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97B1 -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97B1
KR101862197B1 KR1020180013549A KR20180013549A KR101862197B1 KR 101862197 B1 KR101862197 B1 KR 101862197B1 KR 1020180013549 A KR1020180013549 A KR 1020180013549A KR 20180013549 A KR20180013549 A KR 20180013549A KR 101862197 B1 KR101862197 B1 KR 10186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ground
support
rainwa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102018001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or orientation or public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보가 표시된 안내판을 지면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안내판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일측이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지주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배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판을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고, 안내판의 표면이나 하단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GUIDE PANEL FIXING APPARATUS HAVING RAIN-WATER PONDING PREVE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내판을 지면에 설치하고, 이의 안내판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내판은 통행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원이나 등산로 등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의 방향을 알리는 문구나 기호, 표어 등이 표기되거나,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들에 대해 그 동식물이 갖고 있는 특성 정보 등이 표기되는데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종래 금속이나 콘크리트구조물이 갖는 안내판이 환경파괴 느낌을 탈피하여 친환경적인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해 목재로 이루어진 안내판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전술한, 목재로 이루어진 안내판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00907호(2015.03.03) "친환경 나무안내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나무안내판은 안내대상이 표현되는 안내본체, 안내본체를 지지하는 안내판지지축, 안내판지지축을 지지하는 콘크리트베이스 및 콘크리트베이스와 안내판지지축을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나무안내판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없이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부식에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나무안내판은 강우로 인한 빗물이 안내본체와 안내판지지축 사이의 결합부분으로 스며들어 고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안내본체와 안내판지지축 사이의 결합부분에는 빗물을 배수하거나 빗물을 말릴 수 있는 통풍구조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랜기간 동안 빗물이 고인상태로 존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무안내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인 빗물이 점차적으로 썩게 되면서 썩은 빗물에 의한 악취가 풍기게 되거나, 고인 빗물이 나무재질의 안내본체로 스며들게 되면서 안내본체가 썩게 되거나, 고인 빗물에 의해 안내판지지축 또는 이의 내부에 매립되는 금속재질의 브래킷 등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00907호(2015.03.03) "친환경 나무안내판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우에 의한 빗물이 목재의 안내판과 금속재의 고정장치 사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전술한 목재의 안내판과 금속재의 고정장치 사이에 배수구조를 마련하여 빗물이 지면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통풍구조를 마련하여 공기의 순환을 통해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안내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구성중, 지면에 매립되는 일부 구성이 균형감 있게 매립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면에 수직상태로 매립되도록 할 수 있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일측이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배치수단;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안내판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의 표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안내판의 표면에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판의 면접촉되는 일측면에 지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 및 상기 안내판의 하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가 통풍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안내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안내판을 지지하는 상단에 형성되는 요철; 상기 요철의 홈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안내판의 하단에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안내되도록, 외측면에 지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 및 상기 안내판의 하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가 통풍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에어홀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하단 양측으로 제각기 연장되는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우는 수직대; 및 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지주의 하부 타측면에 설치되되, 지면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수평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는 안내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시키기 때문에 지면에 고이는 빗물이나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 등이 안내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수분에 의해 안내판이 썩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는 배치수단, 즉 수직대를 통해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울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수평대를 통해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에 안내판을 고정하기 전, 안내판을 서포트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내판을 들어 고정위치에 배치시키기 않더라도 안내판이 고정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작업자의 큰 힘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내판의 하단이 서포트에 지지될 경우, 서포트의 상단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안내판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판이 서포트에 지지된 상태에서 쓰러지거나 미끄러져 안내판이 고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안내판이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면서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나 기타 동식물 등을 덮치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배수로를 통해 안내판의 표면에 흐르는 빗물을 지면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판의 표면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해 안내판이 썩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에어홀을 통해 안내판의 전후방으로부터 안내판의 하부로 공기가 통풍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안내판의 하부에 고이거나 맺히는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해 안내판이 썩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에 마련되는 에어홀은 고정플레이트의 배수로에 잔존하는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플레이트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에 마련되는 배수로를 통해 안내판의 하단에 흐르는 빗물을 지면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판의 하단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해 안내판이 썩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하느 서포트에 마련되는 에어홀을 통해 안내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안내판의 하부로 공기가 통풍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안내판의 하부에 고이거나 맺히는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해 안내판이 썩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에 마련되는 에어홀은 서포트의 배수로에 잔존하는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포트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서포트가 설치된 실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서포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100)는 정보가 표시된 안내판(10)을 지면에 고정설치하고, 안내판(10)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100)는 이하에서 안내판(10)을 지면에 고정설치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 안내판(10)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안내판(10)을 지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 고정플레이트(130) 및 배치수단(150)을 포함한다.
