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771B1 -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771B1
KR101309771B1 KR1020110053495A KR20110053495A KR101309771B1 KR 101309771 B1 KR101309771 B1 KR 101309771B1 KR 1020110053495 A KR1020110053495 A KR 1020110053495A KR 20110053495 A KR20110053495 A KR 20110053495A KR 101309771 B1 KR101309771 B1 KR 10130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flame
cutting edge
cut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541A (ko
Inventor
이호성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771B1/ko
Priority to PCT/KR2012/004273 priority patent/WO2012165864A2/ko
Publication of KR2012013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03B29/02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discontinuous way
    • C03B29/025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1/00Severing glass sheets, tubes or rods while still plastic
    • C03B21/06Severing glass sheets, tubes or rods while still plastic by flashing-off, burning-off or f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2/00Thermal after-treatment of glass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3B19/00, C03B25/00 - C03B31/00 or C03B37/00, e.g. crystallisation, eliminating gas inclusions or other impurities; Hot-pressing vitrified, non-porous, shaped glass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 유리의 절단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미세한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은, 절단 모서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평한 제1면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유리판을 용융 온도 이하로 예열하는 예열단계와, 유리판의 제1면의 절단 모서리 이외의 부분은 화염에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절단 모서리가 화염에 직접 접촉되도록 화염을 방사하는 화염방사수단을 사용하여, 절단 모서리의 유리만이 용융되도록 절단 모서리를 가열하여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제거하는 화염크랙제거단계와, 유리판을 서서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UTTING EDGE CRACK OF GLASS PLATE}
본 발명은 박판 유리의 절단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미세한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테플렛 PC, TV와 같은 전자 기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 LCD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판으로 박판 유리가 사용된다. 또한, 박판 유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패널로도 사용된다. 또한, 터치 센서 장치에도 박판유리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박판 유리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대형의 유리판을 절단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유리판의 절단 방법으로, 유리를 완전 절단하기 보다는 스크라이빙 라인을 먼저 형성하여 기계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만들고, 취약한 부분에 물리적이나 열적인 충격을 가하여 브레이킹(breaking)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물의 압력으로 절단하는 워터젯 절단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유리판에 물리적이나 열적인 충격을 가하여 브레이킹 할 때, 유리는 경도가 높아서 기계적인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에, 절단 모서리 부분에 미세한 크랙이 생기게 된다.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생긴 미세한 크랙을 제거하지 않고서 유리를 강화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미세한 크랙이 진행하여 유리판 자체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미세한 크랙으로 인한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 모서리에 생긴 미세한 크랙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면을 면삭한 후에 모서리 부분을 면취하고 있다. 절단면의 면삭이나 모서리 부분의 면취에는 연삭이나 연마를 위한 다이아몬드 휠과 같은 공구를 사용한다.
