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225B1 -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 Google Patents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225B1
KR101859225B1 KR1020170101158A KR20170101158A KR101859225B1 KR 101859225 B1 KR101859225 B1 KR 101859225B1 KR 1020170101158 A KR1020170101158 A KR 1020170101158A KR 20170101158 A KR20170101158 A KR 20170101158A KR 101859225 B1 KR101859225 B1 KR 10185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coupled
bushing
closing cov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우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진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에 연결되는 리드선을 직접 고압부싱의 내부까지 연장형성함과 동시에 체결고정력을 향상시켜 리드선 단선사고를 방지하고, 전체적인 체결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한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드선과 중심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을 가지며, 둘레부에 변압기 개폐커버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지지턱의 하부로 변압기 개폐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변압기 개폐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를 가지며, 제1중공의 상부 내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부싱코어; 리드선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중공을 가지며,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체결부에 결합되는 리드선 고정부재; 지지턱의 측면에서부터 부싱코어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리드선의 일정 길이까지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부싱코어를 변압기 개폐커버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INSERTED LEAD WIRE TYPE COMPACT HIGH VOLTAGE BUSHING}
본 발명은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에 연결되는 리드선을 직접 고압부싱의 내부까지 연장형성함과 동시에 체결고정력을 향상시켜 리드선 단선사고를 방지하고, 전체적인 체결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한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컷아웃스위치(COS : Cut-Out Switch)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리드선은 타단부가 고압부싱으로 연결되며, 고압부싱으로 연결된 타단부는 변압기 내부로부터 고압부싱의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중심도체와 고압부싱의 내측 상단부에서 결합되므로 결합부위가 상부에 위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날씨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또는 작업자들의 접촉 등과 같은 외부 물리적 요인에 의해 리드선이 단선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다수의 작업 공정 및 복잡한 구조로 인한 고압부싱의 외형이 비대화되면서 공정 단계를 줄이고, 구조의 간소화를 통한 비용 절감 노력은 지금도 꾸준히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0001) 등록특허공보 제1548358호(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테이퍼진 형태의 리드선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리드선의 고정 및 기밀성을 향상시킨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리드선과 중심도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슬리브의 위치를 하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체결슬리브의 상부에 리드선 고정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체결고정력 향상 및 리드선 단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압부싱의 체결구조를 너트체결방식으로 간소화시킨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은, 리드선과 중심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을 가지며, 둘레부에 변압기 개폐커버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하부로 변압기 개폐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변압기 개폐커버의 하부에 위치되며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중공의 상부 내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부싱코어; 리드선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중공을 가지며,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리드선 고정부재; 상기 지지턱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싱코어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리드선의 일정 길이까지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부싱코어를 변압기 개폐커버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는, 상기 제2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 둘레면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리드선이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하부에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고정체결부가 형성되어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중공은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어 피복이 결합된 리드선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안착지지홀; 및 상기 안착지지홀의 하부로 형성되어 피복이 제거된 리드선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하부 둘레부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밀착지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는, 상기 제2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 둘레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체결부의 상단부 둘레면에 지지되는 상부마감볼트; 및 상기 제2중공이 형성된 몸체는 하부 방향으로 테이퍼(taper)지며,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마감볼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볼트에 형성된 제2중공의 내측 상부에는 피복이 결합된 리드선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안착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지지턱과 상기 안착지지턱에 지지되는 피복 단부 사이에는 제2밀폐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절연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개폐커버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는 반도전성 패킹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는 복수 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선과 중심도체의 압착(체결슬리브)부위를 하부로 위치시키고, 상부에 리드선 고정부재를 통해 리드선의 체결고정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진동 등의 피로 스트레스에 의한 리드선의 단선사고도 개선할 수 있으며, 제품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퍼진 