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226B1 - 조직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직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226B1
KR101860226B1 KR1020160149408A KR20160149408A KR101860226B1 KR 101860226 B1 KR101860226 B1 KR 101860226B1 KR 1020160149408 A KR1020160149408 A KR 1020160149408A KR 20160149408 A KR20160149408 A KR 20160149408A KR 101860226 B1 KR101860226 B1 KR 10186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ember
clip
body tissue
shaft member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275A (ko
Inventor
엄영섭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2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81Apparatus for modifying intraocular pressure, e.g. for glaucoma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는,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클립 부재; 및 상기 클립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체내 조직에 위치시키는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에 의해 상기 클립 부재가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되거나 상기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TISSUE}
본 발명은 조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고정시키는 조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의료 기계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면, 복강이나 안면의 피부(skin)를 갈라서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개복수술 등이 있다.
수술 과정에서는 혈관이나 담관 등을 막아 과다 출혈을 방지하고 수술이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혈관 등을 실로 묶는 경우도 있으며, 최근에는 수술용 클립(clip)을 사용하여 실로 묶을 부위를 잡는, 클립핑(clipping)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안과 영역에서 외상 등으로 인하여 홍채가 모양체 부착부로부터 박리가 발생하는 홍채해리나 홍채열상이 발생한 경우에 홍채성형술을 필요로 한다.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홍채성형술은 박리된 홍채나 열상이 생긴 홍채를 직접 바늘로 봉합시켜주며, 좁은 안구 내에서 시행되는 이러한 홍채성형술은 시간이 다소 걸리는 복잡한 기술이다. 따라서 이러한 홍채성형술을 보다 손쉽게 시행할 수 있도록 조직 고정장치가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2003년 3월 4일 출원된 KR10-2003-7003200에는 '공막 클립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체내 삽입되어 체내 조직과 체내 조직 또는 체내 조직과 이식물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된 클립 부재에 의해 수술 후에 클립 부재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고, 가이드 부재에 의해 클립 부재를 정확한 체내 조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클립 부재 내에 샤프트 부재가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여 클립 부재와 샤프트 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체내 조직에 위치되고, 클립 부재가 체내 조직에 위치된 후에 샤프트 부재가 클립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클립 부재가 체내에 삽입된 후에 샤프트 부재가 클립 부재에 결합되어 클립 부재를 체내 조직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홍채 성형술,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 또는 공막고정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술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어,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와 수술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는,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클립 부재; 및 상기 클립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체내 조직에 위치시키는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에 의해 상기 클립 부재가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되거나 상기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의 일 측은 고정될 체내 조직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클립 부재의 타 측은 상기 샤프트 부재가 상기 클립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 및 상기 샤프트 부재가 함께 상기 체내 조직을 관통한 후에,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클립 부재는, 상기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될 이식물을 결합시키는 제2 클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샤프트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샤프트 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샤프트 부재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클립 부재를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그립 부분; 및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밀어내는 가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이 벌어지면서 상기 클립 부재가 변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 사이에서 상기 가압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당기는 당김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당김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의 단부를 통해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된 클립 부재를 향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는 홍채 또는 공막에 고정되며, 상기 클립 부재는 홍채 성형술 또는 인공수정체 고정술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는,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에 관통되는 클립 부재; 및 상기 클립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체내 조직에 위치시키는 샤프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생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 부재의 단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내 조직에 관통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 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상기 클립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 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클립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클립 부재가 고정될 체내 조직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의 일 측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클립 부재의 타 측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홀딩 부분; 및 상기 홀딩 부분의 일 측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체내 조직 및 상기 클립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부재의 연장 부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하면, 체내 삽입되어 체내 조직과 체내 조직 또는 체내 조직과 이식물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하면,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된 클립 부재에 의해 수술 후에 클립 부재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고, 가이드 부재에 의해 클립 부재를 정확한 체내 조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하면, 클립 부재 내에 샤프트 부재가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여 클립 부재와 샤프트 부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체내 조직에 위치되고, 클립 부재가 체내 조직에 위치된 후에 샤프트 부재가 클립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하면, 클립 부재가 체내에 삽입된 후에 샤프트 부재가 클립 부재에 결합되어 클립 부재를 체내 조직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하면, 홍채 성형술,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 또는 공막고정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술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어,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와 수술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f)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해 조직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h)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홍채 성형술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도시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d)는 클립 부재가 샤프트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7(a) 내지 (c)는 클립 부재가 샤프트 부재에 의해 체내 조직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c)는 클립 부재가 체내에서 절단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홍채 성형술을 도시한다.