연삭 및 연마 공구를 사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박판 유리의 절단 모서리를 연삭 및 연마 할 때 미세한 유리 입자가 발생한다. 발생된 미세한 유리 입자가 박판 유리에 잔류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면삭 및 면취 공정 후에 별도의 세척과 건조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 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유리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양면 또는 단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 가공을 하고 가공 후에 보호 필름을 제거 하는 공정이 추가되기도 한다. 또한, 절단 모서리를 연삭이나 연마하더라도 깊이 진행된 미세한 크랙은 제거되지 않거나, 연삭이나 연마시에 회전하는 공구와의 충격으로 인하여 박판 유리에 2차적으로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발생된 미세한 유리 입자가 제조 설비에 침입할 경우 고가의 장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박판 유리의 절단 모서리에 생성된 크랙을 제거하는 종래의 공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생긴 미세한 크랙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가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랙 제거시 미세한 유리 입자를 발생시키지 않고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랙 제거 시에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2차적인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 모서리에 크랙이 완전히 제거된, 새로운 형상을 갖는 유리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유리판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은, 절단 모서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평한 제1면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유리판을 연화점 온도 이하로 예열하는 예열단계와, 유리판의 제1면의 절단 모서리 이외의 부분은 화염에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절단 모서리가 화염에 직접 접촉되도록 화염을 방사하는 화염방사수단을 사용하여, 절단 모서리의 유리가 용융되도록 절단 모서리를 가열하여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제거하는 화염크랙제거단계와, 유리판을 서서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판의 예열 온도는 유리의 어닐링 부근의 온도 범위인 500 ℃ - 630 ℃ 범위에 있으면 족하며, 약 600 ℃ 내외의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 좋다. 크랙을 화염으로 용융시켜서 제거하기 전에 예열을 하는 것은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열응력에 의한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화염으로 크랙이 제거된 절단 모서리에는 잔류 스트레인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서서히 냉각시는 어닐링(annealing) 작업이 필요하다. 냉각 속도는 350 ℃까지는 14 - 18 ℃/분의 속도를 유지하고, 350℃ 부터 상온까지는 56 ℃ - 62 ℃/분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염크랙제거단계에서는 유리판에서 절단 모서리를 제외한 부분에는 화염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크랙이 있는 절단 모서리에만 화염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절단면 모서리만을 국부적으로 용융시켜서 크랙을 제거한다. 화염방사수단으로 화염방사면과 화염방사면에 형성된 복수의 화염방사홀을 포함하는 버너를 사용할 수 있다. 화염방사면은 유리판의 제1면을 향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화염방사홀은 이웃하는 화염방사홀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할 경우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화염방사면에 형성된다. 화염방사면과 복수의 화염방사홀을 구비한 버너를 사용하여 절단 모서리를 부분만을 가열할 경우, 버너의 화염방사면을 유리판의 제1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복수의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이 유리판의 절단모서리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절단 모서리를 국부적으로 가열한다.
또한 절단 모서리를 가열하기 위해서 절단 모서리에 화염을 접촉시키는 방향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리판의 하부에서 상부로 화염이 향하도록 하여 절단모서리에 화염이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유리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화염이 향하도록 하여 절단 모서리에 화염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염을 절단면에 경사지게 향하도록 하여 절단 모서리에 화염이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유리판을 화염에 의하여 용융된 제1면 절단 모서리의 유리가 중력에 의하여 제1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단면을 타고 흐르도록 유리판의 제1면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버너의 화염방사면을 제1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화염방사홀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단일 폐곡선의 유리판에 대한 정사영은 대응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의 절단면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염방사홀의 중심을 절단면의 외측에 배치하여, 화염방사홀에서 방사되는 화염의 중심이 유리판에서 벗어난 곳으로 방사되로고 하여, 화염의 측부가 유리판의 절단모서리와 절단면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화염방사홀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 - 2 mm 범위의 폭을 갖는 슬릿형상이나, 직경이 0.1 - 2 mm 범위에 있는 원형의 홀을 화염방사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화염방사홀들 사이의 간격은 화염방사홀의 직경에 비례하여 3 - 50 mm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이웃 하는 화염방사홀에서 방사되는 화염이 유리판의 절단모서리를 따라서 빈틈 없이 연속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유리판과 화염방사면 사이의 간격은 화염의 산화염과 환원염이 직접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및 절단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염의 크기와, 유리판과 화염방사면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유리판의 상부면의 절단모서리와 하부면의 절단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한번에 제거할 수 있다. 