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91B1 -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91B1
KR101860391B1 KR1020170173765A KR20170173765A KR101860391B1 KR 101860391 B1 KR101860391 B1 KR 101860391B1 KR 1020170173765 A KR1020170173765 A KR 1020170173765A KR 20170173765 A KR20170173765 A KR 20170173765A KR 101860391 B1 KR101860391 B1 KR 10186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information
parked
parking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앤로드테크
Priority to KR102017017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지하 주차장에 설치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는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렌즈가 다수 구비되어,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영상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CCTV 카메라의 설치 수를 절감하여, CCTV 카메라의 설치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키면서도, 다른 지하 주차장 이용자들에게 지하 주차장의 만차 여부 및 자리가 비어 있는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출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고,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차량의 등록번호와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번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촬영된 전방위 영상으로부터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 시, 주차 선 이탈 여부,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 시 해당 차량을 촬영하고, 경고 알람을 작동시켜,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에 따른 벌금을 과금하거나 또는 올바른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System for car number recognition using the omnidirectional camera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주차장에 설치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주차장은 주차 관리인이 관리하는 유인 주차 관리 시스템과 주차 관리인 없이 CCTV를 활용하는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으로 나뉘고 있으나, 무인 시스템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주차장의 대형화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늘어남에 따라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은 CCTV 카메라의 입사각이 전방(前方) 및 측방(側方)의 일부만으로 제한됨에 따라 CCTV 카메라가 전방 및 측방의 일부만을 촬영할 수 있어, 전방과 후방(後方)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2대의 CCTV 카메라가 필요하여 설치비 및 관리비의 부담이 늘어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360° 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어안렌즈를 CCTV 카메라에 적용하게 되면, 방사 왜곡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기가 어려워 그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여, CCTV 카메라의 설치 수를 절감하면서도,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번호의 인식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무인 주차 관리를 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0268호(발명의 명칭: CCTV를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439411호(발명의 명칭: 전방위 렌즈 모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주차장의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위 영상으로부터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지하 주차장 이용자들에게 지하 주차장의 만차 여부 및 자리가 비어 있는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고,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차량의 등록번호와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번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된 전방위 영상으로부터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 시, 주차 선 이탈 여부,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 시 해당 차량을 촬영하고, 경고 알람을 작동시켜,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에 따른 벌금을 과금하거나 또는 올바른 주차를 유도할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렌즈가 다수 구비되어,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영상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마다 발생되는 방사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하여,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되면, 상기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상기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Y축 위치좌표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의 원점과 끝점 간의 중간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기준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가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끝점에 가까운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축소되도록 하되,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상기 끝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축소 폭이 커지도록 보정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가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원점에 가까운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확장되도록 하되,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상기 원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확장 폭이 커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의 인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의 중앙에 제1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을 향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 및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알려주는 주차정보를 개별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에 모두 주차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만차 메시지가 출력되는 주차정보 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영상이 포함된 출입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출입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 중 차량의 등록번호만 인식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만 인식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가 인식되면,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들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의 등록번호가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의 인식에 실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 중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제2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특정 차량의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상기 특정 차량이 이중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을 담당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영상이 포함된 이중주차 영상정보를 추가로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前方)과 후방(後方)에 각각 적어도 세 대의 차량의 개별주차가 가능한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전방위 영상정보가 수집 가능한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은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렌즈가 다수 구비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에 의해,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영상정보 처리장치에 상기 영상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CCTV 카메라의 설치 수를 절감하여, CCTV 카메라의 설치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키면서도, 다른 지하 주차장 이용자들에게 지하 주차장의 만차 여부 및 자리가 비어 