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878B1 -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878B1
KR101862878B1 KR1020120092329A KR20120092329A KR101862878B1 KR 101862878 B1 KR101862878 B1 KR 101862878B1 KR 1020120092329 A KR1020120092329 A KR 1020120092329A KR 20120092329 A KR20120092329 A KR 20120092329A KR 101862878 B1 KR101862878 B1 KR 10186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toothbrush
flocking
head
toothbrush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890A (ko
Inventor
이경섭
김성진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2009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8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및 구강의 굴곡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칫솔모가 식모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식모 블록들; 상기 식모 블록들과 이격된 채로 상기 식모 블록들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헤드 프레임; 각각의 식모 블록과 헤드 프레임 사이 공간을 연결하거나, 서로 인접한 식모 블록들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식모 블록들의 외주면과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주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충진 탄성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Structure of toothbrush head and toothbrush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및 구강의 굴곡에 맞도록 변형될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프라그를 제거하고 잇몸병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치아, 그리고 서로 인접한 치아들의 사이(치간) 등 모든 영역에까지 칫솔모가 닿고, 특히 칫솔 헤드가 치아 형상 및 배열에 들어맞도록 밀착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잇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양치질을 할 때, 적절한 잇몸 맛사지를 행하여 주거나 치아나 잇몸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을 감소시켜 잇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치아들이 곡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음에 비하여 칫솔의 대부분은 칫솔 헤드가 딱딱한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어서 칫솔 헤드가 치아의 형상에 맞게 탄력적으로 굴곡되지 않기 때문에 잇몸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칫솔 헤드는 변형되지 않고 단지 칫솔모만이 치아나 잇몸에 눌려서 변형되기 때문에, 칫솔모가 칫솔 헤드 상에서 눕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그리고, 잇몸에 무리한 힘이 기해진 채로 양치질이 계속되기 때문에 잇몸이 손상되고 구강 내에 상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식모 블록들이 다양한 치아의 형상 및 배열에 맞도록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나 잇몸에 가해지는 힘을 골고루 분산시켜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칫솔모뿐만 아니라 치아나 잇몸의 형상에 맞춰 칫솔 헤드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칫솔 헤드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칫솔모가 식모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식모 블록들; 상기 식모 블록들과 이격된 채로 상기 식모 블록들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헤드 프레임; 각각의 식모 블록과 헤드 프레임 사이 공간을 연결하거나, 서로 인접한 식모 블록들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식모 블록들의 외주면과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주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충진 탄성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부재들은 칫솔 헤드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부재들은 칫솔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모 블록들은 폭방향 변이 길이 방향 변보다 더 길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모 블록들은 칫솔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모 불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모 블록은 칫솔 헤드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블록들로 이뤄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부재들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블록들 사이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부재들의 두께는 상기 식모 블록들의 두께의 30% ~ 5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모 블록들의 폭방향 변의 길이는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면의 폭방향 길이의 절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진 탄성체는 Shore A 10~80의 경도를 갖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s) 재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진 탄성체의 두께(H1)는 칫솔 헤드의 높이(H0)의 65%~75%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상술한 칫솔 헤드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식모 블록들이 다양한 치아의 형상 및 배열에 맞도록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치아나 잇몸에 가해지는 힘을 골고루 분산시켜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칫솔의 헤드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칫솔모뿐만 아니라 치아나 잇몸의 형상에 맞춰 칫솔 헤드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칫솔 헤드 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 구조를 포함하는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헤드 부분에 대한 평면도로서, 칫솔모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 도시된 칫솔의 헤드 부분에서 충진 탄성체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 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 