즉, 버너와 상기 유리판을 버너의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이 유리판의 제1면을 한정하는 절단 모서리와 유리판의 제1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면을 한정하는 절단모서리에 동시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화염을 생성하기 위한 연소가스는 LNG, LPG 또는 아세틸렌 가스와 산소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유리판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는, 화염방사면과, 상기 화염방사면에 형성되고 이웃하는 화염방사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적어도 하나의 단일폐곡선이 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염방사홀을 포함하는 버너와,상기 버너에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일 폐곡선에 대응하는 절단 모서리 윤곽을 갖는 유리판의 일면을 진공흡착하여 파지하기 위한 진공흡착수단과, 상기 진공흡착수단을 이송시켜서, 상기 진공흡착수단이 진공흡착하여 파지한 면의 반대면을 상기 버너의 화염방사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윤곽이 상기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유리판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판이송수단은, 유리판의 상부면 절단모서리와 하부면 절단 모서리에 생성된 크랙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 화염이 상부면 절단모서리와 하부면 절단모서리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유리판이송수단은 버너의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이, 상기 유리판의 진공흡착된 면의 반대면을 한정하는 절단모서리부터 진공흡착된 면을 한정하는 절단 모서리까지 직접 접촉되도록, 유리판의 진공흡착된 면의 반대면과 버너의 화염방사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여, 절단 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 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은 절단 모서리 부분만이 국부적으로 화염에 직접 접촉되어 용융된 후에 냉각되어 절단 모서리가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 모서리 생성된 미세한 크랙을 화염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절단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모서리의 국부적인 용융에 의하여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이 우수한 절단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랙 제거 시에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2차적인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품질이 우수한 절단 유리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한 유리 입자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유리판 절단 모서리의 크랙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세척 및 건조 공정을 제거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절단 모서리에 크랙이 생성된 유리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사용된 버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전에 정해진 형상으로 절단된 유리판(30)이 도시되어 있다. 유리판(30)의 내부에는 원형구멍(33)과 장공(34)이 절단되어 형성되어 있다. 유리판(30)의 상부면(31)은 상부외곽 절단모서리(31b)와 원형구멍(33)의 상부 절단 모서리(31c) 및 장공(34)의 상부 절단모서리(31d)에 의하여 한정된다. 유리판(30)의 하부면(32)은 하부외곽 절단모서리(32b)와 원형구멍(33)의 하부절단 모서리(32c) 및 장공(34)의 하부절단모서리(32d)에 의하여 한정된다. 또한, 절단면들은 대응하는 상부 절단모서리들과 하부절단모서리들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외곽절단면(34)은 상부외곽 절단모서리(31b)와 하부외곽 절단모서리(32b)를 연결하는 면이다. 도 1의 점선원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절단 모서리들 근방에는 유리판을 절단할 때 생성된 절단모서리들에서 출발하는 미세한 크랙(C)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유리판(30)의 절단 모서리 크랙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사용되는 버너(10)가 도시되어 있다.
버너(10)는 화염방사판(11)과, 연소가스공급통체(12)와, 버너지지부(13)를 포함한다. 연소가스공급관(14)은 일단이 연소가스공급통체(12)에 연결되어 있고, 다단에는 커넥터(15)가 연결되어 있다.
화염방사판(11)은 화염방사면(11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판(30)이 평면형상이므로 화염방사면(11a)도 평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단된 유리판이 곡면 형상이면, 화염방사면도 곡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화염방사판(11)은 가공하고자 하는 유리판들의 절단모서리 윤곽에 따라서 화염방사홀(111)이 가공되어 있으며, 가공하고자 하는 유리판에 따라서 교환이 가능하다. 도 2의 점선원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염방사면(11a)에는 일정한 직경(d)을 갖는 복수의 화염방사홀(111)이 일정한 간격(l)으로 형성되어 있다. 화염방사홀의 직경(d)은 0.1 - 2 mm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의 직경(d)은 이웃하는 화염방사홀(111) 사이의 간격(l)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또한, 홀의 직경(d)은 화염방사면(11a)과 유리판(30) 사이의 간격(h) 및 유리판의 두께(t)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홀의 직경은 0.6 mm 이고, 화염방사홀(11) 사이의 간격은 0.8 - 1.2 mm이고, 유리판(30)의 두께는 0.7 mm이고, 화염방사면(11a)과 유리판(30) 사이의 간격(h)은 11 mm 이다. 각각의 화염방사홀(111)은 연소가스공급통체(12)와 연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염방사홀(111)은 원형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 형태도 가능하다. 이웃하는 화염방사홀(111)들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단일폐곡선은 유리판(30)의 대응하는 절단모서리의 윤곽과 동일한 형상이고, 대응하는 단일폐곡선의 유리판에 대한 정사영이 유리판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화염방사홀(111)들을 형성한다.