있는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구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고,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차량의 등록번호와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번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전방위 영상으로부터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 시, 주차 선 이탈 여부,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 시 해당 차량을 촬영하고, 경고 알람을 작동시켜,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에 따른 벌금을 과금하거나 또는 올바른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이중주차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제1 영상정보를 분할하여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제1 영상정보를 분할하여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2 영상정보 처리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이중주차를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이하에서는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으로 총칭하기로 함)는 지하 주차장의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위 영상으로부터 전방에 주차된 차량(20) 및 후방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지하 주차장의 이용자들에게 지하 주차장의 만차 여부 및 자리가 비어 있는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 영상정보 처리장치(200), 주차정보 출력장치(300) 및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400)로 구성된다.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는,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前方)과 후방(後方)에 각각 적어도 세 대의 차량(20)의 개별주차가 가능한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전방위 영상정보가 수집 가능한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에 의해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획득하면, 전방위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주차구역(10)에 차량(2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20)이 주차된 경우,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개별 주차구역(10)에 차량(2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20)이 주차된 경우,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마다 발생되는 방사 왜곡이 해소되도록,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하여,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분할된 단위 영상을 보정하는 과정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복수의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 여부와 상관없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의 중앙에 제1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관심 영역에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설정된 제1 관심 영역(11)에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 3a와 같이 제3 주차구역의 제1 관심 영역(11-3)에 차량(20)이 존재하면, 제3 주차구역(10-3)에 차량(20)이 올바르게 주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제1 관심 영역(11)에 차량(20)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복수의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평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10) 중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에 제2 관심 영역(12)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2 관심 영역(12)에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에 특정 차량(20)의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선을 이탈하는 차량(20) 역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개별 주차구역(10)에 차량(20)을 주차하되,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선을 이탈한 것 또는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에 특정 차량(20)이 이중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선 이탈에 대한 영상 또는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을 담당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가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영상이 포함된 주차 선 이탈 영상정보 또는 이중주차 영상정보를 추가로 수집하여,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에 따른 벌금을 과금하는데 이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된 경고 알람을 작동시켜,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를 방지하고, 올바른 주차를 유도할 수 있다.
주차정보 출력장치(300)는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의해,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가 판단되고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주차 여부의 판단결과와 차량번호의 인식결과를 수신하여,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20)의 운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정보 출력장치(300)는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30)에 설치되어,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와 차량번호의 인식결과가 수신되면,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 및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알려주는 주차정보를 생성하고,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20)을 향해 생성된 주차정보를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차정보 출력장치(300)는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의해,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10)에 모두 주차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수신하여 만차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 차량(20) 및 후방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CCTV 카메라의 설치 수를 절감하여, CCTV 카메라의 설치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키면서도, 다른 지하 주차장 이용자들에게 지하 주차장의 만차 여부 및 자리가 비어 있는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400)는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30)에 설치되어, 출입구(30)를 통과하는 차량(20)의 영상이 포함된 출입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만을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지만,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 속도 및 차량번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출입구(3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20)의 등록번호를 인식하고,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차량(20)의 등록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는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개별 주차구역(10)에 대한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다수의 렌즈가 결합된 전방위 렌즈모듈(110)과 전방위 렌즈모듈(110)에 의해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전달하는 제1 통신모듈(120)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에 의해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획득하면, 전방위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주차구역(10)에 차량(2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20)이 주차된 경우,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제2 통신모듈(210), 영상정보 처리모듈(220), 차량번호 인식모듈(230) 및 영상정보 저장모듈(2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10)은 제1 통신모듈(12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에 의해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정보 처리모듈(220)은,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마다 발생되는 방사 왜곡이 해소되도록,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하여,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번호 