나사구조의 리드선 고정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리드선과 부싱코어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안착지지홀에 리드선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밀착지지홀을 통해 리드선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선 고정부재를 상부마감볼트와 제1밀폐부재 및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제2밀폐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밀폐력 및 고정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선 고정부재를 밀폐오링으로 구성시 부품 및 체결구조가 간소화되며, 제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홈을 통해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절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압기 개폐커버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 반도전성 패킹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전계집중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변압기 개폐커버의 하부에서 결합몸체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고압부싱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복수 개의 고정너트로 구성시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부싱코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부싱코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제작시 리드선 고정부재가 결합된 리드선을 체결부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드선 고정부재를 적용한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의 작업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싱코어(12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상 변압기에 결합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에 관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개략적인 작업공정, 구조 및 리드선(110)과 중심도체(20)를 결합하는 체결슬리브(30)의 위치 및 리드선 고정부재(130)의 체결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은 부싱코어(120), 리드선 고정부재(130), 하우징부(140), 고정너트(150) 및 고압부싱의 내부, 즉, 리드선 고정부재(130)의 하부에서 체결슬리브로 결합되는 리드선(110)과 중심도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싱코어(12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심에 리드선(110)과 중심도체(20)가 삽입되어 체결슬리브(30)를 통해 결합되는 제1중공(121)이 형성된다. 부싱코어(120)의 중단 둘레부에는 변압기 개폐커버(1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지지턱(122)이 형성된다. 지지턱(122)의 하부에는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123)가 형성된다. 결합몸체(123)는 변압기 개폐커버(10)에 형성된 결합홀(도면부호 미기재)을 통해 변압기 내부로 위치되며, 후술할 고정너트(150)가 체결되어 부싱코어(120)를 변압기 개폐커버(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제1중공(121)의 상부 내측에는 체결부(121-1)가 형성된다. 제1중공(121)의 직경은 리드선(110)의 직경에 대응되며, 제1중공(121)의 상부, 즉, 체결부(121-1)의 상부는 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체결부(121-1)의 하부는 하부방향으로 좁은 면적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구성된다.
리드선 고정부재(13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심에 리드선(11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중공(131)이 형성된다. 리드선 고정부재(130)는 리드선(110)이 제2중공(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121-1)를 통해 부싱코어(120)에 결합된다. 제2중공(131)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 둘레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리드선(110)이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32)가 형성된다.
제2중공(131)은 리드선 고정부재(13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안착지지홀(131-1)과 밀착지지홀(1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지지홀(131-1)은 리드선 고정부재(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피복이 결합된 리드선(1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밀착지지홀(131-2)은 안착지지홀(131-1)의 하부로 형성되어 피복이 제거된 리드선(1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고 하부 둘레부에는 절개부(132)가 형성된다.
리드선 고정부재(130)의 테이퍼지게 형성된 하부 둘레부에는 체결부(121-1)에 대응되어 고정체결부(133)가 형성되며, 리드선(110)이 결합된 상태로 체결부(121-1)에 조임방식으로 결합되어 리드선(1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은 물론, 리드선(110)과 고정체결부(133) 및 고정체결부(133)와 부싱코어(1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체결부(121-1)와 고정체결부(133)는 테이퍼진 형태의 탄성 재질로 구성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으나, 체결부(121-1)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고정체결부(133)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간을 체결시 절개부(132)의 폭이 좁아지면서 리드선(110)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이다.
고정너트(150)는 결합몸체(123)에 결합되며, 부싱코어(120)를 변압기 개폐커버(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는 변압기 개폐커버(10)와 고압부싱을 고정하기 위해 스프링 조임방식의 3~4개의 볼트를 사용하던 종래방식에 비해 구조의 간소화는 물론, 체결작업상의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킨 구조이다.
한편, 부싱코어(120), 리드선 고정부재(130) 및 고정너트(150)의 재질은 SMC 또는 MC 나일로 등과 같은 절연성질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140)는 부싱코어(120)의 둘레부와 부싱코어(120)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리드선(110)의 소정 높이 둘레까지 감싸도록 고형 또는 액상의 실리콘고무로 사출결합된다. 하우징부(140)의 둘레부에는 절연 거리 확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갓(141)이 형성된다.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하우징부(140)의 사출 결합시 지지턱(122)의 상부에 다수의 돌출부를 구성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과 변압기 개폐커버(10) 사이에는 반도전성 고무, 반도전성 테이프 및 반도전성 페인트 등을 이용함으로써, 전계를 완화시키고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턱(122)의 하부면과 변압기 개폐커버(10)의 상부면 사이에는 반도전성 재질의 패킹부재(160)를 구성하여 접촉면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패킹부재(160) 구성시에는 NBR(니트릴 부타디엔고무)에 반도전성 수지처리를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념적인 구성도이고, 도 5은 도 4의 부싱코어(12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합몸체(123)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절연홈(123-1)이 더 구비된다.