구조를 포함하는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헤드 부분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 도시된 칫솔의 헤드 부분에서 충진 탄성체(19)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칫솔은 양치질을 하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의 손잡이부(20)와, 손잡이부의 일단에 형성된 칫솔 헤드(1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20)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표면에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 방지층을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이 구비하는 손잡이부(20)는 일반적인 칫솔의 손잡이부(20)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칫솔 헤드(10)는, 칫솔모(11)가 식모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식모 블록들(14)과, 상기 식모 블록들(14)과 이격된 채로 상기 식모 블록들(14)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헤드 프레임(12)과, 각각의 식모 블록(14)과 헤드 프레임(12) 사이 공간을 연결하거나 서로 인접한 식모 블록들(14)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들(16)과, 상기 복수의 식모 블록들(14)의 외주면과 상기 헤드 프레임(12)의 내주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충진 탄성체(19)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식모 블록들(14)은 칫솔 헤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으며, 칫솔모(11)를 식모할 수 있도록 칫솔모 고정부(15)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식모 블록(14)에는 여러 개의 칫솔모 고정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모 블록(14)에는 단 하나의 칫솔모 고정부(1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칫솔모 고정부(15)에 단면이 사각형인 칫솔모(11)가 하나 끼워진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칫솔모(1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하나의 칫솔모 고정부(15)에 가는 칫솔모(11)가 다발을 이루며 식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각각의 식모 블록들(14)은 서로 붙어 있지 않고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식모 블록들(14) 중 적어도 하나의 식모 블록(14)은 칫솔 헤드(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블록들로 이뤄져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칫솔 헤드(10)의 최단부로부터 첫 번째 식모 블록(14a)은 하나의 단위 블록에 의해서 이뤄져 있으나, 칫솔 헤드(10)의 최단부로부터 여섯 번째 식모 블록(14b)은 세 개의 단위 블록들(14', 14'', 14''')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식모 블록(14a)의 경우, 식모 블록(14a)의 폭은 하나의 단위 블록의 폭과 동일하지만, 상기 여섯 번째 식모 블록(14b)의 경우, 식모 블록(14b)의 폭이란, 세 개의 단위 블록들(14', 14'', 14''')의 폭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식모 블록들(14)에서 폭 방향 변은 길이 방향 변보다 더 길다. 비록 여섯 번째 식모 블록(14b)의 경우, 두 개의 단위 블록들(14', 14''')은 폭 방향 변이 길이 방향 변보다 눈에 띄게 더 길지는 않지만, 세 개의 단위 블록들(14', 14'', 14''')의 폭을 합하면, 이 폭이 식모 블록(14b)의 길이 방향 변보다는 확연하게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식모 블록(14)의 폭이 너무 좁은 경우에는 칫솔 헤드(10)의 사이즈에 비하여 칫솔모(11)가 식모된 면적이 너무 좁기 때문에 양치질하기가 매우 불편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칫솔 헤드(10)의 최단부로부터 다섯 번째 식모 블록(14c)의 폭(D)은 헤드 프레임(12)의 내면의 폭방향 길이(W)의 절반을 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지 이 식모 블록(14C)만이 이러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식모 블록들(14)이 헤드 프레임(12)의 내면의 폭방향 길이(W)의 절반을 넘는 사이즈로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식모 블록들(14)이 이 사이즈로 형성된다.
헤드 프레임(12)은 칫솔 헤드(10)의 전체적인 외곽선을 결정하고 있으며, 복수의 식모 블록들(14)과 이격된 채로 이들을 둘러싸고 있다. 다시 말해, 헤드 프레임(12)은 중앙 부위에 개구부(18)를 가지며, 이 개구부(18)에 복수 개의 식모 블록들(14)이 위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16)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헤드 프레임(12)과 식모 블록들(14) 사이 공간을 연결하거나, 각 식모 블록들(14)을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 블록들 사이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부재(16)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늘고 긴 리브 형상을 가지며, 칫솔 헤드(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 경우, 칫솔 헤드(10)가 도 4의 지면을 향하는 방향과 지면으로부터 위로 나오는 방향을 따라 구부러지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연결부재는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헤드 프레임(12)의 내면과 식모 블록(14)의 외면 사이의 공간을 대부분 채울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만약, 연결 부재(16)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식모 블록(14)과 헤드 프레임(12)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지 못하여 연결 부재들(16)의 파단이 일어날 수 있고, 반대로, 연결부재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는 칫솔 헤드(10)가 유연하게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부재들(16)의 두께는 식모블록들의 두께의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개구부(18) 부위를 충진 탄성체(19)가 채우게 되며,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칫솔 헤드(10) 중에서, 칫솔모(11)가 식모되는 칫솔모 고정부(15)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충진 탄성체(19)가 채우게 된다.
충진 탄성체(19)는 칫솔 헤드(10)가 구부러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의 복원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재(16)를 보강하여 연결 부재(16)의 파단을 방지하는 역할, 게다가, 식모 블록(14)과 헤드 프레임(12) 간의 상대 위치가 원래 상태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까지 수행한다.
