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31B1 -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 Google Patents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31B1
KR101859831B1 KR1020160102900A KR20160102900A KR101859831B1 KR 101859831 B1 KR101859831 B1 KR 101859831B1 KR 1020160102900 A KR1020160102900 A KR 1020160102900A KR 20160102900 A KR20160102900 A KR 20160102900A KR 101859831 B1 KR101859831 B1 KR 10185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flame
combustion gas
gas inlet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8032A (ko
Inventor
임용진
이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로
Priority to KR102016010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03B29/04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 C03B29/06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products
    • C03B29/08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21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균일한 열처리가 가능한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에 대한 발명으로,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에 있어서, 상기 토오치는, 상기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에 화염을 방사하는 화염방사부재; 및 상기 화염방사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화염방사 부재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유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방사부재는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소가스 투입구;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화염방사구;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와 상기 화염방사구를 연통하는 다수의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 및 상기 산소유입부재와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는, 유입구 직경이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Torch heating cutted edge of glass plate}
본 발명은 유리기판 절단된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종전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5-0098947호, '유리기판 테두리 열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하, '종래 출원'이라 함)을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 출원의 열처리장치에 적용하는 토오치를 개선한 발명이다.
도 7는 종래 출원에 적용하던 토오치의 형상으로, 토오치의 연소가스 투입구의 유입 및 말단의 직경이 동일하여,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균일한 화력을 발생시킬 수 없어,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불균일한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단된 유리기판의 모서리를 균일하게 열처리할 수 있는 토오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는,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10)에 적용되는 토오치(330)에 있어서, 상기 토오치는, 상기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에 화염을 방사하는 화염방사부재(331); 및 상기 화염방사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화염방사 부재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유입부재(337)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방사부재는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소가스 투입구(331a);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화염방사구(331b);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와 상기 화염방사구를 연통하는 다수의 연결구(331e); 및 상기 연결구 및 상기 산소유입부재와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331d)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는, 유입구(331L) 직경이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형태로, 상기 산소유입부재는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산소유입구(337a); 상기 산소유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통공(337b); 상기 산소유입구와 상기 통공을 연통하는 다수의 연통구(337e); 상기 연결구 및 상기 화염방사부재를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337c); 및 상기 통공의 입구에는 마구리(337d)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유입구 직경(331L)은 3 내지 4mm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의 직경은 2 내지 3mm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상기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 차이로 형성되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기울기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상기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 차이로 형성되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기울기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하측 및 상측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폭은 10 내지 15Cm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형태로, 상기 화염방사구(331b)는, 화염의 균일한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원형 외주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반원형분사구(331ca)가 구비되며, 중심에는 원형 분사구(331cb)가 구비되는 분사노즐(33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는 균일한 화염방사가 가능하여, 균일한 유리기판 열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균일한 열처리가 가능하므로, 연소가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A"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의 구성 중 고정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는 도 1 "B"선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의 구성 중 구동수단을 나타탠 저면도이다.
도 4은 도 1 "C"선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의 구성 중 가열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2 "D"-"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의 작용 효과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토오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토오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토오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토오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토오치 구성 중, 연소가스 투입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특징으로 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의 기본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해서 설명한 후, 본 발며의 요지인 토오치에 대해서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토오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10)(이하, "열처리장치"라 한다)는 고정수단(100)과 구동수단(200)과 가열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100)은 정사각형상의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유리기판(GL)을 압착할 수 있도록 진공홀(101)이 다수 구비되고, 그 하측은 다수의 볼 캐스터(140)(도5 참조)에 의해 지지되며, 후술하는 구동수단(200)에 의해 각 방향, 즉, X, Y, Z, θ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00)은 상부에 안착되는 유리기판(GL)보다 면적이 작아야 하며, 유리기판(GL)의 테두리(절단 모서리) 하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야 한다.
유기기판(GL)의 정렬 상태를 센싱하는 센싱부재(110)는 고정수단(100)의 상측 대각선 방향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센싱부재는 유리기판(GL)의 정렬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면 어디에 위치하여도 상관없다.
