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113B1 -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 Google Patents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113B1
KR101861113B1 KR1020160092831A KR20160092831A KR101861113B1 KR 101861113 B1 KR101861113 B1 KR 101861113B1 KR 1020160092831 A KR1020160092831 A KR 1020160092831A KR 20160092831 A KR20160092831 A KR 20160092831A KR 101861113 B1 KR101861113 B1 KR 10186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duct
templat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554A (ko
Inventor
김영학
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9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1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제작자 단말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제 1 영역,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는 제 2 영역 및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하는 제 3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3 영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PRODUCER DEVICE, VIDEO PROVIDING SERVER AND VIEWER DEVICE}
본 발명은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방송(Internet Broadcasting)이란, 통신과 방송을 결합하여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새로운 개념의 방송 매체를 말한다. 지상파 방송과는 달리 시청자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볼 수 있으며, 시청자와 방송국 사이에 쌍방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인터넷 방송은 1인 방송 시대로 접어들어, 개인이 누구나 방송국이 되어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 및 생중계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개인 방송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14843호는 개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인터넷 개인 방송은 하우투 콘텐츠(How-to Contents) 형식의 방송 콘텐츠가 주로 배포되고 있다. 하우투 콘텐츠는 개인이 뷰티, 요리, 헤어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이용하여 교습용 비디오 클립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 개인 방송의 시청자들은 하우투 콘텐츠를 보며 하우투 콘텐츠에 사용된 제품을 이용하여 보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 개인 방송의 시청자들이 하우투 콘텐츠에 사용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품 검색 및 구매를 위해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콘텐츠 제작자가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고 공유함으로써, 하우투 콘텐츠(How-to Contents)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콘텐츠 제작자가 촬영 영상의 편집 시, 촬영 영상에 상품 정보를 연결시켜, 촬영 영상과 상품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상에 표시된 상품 정보를 통해 구매 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시청자에게 상품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콘텐츠 시청자가 상품 구매 서비스를 통해 상품을 구입 시, 콘텐츠 제작자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제 1 영역,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는 제 2 영역 및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하는 제 3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3 영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제작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작자 단말로부터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및 상기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시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및 상기 영상과 매칭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시청자 단말에 의해 상기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재생되고,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상품 템플릿은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은 것이고,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품 태그는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아 영상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영상 및 상기 영상과 대응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요청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상품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자막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영상 제공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상품 템플릿은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은 것이고,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품 태그는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시청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 제작자가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고 공유함으로써, 하우투 콘텐츠(How-to Contents)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가 촬영 영상의 편집 시, 촬영 영상에 상품 정보를 연결시켜, 촬영 영상과 상품 정보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에 표시된 상품 정보를 통해 구매 페이지로의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시청자에게 상품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시청자가 상품 구매 서비스를 통해 상품을 구입 시, 콘텐츠 제작자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에서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제작자 단말(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시청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작자 단말(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작자 단말(110) 또는 시청자 단말(13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는, 3G, 4G, 5G,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작자 단말(110)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제작자 단말(110)에 내장된 것일 수 있으며, 별도의 외장형일 수도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카메라와의 연동을 통해 촬영 전 반응/모션 가이드, 촬영 중 시선처리 인디케이팅, 촬영 후 영상 클립 프리뷰/편집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 단말(110)은 제작자의 모바일 단말(미도시)과의 연동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센서를 이용하여 밝기, 소리 등을 감지하고, 영상 촬영의 최적 셋팅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또는 웹을 실행하여,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 단말(110)은 제 1 영역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고, 제 2 영역을 통해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고, 제 3 영역을 통해 