지주(110)는 안내판(10)을 지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주(110)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지중에 매설되고, 타단이 지상에 배치되는 상태, 즉 지면에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지주(110)는 지면에 설치될 때, 지면에 수평상태를 이루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안내판(10)을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것은 물론,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우기 위한 것으로, 아래 설명하는 배치수단(15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배치수단(150)은 지주(110)를 지면에 균형감 있게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대(151) 및 수평대(153)를 포함한다.
수직대(151)는 지주(110)를 지면에 수직하게 세우기 위한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의 하부 일측면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수직대(151)는 지주(110)의 하단 양측으로 제각기 연장되는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수직대(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 같은 형태 등 지주(110)의 하단 양측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되는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대(1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의 폭보다 넓은 폭을 이루는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지주(110)를 균형감 있게 떠받쳐 세울 수 있다.
수평대(153)는 지주(110)를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0)의 하부 타측면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수평대(153)는 판 형태를 이루어 지주(110)의 하부 타측면에 설치되되, 지면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중이나 지면에 지지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수평대(1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태로 형성되고, 'l' 부분이 지주(110)에 고정되며, 'ㅡ' 부분이 지면에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대(15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ㅡ' 부분이 지중이나 지면에 지지되면서 지주(110)를 지중이나 지면에 대응되는 수평상태로 균형감 있게 배치시킬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30)는 안내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하는 구성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지주(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안내판(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플레이트(130)는 용접기를 통한 용접방식을 통해 지주(110)와 일체를 이룰 수 있고,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안내판(10)과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들은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고정플레이트(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10)을 지주(110)와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안내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100)는 배치수단(150)을 통해 지주(110)를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것은 물론,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주(110)의 설치작업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이에 의한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30)를 통해 안내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내판(10)의 하단이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안내판(10)의 하부로 지면에 고인 빗물이나 습기 등이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내판(10)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플레이트(130)는 배수로(131) 및 에어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안내판(10)의 표면에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내판(10)의 표면 전체에 흐르는 빗물이 고정플레이트(130)의 표면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수로(131)는 고정플레이트(130)로 이동된 빗물을 지면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3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안내판(10)의 표면에 면접촉되는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수로(131)는 고정플레이트(130)의 상단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레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배수로(131)는 고정플레이트(13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배수로(131)를 통해 다량의 빗물이 지면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배수로(131)는 고정플레이트(130)로 이동된 빗물을 지면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131)는 외부의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내측에 잔존하는 빗물이 지면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고, 빗물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에어홀(133)은 안내판(10)의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30)의 내부, 즉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관통하는 구멍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에어홀(133)은 전술한 배수로(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에어홀(133)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안내판(10)의 하부로 통풍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에어홀(133)은 외부의 공기가 안내판(10)의 하부로 용이하게 통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에어홀(133)은 외부의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함으로,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관통된 내부 또는 전술한 배수로(131)에 잔존하는 빗물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홀(13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에어홀은 고정플레이트(130)에 도시된 기준선(L)을 중심으로 전술한 상광하협 형태가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홀(133)의 형태, 즉 경사면(133a)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내부의 공기가 반대측에 형성된 에어홀(133)의 형태, 즉 경사면(133a)을 따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고정플레이트(130)는 전술한 배수로(131)를 통해 안내판(10)에 흐르는 빗물을 지면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에어홀(133)을 통해 안내판(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통풍되도록 하여 빗물을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내판(10)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방지 구조를 갖는 안내판(10) 고정장치는 서포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170)는 안내판(10)을 지지하고, 안내판(10)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170)는 이하에서 안내판(10)을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 안내판(10)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포트(170)는 전술한 안내판(10)을 안정감 있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30)의 일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서포트(170)는 용접기를 통해 고정플레이트(130)에 고정되거나, 다른 결합수단이나 연결수단을 통해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서포트(170)는 안내판(10)의 하단 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고정플레이트(130)에 고정되어 안내판(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서포트(170)를 통해 안내판(10)을 더욱더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서포트(170)는 안내판(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안내판(10)의 하단을 지지함에 따라 안내판(10)과 고정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고정수단이 안내판(10)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서포트(170)는 안내판(10)이 고정플레이트(1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170)는 요철(171)이 마련될 수 있다.
