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473B1 -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473B1
KR101860473B1 KR1020170030490A KR20170030490A KR101860473B1 KR 101860473 B1 KR101860473 B1 KR 101860473B1 KR 1020170030490 A KR1020170030490 A KR 1020170030490A KR 20170030490 A KR20170030490 A KR 20170030490A KR 101860473 B1 KR101860473 B1 KR 10186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vibration
designated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3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차단하는 입차 차량차단기;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출차를 차단하는 출차 차량차단기;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한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판독한 후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를 개방하여 입차를 허가하고 입차하는 차량이 주차할 지정주차구역을 상기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며, 출차하려는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출차 허가된 차량이 경우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를 개방하여 출차를 허가하는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 각각의 주차면마다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지정주차기기;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지정주차기기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진동감지센서; 상기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에서 허가받아 입차한 차량에 배정된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지정주차기기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수신한 진동값을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 주차장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각 지정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주차구역 카메라; 및 주차장에 입차한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주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하여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임계 진동을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지정주차구역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촬영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주차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System for confirming vehicle accident in parking}
본 발명은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으로서, 주차장에 입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판독하고 출입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아파트 및 주상복합 건물 등이 증가함에 따라 주차공간의 확보, 이웃간의 주차분쟁 및 주차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인 범죄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차운영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및 주상복합 건물의 거주자가 주차하기 위하여 인터폰으로 확인하여 경비실에서 승인하면 주차를 허가하거나, 별도의 정기권 카드를 발급 후 주차장의 입/출차시 확인증을 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방법은 외부에서 들어온 불법 주차차량인지 거주자의 적법차량인지를 일일이 판단하기 위한 단속원을 따로 두어야 하며, 불법 주차차량인 경우 불법주차벌금 스티커를 발부하거나, 견인보관소에 연락하여 견인하는 등의 수고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인건비 등의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 불법 주차차량에 대한 단속이 적시에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주차장 혼잡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외부차량의 운전자나 외부인들을 적절히 단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도, 납치, 차량 도난 등의 범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차장의 주차 구획선이 좁아서, 차량 도어를 열 때 옆 차량의 도어와 부딪쳐 옆 차량에 문콕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문콕이 발생되었을 때 문콕 유발 운전자가 자발적으로 자수하지 않고 주차장을 벗어난 경우 그 과실을 묻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차장 내에서 차량 도어의 문콕 등과 같은 주차 실수로 인한 인접 차량의 과실 문제를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082275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차장에 입차된 차량이 입차된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출차시에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차단하는 입차 차량차단기;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출차를 차단하는 출차 차량차단기;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한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판독한 후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를 개방하여 입차를 허가하고 입차하는 차량이 주차할 지정주차구역을 상기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며, 출차하려는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출차 허가된 차량이 경우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를 개방하여 출차를 허가하는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 각각의 주차면마다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지정주차기기;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지정주차기기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진동감지센서; 상기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에서 허가받아 입차한 차량에 배정된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지정주차기기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수신한 진동값을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 주차장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각 지정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주차구역 카메라; 및 주차장에 입차한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주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하여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임계 진동을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지정주차구역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촬영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주차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주차장 입차시에 제공되는 부착형 RF태그로서,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에 부착되어 주차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진동감지 RF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감지 RF태그를 배출하는 RF태그 배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가 개방될 때 상기 RF태그 배출기를 통해 진동감지 RF태그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을 벗어나 출차하는 경우, 출차하는 주차 차량의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을 벗어나 출차하는 경우, 출차하는 주차 차량이 주차한 지정주차구역에서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충격감지영상을 열람한 운전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충격감지영상이 촬영된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시간 동안,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인접한 지정주차구역인 인접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이력이 있는 인접차량의 차량번호 및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를 