복수의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고,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 단말(110)은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상품 템플릿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선택받은 관련 상품의 이미지를 상품 템플릿에 표시한 후,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선택받은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상품 템플릿과 링크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하여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을 선택받고,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하고, 자막 템플릿을 통해 제작자로부터 자막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통해 폰트 스타일, 자막 표시 디자인, 자막 표시의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더 선택받을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배치된 자막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막 태그를 생성하여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자막 템플릿 및 자막 태그에 기초하여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을 통해 복수의 자막 템플릿을 더 표시하여, 자막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 단말(110)은 자막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시청자 단말(130)을 통해 영상의 시청 중에 영상에 표시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수익금 적립을 통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적립된 수익금이 누적되면, 현금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비디오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작자 단말(110)에게 촬영된 영상을 손쉽게 편집하여 업로드함으로써,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영상 및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자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영상 및 자막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자막 정보가 영상과 매칭되어 저장되는 경우, 영상 제공 서버(120)는 자막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로 번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은 영상과 구분되도록 하는 정보 및 영상으로 이동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시청자 단말(130)로부터 영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상품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자막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이 시청자 단말(130)을 통해 재생되는 경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시청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 단말(130)에서 영상의 시청 중에 영상에 표시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상품 정보를 제작한 제작자 단말(110)로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받은 후, 검색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요청한 영상 및 영상과 대응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30)은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에 상품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템플릿을 영상 내 지정된 시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영상의 시점부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30)은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 저장부(210), 표시부(220), 상품 정보 생성부(230), 자막 생성부(240), 전송부(250) 및 리워딩 제공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저장부(21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실행되면, 해당 앱을 통해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제 1 영역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고, 제 2 영역을 통해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고, 제 3 영역을 통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20)는 선택받은 관련 상품의 이미지를 상품 템플릿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20)는 제 3 영역을 통해 복수의 자막 템플릿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20)는 제작자로부터 별도의 광고를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광고를 특정 시점에 노출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생성부(230)는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템플릿을 선택받고,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상품 템플릿은 사전에 제작되어 제공된 상품 정보 입력 양식으로, 상품 이미지의 표시 방식, 표시 위치, 디자인, 애니메이션 효과가 결합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생성부(230)는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상품 템플릿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정보 생성부(230)는 선택받은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상품 템플릿과 링크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생성부(230)는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하여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생성부(230)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막 생성부(240)는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막 생성부(240)는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을 선택받고,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자막 생성부(240)는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통해 제작자로부터 폰트 스타일, 자막 표시 디자인, 자막 표시의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더 선택받을 수 있다.
자막 생성부(240)는 제작자로부터 자막 템플릿을 통해 자막 내용을 입력받고, 배치된 자막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막 태그를 생성하여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자막 템플릿 및 자막 태그에 기초하여 자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250)는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50)는 자막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리워딩 제공부(260)는 시청자 단말(130)에서 영상의 시청 중에 영상에 표시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딩 제공부(260)는 영상을 통해 발생되는 광고 수익 및 상품 정보의 제공을 통해 발생되는 상품 판매 수익에 기초하여 소정의 비율에 따라 수익금 적립을 부여받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또는 웹을 실행시킨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또는 웹이 실행되면, 제 1 영역(300), 제 2 영역(310) 및 제 3 영역(3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저장된 촬영 영상을 불러옴으로써, 제 1 영역(300)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제 2 영역(310)을 통해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31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 단말(110)은 제 2 영역(310)을 통해 BGM(312), 상품 태그 