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금형 및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금형은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 배치되는 제1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회동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상부금형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상부금형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절곡금형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A1) 회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A1) 회동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접촉이 유지되되, 상기 제1 각도(A1)만큼 회동되는 경우,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면 접촉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평면부, 상기 제1 평면부와 제2 각도(A2)를 형성하는 제2 평면부 및 상기 제1 평면부와 상기 제2 평면부를 연결하는 제1 굴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평면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와 면 접촉하고, 상기 제2 평면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와 면 접촉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기까지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와 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대향면은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대향면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각도(A1)와 상기 제2 각도(A2)는 90°+ A1 = A2의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하여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함에 있어, 상기 접촉부와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접촉면적을 확장되도록 하고 접촉부와의 접촉면적 확장으로 인해 접촉부가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금속플레이트가 함몰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함입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곡금형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절곡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두꺼운 금속판도 절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속플레이트를 가압하여 절곡하는 접촉부의 구조 개선에 의해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함에 있어, 상기 접촉부와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접촉면적을 확장되도록 하고 접촉부와의 접촉면적 확장으로 인해 접촉부가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금속플레이트가 함몰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절곡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 절곡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회동부, 지지부 및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접촉부 및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은, 금속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형상 및 크기로 절곡하는데 사용하는 절곡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절곡금형은 절곡장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금형과 절곡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상부금형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이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부금형 상에 배치된 금속플레이트(P)는 가압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어 절곡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플레이트(P)의 절곡 형상 및 크기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형상, 크기 및 배치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곡금형은, 절곡장치에 설치되어 금속플레이트(P)의 절곡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금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절곡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1)은, 금속플레이트(P)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금형(3) 및 금속플레이트(P)의 하부를 지지하되,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가 상부금형(3)에 의해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30)를 구비하는 하부금형(2)을 포함한다.
상부금형(3)은, 절곡장치의 상부에 위치한 채, 가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하 위치 이동되며, 하부금형(2)은 절곡장치의 하부에 위치한 채, 금속플레이트(P)를 지지한다.
하부금형(2)은, 프레임(10), 지지부(20) 및 제1 탄성부(26)를 구비한다.
프레임(10)은,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을 제공하며,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은 프레임(10)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공간이다.
지지부(20)는, 프레임(10)의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삽입부(21) 및 삽입부(21)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금속플레이트(P)와 접촉된 채, 금속플레이트(P)를 지지하는 지지판(23)을 구비한다.
지지판(23)의 상측면 및 상부금형(3)의 하측면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지지판(23)의 상측면과 상부금형(3)의 하측면 사이에 금속플레이트(P)가 위치한다.
금속플레이트(P)는 지지판(23)의 영역보다 크게 형성되며,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는 지지판(23)과 접촉되지 않은 채,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부(20)는, 지지부(20) 상에 안착된 금속플레이트(P)가 상부금형(3)에 의해 가압되면, 제1 위치(도 4의 (a) 참조)에서 제2 위치(도 4의 (b) 참조)로 위치 이동되고, 상부금형(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수직 배치되는 제1 탄성부(26)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된다.
제1 위치란, 상부금형(3)과 금속플레이트(P)가 접촉되지 않아 금속플레이트(P)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 위치 이동되지 않은 지지부(20)의 위치를 의미하며, 제2 위치란, 상부금형(3)이 금속플레이트(P)에 접촉된 채, 가압하여 금속플레이트(P)와 연동된 지지부(20)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1 탄성부(26)는,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되며, 프레임(10)과 지지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 배치된다.
