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07U -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 Google Patents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07U
KR20160002507U KR2020150000131U KR20150000131U KR20160002507U KR 20160002507 U KR20160002507 U KR 20160002507U KR 2020150000131 U KR2020150000131 U KR 2020150000131U KR 20150000131 U KR20150000131 U KR 20150000131U KR 20160002507 U KR20160002507 U KR 20160002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segment
elastic material
h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신주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50000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507U/ko
Publication of KR20160002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헤드의 중심부는 칫솔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양측면 부분은 각각 분절하여 분절헤드를 형성하되, 상기 분절헤드를 칫솔헤드의 중심부와 연결 형성하여 각각의 분절헤드가 마디 단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에 상기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한 치아면을 유연하게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분절헤드를 연결함으로써 치아면 중 움푹 패인 곳에서는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좌,우측 부분의 분절헤드가 돌출된 치아면에 닿아 뒤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칫솔손잡이와 연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중심부 칫솔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움푹 패인 치아면을 세밀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 시 가해지는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에 식모되는 칫솔모(70)로 구성되되,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네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부(40)와 상기 중심부(40)에 분절되어 형성되는 분절헤드(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절헤드(50)는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재질의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칫솔헤드(30)의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합성수지재는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분절헤드(50)는 중심부(40) 외측으로 3개 내지 6개로 형성되며, 연결부(6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되고, 상기 연결부(60)는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Tooth brush having a segmented head connecting elastic connection}
본 고안은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헤드의 중심부는 칫솔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양측면 부분은 각각 분절하여 분절헤드를 형성하되, 상기 분절헤드를 칫솔헤드의 중심부와 연결 형성하여 각각의 분절헤드가 마디 단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에 상기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한 치아면을 유연하게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분절헤드를 연결함으로써 치아면 중 움푹 패인 곳에서는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좌,우측 부분의 분절헤드가 돌출된 치아면에 닿아 뒤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칫솔손잡이와 연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중심부 칫솔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움푹 패인 치아면을 세밀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 시 가해지는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소화기관의 시작지점으로 치아와 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담아 잘게 씹고 침과 섞는 역할을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 후 청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게 되어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양치질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칫솔이다
상기 칫솔은 칫솔손잡이와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헤드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서, 칫솔모 위에 치약을 묻혀 치아와 잇몸을 깨끗하게 닦는 데 사용된다.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치아와 치간의 모든 영역까지 칫솔모가 닿아 양치질이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칫솔은 칫솔손잡이와 칫솔헤드가 일직선인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을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21079호로 칫솔헤드(1)의 패드(2)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물질로 형성하여 치아 외형에 맞게 여러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하여 불규칙한 치아면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과도한 칫솔질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칫솔헤드(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칫솔헤드(1) 뒷면에 지지대가 칫솔헤드를 감싸듯이 형성되어 있어 칫솔헤드(1)가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고 칫솔모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움푹 패여진 치아 면을 닦을 때 많은 힘을 소모하게 되고 반대로 돌출된 치아 면에는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 치아가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칫솔헤드의 중심부는 칫솔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고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양측면 부분은 각각 분절하여 분절헤드를 형성하되, 상기 분절헤드를 칫솔헤드의 중심부와 연결 형성하여 각각의 분절헤드가 마디 단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에 상기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한 치아면을 유연하게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분절헤드를 연결함으로써 치아면 중 움푹 패인 곳에서는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좌,우측 부분의 분절헤드가 돌출된 치아면에 닿아 뒤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칫솔손잡이와 연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중심부 칫솔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움푹 패인 치아면을 세밀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 시 가해지는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에 식모되는 칫솔모(70);로 구성되되,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네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부(40)와 상기 중심부(40)에 분절되어 형성되는 분절헤드(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절헤드(50)는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재질의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칫솔헤드(30)의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합성수지재는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절헤드(50)는 중심부(40) 외측으로 3개 내지 6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6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60)는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은 칫솔헤드의 중심부는 칫솔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고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양측면 부분은 각각 분절하여 분절헤드를 형성하되, 상기 분절헤드를 칫솔헤드의 중심부와 연결 형성하여 각각의 분절헤드가 마디 단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에 상기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불규칙한 치아면을 유연하게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분절헤드를 연결함으로써 치아면 중 움푹 패인 곳에서는 분절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에 의해 칫솔헤드의 앞부분과 좌,우측 부분의 분절헤드가 돌출된 치아면에 닿아 뒤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칫솔손잡이와 연결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중심부 칫솔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움푹 패인 치아면을 세밀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 시 가해지는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칫솔헤드의 단면도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이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분절헤드의 전방헤드가 움직이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분절헤드의 제1,2측면헤드가 움직이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분절헤드가 움직이는 상태의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이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분절헤드의 전방헤드가 움직이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분절헤드의 제1,2측면헤드가 움직이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분절헤드가 움직이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에 식모되는 칫솔모(70)로 구성되되,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네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부(40)와 상기 중심부(40)에 분절되어 형성되는 분절헤드(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절헤드(50)는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재질의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칫솔손잡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부분이며, 상부에는 칫솔네크부(2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칫솔네크부(20)의 일측에는 칫솔헤드(3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네크부(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특히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모(70)가 식모되며, 칫솔네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부(40)와 상기 중심부(40)에 분절되어 형성되는 분절헤드(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부(40)의 전방과 양측면에는 분절헤드(50)가 형성된다.
상기 분절헤드(50)는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헤드(51)는 중심부(40)의 전방에 형성되고,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는 중심부(4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재질의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분절헤드(50)의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는 각각 탄성적으로 움직인다.
본 고안에서 분절헤드(50)는 3개로 형성된 것으로 표시하였지만,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를 나누어 형성할 수 있다.
즉, 분절헤드(50)는 3개 내지 6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로 형성되며,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은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가 탄성재질의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분절헤드(50)는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탄성적으로 움직여서 양치질을 할 때에 불규칙한 치아면을 유연하게 칫솔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재질의 연결부(60)로 중심부(40)에 분절헤드(5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분절헤드(50)가 양치시에 치아면에 닿아 뒤로 밀리게 되어 치아면을 세밀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치 시 가해지는 힘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을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칫솔손잡이 20:칫솔네크부
30:칫솔헤드 40:중심부
50:분절헤드 51:전방헤드
52:제1측면헤드 53:제2측면헤드
60:탄성재질 70:칫솔모