유리판(30) 하부면(32)의 하부외곽 절단모서리(32b)의 윤곽은 가상의 단일폐곡선(S1)에 대응하고, 유리판(30)에 대한 단일폐곡선(S1)의 정사영에 내부에 하부외곽 절단모서리(32b)의 윤곽이 포함되도록 화염방사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30)의 원형구멍(33)의 하부절단 모서리(32c)의 윤곽은 가상의 단일폐곡선(S2)에 대응하고, 유리판(30)에 대한 단일폐곡선(S2)의 정사영이 원형구멍(33)의 하부절단 모서리(32c)의 윤곽 내부에 들어간다. 또한, 유리판(30)의 장공(34)의 하부절단모서리(32d)의 윤곽은 가상의 단일폐곡선(S3)에 대응하고, 유리판(30)에 대한 단일폐곡선(S3)의 정사영이 장공(34)의 하부절단모서리(32d)의 윤곽 내부에 들어간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는, 버너(10)와, 진공흡착수단(20)과, 이송수단(40)과, 유리판 예열수단(50)과 유리판 냉각수단(60)을 포함한다. 버너(10)에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 공급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관(16)에 연결되어 있다. 연소가스 공급수단은 일반적인 버너에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하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적 사항이다.
유리판 예열수단(50)은 유리판(30)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52)와, 유리판(30)이 컨베이어(52)에서 이송되는 동안에 유리판(30)을 가열하기 위하여 컨베이어(52)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가열챔버(51)로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열챔버(51)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히터에 의하여 더워진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혼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어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챔버(51)는 컨베이어(52)에 의해서 이송되는 유리판(30)을 500 ℃ - 630 ℃ 범위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고, 가열된 유리판(30)은 컨베이어(52)를 타고서 배출된다. 가열챔버(51)에서 배출되는 유리판(30)의 바람직한 온도는 약 600 ℃ 내외이다. 유리판(30)의 크랙을 화염으로 용융시켜서 제거하기 전에 예열챔버에서 예열하여야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열응력에 의한 유리판(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52)에서 예열된 유리판(30)이 공급되면, 진공흡착수단(20)의 진공흡착판(21)이 유리판(30)을 흡착하여 파지한다. 이송수단(40)은 이송안내가이드(42)와 이송안내가이드(42)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송유닛(41)을 포함한다. 이송유닛(41)에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실린더(43)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43)에는 진공흡착수단(20)이 고정되어 있어서 진공흡착수단(2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버너(10)는 버너프레임(17)의 상부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이송수단(40)은 유리판(30)을 버너(10)의 상부로 이송하여, 유리판(30)의 하부면(32)이 버너(10)의 화염방사면(11a)과 일정 간격(h)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이 때, 간격(h)을 유리판(30)의 절단면(35)이 모두 화염(f)에 접촉하도록 조절한다. 즉, 화염(f)의 높이(k)가 간격(h)과 유리판(30)의 두께(t)의 합보다 크게 되도록 간격(h)과 화염(f)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유리판의 절단면(35)이 화염(f)과 접촉할 때, 산화염과 환원염 모두에 접촉하도록 간격(h)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수단(40)은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의 윤곽이 버너(10)의 복수의 화염방사홀의 중심들에 의한 가상의 단일폐곡선과 대응되고, 대응하는 단일폐곡선의 유리판에 대한 정사영이 유리판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판을 이송한다. 즉, 화염의 외측이 유리판(30)의 절단모서리와 절단면에 접촉하도록, 화염방사홀(111)의 중심이 유리판(30)의 절단면(35)에서 외측으로 일정 거리(g) 떨어지도록 유리판(30)을 이송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송수단은 유리판(30)의 하부외곽 절단모서리(32b)의 윤곽을 가상의 단일폐곡선(S1)에 대응시키고, 원형구멍(33)의 하부절단 모서리(32c)의 윤곽은 가상의 단일폐곡선(S2)에 대응시키고, 장공(34)의 하부절단모서리(32d)의 윤곽은 가상의 단일폐곡선(S3)에 대응시키도록 유리판(30)을 이송한다.