제1 수용공간(S1)은 삽입부(21)를 수용하는 제1-1 수용공간(S11) 및 제1 탄성부(26)를 수용하는 제1-2 수용공간(S12)으로 구성되며, 제1-2 수용공간(S12)은 제1-1 수용공간(S11)과 연통된 채, 제1-1 수용공간(S11)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1-2 수용공간(S12)은 제1-1 수용공간(S11)보다 작을 수 있으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1 탄성부(26)의 크기에 따라 수용공간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탄성부(26)는, 지지부(20) 상에 안착된 금속플레이트(P)가 상부금형(3)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지지부(2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상부금형(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지지부(20)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26)는, 지지부(20)가 제1 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 압축 변형되며, 상부금형(3)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압축 변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팽창 변형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이 때, 지지부(20)는 제1 탄성부(26)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절곡부(30)는, 제2 수용공간(S2)에 수용되며,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부(31) 및 접촉부(31)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금속플레이트(P)가 상부금형(3)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지지부(20)와 접촉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회동되는 회동부(33)를 구비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로, 절곡부(30)에 관하여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 절곡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1)의 접촉부(31)는, 회동부(33)가 제1 축(Q1)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도 3(b) 참조) 회동되는 경우, 회동부(33)와 연동되어 제1 축(Q1)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회동된다.
회동부(33)는, 제1 위치에 위치한 지지부(20)와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부금형(3)에 의해 금속플레이트(P)가 가압되면, 지지부(2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지지부(20)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접촉부(31)는 회동부(33)와 예각을 형성한 채, 회동부(33)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므로, 회동부(33)가 제1 축(Q1)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회동되면, 접촉부(31) 또한 제1 축(Q1)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회동하게 된다.
접촉부(31)는, 제1 위치에서의 지지부(20)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평면부(311), 제1 평면부(311)와 제2 각도(A2)를 형성하는 제2 평면부(312) 및 제1 평면부(311)와 제2 평면부(312)를 연결하는 제1 굴곡면(313)을 구비한다.
제1 평면부(311)는, 제1 위치에서의 지지부(2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지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가 안착된다.
여기서, 접촉부(31)와 접촉되는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는 상부금형(3)에 의한 가압 시, 절곡되는 영역으로, 사용자는 기 설정된 절곡 영역에 부합하도록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와 접촉부(31)의 상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부(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제2 평면부(312) 및 제1 굴곡면(313)은 금속플레이트(P)와 접촉되지 않는다.
상부금형(3)이 하강하여 금속플레이트(P)를 가압하게 되면, 지지부(2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하여 하강 운동하게 되고, 접촉부(31)는 위치 이동되지 않은 채,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를 가압하게 되어, 금속플레이트(P)가 절곡된다.
이 때,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는 제1 평면부(311)로부터 제1 굴곡면(313)을 따라 슬라이딩된 채, 접촉부(31)에 의해 가압 된다(도 6 참조).
지지부(2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 중에 지지부(20)는 회동부(33)와 접촉되며, 지지부(20)와 접촉된 회동부(33)는 제1 축(Q1)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되며, 회동부(33)와 연동되는 접촉부(31)도 제1 축(Q1)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이 때, 제2 평면부(312)는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와 접촉된다. 제2 평면부(312)가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와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부(31)는 회동되게 되며,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 또한 제2 평면부(312)와 함께 회동된다.
지지부(2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33)는 지지부(20)에 의해 제1 축(Q1)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만큼 회동하게 되고, 회동부(33)와 연동되는 접촉부(31) 또한 제1 각도(A1)만큼 회동되게 된다.
이 때, 금속플레이트(P)의 테두리는 제2 평면부(312)와 면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정리하면, 접촉부(31)의 제1 평면부(311)는 지지부(20)의 제1 위치에서의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와 면 접촉된 상태로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를 가압할 수 있으며, 제2 평면부(312)는 지지부(2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중에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와 접촉된 상태로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평면부(311)와 제2 평면부(312)는 제2 각도(A2)로 형성되며, 도 10을 참조하면 회동부(33)의 회동범위인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 상호간에는 90° + A1 = A2 의 식이 성립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A2)는 이와 이웃하지 않은 삼각형의 두 내각의 크기(90° + A1)와 동일하다는 수학증명식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는,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를 가압함에 있어서, 접촉부(31)와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의 접촉면적을 확장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접촉부(31)와의 접촉면적의 확장으로 인해 접촉부(31)가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을 분산시켜, 금속플레이트(P)가 함몰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지지부(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금속플레이트(P) 테두리는 금속플레이트(P) 중앙부위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다.