또는 자막 태그(313)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320)을 통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상품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작자 단말(110)은 제작자로부터 제 3 영역(320)에 표시된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330)을 선택받고, 타임 라인 중 예를 들어, 3초에 해당하는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300)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상품 템플릿(330)을 제 1 영역(300)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작자 단말(110)은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335)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태그(335)를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310)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작자 단말(110)은 선택된 상품 템플릿(330)이 제 1 영역(300)에 배치되면,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 단말(110)은 제작자로부터 검색창을 통해 '쿠션'(340)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검색된 결과에 따라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작자 단말(110)은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를 선택받고, 제 1 영역(300) 및 제 2 영역(310)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330) 및 상품 태그(335)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 단말(110)은 검색창을 통해 '쿠션'을 입력받은 경우, 제작자 단말(110)은 '쿠션'과 관련된 복수의 브랜드에서 판매중인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작자로부터 'B사의 쿠션'(350)을 선택받으면, 'B사의 쿠션(350)과 상품 템플릿(330)을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상품 템플릿(330) 및 상품 태그(335)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상품 이미지가 상품 템플릿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작자 단말(110)은 타임라인의 3초에 해당하는 시점에 제 1 영역(300)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330)을 통해 'B사의 쿠션'(350)의 상품 이미지(36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330) 및 상품 태그(335)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에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작자 단말(11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제 1 영역,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는 제 2 영역 및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하는 제 3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제 2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생성된 상품 태그를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작자 단말(110)은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상품 템플릿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선택받은 관련 상품의 이미지를 상품 템플릿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작자 단말(110)은 선택받은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상품 템플릿과 링크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작자 단말(110)은 시청자 단말(130)을 통한 영상의 시청 중에 영상에 표시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을 선택받는 단계,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 자막 템플릿을 통해 자막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배치된 자막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막 태그를 생성하여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자막 템플릿 및 자막 태그에 기초하여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을 통해 복수의 자막 템플릿을 더 표시하는 단계 및 자막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막 정보는 영상과 매칭되어 영상 제공 서버(120)에 저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로 번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작자 단말(110)은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통해 폰트 스타일, 자막 표시 디자인, 자막 표시의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제공 서버(120)는 수신부(510), 저장부(520),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 번역부(540), 전송부(550), 서비스 제공부(560) 및 리워딩 제공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영상과 관련된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51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자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막 정보는 제작자 단말(110)에 의해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이 영상 내에 배치됨으로써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저장부(520)는 영상 및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20)는 영상 및 자막 정보를 매칭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시청자 단말(130)에서의 영상 콘텐츠의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인덱싱 작업과 데이터 분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20)는 자막 정보, 상품 정보, 미리보기 영상 등을 이용하여 검색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인덱싱을 수행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20)는 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에 대해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 후,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화하여 검색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인덱싱을 수행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파치 루씬(Apache Lucene) 기반의 솔라(SOLR) 검색 엔진을 이용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는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는 영상의 시작/중간/끝 부분의 영상을 짧은 시간에 시청할 수 있도록 미리보기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는 영상의 길이를 체크한 후, 임계값(예를 들어, 3분)에 기초하여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는 영상의 길이가 3분 미만의 영상의 경우, 영상을 음소거한 후, 30초 영상으로 분할하여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는 영상의 길이가 3분 이상의 영상의 경우, 영상을 음소거한 후, ffmepg 기술 등을 이용하여 10초 분량의 영상을 3개로 분할하여 영상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할 영상에 fade out 효과를 적용하여 분할 영상을 합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530)는 미리보기 영상을 스트리밍 서비스로의 제공을 위해 HLS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원본 영상에 대한 TS(Transport Stream)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보기 영상은 영상과 구분되도록 하는 정보 및 영상으로 이동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며, 영상 제공 서버(120)가 제공하는 서비스 범위 내에서 공유 또는 표시될 수 있다.