도 10(a) 및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을 도시한다.
도 11(a) 및 (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a) 내지 (f)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해 조직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3(a) 내지 (h)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홍채 성형술을 도시하고, 도 4(a) 내지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10)는 클립 부재(100), 샤프트 부재(110) 및 가이드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00)는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부재(100)는 홍채해리 발생 시 홍채 성형을 위해, 인공수정체 지지부를 공막에 직접 고정하기 위해, 또는 인공수정체 지지부를 직접 홍채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클립 부재(100)는 생체 조직의 손상이 회복될 때까지 일정 기간 동안 도움을 주고 조직의 치유 후에는 체내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는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생체 흡수성 재질은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enantiomers (PLA), poly-D-L-lactic acid copolymer polyglycolic acid (PDLLA-co-PG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술 후 클립 부재(100)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환자 및 수술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 부재(100)가 생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되고, 수술 후 체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클립 부재(100)는 'ㄷ'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 부재(1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체내 조직에 고정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클립 부재(100)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클립 부재(100)는 폐쇄된 측면(102) 및 상기 폐쇄된 측면(102)으로부터 개방된 측면(104)을 향하여 연장되는 양 측면(106, 1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립 부재(100)가 체내에 삽입되면, 폐쇄된 측면(102)이 체내 조직의 일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양 측면(106, 108)은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체내 조직의 타 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양 측면(106, 108)이 체내 조직의 타 측에서 절곡 형성됨으로써 체내 조직에 클립 부재(10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클립 부재(100)에는 샤프트 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 공간 또는 내부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부재(100)의 폐쇄된 측면(102)은 샤프트 부재(110)를 향하여 개방 부분(1022)을 통해 개방될 수 있고, 클립 부재(100)의 양 측면(106, 108)에는 샤프트 부재(110)가 관통되도록 내부 통로(1062, 108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 부재(100)의 양 단부는 샤프트 부재(110)의 양 단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립 부재(100)에 개방 공간 또는 내부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클립 부재(100)에 샤프트 부재(11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100)의 폐쇄된 측면(102)에는 가이드 부재(120)가 삽입되도록 관통 홀(10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홀(1024)은 샤프트 부재(110)의 홀딩 부분(112) 및 연장 부분(114)와 연통되어, 관통 홀(1024)을 통과한 가이드 부재(120)가 연장 부분(11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된 클립 부재(100)에는 샤프트 부재(1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부재(110)는 클립 부재(100)의 일 측에 장착되어 체내에서 클립 부재(100)를 체내 조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부재(110)는 생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클립 부재(100)가 체내 조직에 위치된 후에 샤프트 부재(110)는 체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부재(110)는 홀딩 부분(112) 및 연장 부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부분(112)은 클립 부재(100)의 일 측을 통해 삽입되어 클립 부재(100)의 타 측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딩 부분(112)은 클립 부재(100)와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홀딩 부분(112)은 폐쇄된 측면(1122) 및 상기 폐쇄된 측면(1122)으로부터 개방된 측면(1124)을 향하여 연장되는 양 측면(1126, 112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 부재(11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클립 부재(100)의 형상에 대응되게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클립 부재(100) 내부에 삽입 가능하다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홀딩 부분(112)의 양 측면(1126, 1128)은 클립 부재(100)의 폐쇄된 측면(102)에 삽입된 후 클립 부재(100)의 양 측면(106, 108)에 형성된 내부 통로를 통해 나아가고 홀딩 부분(112)의 양 단부는 클립 부재(100)의 양 