요철(171)은 서포트(170)에 지지되는 안내판(10)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170)의 상단에 요부(凹)와 철부(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철(171)은 돌출된 끝단이 안내판(10)의 하단과 면접촉하는 일부분을 걸림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요철(171)은 안내판(10)의 하단 표면과 면접촉하면서 안내판(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미세한 요철(171)이 걸림에 따라 안내판(10)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철(171)은 홈부분, 즉 요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통과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판(10)의 하부로 공기가 통풍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요철(171)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즉 돌출된 상단이 안내판(10)의 폭방향으로 모서리를 갖게 형성될 수 있고, 이의 모서리로부터 요부의 홈부분으로 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철(171)은 돌출된 상단이 안내판(10)의 하단에 선접촉되는 상태를 이루어 안내판(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미세한 요철(171)이 걸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요철(171)의 상단과 안내판(10)의 하단 사이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요철(171)은 경사면을 통해 안내판(10)의 하단으로 흐르는 빗물을 요부의 홈부분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포트(170)는 패킹(17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킹은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되었고,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단면상태로 도시하였다.
패킹(177)은 서포트(170)에 지지되는 안내판(10)이 슬립되는 것을 더욱더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요철(17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패킹(177)은 안내판(10)의 하단과 서포트(170)의 상단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177)은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패킹(177)은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패킹(177)은 서포트(170)의 상단에 안내판(10)이 지지될 경우, 안내판(10)의 하단과 면접촉 하게 되면서 접촉되는 안내판(10)의 하단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서포트(170)에 지지되는 안내판(10)의 슬립을 더욱더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킹(177)은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형태의 가이드홀(177a)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홀(177a)은 패킹(177)의 양측 끝단에 제각기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관통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177a)은 서포트(170)의 외측면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요철(171)의 요부 홈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177)은 안내판(10)의 하단으로 흐르는 빗물이 가이드홀(177a)을 따라 서포트(170)의 외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고, 요철(171)의 요부 홈부분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한편, 서포트(170)는 안내판(10)의 하단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수로(173) 및 에어홀(175)을 포함한다.
서포트(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1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어 상단이 안내판(10)의 하단에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내판(10)의 하단으로 흐르는 빗물이 서포트(170)의 외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수로(1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170)로 이동된 빗물을 지면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170)의 양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배수로(173)는 전술한 요철(171)의 홈부분, 즉 요부의 홈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레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배수로(173)는 전술한 고정플레이트(130)에 마련되는 배수로(131)와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배수로(173)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의 홈부분, 즉 배수로(173)를 이루는 상단부분이 배수로(173)의 폭방향으로 모서리를 갖게 형성되고, 이의 모서리로부터 배수로(173)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로(173)는 상단이 선형태를 이루므로, 요부의 홈부분으로 안내된 빗물이 요부의 홈부분에 고이거나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요부의 홈부분으로 안내된 빗물을 배수로(173)의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에어홀(175)은 안내판(10)의 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170)의 내부, 즉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관통하는 구멍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에어홀(175)은 전술한 서포트(170)에 마련되는 배수로(173)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으로, 전술한 고정플레이트(130)에 마련되는 에어홀(133)과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서포트(170)는 전술한 안내판(10)을 고정플레이트(130)에 연결하기 전에, 안내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안내판(10)과 고정플레이트(13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안내판(10)의 하중을 견뎌 안내판(10)과 고정플레이트(130)를 연결하는 고정수단이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서포트(170)는 요철(171)을 통해 안내판(10)이 슬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로(173)와 에어홀(175)을 통해 안내판(10)의 하단에 빗물이 고이거나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100)는 안내판(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시키고, 배수로(131, 173)를 통해 안내판(10)에 흐르는 빗물을 지면방향으로 안내하며, 에어홀(135, 175)을 통해 안내판(10)에 고이거나 맺히는 빗물을 건조시키기 때문에 안내판(10)이 썩거나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안내판