번역부(540)는 자막 정보가 영상과 매칭되어 저장되는 경우, 자막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로 번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역부(540)는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API 함수 와의 연동을 통해 자막을 다양한 언어로 자동으로 번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번역된 외국어는 영상 제공 서버(12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편집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번역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부(550)는 시청자 단말(130)로부터 영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상품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550)는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자막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560)는 영상이 시청자 단말(130)을 통해 재생되는 경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시청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
리워딩 제공부(570)는 시청자 단말(130)을 통한 영상의 시청 중에 영상에 표시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상품 정보를 제작한 제작자 단말(110)로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워딩 제공부(57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사전에 어떠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받을 지에 대해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자 단말(110)이 리워딩 서비스로 수익금 적립을 선택한 경우, 리워딩 제공부(570)는 시청자 단말(130)에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에 대해 구매가 발생할 때마다 제작자 단말(110)의 계정으로 수익금 적립을 누적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누적된 수익금에 대해 현금으로의 환급 요청을 받은 경우, 리워딩 제공부(570)는 사전에 등록된 제작자 단말(110)의 계좌로 누적된 수익금에 대응하는 현금을 입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에서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12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영상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 및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영상 제공 서버(120)는 시청자 단말(130)로부터 영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상품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이 시청자 단말(130)을 통해 재생되는 경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시청자 단말(130)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제공 서버(120)는 시청자 단말(130)을 통한 영상의 시청 중에 영상에 표시된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상품 정보를 제작한 제작자 단말(110)로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보기 영상은 영상과 구분되도록 하는 정보 및 영상으로 이동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제공 서버(120)는 제작자 단말(110)로부터 자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및 자막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자막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막 정보는 제작자 단말(110)에 의해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이 영상 내에 배치됨으로써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 제공 서버(120)는 자막 정보가 영상과 매칭되어 저장되는 경우, 자막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로 번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표시부(710), 요청부(720), 수신부(730) 및 서비스 제공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10)는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71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받으면, 해당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710)는 표시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을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에 상품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710)는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템플릿을 영상 내 지정된 시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10)는 요청된 영상에 매칭된 자막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710)는 시청자의 국가 및 언어 설정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해당 언어로 번역된 자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710)는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영상의 시점부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요청부(720)는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수신부(730)는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요청한 영상 및 영상과 대응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은 자막 정보 및 상품 정보와 매칭된 것일 수 있으며, 영상과 대응되는 상품 정보는 영상과 관련된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74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영상 플랫폼을 제공하는 앱 또는 웹을 실행시킨 화면(800)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검색창(810)을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 단말(130)은 'Sulhwasoo'와 같은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키워드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검색창(810)을 통해 'Sulhwasoo'를 입력받은 경우, 'Sulhwasoo'와 관련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8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 단말(130)은 시청자로부터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820) 중 어느 하나의 영상(825)을 선택받을 수 있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영상 및 상품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선택한 영상(825)을 플레이창(830)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에 상품 정보(835)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템플릿(835)을 통해 영상 내 지정된 시점에 표시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84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 단말(130)이 리스트(840)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영상의 시점부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 단말(130)에서 현재 영상의 재생 시점이 30초를 지나고 있으며, 시청자로부터 리스트(840) 중 제 2 상품(845)를 선택받은 경우, 시청자 단말(130)은 제 2 상품(845)이 표시될 시점인 1분 시점부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e 내지 도 8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구매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시청자로부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850)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 단말(130)은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상품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구매를 결정한 경우, 구매 페이지를 통해 주문 정보(860)를 입력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주문 정보(860)의 입력이 완료되면, 배송 정보(870)를 입력할 수 있다.
도 8h를 참조하면, 시청자 단말(130)은 배송 정보(870)의 입력이 완료되면, 결제 정보(880)를 입력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시청자 단말(130)은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제공 서버(120)에 의해 제작자 단말(110)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에서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8h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h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910에서 시청자 단말(130)은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시청자 단말(130)은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시청자 단말(130)은 영상 제공 서버(120)로부터 요청한 영상 및 영상과 대응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영상과 관련된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청자 단말(130)은 요청된 영상을 표시하고 표시된 영상에 상품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템플릿을 영상 내 지정된 시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영상의 시점부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청자 단말(130)은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은 경우, 선택받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10 내지 S9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제작자 단말(110), 영상 제공 서버(120) 및 시청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10)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S1001). 제작자 단말(110)은 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또는 웹을 실행시켜 영상을 불러온 후, 제 1 영역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고, 제 2 영역을 통해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고, 제 3 영역을 통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S1002).
제작자 단말(110)은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으면(S1003),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제 1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S1004). 이 때, 제작자 단말(110)은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하여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제 2 영역에 배치하고(S1005),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한 후(S1006),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1007).