단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홀딩 부분(112)의 폐쇄된 측면(1122)은 클립 부재(100)의 폐쇄된 측면(102) 내에 삽입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딩 부분(112)이 클립 부재(100)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100)가 체내 조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분(114)은 홀딩 부분(112)의 일 측, 예를 들어 홀딩 부분(112)의 폐쇄된 측면(1122)으로부터 클립 부재(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 부분(114)에는 클립 부재(100)의 관통 홀(1024)을 통과한 가이드 부재(120)가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1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딩 부분(112) 및 연장 부분(114)이 연결된 부분에 관통 홀(h)이 형성되어, 클립 부재(100)의 관통 홀(1024)을 통과한 가이드 부재(120)가 홀딩 부분(112) 및 연장 부분(114)이 연결된 부분에 형성된 관통 홀(h)을 지나 연장 부분(114)의 내부 공간(1142)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또한, 체내 조직에 고정된 클립 부재(100)에 샤프트 부재(200)가 결합됨으로써 클립 부재(100)가 체내 조직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샤프트 부재(110)에 의해 클립 부재(100)가 체내 조직에 고정되거나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전술된 클립 부재(100) 또는 샤프트 부재(110)에는 가이드 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클립 부재(100) 또는 샤프트 부재(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클립 부재(100) 또는 샤프트 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20)는 뾰족한 단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샤프트 부재(110)의 연장 부분(114)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20)는 클립 부재(100) 또는 샤프트 부재(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체내 조직을 관통한 후 클립 부재(100)의 관통 홀(1024) 및 홀딩 부분(1122)의 관통 홀(h)을 관통하여 연장 부분(114)의 내부 통로(114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a) 내지 (f)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체내 조직(T)을 고정할 수 있다.
우선, 가이드 부재(120)가 체내 조직(T)의 타 측에 위치되고, 클립 부재(100)와 샤프트 부재(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체내 조직(T)의 일 측에 위치된다.
이어서 가이드 부재(120)가 체내 조직(T)을 관통하여 가이드 부재(120)의 단부가 체내 조직(T)의 일 측에 위치되고, 가이드 부재(120)의 단부가 클립 부재(100)를 관통하여 샤프트 부재(110)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클립 부재(100)가 고정될 체내 조직(T) 상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샤프트 부재(110)에 의해 클립 부재(100)가 샤프트 부재(110)와 결합된 상태로 체내 조직(T)에 삽입되고, 샤프트 부재(110)가 클립 부재(100)로부터 분리되고 가이드 부재(100)가 클립 부재(100)로부터 분리된다.
도 2(e) 및 (f)에는 클립 부재(100)로부터 샤프트 부재(110)가 분리된 후에 가이드 부재(100)가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클립 부재(100)로부터 가이드 부재(100)가 먼저 분리되고 샤프트 부재(110)가 분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마지막으로, 클립 부재(100)를 절곡시켜 체내 조직(T)에 고정시킨다.
결국 체내에는 클립 부재(100)만 존재하게 되고, 클립 부재(100)가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클립 부재(100)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체내에 흡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120)는 클립 부재(100)가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된 경우 클립 부재(100)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h)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10)는 홍채 성형술에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채 해리가 발생한 경우, 도 3(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부재(100)가 공막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서 홍채 해리가 발생된 조직 또는 홍채 성형술을 시행할 조직을 향하여 삽입될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부재(100)가 홍채 해리가 발생된 조직에 위치되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부재(110)가 공막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서 눈에 삽입되어 클립 부재(10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부재(110)를 이용하여 클립 부재(100)가 홍채 해리가 발생한 부분의 홍채와 적절한 위치의 공막을 한번에 관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부재(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안구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클립 부재(100) 및 샤프트 부재(110)와 마주보도록 가이드 부재가 배치되어, 클립 부재(100)가 고정될 체내 조직 상에 위치되도록 클립 부재(100) 또는 샤프트 부재(110)를 안내하여 클립 부재(100)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4(a) 내지 (c)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10)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에 사용될 수 있다.