절연홈(123-1)을 통해 절연 거리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너트(150)는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풀림 방지와 고정력 향상을 위해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고정너트(150)를 하나로 구성하고, 도 4에는 고정너트(150)를 두 개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각각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으로 고정너트(150)의 개수를 도시된 상태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설명한 부분 이외의 다른 구조적인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은 도면상에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기본적인 구성부에 대한 자세한 구조와 설명 등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종래 기술들을 참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 제작시 리드선 고정부재(130)가 결합된 리드선(110)을 체결부(121-1)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드선 고정부재(130)를 도 2 내지 도 5의 구성과는 다르게 간단한 밀폐오링으로 구성한 구조로써, 체결부(121-1)의 구조 역시 리드선(110)에 결합된 밀폐오링이 지지결합되는 단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오링은 리드선(110)이 결합되는 제2중공(131)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의 구조 및 형상 등은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자세하게 도시하거나 도면부호를 기재하는 것은 생략하였다.
밀폐오링은 적어도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밀폐오링이 결합된 리드선(110)을 체결부(121-1)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우징부(140)를 사출결합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의 구성보다 더욱 간단한 제작이 가능하며, 밀폐오링에 의해 리드선(110)과 밀폐오링 사이 및 밀폐오링과 부싱코어(1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 외의 구성 등은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드선 고정부재(130)를 적용한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100)의 작업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다른 형태의 리드선 고정부재(130)를 적용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드선 고정부재(130)는 상부마감볼트(134)와 제1밀폐부재(135)로 구성되며, 추가로 제2밀폐부재(1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마감볼트(134)는 제2중공(131)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 둘레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나사선이 형성된 하부가 체결부(121-1)에 나사결합되며, 상부가 체결부(121-1)의 상단부 둘레면에 지지된다.
제1밀폐부재(135)는 제2중공(131)이 형성된 몸체가 하부 방향으로 테이퍼(taper)지며,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상부마감볼트(134)의 하부에 위치되어 체결부(121-1)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121-1)는 상부마감볼트(134)의 하부와 제1밀폐부재(13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로 구성되어 상부마감볼트(134)의 체결시 제1밀폐부재(135)를 가압하며, 가압된 제1밀폐부재(135)는 체결부(121-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가압되어 삽입되면서 리드선(110)과 제2중공(131)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부마감볼트(134)에 형성된 제2중공(121)의 내측 상부에는 피복이 결합된 리드선(11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안착지지턱(134-1)이 형성되고, 안착지지턱(134-1)과 안착지지턱(134-1)에 지지되는 피복의 단부 사이에는 제2밀폐부재(1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밀폐부재(136)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리드선 고정부재(13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드선(110)과 제2중공(131)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1밀폐부재(135)의 구성과 더불어 밀폐력과 동시에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마감볼트(134)와 제1밀폐부재(135) 및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제2밀폐부재(136)으로 구성된 리드선 고정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5의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체결 구조 및 형상 등은 전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로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추가 도면은 생략하도록 한다.
10 : 변압기 개폐커버
20 : 중심도체
30 : 체결슬리브
100 :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110 : 리드선
120 : 부싱코어 121 : 제1중공
121-1 : 체결부 122 : 지지턱
123 : 결합몸체 123-1 : 절연홈
130 : 리드선 고정부재 131 : 제2중공
131-1 : 안착지지홀 131-2 : 밀착지지홀
132 : 절개부 133 : 고정체결부
134 : 상부마감볼트 134-1 : 안착지지턱
135 : 제1밀폐부재 136 : 제2밀폐부재
140 : 하우징부 141 : 갓
150 : 고정너트
160 : 패킹부재

Claims (9)

  1. 주상 변압기에 결합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으로,
    리드선과 중심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을 가지며, 둘레부에 변압기 개폐커버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하부로 변압기 개폐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변압기 개폐커버의 하부에 위치되어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중공의 상부 내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부싱코어;
    리드선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중공을 가지며,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리드선 고정부재;
    상기 지지턱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싱코어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리드선의 일정 길이까지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부싱코어를 변압기 개폐커버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는,
    상기 제2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 둘레면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리드선이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하부에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고정체결부가 형성되어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2. 삭제
  3. 주상 변압기에 결합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으로,