통과하여 입차하기 전의 차량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어도 두 방향 이상의 입차 영상을 상기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입차 촬영 카메라; 및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를 통과하여 출차하기 전의 차량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어도 두 방향 이상의 출차 영상을 상기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출차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입차 영상과 출차 영상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 변경 오차값을 초과한 형상을 가지는 사고 영역을 검출하며, 사고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의 요청이 없어도, 상기 충격감지영상이 촬영된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시간 동안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인접한 지정주차구역인 인접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이력이 있는 인접차량의 차량번호 및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차장에 입차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출차 시에 즉시 알려줌으로써, 주차장 사고 분쟁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차량에 진동감지 RF태그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격 감지 사실을 표시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 차량 정보를 표시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주차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차량에 진동감지 RF태그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격 감지 사실을 표시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 차량 정보를 표시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차량의 입차와 차량의 출고가 이루어지는 주차장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차장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이 입차 및 출차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장소에서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주차구역내의 인접차량에 의한 차량 손상을 받았을 때, 차량이 주차장을 벗어나기 전에 손상 차량의 운전자에게 즉시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차 차량차단기(210), 출차 차량차단기(240),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220),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 지정주차기기(410), 진동감지센서(10),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 지정주차구역 카메라(420), 및 주차관제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RF태그 배출기(230), 및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차 차량차단기(210), 출차 차량차단기(240),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220),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 지정주차기기(410), 진동감지센서(10),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 지정주차구역 카메라(420), 주차관제서버(100), RF태그 배출기(230), 및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유무선 통신에 의해 각각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입차 차량차단기(210)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차단한다. 예컨대, 개폐 바 형태로 구현되어, 주차장 진입을 허가하거나 또는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출차 차량차단기(240)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출차를 차단한다. 예컨대, 개폐 바 형태로 구현되어, 주차장 출차를 허가하거나 또는 출차를 차단할 수 있다.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입차 차량차단기(210)의 옆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모니터, LED 모니터 등의 표시 패널로 구현되거나, 또는 입력 및 표시가 모두 가능한 터치스크린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은,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판독한 후 입차 차량차단기(210)를 개방하여 입차를 허가하며, 반대로 출차하려는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출차 허가된 차량이 경우 출차 차량차단기(240)를 개방하여 출차를 허가한다. 입차 또는 출차하려는 차량의 차량번호 판독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된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의 내부에 있는 NFC태그와 통신하여 NFC태그에 등록된 차량번호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은 입차 허가하여 입차 차량차단기(210)를 개방할 때, 입차하는 차량이 주차할 지정주차구역을 할당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을 주차할 지정주차구역을 확인하고, 주차를 위하여 해당 지정주차구역으로 차량을 운전하여 향해갈 수 있다.
지정주차기기(410)는, 각각의 주차면마다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지정주차기기(410)의 예시 그림을 도 2에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주차면마다 지정주차기기(410)가 설치되어,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을 시에 주차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되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주차허가를 받지 않았을 경우, 지정주차기기(410)가 설치된 주차 공간에 주차를 할 수 없고, 주차허가를 받았을 경우에만, 지정주차기기(410)가 작동하여 주차면 바닥으로 내려와 주차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지정주차기기(410)는 후술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과 연결된다.
진동감지센서(10)는,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지정주차기기(41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진동감지센서(10)는 미리 등록된 차량의 경우 차량에 마련된 차량 블랙박스로서 대행될 수 있다. 차량 블랙박스는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로 RF통신, NFC통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감지되는 진동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진동감지센서(10)로서 부착형 RF태그 형태로서 구현할 수 있다. 부착형 RF태그 형태로 구현되는 진동감지센서(10)(이하, '진동감지 RF태그'라 함)은,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에 부착되어 주차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감지 RF태그는 주차장 입차시에 주차 관리인에 의하여 입차 차량의 운전자에게 배부되고, 주차장 출차시에 관리인에 의해 다시 회수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은 별도의 주차 관리인 없이 별도의 RF태그 배출기(230)를 추가로 더 마련하여, 진동감지 RF태그를 운전자에게 배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입차 차량차단기(210)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감지 RF태그를 배출하는 RF태그 배출기(230)를 포함한다.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210)가 개방될 때 RF태그 배출기(230)를 통해 진동감지 RF태그를 배출시킨다.
차량 운전자는 주차 관리인 또는 RF태그 배출기(230)를 통해 진동감지 RF태그를 수령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창문이나 대시보드 등의 다양한 차량 위치에 진동감지센서(10)인 진동감지 RF태그를 부착한다. 따라서 진동감지 RF태그는, 인접 차량이 주차시에 실수로 진동감지 RF태그가 부착된 주차 차량과 충돌하거나, 인접 차량의 도어 열릴시에 문콕이 발생하여 RF태그가 부착된 주차 차량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RF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하여 미리 등록된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로 진동값을 무선 전송한다.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은,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에서 허가받아 입차한 차량의 운전자 주차카드 번호를 판독하여 주차카드 번호에 매칭되는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지정주차기기(410)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진동감지센서(10)에서 수신한 진동값을 주차관제서버(100)로 중계 전송한다.