유리판 냉각수단(60)은 유리판(30)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62)와, 유리판(30)이 컨베이어(62)에서 이송되는 동안에 유리판(30)을 냉각하기 위하여 컨베이어(62)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는 냉각챔버(61)로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각챔버(51)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히터에 의해서 더워진 공기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혼합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블로어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10)에 의하여 유리판(30)의 절단 모서리에 생성된 크랙이 제거되면, 이송수단(40)은 유리판(30)을 유리판 냉각수단(60)의 컨베이어(62)로 이송한다. 진공흡착수단(20)은 진공흡착판(21)의 진공을 해제하여 유리판(30)이 컨베이어(62)에 떨어지도록 하여 냉각챔버(61) 속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냉각챔버(61)는 컨베이어(62)에 의하여 이송되는 유리판(30)을 서서히 냉각시켜서 유리판(30)에 생성된 잔류 스트레인을 제거한다. 유리판 냉각수단(60)의 냉각 속도는 350 ℃까지는 14 - 18 ℃/분의 속도를 유지하고, 350℃ 부터 상온까지는 56 ℃ - 62 ℃/분의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치와 다른 점은, 버너(10)를 유리판(30)의 상부에 설치된 점이다. 버너(10)를 유리판(30)의 상부에 배치하면, 버너(20)의 화염(f)에 의하여 용융된 절단모서리 부근의 유리가 중력에 의하여 유리판(30)의 절단면(35)을 타고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화염(f)의 고온부에 접촉하여 먼저 용융되는 유리판(30)의 절단 모서리를 상부에 위치시켜서 용융된 유리가 흘러내리더라도 절단면(35)을 타고서 흘러내리므로, 유리판(30) 하부면 이하까지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열 조건을 조절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도 4의 점선원 안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염의 외측이 유리판(30)의 절단모서리와 절단면에 접촉하도록, 화염방사홀(111)의 중심은 유리판(30)의 절단면(35)에서 외측으로 일정 거리(g) 떨어져서 위치되도록 화염방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송수단 및 유리판 가열수단과 냉각수단은 당업자가 적절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장치, 즉 버너(10)가 유리판(30)의 상부에 배치된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판(30)의 절단 모서리 크랙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리판(30)을 유리가 유동성을 갖게 되는 연화점 이하의 온도인 약 600 ℃ 정도로 예열한다. 다음으로, 유리판(30)을 이송하여 유리판(30)의 상부면(31)이 버너(10)의 화염방사면(11a)을 향하도록 한다(도 5a). 화염방사면(11a)에는 절단모서리 이외의 부분은 화염이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절단 모서리와 절단면에 화염이 직접 접촉하도록 복수의 화염방사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화염(f)의 고온부(f1)에 접촉된 유리판(30)의 상부 외곽 절단모서리(31b)와 절단면(35)의 상부 유리가 먼저 용융되어 크랙이 제거된다(도 5b). 다음으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화염(f)의 저온부(f2)에 접촉된 유리판(30)의 하부 외곽 절단모서리(32b) 및 절단면(35)의 하부 유리가 용융되어 크랙이 제거된다. 먼저 용융된 상부측 유리가 절단면(35)을 타고 흘러 내리게 되므로 유리판(30)의 하부면(32) 이하로 흘러 내리기 전에 가열을 끝낸다(도 5c). 다음으로 절단모서리의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30)을 서서히 냉각시켜서 가열에 의하여 발생한 잔류 스트레인을 제거한다.
