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58Y1 -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58Y1
KR200481758Y1 KR2020150000471U KR20150000471U KR200481758Y1 KR 200481758 Y1 KR200481758 Y1 KR 200481758Y1 KR 2020150000471 U KR2020150000471 U KR 2020150000471U KR 20150000471 U KR20150000471 U KR 20150000471U KR 200481758 Y1 KR200481758 Y1 KR 200481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segment
hol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659U (ko
Inventor
장신주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50000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5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헤드의 중앙에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간 내에 다수의 분절헤드를 연결핀으로 칫솔헤드에 결합시킴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 분절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치아나 잇몸에 닿으면 분절헤드가 회동되거나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를 끼워 형성하되 분절헤드의 폭보다 관통공간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분절헤드가 관통공간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치아와 치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에 연장 형성된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에 연장 형성되며, 관통공간(31)이 형성된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내에 위치하며, 연결핀(60)에 의해 결합되는 분절헤드(40)와, 상기 분절헤드(40)에 식모되는 칫솔모(50)로 구성된다.
상기 칫솔헤드(30)에는 연결핀(60)이 끼워진 분절헤드(40)가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상기 분절헤드(40)는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 내에서 연결핀(6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간(31)의 폭은 분절헤드(4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분절헤드(40)는 돌기(42)와 홈(43)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Tooth brush combined with a segmental head in penetration space of toothbrush head}
본 고안은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헤드의 중앙에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간 내에 다수의 분절헤드를 연결핀으로 칫솔헤드에 결합시킴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 분절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치아나 잇몸에 닿으면 분절헤드가 회동되거나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를 끼워 형성하되 분절헤드의 폭보다 관통공간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분절헤드가 관통공간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치아와 치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강은 소화기관의 시작지점으로 치아와 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담아 잘게 씹고 침과 섞는 역할을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 후 청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게 되어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양치질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칫솔이다.
상기 칫솔은 손잡이와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헤드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서, 칫솔모 위에 치약을 묻혀 치아와 잇몸을 깨끗하게 닦는 데 사용된다.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는 치아와 치간의 모든 영역까지 칫솔모가 닿아 양치질이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칫솔은 손잡이와 칫솔헤드가 일직선인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칫솔모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칫솔모가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86450호가 개시되었는데 홈(1)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분절된 분절칫솔블록(2)을 칫솔헤드(3)와 일체로 형성하되 분절칫솔블록(2) 아래에 편심캠(4)을 형성하여 모터에 의해 편심캠(4)을 회전시켜 분절칫솔블록(2)을 위,아래로 회동시킴으로써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홈(1)에 의해 분절칫솔블록(2)과 칫솔헤드(3)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편심캠(4)의 움직이는 힘에 의하여 홈(1)이 벌어지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에너지원이 공급될 때에만 분절칫솔블록(2)의 작동이 가능하였으며,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해야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하고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칫솔헤드의 중앙에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간 내에 다수의 분절헤드를 연결핀으로 칫솔헤드에 결합시킴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 분절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치아나 잇몸에 닿으면 분절헤드가 회동되거나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를 끼워 형성하되 분절헤드의 폭보다 관통공간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분절헤드가 관통공간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치아와 치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칫솔의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되어 양산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품질로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에 연장 형성된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에 연장 형성되며, 관통공간(31)이 형성된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내에 위치하며, 연결핀(60)에 의해 결합되는 분절헤드(40)와;
상기 분절헤드(40)에 식모되는 칫솔모(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칫솔헤드(30)에는 연결핀(60)이 끼워진 분절헤드(40)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절헤드(40)는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 내에서 연결핀(6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간(31)의 폭은 분절헤드(4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절헤드(40)는 돌기(42)와 홈(43)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은 칫솔헤드의 중앙에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간 내에 다수의 분절헤드를 연결핀으로 칫솔헤드에 결합시킴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 분절헤드에 식모된 칫솔모가 치아나 잇몸에 닿으면 분절헤드가 회동되거나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를 끼워 형성하되 분절헤드의 폭보다 관통공간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분절헤드가 관통공간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치아와 치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쓸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의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되어 양산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품질로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칫솔의 칫솔헤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분절헤드가 좌, 우로 움직이는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상, 하로 회동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분절헤드가 좌, 우로 움직이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상, 하로 회동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에 연장 형성된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에 연장 형성되며, 관통공간(31)이 형성된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내에 위치하며, 연결핀(60)에 의해 결합되는 분절헤드(40)와, 상기 분절헤드(40)에 식모되는 칫솔모(50)로 구성된다.
상기 칫솔손잡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부분이며, 상부에는 칫솔네크부(2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칫솔네크부(20)에는 칫솔헤드(3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30)는 칫솔네크부(20)에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특히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칫솔헤드(30)는 관통공간(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간(31)의 양측면에는 핀홀(3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간(31)에는 분절헤드(40)가 장착되되, 상기 분절헤드(40)의 폭보다 관통공간(31)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한다.
상기 관통공간(31)의 폭을 분절헤드(4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분절헤드(40)가 관통공간내(31)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치아와 치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쓸어내릴 수 있게 한다.
상기 핀홀(32)에는 분절헤드(40)를 관통한 연결핀(60)이 결합되어 상기 분절헤드(40)를 관통공간(31)에 장착시킨다.
상기 연결핀(6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분절헤드(40)를 관통하여 핀홀(32)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연결핀(6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처럼 한 쌍의 분절헤드(40)에 2개씩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핀(60)이 끼워진 분절헤드(40)를 칫솔헤드(30)에 장착할 때에는 분절헤드(40)에 연결핀(60)을 끼운 후, 칫솔헤드 성형금형내에 연결핀(60)이 끼워진 분절헤드(40)를 인서트 삽입하고, 칫솔헤드(30)를 사출성형한다.
상기 분절헤드(40)는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에 장착되고, 핀삽입공(41)이 형성되며, 상기 핀삽입공(41)은 분절헤드(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절헤드(40)는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절헤드(40)의 일측에는 칫솔모(50)가 식모된다.
상기 분절헤드(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 내에서 연결핀(60)을 중심으로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절헤드(40)가 연결핀(60)을 중심으로 상, 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절헤드(4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42)와 홈(43)이 형성되어 한 쌍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절헤드(40)는 한 쌍 내지 네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절헤드(40)가 네 쌍을 초과하여 형성된다면, 첫솔헤드(30)에서 상, 하로 회동되거나, 좌, 우로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다수의 분절헤드(40)를 연결핀(60)으로 칫솔헤드(30)에 결합시킴으로써 양치질을 할 때 상기 분절헤드(40)에 식모된 칫솔모(50)가 치아나 잇몸에 닿으면 분절헤드(40)가 상, 하로 회동되거나 좌,우로 움직이게 되어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칫솔은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되어 양산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품질로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의 성형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성형하기 위해서 칫솔네크부(20)에 연장 형성된 칫솔헤드(30)에 분절헤드(40)를 결합하되, 상기 칫솔헤드(30)에 형성된 관통공간(31)에 분절헤드(40)를 인서트 성형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칫솔헤드(30)의 양측면에는 핀홀(32)이 형성되고, 분절헤드(40)를 관통하여 핀삽입공(41)이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41)에 연결핀(60)을 관통한 후, 칫솔헤드 성형금형내에 연결핀(60)이 끼워진 분절헤드(40)를 인서트 삽입하고, 칫솔헤드(30)를 사출성형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성형된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할 때에는 분절헤드(40)에 식모된 칫솔모(50)가 치아나 잇몸에 닿으면 분절헤드(40)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로 움직이거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하로 회동되어 치아와 치간 구석구석에 끼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하고, 치아와 치간 사이의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쓸어내릴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을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칫솔손잡이 20:칫솔네크부
30:칫솔헤드 31:관통공간
32:핀홀 40:분절헤드
41:핀삽입공 42:돌기
43:홈 50:칫솔모
60:연결핀