센싱부재(110)는 광센서의 일종으로 콘트롤러(미도시)에 입력된 유리기판(GL)의 기준점에 대비하여 유리기판(GL)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센싱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을 경우 후술하는 구동수단(200)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100)에 구비된 유리기판(GL)을 X, Y, Z, θ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정렬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200)은 제 1, 2, 3, 4구동부(210)(220)(230)(240)로 이루어진다. 제 1구동부(210)는 구동모터(211)와 제 1링크(212)와 이동부재(21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구동모터(211)의 회전에 의해 제 1링크(212)가 연동하고, 이 제 1링크(212)와 축결합된 이동부재(213)가 회전하며, 유리기판(GL)이 구비된 고정수단(100)을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구동부(220)는 구동모터(221)와 제 2링크(222)와 이동부재(2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모터(231)의 회전에 의해 제 2링크(222)가 연동하고, 이 제 2링크(222)와 축결합된 이동부재(223)가 회전하며, 유리기판(GL)이 구비된 고정수단(100)을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3구동부(230)는 구동모터(231)와 제 1감속기(232)와 제 3링크(233)와 제 2감속기(234)와 볼스크류(2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231)의 회전에 의해 제 1감속기(232)의 양방향 출력축(232a)이 연동하고, 이 양방향 출력축(232a)과 축결합된 제 3링크(233)에 의해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제 2감속기(234)의 양방향 출력축(234a)이 연동함에 따라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볼 스크류(235)가 상, 하 수직방향인 Z축으로 구동하여 유리기판(GL)을 가열수단(300)에 의해 가열하기 적정한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제 4구동부(240)는 구동모터(241)와 제 4링크(242)와 이동부재(24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역시도 상기한 제 1, 2구동부(210)(220)와 마찬가지로, 구동모터(241)의 회전에 의해 제 4링크(242)가 연동하고, 이 제 4링크(242)와 축결합된 이동부재(243)가 도시한 방향 기준하여 θ축 방향으로 유리기판(GL)이 구비된 고정수단(100)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θ축 방향은 X, Y, Z 축과 다른 방향으로, Z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200)의 작용에 의해 유리기판(GL)의 정렬이 완료되면, 유리기판(GL)의 4모서리 하측에 구비된 가열수단(300)에 의해 유리기판(GL)의 테두리를 가열할 수 있다.
도 2, 도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수단(300)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각 사각 테두리에 레일(310)이 하나씩 구비되고, 이 레일(310)에 토오치 지지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토오치 지지부재(320)는 일측에 벨트 고정 브라켓(325)이 구비되어 구동부재(322)인 타이밍벨트(Timming Belt)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열수단(300)은 도시한 구동수단(32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각 모서리에는 종동수단(323)이 구비되어, 하나의 구동부재(322)에 의해 연동하며 후술하는 토오치(330)의 화염에 의해 유리기판(GL)의 절단 모서리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레일(310)은 엘엠(LM:Lenear Motion) 레일 수 있으며, 레일은 엘엠 가이드(321)와 결합하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하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토오치 지지부재(320)의 일단에 토오치(330)가 구비되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오치(330)는 화염방사부재(331)와 산소유입부재(337)가 구비될 수 있다.