100 :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110 : 지주 130 : 고정플레이트
131, 173 : 배수로 135, 175 : 에어홀
150 : 배치수단 151 : 수직대
153 : 수평대 170 : 서포트
171 : 요철

Claims (4)

  1. 정보가 표시된 안내판을 지면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안내판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일측이 상기 지주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시키는 배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안내판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의 표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안내판의 표면에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판의 면접촉되는 일측면에 지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 및
    상기 안내판의 하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가 통풍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안내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안내판을 지지하는 상단에 형성되는 요철;
    상기 요철의 홈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안내판의 하단에 흐르는 빗물이 지면으로 안내되도록, 외측면에 지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 및
    상기 안내판의 하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가 통풍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지주의 하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하단 양측으로 제각기 연장되는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우는 수직대; 및
    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지주의 하부 타측면에 설치되되, 지면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수평대;를 포함하는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KR1020180013549A 2018-02-02 2018-02-02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KR10186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49A KR101862197B1 (ko) 2018-02-02 2018-02-02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49A KR101862197B1 (ko) 2018-02-02 2018-02-02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197B1 true KR101862197B1 (ko) 2018-05-29

Family

ID=6245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49A KR101862197B1 (ko) 2018-02-02 2018-02-02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19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697A (ko) * 1996-05-07 2000-02-25 디르크 반테 미립자
KR100477499B1 (ko) * 2004-08-27 2005-03-18 신인숙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KR200427494Y1 (ko) * 2006-05-12 2006-09-27 김철광 승강장용 안내판
KR200436771Y1 (ko) * 2007-04-30 2007-10-0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표지장치
KR20100006470U (ko) * 2008-12-17 2010-06-25 박정우 세움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판형지지대
KR101192819B1 (ko) * 2012-04-23 2012-10-17 김성재 목재간판 어셈블리
KR101500907B1 (ko) * 2014-08-12 2015-03-10 유한회사 나무와숲 친환경 나무안내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143B1 (ko) * 2015-07-20 2016-01-29 (주)도시와숲 목재와 금속재가 결합된 안내판
KR101669795B1 (ko) * 2014-04-04 2016-10-27 강우이엔지(주) 컨테이너 조립 하우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697A (ko) * 1996-05-07 2000-02-25 디르크 반테 미립자
KR100477499B1 (ko) * 2004-08-27 2005-03-18 신인숙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패널 지지체
KR200427494Y1 (ko) * 2006-05-12 2006-09-27 김철광 승강장용 안내판
KR200436771Y1 (ko) * 2007-04-30 2007-10-04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도로표지장치
KR20100006470U (ko) * 2008-12-17 2010-06-25 박정우 세움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판형지지대
KR101192819B1 (ko) * 2012-04-23 2012-10-17 김성재 목재간판 어셈블리
KR101669795B1 (ko) * 2014-04-04 2016-10-27 강우이엔지(주) 컨테이너 조립 하우스
KR101500907B1 (ko) * 2014-08-12 2015-03-10 유한회사 나무와숲 친환경 나무안내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143B1 (ko) * 2015-07-20 2016-01-29 (주)도시와숲 목재와 금속재가 결합된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5574A (en) Knockover roadway marker post
US9926705B2 (en) Fascia gutter system and coverings using the same
JP5379557B2 (ja) 通気見切材及び建築物の外壁構造
US8590211B1 (en) Fascia gutter system and coverings using the same
KR101862197B1 (ko) 빗물 고임 방지구조를 갖는 안내판 고정장치
US20210062577A1 (en) Screen enclosure frame component assembly
JP5415241B2 (ja) 支持金物
US6705050B2 (en) Flashing device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859140B1 (ko) 필름형 막 클램핑 장치
KR200402401Y1 (ko) 조립식 도로옹벽 설치구조
KR101790993B1 (ko) 목재 데크 및 판재용 하이브리드 고정 장치
EP2977517B1 (en) Construction element
JP63730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構造
EP0103576A1 (en) Spacing element
US10858836B2 (en) Fascia gutter system and coverings using the same
JP4316075B2 (ja) 外装材下端支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外壁構造
JP2529898Y2 (ja) フェンス
JPS593051Y2 (ja) 屋根の通気用部材
JP2018184748A (ja) 笠木構造体
JP4007555B2 (ja) 建物用土台
KR102297665B1 (ko) 지주 보강 난간
KR102600100B1 (ko)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KR200479086Y1 (ko) 메시망용 지주
KR100926581B1 (ko) 창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