한편, 접촉부(31)는 프레임(10)과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315, 도 3의 (a) 참조)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제1 함입부(315)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13, 도 2 참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2 함입부(13)는 제2 수용공간(S2)을 규정하는 프레임(10)의 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제1 함입부(315)는 제2 수용공간(S2)을 규정하는 프레임(10)의 측면과 대향하는 접촉부(31)의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다.
제1 함입부(315) 및 제2 함입부(13)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형성 깊이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제1 함입부(315) 및 제2 함입부(1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는 제2 탄성부(40)가 위치하여 수평 배치된다.
제2 탄성부(40)는, 제1 함입부(315) 및 제2 함입부(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평 배치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접촉부(31)와 연결되어 회동부(33)가 지지부(20)와 접촉되어 제1 각도(A1) 회동되면, 접촉부(31)와 연동되어 탄성 변형되고, 회동부(33)의 지지부(20)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회동부(33)가 제1 각도(A1) 회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회동부(33)와 지지부(20)가 접촉되어 회동부(33)가 제1 각도(A1) 회동되면, 회동부(33)와 연동되는 접촉부(31) 또한 제1 각도(A1) 회동하게 되며, 이 때 접촉부(31)와 연결된 제2 탄성부(40)는 팽창 변형된다.
또한, 회동부(33)와 지지부(20)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2 탄성부(4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접촉부(31)는 회동된 반대방향으로 제1 각도(A1) 회동하게 되고, 접촉부(31)와 연동되는 회동부(33) 또한 회동된 반대방향으로 제1 각도(A1) 회동하게 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회동부, 지지부 및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1)의 회동부(33)는 프레임(10)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331)을 구비한다.
프레임(10)은, 제1 대향면(331)과 대향하는 제3 대향면(11)이 제1 대향면(3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대향면(331)은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며, 제3 대향면(11)은 제1 대향면(331)과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 대향면(331)은, 지지부(2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부(33)의 하부면 일 수 있으며, 제3 대향면(11)은 제1 대향면(331)과 대향하는 프레임(10) 구체적으로 제2 수용공간(S2)을 제공하는 프레임(10)의 하측면일 수 있다.
제1 대향면(331)과 제3 대향면(11)은 회동부(33)가 지지부(20)와 접촉하기 전에는 이격되어 배치되다가, 회동부(33)가 제1 각도(A1)만큼 회동되는 동안 점진적으로 접촉되어 회동부(33)가 제1 각도(A1)만큼 회동되면 전면이 접촉되게 된다.
제1 대향면(331)과 제3 대향면(11)은 각각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회동부(33)가 지지부(20)에 의해 회동되어 프레임(10)과 접촉된 상태로, 프레임(10)을 가압하는 경우 가압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회동부(33)는, 지지부(20)와 대향하는 제2 대향면(332)을 구비하며, 지지부(20)는 제2 대향면(332)과 대향하는 제4 대향면(25)이 제2 대향면(3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대향면(332)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4 대향면(25)은 제2 대향면(3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대향면(332)은, 지지부(20)와 대향하는 회동부(33)의 상부면일 수 있으며, 제4 대향면(25)은 회동부(33)와 대향하는 지지부(20)의 하부면일 수 있다.
제2 대향면(332)과 제4 대향면(25)은 지지부(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중에 접촉된 채, 접촉이 유지되다가 지지부(2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면 접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의 접촉부 및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1)의 접촉부(31)는 하부측에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317)를 구비하고, 프레임(10)은, 굴곡부(31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굴곡부(317)를 수용하는 굴곡부수용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굴곡부(317)는, 접촉부(31)의 회동에 따라 굴곡부수용부(15) 내에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 때, 굴곡부(317)와 굴곡부수용부(15)의 접촉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된 채, 굴곡부(317)의 회전이 구현된다.