화염방사부재(331)는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에 화염을 방사하는 것으로,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소가스 투입구(331a);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화염방사구(331b);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와 상기 화염방사구를 연통하는 다수의 연결구(331e); 및 상기 연결구 및 상기 산소유입부재와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33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염방사구(331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의 균일한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원형 외주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반원형분사구(331ca)가 구비되며, 중심에는 원형 분사구(331cb)가 구비되는 분사노즐(33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유입부재(337)는 상기 화염방사부재(331)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화염방사부재(331)에 산소를 공급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산소유입구(337a); 상기 산소유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통공(337b); 상기 산소유입구와 상기 통공을 연통하는 다수의 연통구(337e); 상기 연결구 및 상기 화염방사부재를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337c); 및 상기 통공(337b)의 입구에는 마구리(337d)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구리(337d)는 산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인 구성이며, 상기 관통구(337c)는 상기 화염방사부재의 관통구(331d)와 평행하게 연통되어 있어, 산소유입구(337a)의 산소를 화염방사부재(33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열수단(300)은 상술한 화염방사부재(331)의 상측에 할로겐램프 히터(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할로겐램프 히터(340)는 1차적으로 유리기판(GL)의 테두리를 100~600℃로 예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수단(300)에 의해 유리기판(GL) 테두리를 600~1,100℃로 열처리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할로겐램프 히터(340)는 예열 처리 뿐만 아니라, 후열처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기판 테두리 열처리장치에 의한 열처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고정수단(100)의 상측으로 유리기판(GL)을 셋팅한다. 그런 다음, 센싱부재(110)에 의해 유리기판(GL)의 정렬이 맞지 않을 경우, 제 1, 2, 3, 4구동부(210)(220)(230)(240)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동에 의해 유리기판(GL)이 구비된 고정수단(100)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기판(GL)의 정렬이 완료되면 가열수단(300)의 할로겐램프 히터(340)로 유리기판(GL)의 테두리를 100~600℃가 되도록 예열하고, 그 다음 화염방사부재(331)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의해 600~1,100℃로 열처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4방향에 각각 구비된 가열수단(300)은 하나의 구동수단(321)에 의해 각 모서리에 구비된 종동수단(323)이 종동부재(322)에 의해 연동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동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상기 종동부재(322)는 타이밍 벨트(Timming Belt)를 적용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의 제조 기술로서 평벨트 또는 "V"벨트 또는 체인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토오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7은 종래의 토오치(330)의 길이방향 단면 형상으로, 연소가스 투입구(331a)가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연소가스 투입구(331a) 길이방향의 단위 면적당 부피는 유입구(331L)와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는 같게 되고, 연소가스 투입구(331a) 내에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유입구(331L)와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에서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31L) 부분과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 부분의 불꽃 세기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불균일한 화염 방사가 이루어지게 되어,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불균일한 열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 투입구(331a)의 유입구(331L) 직경을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연소가스 투입구(331a) 내의 단위 면적당 부피를 다르게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화염방사구(331b)에 전달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원통형상의 연소가스 투입구(331a)의 유입구(331L) 부분의 부피를 크게 하고, 반대편 부분의 부피를 작게하여, 연소가스 투입구(331a) 내의 연소가스의 단위 면적당 압력을 동일하게 형성시켜 유입구부터 반대편까지 일정한 연소가스 유출을 형성하게 하고, 이로 인해 균일한 화염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331a)의 유입구(331L) 직경은 3 내지 4mm 일 수 있으며,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의 직경은 2 내지 3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폭은 10 내지 15Cm 일 수 있다. 즉, 유입구(331L) 직경과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 직경의 차이가 1 내지 2mm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 균일한 화염방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유입구(331L) 직경과 유입구 반대편 말단(331S)의 직경 차이로 인해, 원통형의 연소가스 투입구(331a)는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의 형태가 가능하다. 도 9의 (a) 및 (c)와 같이, 연소가스 투입구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어느 일측에만 기울기가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연소가스 투입구의 단면 길이방향 형상이 도 9의 (a) 및 (c)의 좌측 그림과 같이, 비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와 같이, 연소가스 투입구의 하측 및 상측 양측 모두에 기울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소가스 투입구의 단면 길이방향 형상이 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조공정의 편이성 측면에서는 도 9의 (a) 및 (c)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며, 보다 균일한 화염방사를 위해서는 9의 (b)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9 (a) 내지 (c)의 우측 그림은 연소가스 투입구(331a)의 폭방향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100 : 고정수단 110 : 센싱부재