백내장 수술 중 수정체낭의 지지가 소실된 경우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에 삽입할 수 없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또는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때, 클립 부재(1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클립 부재(100)는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제1 클립 부재(100a)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100a) 및 체내 조직에 고정될 이식물을 결합시키는 제2 클립 부재(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식물은 예를 들어 인공수정체가 될 수 있으며, 제2 클립 부재(100b)에 인공수정체의 지지대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클립 부재(100)가 공막에 위치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막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 샤프트 부재(110)가 삽입되고, 샤프트 부재(110)에 의해 클립 부재(100)가 인공수정체의 지지대 및 공막을 서로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부재(110)는 클립 부재(100)로부터 분리되고, 클립 부재(100)는 안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부재(110)의 홀딩 부분(112)은 클립 부재(100)에 삽입되지 않고,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어 클립 부재(100), 특히 제1 클립 부재(100a)를 잡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립 부재(100)가 체내 조직 상에 위치되고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체내 조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인공수정체의 지지체 또한 체내 조직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는 홍채성형술 또는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체내에서 조직과 조직을 고정시키거나 조직과 이식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도 6(a) 내지 (d)는 클립 부재가 샤프트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7(a) 내지 (c)는 클립 부재가 샤프트 부재에 의해 체내 조직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8(a) 내지 (c)는 클립 부재가 체내에서 절단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9(a) 내지 (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홍채 성형술을 도시하고, 도 10(a) 및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에 의한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을 도시한다.
도 5 또는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20)는 클립 부재(200) 및 샤프트 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200)는 전체적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 부재(210)의 결합되는 클립 부재(200)의 일 측에는 돌출 부분(212)이 구비되고, 체내 조직에 관통되는 클립 부재(200)의 타 측에는 개방 부분(214)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립 부재(200)가 체내 조직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출 부분(212)은 체내 조직의 일 측 상에 돌출될 수 있고, 개방 부분(214)은 체내 조직 내에 유지되거나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체내 조직의 타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200)는 샤프트 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 부분(212)과 개방 부분(214) 사이에는 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200)는 샤프트 부재(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구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샤프트 부재(210)의 작동에 의해 클립 부재(200)가 샤프트 부재(210)에 유지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부재(210)는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 및 가압 부분(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은 샤프트 부재(210)의 단부에 위치되어 클립 부재(200)를 유지시키고 외력(F)에 의해 서로 벌려질 수 있다.
가압 부분(216)은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 사이에 배치되어 클립 부재(200)를 밀어낼 수 있다. 이때, 가압 부분(216)은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 사이에서 외력(F)에 의해 샤프트 부재(210)의 단부를 향하여 전진될 수 있고 샤프트 부재(210)의 단부로부터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도 6(a) 내지 (d)를 참조하여, 샤프트 부재(210)는 다음과 같이 클립 부재(200)를 체내 조직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샤프트 부재(210)의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에 클립 부재(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클립 부재(200) 및 샤프트 부재(210)가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여, 샤프트 부재(210)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이 벌어지고, 이에 의해 클립 부재(200)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립 부재(20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클립 부재(200)의 개방 부분(204)이 확장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여, 가압 부재(216)가 클립 부재(200)의 돌출 부분(202)에 접촉되고, 가압 부재(216)가 클립 부재(200)의 돌출 부분(202)를 밀어낼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여, 가압 부재(216)는 샤프트 부재(210)의 단부를 향하여 전진되고 샤프트 부재(210)의 단부로부터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클립 부재(200)가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으로부터 분리되고, 클립 부재(200)가 체내 조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클립 부재(200)의 형상에 의해 추가적인 클립 부재(200)의 절곡이 요구되지 않으며, 클립 부재(200)가 체내 조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c)를 참조하여, 샤프트 부재(200)는 복수 개의 그립 부분(212, 214) 사이에서 가압 부분(216)의 외측에 배치되어 클립 부재(200)를 당기는 당김 부분(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 부분(218)은 갈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클립 부재(200)의 돌출 부분(202)에 인접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부분(216)가 클립 부재(200)의 돌출 부분(202)을 가압하고, 당김 부분(218)은 클립 부재(200)를 당김으로써 클립 부재(200)의 개방 부분(204)이 확장되면서 클립 부재(200)가 변형되면서 체내 조직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 부재(210)에 의해 클립 부재(200)가 체내 조직에 고정되거나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히, 클립 부재(200)에 돌출 부분(202)이 구비되어, 클립 부재(200)의 고정 또는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c)를 참조하여, 클립 부재(200)는 절단 도구(C)에 의해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 도구(C)는 미세 수직 가위로 마련될 수 있으며, 클립 부재(200)의 돌출 부분(202)을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 도구(C)에 의해 절단된 클립 부재(200)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체내로부터 제거되거나, 클립 부재(200)가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된 경우에는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체내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9(a) 내지 (c)를 참조하여, 전술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20)는 홍채 성형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여, 홍채 열상이 발생한 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2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20)는 가이드 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부재(220)는 홍채 열상에 의해 벌어진 홍채를 모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20)는 홍채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 홍채 열상에 의해 벌어진 부분에 접근될 수 있고, 샤프트 부재(210)에 장착된 클립 부재(200) 또한 홍채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 홍채 열상에 의해 벌어진 부분에 접근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 부재(200)는 샤프트 부재(210)에 의해서 홍채 열상에 의해 벌어진 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여, 샤프트 부재(210)에 의해 클립 부재(200)는 홍채 열상에 의해 벌어진 부분을 한번에 봉합할 수 있다. 이때, 홍채 열상에 의해 벌어진 부분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 개의 클립 부재(200)에 의해 봉합될 수 있다.