또한, 굴곡부(317)와 굴곡부수용부(15) 사이에는 양자 간의 마찰에 의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제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절곡금형
2: 하부금형
3: 상부금형
10: 프레임
20: 지지부
26: 제1 탄성부
30: 절곡부
40: 제2 탄성부

Claims (2)

  1. 금속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금형 및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금형은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금속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 배치되는 제1 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제1 각도(A1) 회동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상부금형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부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된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상부금형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절곡금형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A1) 회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A1) 회동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접촉이 유지되되, 상기 제1 각도(A1)만큼 회동되는 경우,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면 접촉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제1 평면부, 상기 제1 평면부와 제2 각도(A2)를 형성하는 제2 평면부 및 상기 제1 평면부와 상기 제2 평면부를 연결하는 제1 굴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평면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와 면 접촉하고, 상기 제2 평면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와 면 접촉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기까지 상기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와 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 및 상기 지지부와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대향면은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대향면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각도(A1)와 상기 제2 각도(A2)는 90°+ A1 = A2의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하여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함에 있어, 상기 접촉부와 금속플레이트 테두리의 접촉면적을 확장되도록 하고 접촉부와의 접촉면적 확장으로 인해 접촉부가 금속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금속플레이트가 함몰되거나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함입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3 대향면이 상기 제1 대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대향면과 대향하는 제4 대향면이 상기 제2 대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3 대향면은 면 접촉하며, 상기 제2 대향면과 상기 제4 대향면은 면 접촉하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평 배치되어 수용된 채,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 각도(A1)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와 연동되어 탄성 변형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1 각도(A1) 회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며;
    상기 접촉부는,
    하부측에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굴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굴곡부를 수용하는 굴곡부수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수용부의 접촉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금형.
KR1020170121280A 2017-09-20 2017-09-20 절곡금형 KR10186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80A KR101863002B1 (ko) 2017-09-20 2017-09-20 절곡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80A KR101863002B1 (ko) 2017-09-20 2017-09-20 절곡금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77 Division 2017-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002B1 true KR101863002B1 (ko) 2018-05-30

Family

ID=6230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80A KR101863002B1 (ko) 2017-09-20 2017-09-20 절곡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0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71B1 (ko) 2012-06-12 2014-08-06 곽성훈 절곡장치용 절곡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71B1 (ko) 2012-06-12 2014-08-06 곽성훈 절곡장치용 절곡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705B2 (en) Sequential forming device
JP6487612B1 (ja) 曲げ加工装置
JP6044054B2 (ja) 折曲装置用折曲金型
KR20190019262A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장치
CN105840696A (zh) 制动衬片保持装置、制动衬片和衬片支架
KR101863002B1 (ko) 절곡금형
JP2001047147A (ja) 金型装置
KR20110095748A (ko) 두 개 이상의 유압 펀치가 작동하는 프레스 금형
JPH07164059A (ja) 折曲げ加工装置
US10421109B2 (en) Step-bending die device
KR20170026907A (ko)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20190019259A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장치
US20020006107A1 (en) Shutter for disc cartridge
KR200158219Y1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MX2021008959A (es) Metodo de formacion por prensado y aparato de prensado.
KR102006769B1 (ko) 프레임 절곡용 금형 구조체
JP2004337900A (ja) ダブルカム装置
KR20140141294A (ko) 금속판 벤딩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벤딩 방법
KR101575213B1 (ko) 프레스 금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JP2007111719A (ja) 金型装置
KR20180119074A (ko) 프레스 금형장치
JP3242845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よる板材折曲げ加工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下金型
JPH04167929A (ja) 突上げ塑性加工装置
JP2011245506A (ja) 段曲げ加工装置および方法
JP5881522B2 (ja) ヒール・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