인식모듈(230)은, 영상정보 처리모듈(220)에 의해,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도록 하고,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의 중앙에 제1 관심 영역(11)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관심 영역(11)에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번호 인식모듈(230)은, 제1 관심 영역에 차량(20)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복수의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평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10) 중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에 제2 관심 영역(12)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2 관심 영역(12)에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10)에 특정 차량(20)의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번호 인식모듈(230)은, 평면 영상정보에서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선을 이탈하는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번호 인식모듈(230)에 의해, 판단된 정보들 즉,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결과와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 이중주차 여부, 주차 선 이탈 여부 등에 대한 판단결과에 대한 정보들은 제2 통신모듈(210)을 통해 주차정보 출력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영상정보 저장모듈(240)은, 평면 영상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영상정보 저장모듈(240)은, 차량번호 인식모듈(230)이 이중주차된 차량(20) 또는 주차 선을 이탈한 차량(20)을 감지하면,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를 통해 해당 차량(20)에 대한 영상을 추가로 수집하는 경우에, 주차 선 이탈 또는 이중주차에 따른 벌금을 과금하기 위해, 추가로 수집된 이중주차, 주차 선 이탈에 관한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주차정보 출력장치(300)는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결과와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 이중주차 여부, 주차 선 이탈 여부 등에 대한 판단결과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하면,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20)의 운전자들에게 수신된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3 통신모듈(310), 주차정보 처리모듈(320), 주차정보 출력모듈(330) 및 주차정보 저장모듈(3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310)은 제2 통신모듈(21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로부터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결과와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 이중주차 여부, 주차 선 이탈 여부 등에 대한 판단결과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주차정보 처리모듈(320)은, 제3 통신모듈(310)을 통해,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결과와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 이중주차 여부, 주차 선 이탈 여부 등에 대한 판단결과에 대한 정보들이 수신되면,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를 알려주는 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정보 처리모듈(320)은,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차량(20)이 어느 주차구역에 주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정보 처리모듈(320)은,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의해,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10)에 모두 주차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판단결과를 수신하여 만차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주차정보 출력모듈(330)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되어, 주차정보 처리모듈(320)이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30)를 통과하는 운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주차정보 저장모듈(340)은, 주차정보 출력장치(300)가 구동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주차정보 저장모듈(340)은,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로부터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결과와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 이중주차 여부, 주차 선 이탈 여부 등에 대한 판단결과에 대한 정보들이 수신되면,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400)는, 출입구(30)를 통과하는 차량(20)의 영상이 포함된 출입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출입구(30)를 통과하는 차량(20)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는 고정초점 렌즈모듈(410)과 고정초점 렌즈모듈(410)에 의해, 출입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출입 영상정보를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전달하기 위한 제4 통신모듈(4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제1 영상정보를 분할하여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제1 영상정보를 분할하여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제1 영상정보를 분할하여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도 5a와 같은 전방위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전방위 영상이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되면, 도 5b와 같은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에 방사 왜곡이 발생되는데, 이를 해소하여, 단위 영상을 도 5c와 같은 평면단위 영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b는 분할된 단위 영상의 일 예가 도시된 것이고, 도 5c는 분할된 단위 영상이 보정되어 평면단위 영상이 변형된 모습의 일 예가 도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에 발생된 방사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도 6a와 같은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위치좌표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Y축 위치좌표의 원점과 끝점 간의 중간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기준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영역이 설정되면,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Y축 위치좌표가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끝점에 가까운 제1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제1 영역들은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끝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축소 폭이 커지도록 보정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Y축 위치좌표가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원점에 가까운 제2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분할된 제2 영역들은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원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확장 폭이 커지도록 보정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들은, 픽셀 간 X축의 간격이 축소되어,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기준 영역과 동일하게 되고, 제2 영역들은 픽셀 간 X축의 간격이 확장되어, 픽셀 간 X축의 간격이 기준 영역과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상기와 같은 보정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하고,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제2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차량(20)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차량(20)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만을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지만,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의 인식 속도 및 차량번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출입구(3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20)의 등록번호를 인식하고,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인식된 차량(20)의 등록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400)로부터 출입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출입 영상정보로부터 차량(20)의 번호판 영역 중 차량(20)의 등록번호만 인식하도록 하고,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만 인식하여,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인식되면,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30)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20)으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것인지 판별하여,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올바르게 인식된 것인지 검증할 수 있다.