도 10(a) 및 (b)를 참조하여, 인공수정체 지지부를 홍채에 직접 고정할 때 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2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여, 가이드 부재(220)는 홍채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 삽입되고 인공수정체의 배면을 거쳐 인공수정체 지지부가 고정될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 부재(210)에 장착된 클립 부재(200)는 홍채에 형성된 절개창(w)을 통해 인공수정체 지지부가 고정될 위치에 접근될 수 있다. 결국 클립 부재(200)는 샤프트 부재(210)에 의해서 인공수정체 지지부가 고정될 위치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여, 샤프트 부재(210)에 의해 클립 부재(200)는 인공수정체 지지부를 홍채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인공수정체가 복수 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므로, 홍채 상에 복수 개의 클립 부재(200)에 의해 인공수정체 지지부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1(a) 및 (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를 도시한다.
도 11(a) 및 (b)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장치(30)는 클립 부재(300) 및 샤프트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300)는 일 측이 개방되어 체내 조직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클립 부재(30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샤프트 부재(3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그립 부분(312, 314)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300)는 생체 흡수성 재질 또는 생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부재(300)가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된 경우 수술 후 클립 부재(300)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클립 부재(300)가 생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된 경우 수술 후 클립 부재(300)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부재(310)는 복수 개의 그립 부분(312, 314) 및 연장 부분(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312, 314)은 샤프트 부재(310)의 단부에 위치되어 클립 부재(300)를 유지시키고 외력에 의해 서로 벌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a)를 참조하여, 클립 부재(300)는 복수 개의 그립 부분(312, 314) 내에 유지된 상태로 고정될 체내 조직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여, 클립 부재(300)가 고정될 체내 조직 상에 위치되면 복수 개의 그립 부분(312, 314)가 벌려져 샤프트 부재(310)로부터 클립 부재(300)가 분리될 수 있고, 수술자가 연장 부분(316)을 이용하여 클립 부재(300)를 체내 조직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클립 부재(300)가 체내 조직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 개의 그립 부분(312, 314)을 이용하여 클립 부재(300)를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조직 고정장치는 체내 삽입되어 체내 조직와 체내 조직 또는 체내 조직과 이식물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홍채 성형술, 인공수정체 홍채고정술 또는 공막고정술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어,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환자와 수술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30: 조직 고정장치
100, 200, 300: 클립 부재
110, 210, 310: 샤프트 부재
120, 220: 가이드 부재

Claims (13)

  1.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클립 부재; 및
    상기 클립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체내 조직에 위치시키는 샤프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에 의해 상기 클립 부재가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되거나 상기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클립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 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상기 클립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 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직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의 일 측은 고정될 체내 조직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클립 부재의 타 측은 상기 샤프트 부재가 상기 클립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개방되는 조직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 및 상기 샤프트 부재가 함께 상기 체내 조직을 관통한 후에,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조직 고정장치.