상기 충진 탄성체(19)는 유연한 재질이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반복되는 탄성 변형에도 영구 변형되지 않으며, 칫솔모(11)의 수명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은 초기의 탄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충진 탄성체(19)는 Shore A 10~80의 경도를 갖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s)로서 대표적으로 Styrene계 고무(SBS, SEBS) 및 Olefin 계 고무로 이루어진다. 만약, 헤드 프레임(12)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경질 재질로만 이뤄진다면 칫솔모(11)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헤드 프레임(12)이 충진 탄성체(19)로만 이뤄진다면 칫솔모(11)가 지나치게 유연하여 양치질이 힘들고 헤드 프레임(12)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칫솔모(11)가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칫솔 헤드(1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충진 탄성체(19)의 두께(H1)는 칫솔모(11)를 제외한 헤드(10)의 높이(H0)의 65%~75%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모 블록(14)의 상면 하면, 그리고, 헤드 프레임(12)의 상면과 하면과 같이 각진 모서리를 갖는 부재에 의하여 치아나 잇몸이 다치지 않도록 충진 탄성체(19)는 각각의 모서리 사이를 채워서 각지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 헤드(10)는 탄성 충진체를 구비하기 때문에 단지 헤드 프레임(12)만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탄성 회복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에서는 칫솔모(11)가 구부러지더라도 칫솔 헤드(10)는 전혀 움직이지 않으므로 칫솔모(11)의 변형이 심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칫솔 헤드(10)의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 헤드(10)에 비하여 훨씬 잘 구부러지기 때문에 칫솔모(11)가 구부러지는 힘을 받게 되면 칫솔 헤드(10)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어 칫솔모(11)의 변형이 적다.
이처럼, 칫솔 헤드(10)가 유연하게 잘 휘어지면, 다양한 치아의 형상 및 배열에 맞도록 칫솔 헤드(10)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고, 치아나 잇몸의 특정부위에만 힘이 가해지지 않고 힘의 골고루 분산되어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 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연결 부재들(16)이 칫솔 헤드(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이 아니라, 칫솔 헤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칫솔 헤드(10)의 유연성은 조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부재(16)의 두께를 얇게 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10A : 헤드 11: 칫솔모
12 : 헤드 프레임 14', 14'', 14''' : 단위 블록
14, 14a, 14b, 14c : 식모 블록
15 : 칫솔모 고정부 16 : 연결 부재
18 : 개구부 19 : 충진 탄성체
20 : 손잡이부

Claims (12)

  1. 칫솔모가 식모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식모 블록들;
    상기 식모 블록들과 이격된 채로 상기 식모 블록들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헤드 프레임;
    각각의 식모 블록과 헤드 프레임 사이 공간을 연결하거나, 서로 인접한 식모 블록들 사이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식모 블록들의 외주면과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주면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충진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식모 블록들은 칫솔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배열되며,
    상기 식모 불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식모 블록은 칫솔 헤드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단위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블록은 폐쇄된 공간 내에 복수의 칫솔모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은 칫솔 헤드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은 칫솔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 블록들은 폭 방향 변이 길이 방향 변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 블록들 사이 공간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들의 두께는 상기 식모 블록들의 두께의 3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 블록들의 폭방향 변의 길이는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면의 폭방향 길이의 절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탄성체는 Shore A 10~80의 경도를 갖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s)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탄성체의 두께(H1)는 칫솔 헤드의 높이(H0)의 65%~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헤드 구조.
  12.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칫솔의 헤드 구조를 포함하는 칫솔.
KR1020120092329A 2012-08-23 2012-08-23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186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29A KR101862878B1 (ko) 2012-08-23 2012-08-23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29A KR101862878B1 (ko) 2012-08-23 2012-08-23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890A KR20140025890A (ko) 2014-03-05
KR101862878B1 true KR101862878B1 (ko) 2018-05-30

Family

ID=5064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329A KR101862878B1 (ko) 2012-08-23 2012-08-23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890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93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428907C2 (ru)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имеющие гибкие элементы,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EP1187541B1 (en) A toothbrush
RU2503387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ью
US9700127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US20060242778A1 (en) Toothbrush
US9101204B2 (en) Oral care implement
US20060080794A1 (en) Toothbrushes
BR112019018586A2 (pt) instrumento para higiene bucal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JP2011004905A (ja) 歯ブラシ
KR101862878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JP3126032U (ja) 全歯周ハブラシ
KR101481532B1 (ko) U자형 칫솔
KR101420217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200469883Y1 (ko) 칫솔
JP2015091283A (ja) 歯ブラシ
WO2011067947A1 (ja) 歯ブラシ
KR101767824B1 (ko) 칫솔
JP2593052Y2 (ja) 歯ブラシ
JP3192049U (ja) 歯ブラシ
KR200481051Y1 (ko) 분절헤드와 분절헤드삽입홈을 구비한 칫솔
KR20160002507U (ko)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KR102124540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200481054Y1 (ko) 좌,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