    리드선과 중심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을 가지며, 둘레부에 변압기 개폐커버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하부로 변압기 개폐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변압기 개폐커버의 하부에 위치되어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중공의 상부 내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부싱코어;
    리드선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중공을 가지며,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리드선 고정부재;
    상기 지지턱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싱코어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리드선의 일정 길이까지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부싱코어를 변압기 개폐커버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중공은,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되어 피복이 결합된 리드선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안착지지홀; 및
    상기 안착지지홀의 하부로 형성되어 피복이 제거된 리드선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하부 둘레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밀착지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4. 주상 변압기에 결합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에 관한 것으로,
    리드선과 중심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중공을 가지며, 둘레부에 변압기 개폐커버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의 하부로 변압기 개폐커버에 형성된 결합홀을 통해 변압기 개폐커버의 하부에 위치되어 둘레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1중공의 상부 내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부싱코어;
    리드선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제2중공을 가지며, 리드선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리드선 고정부재;
    상기 지지턱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싱코어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리드선의 일정 길이까지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부싱코어를 변압기 개폐커버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는,
    상기 제2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하부 둘레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나사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체결부의 상단부 둘레면에 지지되는 상부마감볼트; 및
    상기 제2중공이 형성된 몸체는 하부 방향으로 테이퍼(taper)지며,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마감볼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는 제1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감볼트에 형성된 제2중공의 내측 상부에는 피복이 결합된 리드선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며 안착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지지턱과 상기 안착지지턱에 지지되는 피복 단부 사이에는 제2밀폐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고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절연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개폐커버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는,
    반도전성 패킹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는,
    복수 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KR1020170101158A 2017-08-09 2017-08-09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KR10185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58A KR101859225B1 (ko) 2017-08-09 2017-08-09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58A KR101859225B1 (ko) 2017-08-09 2017-08-09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225B1 true KR101859225B1 (ko) 2018-07-04

Family

ID=6291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158A KR101859225B1 (ko) 2017-08-09 2017-08-09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5922A (ja) * 1999-02-16 2000-08-29 Takaoka Electric Mfg Co Ltd ブッシング
KR101556755B1 (ko) 2015-05-26 2015-10-06 우진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KR101642765B1 (ko) * 2016-06-02 2016-07-27 우진전기 주식회사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1672902B1 (ko) 2016-06-02 2016-11-07 우진전기 주식회사 변압기용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5922A (ja) * 1999-02-16 2000-08-29 Takaoka Electric Mfg Co Ltd ブッシング
KR101556755B1 (ko) 2015-05-26 2015-10-06 우진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KR101642765B1 (ko) * 2016-06-02 2016-07-27 우진전기 주식회사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이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1672902B1 (ko) 2016-06-02 2016-11-07 우진전기 주식회사 변압기용 리드선 일체형 고압 복합부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36987B (zh) 阀芯
CN103026567B (zh) 用于插塞连接器壳体的电缆螺栓固紧装置
KR100632247B1 (ko) 변압기용 부싱
KR200445912Y1 (ko) 리드선 일체형 폴리머 피뢰기
JP2004505587A (ja) 円柱状の要素、特にケーブルを軸線方向に保持する装置
KR100951473B1 (ko) 변압기용 부싱
KR101859225B1 (ko) 리드선 일체형 콤팩트 고압부싱
KR20120035111A (ko) 케이블을 풀 릴리프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20190355535A1 (en) Pole componen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KR101875196B1 (ko) 리드선 부착형 콤팩트 폴리머 고압부싱
TWM573907U (zh) Vehicle/ship power socket
US6156979A (en) Bushing device and bushing assembly including it
JPH09274947A (ja) 機器直結形ケーブル接続部
CN106848613B (zh) 电子连接器
JP4603341B2 (ja) 配電機器のブッシング
KR100989739B1 (ko) 방폭 실링 핏팅
KR20160041214A (ko) 방수용 케이블 그랜드
KR101597353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용 커넥터
JPH0374127A (ja) 電気配線の支持装置
US11848529B2 (en) Joint portion connecting a terminal block connection terminal with a counterpart terminal
KR200304848Y1 (ko) 가스배송관과 가스기기의 플렉시블 연결구조
CN116937221A (zh) 用于零磁通模组的连接装置
KR200423105Y1 (ko) 진공인터럽터용 절연부재
WO2022138494A1 (ja) 端子台
CN219608135U (zh) 燃气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