도 5d는 절단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30)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화염을 이용하여 절단모서리의 크랙을 제거하면,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리판(30)의 절단모서리(36)가 볼록한 곡면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유리판(30)은 상부 외곽 절단모서리, 하부 외곽 절단모서리 및 측면 절단모서리가 모두 볼록한 곡면으로 연결된 형상을 구비한다. 크랙이 제거되어 절단모서리가 볼록한 곡면형상이고, 모든 절단모서리가 연결된 볼록한 곡면의 절단모서리를 갖는 유리판(30)은 집중응력을 산포시켜서 강도가 우수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버너
11a 화염방사면
111 화염방사홀
20 진공흡착수단
30 유리판
40 이송수단
50 유리판 예열수단
60 유리판 냉각수단

Claims (17)

  1. 삭제
  2. 절단 모서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평평한 제1면을 갖도록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유리판을 연화점 온도 이하로 예열하는 예열단계와,
    상기 유리판의 제1면의 절단 모서리 이외의 부분은 화염에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절단 모서리가 화염에 직접 접촉되도록 화염을 방사하는 화염방사수단을 사용하여, 절단 모서리의 유리가 용융되도록 절단 모서리를 가열하여 절단 모서리에 형성된 크랙을 제거하는 화염크랙제거단계와,
    상기 유리판을 서서히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방사수단은,
    상기 유리판의 제1면을 향하도록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화염방사면과, 이웃하는 화염방사홀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폐곡선이 형성되도록 상기 화염방사면에 형성된 복수의 화염방사홀을 포함하는 버너이고,
    상기 화염크랙제거단계는,
    상기 버너의 화염방사면을 상기 유리판의 제1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이 유리판의 절단모서리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절단 모서리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크랙제거단계에서,
    상기 유리판은 화염에 의하여 용융된 제1면 모서리의 유리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1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단면을 타고 흐르도록 상기 유리판의 제1면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버너의 화염방사면은 상기 제1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염방사홀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단일 폐곡선의 유리판에 대한 정사영은 대응하는 상기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의 절단면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방사홀은 원형이며, 직경이 0.1 - 2 mm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크랙제거단계에서,
    상기 버너와 상기 유리판은, 버너의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이 상기 유리판의 제1면을 한정하는 절단 모서리와 상기 유리판의 제1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면을 한정하는 절단모서리에 동시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유리판을 가열하기 위한 화염은 LNG 또는 LPG 가스와 산소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를 연소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방사홀은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9. 화염방사면과, 상기 화염방사면에 형성되고 이웃하는 화염방사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적어도 하나의 단일폐곡선이 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염방사홀을 포함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 공급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일 폐곡선에 대응하는 절단 모서리 윤곽을 갖는 유리판의 일면을 진공흡착하여 파지하기 위한 진공흡착수단과,
    상기 진공흡착수단을 이송시켜서, 상기 진공흡착수단이 진공흡착하여 파지한 면의 반대면을 상기 버너의 화염방사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윤곽이 상기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유리판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송수단은, 버너의 화염방사홀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이, 상기 유리판의 진공흡착된 면의 반대면을 한정하는 절단모서리부터 진공흡착된 면을 한정하는 절단 모서리까지 직접 접촉되도록, 유리판의 진공흡착된 면과 버너의 화염방사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염방사홀은 원형이며, 직경이 0.1 - 2 mm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염방사홀은 일정한 폭을 갖는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연소가스 공급수단에 공급되는 연소가스는 LNG 또는 LPG 가스와 산소를 포함하는 연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을 연속적으로 예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유리판 예열수단과,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을 서서히 냉각시키기 위한 유리판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예열수단은 유리판을 580 ℃ - 630 ℃ 범위의 온도까지 예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053495A 2011-06-02 2011-06-02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30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95A KR101309771B1 (ko) 2011-06-02 2011-06-02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PCT/KR2012/004273 WO2012165864A2 (ko) 2011-06-02 2012-05-31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절단 모서리 크랙이 제거된 유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95A KR101309771B1 (ko) 2011-06-02 2011-06-02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541A KR20120134541A (ko) 2012-12-12