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인식에 실패한 차량(20)의 등록번호와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30)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20)으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유사한지 판별하여,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4113'과 '4118'일 확률이 비슷하게 판별되는 경우, 출입구(30)를 통과한 차량(20)이 개별 주차구역(10)으로 이동하는 시간은 지하주차장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나,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30)를 통과한 차량(20)으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4113' 해당하는 등록번호가 존재한다면, '4113'과 '4118' 중 '4113'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평면 영상정보가 방사 왜곡이 일부분 해소된 영상정보라 하더라도, 고정초점 렌즈모듈(410)을 통해, 수집된 제2 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왜곡이 발생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2 영상정보를 통해 인식된 등록번호와 비교, 판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차량번호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차량번호판에 대하여 타입별로 등록번호 영역이 개별적으로 지정되어, 차량의 등록번호를 빠르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 방법은,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100)를 통해 전방위 영상정보가 수집되면,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전방위 영상정보를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마다 발생되는 방사 왜곡이 해소되도록,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를 보정하여,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평면 영상정보가 생성되면, 영상정보 처리장치(200)가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설정된 제1 관심 영역(11)에 차량(20)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정보 처리장치(200)에 의해,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10)의 주차 여부가 판단되고,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주차정보 출력장치(300)가 주차 여부의 판단결과 및 차량번호의 인식결과를 수신하여,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20)의 운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이전에,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400)로부터 출입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출입 영상정보로부터 차량(20)의 번호판 영역 중 차량(20)의 등록번호만 인식하도록 하고,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10)에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만 인식하여,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인식되면,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30)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20)으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것인지 판별하여,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올바르게 인식된 것인지 검증할 수 있다.
더불어, 영상정보 처리장치(200)는,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인식에 실패한 차량(20)의 등록번호와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20)으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20)의 등록번호가 유사한지 판별하여, 주차된 차량(20)의 등록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개별 주차구역
20 : 차량
30 :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
100 :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 110 : 전방위 렌즈모듈
120 : 제1 통신모듈 200 : 영상정보 처리장치
210 : 제2 통신모듈 220 : 영상정보 처리모듈
230 : 차량번호 인식모듈 240 : 영상정보 저장모듈
300 : 주차정보 출력장치 310 : 제3 통신모듈
320 : 주차정보 처리모듈 330 : 주차정보 출력모듈
340 : 주차정보 저장모듈 400 :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
410 : 고정초점 렌즈모듈 420 : 제4 통신모듈

Claims (10)

  1.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렌즈가 다수 구비되어,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영상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마다 발생되는 방사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하여,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되면, 상기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상기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Y축 위치좌표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의 원점과 끝점 간의 중간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기준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가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끝점에 가까운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축소되도록 하되,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상기 끝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축소 폭이 커지도록 보정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가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원점에 가까운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확장되도록 하되,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상기 원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확장 폭이 커지도록 보정하며,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의 인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의 중앙에 제1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을 향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 및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알려주는 주차정보를 개별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에 모두 주차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만차 메시지가 출력되는 주차정보 출력장치; 및
    상기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영상이 포함된 출입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출입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 중 차량의 등록번호만 인식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만 인식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가 인식되면,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들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의 등록번호가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것인지 판별하되,