Claims (5)

  1.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에 식모되는 칫솔모(70);로 구성되되,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네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부(40)와 상기 중심부(40)에 분절되어 형성되는 분절헤드(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절헤드(50)는 전방헤드(51)와 제1측면헤드(52)와 제2측면헤드(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재질의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30)의 중심부(40)와 분절헤드(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합성수지재는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헤드(50)는 중심부(40) 외측으로 3개 내지 6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0)는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0)는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KR2020150000131U 2015-01-07 2015-01-07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KR201600025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31U KR20160002507U (ko) 2015-01-07 2015-01-07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31U KR20160002507U (ko) 2015-01-07 2015-01-07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7U true KR20160002507U (ko) 2016-07-18

Family

ID=5661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131U KR20160002507U (ko) 2015-01-07 2015-01-07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5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86A (ko) 2019-01-22 2020-07-30 노창현 개량형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86A (ko) 2019-01-22 2020-07-30 노창현 개량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2712B (zh) 提供增强的清洁效果和舒适度的牙刷
JP5269351B2 (ja) 歯ブラシ
US7930792B2 (en) Oral care implement
US20050060826A1 (en) Device with multi-structural contact elements
WO2000064307A1 (en) Toothbrush
US10226118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080427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02507U (ko)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TWM507692U (zh) 牙刷刷頭(二)
KR200481051Y1 (ko) 분절헤드와 분절헤드삽입홈을 구비한 칫솔
KR101420217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200479540Y1 (ko) 분절헤드와 헤드부착부를 갖는 칫솔
KR200481294Y1 (ko) 상,하로 움직이는 측면식모판을 구비한 칫솔
KR100592089B1 (ko) 칫솔헤드
KR200481758Y1 (ko)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KR200481054Y1 (ko) 좌,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200091186A (ko) 개량형 칫솔
KR20190080027A (ko) 좌, 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0486218Y1 (ko) 좌,우로 회동하는 분절헤드를 구비한 칫솔
KR101862878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JPH0919323A (ja) 歯ブラシ
KR102124540B1 (ko)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20160125325A (ko) 칫솔
KR19990005288U (ko) 칫솔
HRP970506A2 (en) A tooth-brush comprising a tongu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01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0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6

Effective date: 2018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