KR101309771B1 true KR101309771B1 (ko) 2013-09-23

Family

ID=4726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495A KR101309771B1 (ko) 2011-06-02 2011-06-02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9771B1 (ko)
WO (1) WO201216586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84B1 (ko) * 2016-08-26 2018-03-08 한국과학기술원 유리 기판의 에지 가공을 위한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3575A (ko) 2020-04-29 2021-11-08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668A1 (en) 2013-12-03 2015-06-1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vering a glass sheet
KR101461514B1 (ko) * 2014-09-18 2014-11-13 주식회사 인터벡스테크놀로지 유리판 화염 방사 연마장치
KR102399877B1 (ko) * 2015-06-11 2022-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레이트 연마 장치 및 연마 방법
CN109070312A (zh) * 2016-06-20 2018-12-21 马塞洛·佩瑞·兰姆逊 用于切割玻璃板的水射流机
KR101859831B1 (ko) * 2016-08-12 2018-06-28 주식회사 메카로 유리기판 절단 모서리의 열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토오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494A (ko) * 2006-03-16 2007-09-20 쇼오트 아게 막대 단부 용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904B2 (ja) * 2000-04-13 200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ガラス基板の面取り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加熱器
CN101646524A (zh) * 2007-02-23 2010-02-10 康宁股份有限公司 热边缘精整
KR101049199B1 (ko) * 2009-07-20 2011-07-14 한국과학기술원 유리기판 라운딩 장치 및 그 유리기판 라운딩 장치를 이용한 라운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494A (ko) * 2006-03-16 2007-09-20 쇼오트 아게 막대 단부 용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84B1 (ko) * 2016-08-26 2018-03-08 한국과학기술원 유리 기판의 에지 가공을 위한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33575A (ko) 2020-04-29 2021-11-08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5864A2 (ko) 2012-12-06
WO2012165864A3 (ko) 2013-03-28
KR20120134541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771B1 (ko)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402097B1 (ko)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KR101265499B1 (ko)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WO2013105773A1 (ko) 유리판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
TW568809B (en) Method for scribing substrate of brittle material and scriber
US20160280581A1 (en) Cutting method for glass sheet and glass sheet cutting apparatus
WO2014021606A2 (ko) 고주파 유도 가열기를 이용한 유리 모서리 가공 방법 및 장치
JP6703286B2 (ja) 脆性材料の切断方法
TW201350389A (zh) 用於分離強化玻璃之方法及裝置及由該強化玻璃生產之物品
CN105565654B (zh) 厚板玻璃的刻划方法及用于厚板玻璃刻划的刻划轮
JP445724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237150B1 (ko) 박판 강화 유리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461514B1 (ko) 유리판 화염 방사 연마장치
KR102399877B1 (ko) 플레이트 연마 장치 및 연마 방법
WO2017002656A1 (ja) ガラス板の切断方法、ガラス板の切断装置、及び切断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101438137B1 (ko) 유리기판 절단장치 및 방법
KR20130107814A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기판 절단장치
JP5449645B2 (ja) 熱処理用シリコンプレートの製造方法。
KR101467201B1 (ko) 유리판 화염 연마장치의 챔버 단열구조
KR101471821B1 (ko) 유리판 화염 연마장치의 유리판 홀더
JP2009298697A (ja) ガラス基板熱処理用セッター
TWI661901B (zh) 處理玻璃基板之切割部分的設備
KR20160082099A (ko) 판유리의 에지 가공 장치
TWI837150B (zh) GaN基板之分斷方法
KR102373937B1 (ko)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