200 : 구동수단
210, 220, 230, 240 : 제 1, 2, 3, 4구동부
211, 221, 231, 241 : 구동모터
212, 222, 233, 242:제 1, 2, 3, 4링크
213, 223, 243 : 이동부재
214, 224, 234, 244 : 제 1, 2, 3, 4구동판
232, 234 : 제 1, 2감속기 235 : 볼 스크류
300 : 가열수단 310 : 레일
320 : 지지부재 330 : 토오치
331 : 화염방사부재 331a : 연소가스 투입구
331L : 유입구 331S : 유입구 반대편 말단
331b : 화염방사구 331c : 분사노즐
331d : 관통구 331e : 연결구
337 : 산소유입부재 337a : 산소유입구
337b : 통공 337c : 관통구
337d : 마구리 337e : 연통구

Claims (8)

  1.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절단 모서리에 화염을 방사하는 화염방사부재; 및
    상기 화염방사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화염방사 부재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유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방사부재는,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화염방사부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소가스 투입구;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화염방사구;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와 상기 화염방사구를 연통하는 다수의 연결구;
    상기 연결구 및 상기 산소유입부재와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 및
    상기 화염방사구에 설치되고, 화염의 균일한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원형 외주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반원형분사구와 상기 다수의 반원형분사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원형 분사구를 구비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유입구 직경이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말단 사이에는 상기 화염방사구 내의 연소가스의 단위 면적당 압력을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길이방향 기울기가 형성되며,
    상기 산소유입부재는,
    사각단면 봉(棒)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산소유입부재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산소유입구;
    상기 산소유입구의 상측 직각방향으로 다수 구비된 통공;
    상기 산소유입구와 상기 통공을 연통하는 다수의 연통구; 및
    상기 연결구 및 상기 화염방사부재를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통공의 입구에는 마구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직경은 3 내지 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은 2 내지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상기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 차이로 형성되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기울기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직경과 상기 유입구 반대편 말단의 직경 차이로 형성되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기울기는,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하측 및 상측 양측 모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투입구의 길이방향 폭은 10 내지 1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8. 삭제
KR1020160102900A 2016-08-12 2016-08-12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KR10185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00A KR101859831B1 (ko) 2016-08-12 2016-08-12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00A KR101859831B1 (ko) 2016-08-12 2016-08-12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32A KR20180018032A (ko) 2018-02-21
KR101859831B1 true KR101859831B1 (ko) 2018-06-28

Family

ID=6152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00A KR101859831B1 (ko) 2016-08-12 2016-08-12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37B1 (ko) * 2020-04-29 2022-03-15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801A (ja) * 2005-09-20 2009-03-05 ピルキントン ドイチラント アーゲー ガスバーナー及び冷却スプレーを備えたガラス切断加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1B1 (ko) * 2011-06-02 2013-09-23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801A (ja) * 2005-09-20 2009-03-05 ピルキントン ドイチラント アーゲー ガスバーナー及び冷却スプレーを備えたガラス切断加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032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0924A1 (en) Semi-convective forced air system having amplified air nozzles for heating low "e" coated glass
KR101741116B1 (ko) 유리기판 테두리 열처리장치
KR101859831B1 (ko)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EP1550639A1 (en) Method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pparatus therefor
KR20070094494A (ko) 막대 단부 용융 장치 및 방법
CN104418490B (zh) 玻璃加热炉
JP5129249B2 (ja) ハイブリッド型熱処理機及びその方法
JP2013527110A (ja) ガラスシートを加熱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30049866A (ko) 평판표시패널 건조 장치
KR101057477B1 (ko) 라디에이터 커버용 실리콘 부착장치
KR100729429B1 (ko) 램프 소성장치
US20060207292A1 (en) Convection heating furnace for a tempered glass sheet
CN108437607A (zh) 一种三明治板成型用的连续式生产工艺
KR102018271B1 (ko) 균일한 에칭 환경 조성을 위한 에칭 장치
CN107683265A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EP2805927B1 (en) Glass tempering furnace
WO2015116286A1 (en) Forced convection pre-heater for wave solder machine and related method
JP4524377B2 (ja) リフロー装置
CN207942187U (zh) 一种三明治板成型用的连续式生产设备
JP2003332725A (ja) リフロー加熱方法およびリフロー加熱装置
JP5955232B2 (ja) 加熱炉
CN112815309A (zh) 模具预热装置、系统及模具预热方法
KR101043603B1 (ko) 알루미늄 열교환기의 유-벤드 자동 브레이징장치
CN104418498B (zh) 玻璃加热炉
CN112759230B (zh) 一种玻璃窑炉及具有其的玻璃制品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