  4.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클립 부재; 및
    상기 클립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체내 조직에 위치시키는 샤프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에 의해 상기 클립 부재가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되거나 상기 체내 조직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클립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복수 개의 클립 부재는,
    상기 체내 조직을 고정하는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될 이식물을 결합시키는 제2 클립 부재;
    를 포함하는 조직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샤프트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샤프트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조직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샤프트 부재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클립 부재를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그립 부분; 및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밀어내는 가압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이 벌어지면서 상기 클립 부재가 변형되는 조직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 사이에서 상기 가압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당기는 당김 부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당김 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그립 부분의 단부를 통해 상기 체내 조직에 고정된 클립 부재를 향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조직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는 홍채 또는 공막에 고정되며,
    상기 클립 부재는 홍채 성형술 또는 인공수정체 고정술 시에 사용되는 조직 고정장치.
  9. 체내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에 관통되는 클립 부재; 및
    상기 클립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부재를 상기 체내 조직에 위치시키는 샤프트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부재는 생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생체 비흡수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 부재의 단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내 조직에 관통되는 조직 고정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 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내 조직을 관통하여 상기 클립 부재 또는 상기 샤프트 부재와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직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클립 부재가 고정될 체내 조직 상에 위치되는 조직 고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의 일 측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클립 부재의 타 측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홀딩 부분; 및
    상기 홀딩 부분의 일 측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장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체내 조직 및 상기 클립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부재의 연장 부분 내에 삽입되는 조직 고정장치.
KR1020160149408A 2016-11-10 2016-11-10 조직 고정장치 KR10186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08A KR101860226B1 (ko) 2016-11-10 2016-11-10 조직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08A KR101860226B1 (ko) 2016-11-10 2016-11-10 조직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75A KR20180052275A (ko) 2018-05-18
KR101860226B1 true KR101860226B1 (ko) 2018-05-21

Family

ID=6245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408A KR101860226B1 (ko) 2016-11-10 2016-11-10 조직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674B1 (ko) * 2019-09-04 2021-03-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T자형으로 변형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인공수정체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609A (ja) * 2000-10-16 2002-07-09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KR101078544B1 (ko) * 2003-03-17 2011-11-01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클립 및 생체 조직의 클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609A (ja) * 2000-10-16 2002-07-09 Olympus Optical Co Ltd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KR101078544B1 (ko) * 2003-03-17 2011-11-01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클립 및 생체 조직의 클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674B1 (ko) * 2019-09-04 2021-03-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T자형으로 변형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인공수정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75A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implanting a shape memory implant
ES2350030T3 (es) Sistema para cerrar heridas.
TWI605842B (zh) 用於插入醫療縫線的裝置及含有其的用於插入醫療縫線的手術套組
RU2673374C2 (ru) Система наложения хирургических креплений
EP2691055B1 (en) Systems for ophthalmic tissue closure and fixation of ophthalmic prostheses
JP7417655B2 (ja) 組織クランプおよび移植方法
EP0386361A1 (en) Ophthalmic staple and instruments for implementing use
KR101619500B1 (ko)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JPH03195546A (ja) 関節鏡クリップ及びその挿入器具
JP2015502821A (ja) 眼の組織の閉鎖及び眼の人工補綴物の固定並びにその他の使用のための、締結器具、設置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09195749A (ja) 移植片固定部材を挿入するための装置
CN113853167B (zh) 腹腔镜手术用穿刺器系统
KR101668663B1 (ko) 봉합사를 이용한 키트 및 봉합 방법
US9220503B2 (en) Surgical device for conjuctival tissue closure
CN110402110B (zh) 成角缝线穿引器及其使用方法
JP2011502670A (ja) 人間の正常な又は膨張した組織のモデリング又はリフティングのための装置
RU2718320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тяжения кожи
EP1437096B1 (en) Wound clamp
KR101860226B1 (ko) 조직 고정장치
WO2005107609A1 (en) Wound clamp
US20150305736A1 (en) Apparatus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surgical thread comprising same
US20120316644A1 (en) Intraocular lens implant fixation
KR102274925B1 (ko) 의료용 포착겸자
JP6389183B2 (ja) 眼の組織の閉鎖及び眼の補綴物の固定並びにその他の使用のための、締結器具、設置システム
KR200482048Y1 (ko) 안과 시술용 핀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