지정주차구역 카메라(420)는, 주차장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각 지정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주차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카메라이다. 여기서 카메라는,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광전 변환 모듈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주차관제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주차관제서버(100)는, 주차장에 입차한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주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주차감지서버는, 진동감지센서(10)를 통하여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임계 진동을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지정주차구역 카메라(420)를 통해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촬영 시간과 함께 저장한다. 참고로, 충격감지영상의 저장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주차장에서 출차한 차량의 운전자가, 추후에 자신의 차량에서 흠집이나 찌그러짐을 발견한 경우, 해당 주차장을 방문하여 자신의 차량이 주차한 구역에서 충격감지영상을 확인하여, 다른 인접 차량에 의하여 자신의 차량이 손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다른 인접 차량에 의하여 자신의 차량이 손상된 경우, 이러한 충격감지영상은 손해배상의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유용하다.
한편,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에서 충격감지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장을 벗어나 출차하는 운전자에게 즉시 이를 알려주어 즉각적인 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출차 차량차단기(240)의 옆에 위치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차관제서버(100)는,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을 벗어나 출차하는 경우, 출차하는 주차 차량의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도 4와 같이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표시한다. 따라서 주차장을 벗어나 출차하려는 운전자는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통해 자신의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주차관제서버(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을 벗어나 출차하는 경우, 출차하는 주차 차량이 주차한 지정주차구역에서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충격감지영상을 열람한 운전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충격감지영상이 촬영된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시간 동안 지정주차구역에 인접한 지정주차구역인 인접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이력이 있는 인접차량의 차량 번호 및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표시한다. 따라서 출차 차량의 운전자는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확인하고, 즉시 인접 차량의 운전자에게 연락하여 운전 과실 여부를 따져 보상받을 수 있다. 참고로, 주차장 입차시에 운전자의 전화번호 등의 운전자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해놓아, 추후 분쟁시에 운전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는,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이 인접 차량에 의해 문콕 등의 손상을 받았는지를 차량 진동이 감지되었는지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입차시의 영상과 출차시의 영상을 비교하여, 문콕 등의 손상을 받았는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하 도 6과 함께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차 촬영 카메라(500) 및 출차 촬영 카메라(600)가 추가적으로 마련된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상기에서 상술한 입차 차량차단기(210), 출차 차량차단기(240),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220),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200), 지정주차기기(410), 진동감지센서(10),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300), 지정주차구역 카메라(420), 주차관제서버(100), RF태그 배출기(230), 및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이외에, 입차 촬영 카메라(500)와, 출차 촬영 카메라(60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입차 촬영 카메라(500)는, 입차 차량차단기(210)를 통과하여 입차하기 전의 차량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어도 두 방향 이상의 입차 영상을 상기 주차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카메라이다.
출차 촬영 카메라(600)는 출차 차량차단기(240)를 통과하여 출차하기 전의 차량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어도 두 방향 이상의 출차 영상을 상기 주차관제서버(100)로 전송하는 카메라이다.