영상 제공 서버(120)는 영상 및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1008).
시청자 단말(130)은 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또는 웹을 실행시키고(S1009),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1010). 이 때,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으면(S1011), 시청자 단말(130)은 선택된 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1012).
영상 제공 서버(120)는 시청자 단말(130)로부터 요청받은 영상을 조회한 후, 영상 및 영상과 매칭된 상품 정보를 시청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1013).
시청자 단말(130)은 영상을 재생하고, 재생되는 영상에 상품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S1014). 이 때, 사용자로부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으면(S1015),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S1016). 영상 제공 서버(120)는 상품 구매 서비스를 시청자 단말(130)로 제공할 수 있다(S1017).
시청자 단말(130)에서 상품 구매 서비스를 통한 상품의 구매가 완료되면(S1018), 시청자 단말(130)은 상품 구매 완료 메시지를 영상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S1019).
영상 제공 서버(120)는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작자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S102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2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제작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방법, 영상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청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제작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방법, 영상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청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작자 단말
120: 영상 제공 서버
130: 시청자 단말
210: 영상 저장부
220: 표시부
230: 상품 정보 생성부
240: 자막 생성부
250: 전송부
260: 리워딩 제공부
510: 수신부
520: 저장부
530: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
540: 번역부
550: 전송부
560: 서비스 제공부
570: 리워딩 제공부
710: 표시부
720: 요청부
730: 수신부
740: 서비스 제공부

Claims (19)

  1.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작하는 제작자 단말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제 1 영역,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을 표시하는 제 2 영역 및 복수의 상품 템플릿을 표시하는 제 3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3 영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선택된 상품 템플릿을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는 상품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영상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상품 정보 생성부는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상기 상품 템플릿을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받은 관련 상품의 이미지를 상기 상품 템플릿에 표시하는 것이되,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가 시청자 단말로 제공되며,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이 상기 시청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시점부터 상기 영상이 상기 시청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제작자 단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선택받은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링크시켜 저장하는 것인, 제작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영상 제공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영상의 재생을 요청한 시청자 단말에 의해 상기 상품 정보와 같이 재생되는 것인, 제작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이 상기 시청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기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가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인, 제작자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을 통한 상기 영상의 시청 중에 상기 영상에 표시된 상기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받는 리워딩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작자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을 선택받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자막 템플릿을 통해 자막 내용을 입력받고, 상기 배치된 자막 템플릿에 대응하는 자막 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도록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자막 템플릿 및 자막 태그에 기초하여 자막 정보를 생성하는 자막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 3 영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자막 템플릿을 더 표시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제작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자막 템플릿을 통해 폰트 스타일, 자막 표시 디자인, 자막 표시의 애니메이션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선택받는 것인, 제작자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정보가 상기 영상과 매칭되어 상기 영상 제공 서버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자막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로 번역되어 저장되는 것인, 제작자 단말.
  10.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제공 서버에 있어서,
    제작자 단말로부터 영상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및 상기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시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및 상기 영상과 매칭된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은 상기 시청자 단말에 의해 상기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재생되고,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상품 템플릿은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은 것이고,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품 태그는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되,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과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의 이미지가 상기 상품 템플릿에 표시되는 것이되,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이 상기 시청자 단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시점부터 상기 영상이 상기 시청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가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링크되어 저장되는 것이고,
    상기 영상이 상기 시청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기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을 통한 상기 영상의 시청 중에 상기 영상에 표시된 상기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상품 정보를 제작한 제작자 단말로 상기 구매된 관련 상품에 대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워딩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미리보기 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보기 영상은 상기 영상과 구분되도록 하는 정보 및 상기 영상으로 이동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자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자막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영상 및 상기 영상과 매칭된 상기 자막 정보를 상기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자막 정보는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자막 템플릿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막 템플릿이 상기 영상 내에 배치됨으로써 생성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정보가 상기 영상과 매칭되어 저장되는 경우, 상기 자막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국어로 번역하여 저장하는 번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제공 서버.