Claims (5)

  1.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칫솔손잡이(10)와;
    상기 칫솔손잡이(10)에 연장 형성된 칫솔네크부(20)와;
    상기 칫솔네크부(20)에 연장 형성되며, 관통공간(31)이 형성된 칫솔헤드(30)와;
    상기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내에 위치하며, 연결핀(60)에 의해 결합되는 분절헤드(40)와;
    상기 분절헤드(40)에 식모되는 칫솔모(50);로 구성되되,
    상기 관통공간(31)의 폭은 분절헤드(4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30)에는 연결핀(60)이 끼워진 분절헤드(40)가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헤드(40)는 칫솔헤드(30)의 관통공간(31) 내에서 연결핀(6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헤드(40)는 돌기(42)와 홈(43)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KR2020150000471U 2015-01-21 2015-01-21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KR200481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71U KR200481758Y1 (ko) 2015-01-21 2015-01-21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471U KR200481758Y1 (ko) 2015-01-21 2015-01-21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9U KR20160002659U (ko) 2016-08-01
KR200481758Y1 true KR200481758Y1 (ko) 2016-11-08

Family

ID=5671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471U KR200481758Y1 (ko) 2015-01-21 2015-01-21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822B1 (ko) * 2020-10-21 2021-07-30 김동주 칫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8150A (ja) * 2002-12-10 2004-07-08 Sohei Kadota 歯ブラシ
JP2008506435A (ja) 2004-07-15 2008-03-06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コンシューマー・ヘルスケア・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32B1 (ko) * 2008-10-01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8150A (ja) * 2002-12-10 2004-07-08 Sohei Kadota 歯ブラシ
JP2008506435A (ja) 2004-07-15 2008-03-06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コンシューマー・ヘルスケア・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 歯ブラ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822B1 (ko) * 2020-10-21 2021-07-30 김동주 칫솔
WO2022086188A1 (en) * 2020-10-21 2022-04-28 Dong Ju Kim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59U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485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660430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AU2014203619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a multi-component handle
US10021959B2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EP2091384A1 (en)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089862B2 (en) Oral-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81758Y1 (ko) 칫솔헤드의 관통공간 내에 분절헤드가 결합된 칫솔
KR200473104Y1 (ko) 치간 청소 구조체
KR200486218Y1 (ko) 좌,우로 회동하는 분절헤드를 구비한 칫솔
KR200481054Y1 (ko) 좌,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0481294Y1 (ko) 상,하로 움직이는 측면식모판을 구비한 칫솔
KR200481051Y1 (ko) 분절헤드와 분절헤드삽입홈을 구비한 칫솔
TWM507693U (zh) 牙刷刷頭
KR20160002507U (ko) 탄성재질의 연결부로 연결된 분절헤드를 갖는 칫솔
KR102069335B1 (ko) 칫솔
KR200479540Y1 (ko) 분절헤드와 헤드부착부를 갖는 칫솔
KR20190080027A (ko) 좌, 우측이 분절된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101655990B1 (ko) 칫솔머리 날개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칫솔
KR20160125325A (ko) 칫솔
TW201343105A (zh) 活動式多功能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