    상기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등록번호의 인식률이 향상되도록, 상기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번호가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등록번호가 인식되지 못한 차량의 등록번호일 확률이 비슷한 후보 등록번호들 중 상기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들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판별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의 인식에 실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개별 주차구역 중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제2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특정 차량의 이중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상기 특정 차량이 이중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을 담당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인접한 두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영상이 포함된 이중주차 영상정보를 추가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되, 전방(前方)과 후방(後方)에 각각 적어도 세 대의 차량의 개별주차가 가능한 개별 주차구역에 대한 전방위 영상정보가 수집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10.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상기 출입구를 통과하는 차량의 영상이 포함된 출입 영상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지하 주차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도록 하는 렌즈가 다수 구비되는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에 의해,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가 수집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에 의해 수집된 전방위 영상이 포함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정보 처리장치에 각각의 영상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각각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상기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주차정보 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입장하는 차량을 향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 및 상기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알려주는 주차정보를 개별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지하 주차장에 마련된 개별 주차구역에 모두 주차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만차 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마다 발생되는 방사 왜곡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하여, 평면단위 영상이 포함된 평면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되,
    상기 수집된 전방위 영상정보에 포함된 전방위 영상을 복수의 단위 영상으로 분할되면,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에 의해, 상기 픽셀의 위치좌표가 보정되도록, 상기 각각의 분할된 단위 영상을 Y축 위치좌표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의 원점과 끝점 간의 중간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기준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가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끝점에 가까운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축소되도록 하되,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상기 끝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축소 폭이 커지도록 보정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Y축 위치좌표가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에서 원점에 가까운 영역들은 픽셀 간의 X축 간격이 확장되도록 하되, 상기 설정된 기준영역으로부터 상기 원점에 가까울수록 픽셀 간의 X축 간격의 확장 폭이 커지도록 보정하며,
    상기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차량의 차량번호의 인식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의 중앙에 제1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관심 영역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인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개별 주차구역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제2 영상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출입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 중 차량의 등록번호만 인식하고,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평면 영상정보에서 개별 주차구역에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만 인식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가 인식되면,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들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의 등록번호가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것인지 판별하되,
    상기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등록번호의 인식률이 향상되도록, 상기 평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번호가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등록번호가 인식되지 못한 차량의 등록번호일 확률이 비슷한 후보 등록번호들 중 상기 기설정된 기간 이내에 출입구를 통과한 복수의 차량들로부터 인식된 등록번호들 중 어느 한 차량의 등록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판별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등록번호를 인식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
KR1020170173765A 2017-12-18 2017-12-18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86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65A KR101860391B1 (ko) 2017-12-18 2017-12-18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65A KR101860391B1 (ko) 2017-12-18 2017-12-18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91B1 true KR101860391B1 (ko) 2018-05-23

Family

ID=6245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765A KR101860391B1 (ko) 2017-12-18 2017-12-18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543B1 (ko) * 2021-04-27 2022-03-03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Cctv를 이용한 주차 가능한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441B1 (ko) * 2009-12-03 2010-08-1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737609B1 (ko) * 2015-09-18 2017-05-19 정광(주) 차량 번호판 인식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441B1 (ko) * 2009-12-03 2010-08-1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737609B1 (ko) * 2015-09-18 2017-05-19 정광(주) 차량 번호판 인식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543B1 (ko) * 2021-04-27 2022-03-03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Cctv를 이용한 주차 가능한 선호 주차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0801B1 (en) Surveillance system
US20090046157A1 (en) Combined wide-angle/zoom camera for license plate identification
KR101343975B1 (ko) 돌발검지 시스템
KR100976441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462855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8098290B2 (en) Multiple camera system for obtaining high resolution images of objects
JPH1145323A (ja) 画像処理装置
KR20200025247A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주차 관리장치
JP2018084571A (ja) 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自動制御システム
KR101621822B1 (ko) 하이브리드 이미지 전송 기반의 방범겸용 차량번호 인식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및 제공 방법
JP2020500391A (ja) 駐車場内に存在する隆起した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50071504A (ko) 카메라 추적 제어권 자동 전환 시스템 및 이의 카메라 추적 제어권 자동 전환 방법
US20210374426A1 (en) Occupancy control apparatus
JP2020500389A (ja) 駐車場内に存在する隆起した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20160035274A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162130B1 (ko)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1612836B1 (ko) 차량내의 사고 영상 취득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60391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099394B1 (ko) 차량 인식 프로그램 내장형 촬상 장치,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82888B1 (ko)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에서의 파노라마 영상 제공 방법
KR101847441B1 (ko) 밤샘주차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40078088A (ko)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번호 자동인식 시스템
KR101633777B1 (ko) 영상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130062489A (ko) 객체추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