  16. 요청한 영상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시청자 단말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아 영상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영상 및 상기 영상과 대응되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요청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상품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은 자막 정보 및 상기 상품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영상 제공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 템플릿 및 상품 태그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상품 템플릿은 제작자 단말에 의해 복수의 상품 템플릿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은 것이고, 상기 영상에 대한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품 태그는 상기 배치된 상품 템플릿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타임 라인 중 선택된 시점에 매칭되어 상기 영상의 재생 중에 표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되,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매칭될 상품에 대한 검색어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복수의 관련 상품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과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의 이미지가 상기 상품 템플릿에 표시되는 것이되,
    상기 수신부는 상기 영상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시점부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인, 시청자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템플릿을 상기 영상 내 지정된 시점에 표시하는 것인, 시청자 단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관련 상품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관련 상품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선택받은 관련 상품과 대응되는 상기 영상의 시점부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인, 시청자 단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 페이지가 상기 상품 템플릿과 링크되어 저장되는 것이고,
    상기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표시되는 상품 템플릿을 선택받는 경우, 상기 선택받은 상품 템플릿과 링크된 구매 페이지를 통해 상기 상품 템플릿과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시청자 단말.
KR1020160092831A 2016-07-21 2016-07-21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KR10186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831A KR101861113B1 (ko) 2016-07-21 2016-07-21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831A KR101861113B1 (ko) 2016-07-21 2016-07-21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554A KR20180010554A (ko) 2018-01-31
KR101861113B1 true KR101861113B1 (ko) 2018-05-25

Family

ID=6108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31A KR101861113B1 (ko) 2016-07-21 2016-07-21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70B1 (ko) * 2019-05-24 2020-03-11 김병준 자막 및 번역 기능이 적용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0585B1 (ko) * 2019-05-24 2020-04-13 김연선 크리테일러 기반 맞춤형 뷰티 동영상 콘텐츠 추천 및 리워드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447402B1 (ko) * 2020-12-30 2022-09-27 박상준 컨텐츠 상의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476735B1 (ko) * 2021-01-11 2022-12-14 주식회사 포크홀딩스 선택된 상품이 소개되는 지점부터 상품 소개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상품 정보와 연동한 상품 소개 동영상 플레이 시스템
KR102547942B1 (ko) * 2021-08-19 2023-07-20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숏폼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한 동영상 특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554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113B1 (ko) 제작자 단말, 영상 제공 서버 및 시청자 단말
US9912994B2 (en) Interactive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
US9277157B2 (en) Interactive marketing system
EP2228764A1 (en) Method or apparatus for purchasing one or more media based on a recommendation
US201803422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combining, and sharing time-constrained videos
US20230070881A1 (en) Media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31404A (ko) 비디오 편집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445762B1 (en) Online video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A/B testing of video content
US20240048813A1 (en) Media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16221A1 (en) Media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259421B1 (ko) 음악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90506B1 (ko) 동영상 컨텐츠 편집 방법 및 장치
JP2010130683A (ja) 広告動映像提供方法及び装置
KR100989182B1 (ko) 동영상에 대응되는 투명 레이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0530374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017939B1 (ko) 디지털콘텐츠 표시시스템 및 디지털콘텐츠 표시수단 생성방법
JP200530374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328270B1 (ko) 스마트 tv의 비디오 어노테이션 및 증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45622A (ko) 큐알 코드를 이용하여 아이피티브이 콘텐츠에 대한 링크정보를 이기종의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012898A1 (en) Processing selections within interactive video
JP2009163600A (ja) メタデータ共有システム、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メタデータ共有方法
JP6346697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060411A (ja) Vodシステムおよびvodシステムにおける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102305517B1 (ko)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영상 전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3309B1 (ko) 동영상 타임 링크 공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