따라서 주차관제서버(100)는, 입차 영상과 출차 영상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 변경 오차값을 초과한 형상을 가지는 사고 영역을 검출한다. 입차되기 전의 차량의 영상인 입차 영상과 출차 되기 전의 차량의 영상인 출차 영상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입차 후 출차되기 직전까지 차량의 파손, 차량의 흠집 등의 사고가 발생한 사고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사고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의 요청이 없어도, 충격감지영상이 촬영된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시간 동안 지정주차구역에 인접한 지정주차구역인 인접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이력이 있는 인접차량의 차량번호 및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표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주차관제서버 210:입차 차량차단기
220:입차 디스플레이 패널 230:RF태그 배출기
240:입차 차량차단기 250:입차 디스플레이 패널
300: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 410:지정주차기기
420:지정주차구역 카메라

Claims (7)

  1.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차단하는 입차 차량차단기;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장 출차를 차단하는 출차 차량차단기;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한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판독한 후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를 개방하여 입차를 허가하고 입차하는 차량이 주차할 지정주차구역을 상기 입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며, 출차하려는 차량번호를 판독하여 출차 허가된 차량이 경우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를 개방하여 출차를 허가하는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
    각각의 주차면마다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지정주차기기;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지정주차기기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로 전송하는 진동감지센서;
    상기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에서 허가받아 입차한 차량에 배정된 지정주차구역에 설치된 지정주차기기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에서 수신한 진동값을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
    주차장 내에 복수개 설치되어, 각 지정주차구역을 촬영하여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주차구역 카메라;
    주차장에 입차한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주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를 통하여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진동이 미리 설정된 임계 진동을 초과하여 감지되는 경우,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의 지정주차구역의 지정주차구역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촬영 시간과 함께 저장하는 주차관제서버;및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한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을 벗어나 출차하는 경우, 출차하는 주차 차량의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고,
    임계 진동을 초과한 진동이 감지되는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을 벗어나 출차하는 경우, 출차하는 주차 차량이 주차한 지정주차구역에서 촬영된 충격감지영상을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며,
    상기 충격감지영상을 열람한 운전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충격감지영상이 촬영된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시간 동안,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인접한 지정주차구역인 인접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이력이 있는 인접차량의 차량번호 및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주차장 입차시에 제공되는 부착형 RF태그로서, 각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에 부착되어 주차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진동값을 상기 지정주차기기 제어 단말로 무선 전송하는 진동감지 RF태그;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진동감지 RF태그를 배출하는 RF태그 배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차단기 제어 단말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가 개방될 때 상기 RF태그 배출기를 통해 진동감지 RF태그를 배출시키는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은,
    상기 입차 차량차단기를 통과하여 입차하기 전의 차량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어도 두 방향 이상의 입차 영상을 상기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입차 촬영 카메라; 및
    상기 출차 차량차단기를 통과하여 출차하기 전의 차량 외관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적어도 두 방향 이상의 출차 영상을 상기 주차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출차 촬영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관제서버는, 상기 입차 영상과 출차 영상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 변경 오차값을 초과한 형상을 가지는 사고 영역을 검출하며, 사고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운전자의 요청이 없어도, 상기 충격감지영상이 촬영된 주차 차량이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시간 동안 상기 지정주차구역에 인접한 지정주차구역인 인접 지정주차구역에 주차된 이력이 있는 인접차량의 차량번호 및 인접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상기 출차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KR1020170030490A 2017-03-10 2017-03-10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KR10186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90A KR101860473B1 (ko) 2017-03-10 2017-03-10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90A KR101860473B1 (ko) 2017-03-10 2017-03-10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473B1 true KR101860473B1 (ko) 2018-05-23

Family

ID=6245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90A KR101860473B1 (ko) 2017-03-10 2017-03-10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4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03B1 (ko) * 2019-02-27 2020-02-2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 매매단지 내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28329B1 (ko) * 2019-09-26 2020-06-30 지에스(주)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
KR20230114875A (ko) *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휴머스 스마트 주차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12B1 (ko) * 2006-03-16 2007-09-07 미래산전 주식회사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KR101666003B1 (ko) *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입출차 사고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12B1 (ko) * 2006-03-16 2007-09-07 미래산전 주식회사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KR101666003B1 (ko) *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입출차 사고 확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03B1 (ko) * 2019-02-27 2020-02-2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 매매단지 내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28329B1 (ko) * 2019-09-26 2020-06-30 지에스(주)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
KR20230114875A (ko) *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휴머스 스마트 주차 차단기
KR102627864B1 (ko) * 2022-01-26 2024-01-23 주식회사 휴머스 스마트 주차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1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860473B1 (ko) 차량번호 판독 및 출입 개폐 시스템
KR100768820B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387628B1 (ko)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장치
KR100781697B1 (ko)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EP1703437A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130215276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JP68591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A2526551C (en) Automated site security,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system
KR20180011599A (ko)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114999141B (zh) 电瓶车停放管理方法、装置、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16994B1 (ko)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573887B1 (ko)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8530468A (ja) 自動車の保護
CN106033628A (zh) 一种机电一体智能防盗门系统
KR102040040B1 (ko) 스마트 건물시스템과 차량블랙박스간의 통신을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2004118342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462900B1 (ko) 사고기록장치용 촬영제한장치
KR100985402B1 (ko) 엘피알 시스템을 이용한 보안용 영상감시 동영상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92064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66003B1 (ko) 입출차 사고 확인 시스템
KR101519145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