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70B1 -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70B1
KR101858870B1 KR1020160178294A KR20160178294A KR101858870B1 KR 101858870 B1 KR101858870 B1 KR 101858870B1 KR 1020160178294 A KR1020160178294 A KR 1020160178294A KR 20160178294 A KR20160178294 A KR 20160178294A KR 101858870 B1 KR101858870 B1 KR 10185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weight
chromium
iron
nickel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륭
이재곤
김기수
정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4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0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 C23C18/1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8/125Process of deposition of the inorganic material
    • C23C18/1262Process of deposition of the inorganic material involving particles, e.g. carbon nanotubes [CNT],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48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not containing phosphates,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fluorides or complex fluorides, molybdates, tungstates, vanadates or oxalates
    • C23C22/50Treatment of iron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6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lkaline aqueous solutions with pH greater than 8
    • C23C22/62Treatment of iron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10Use of solutions containing trivalent chromium but free of hexavalent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표면조절제 0.05 내지 3.0 중량% 및 순수(H2O) 62 내지 96.85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 포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은 방청성뿐만 아니라 에칭성이 우수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패널, 메탈마스크, 봉지재 및 전자소자의 기판등의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Coating composites containing trivalent chromium, iron-nickel alloy using the same and coating method}
본 발명은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 조명(Lighting) 등 유연(Flexible) 전자산업에 사용되는 소재는 유리, 플라스틱과 금속 등을 들 수 있으나 유리와 플라스틱은 가격과 작업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얇은 두께의 금속 포일(Foil)은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어 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은 가정용이나 음식 조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전해 동박(Electrolytic Copper Foil)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회로 소재나 OLED 디스플레이y용 소재로 적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PDA), E북, 휴대폰 등의 소형제품에도 사용 되고 있다.
특수한 용도의 금속 포일도 생산되고 있는데, 그 중 철-니켈(Fe-Ni)계 합금 포일의 경우 열 팽창 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가 낮아 전자소자 기판, 이차전지의 음극 집전체 및 리드 프레임, 나아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봉지재 등으로 활용 되고 있다.
상기 철-니켈 합금 포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압연법(Rolling)법과 전주법(ElectroForming)이 널리 알려져 있다.
압연법은 Fe 및 Ni을 잉곳(Ingot)으로 주조한 후, 압연과 소둔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금속 포일로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압연법에 의해 제조된 철-니켈 합금 포일은 신장율이 높고,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제조시 기계적인 제약에 의해 폭 1mm 이상인 것은 제조가 곤란하며, 제조 원가가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제조 원가 측면에서의 불리함을 감수하고 압연법에 의해 금속 포일을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조대하여 기계적 물성이 열위하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주법은 전해조 내에 설치된 회전하는 원통형의 음극 드럼과 마주보는 한 쌍의 원호 형상의 양극에 둘러싸인 틈으로 급액 노즐을 통해 전해액을 공급하면서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상기 음극 드럼의 표면에 철-니켈 합금을 전착시키고, 이를 권취함으로써 금속 포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전주법에 의해 제조된 철-니켈 합금 포일은 평균 결정립 크기가 미세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초극박 두께의 포일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원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전주법에 의해 제조된 철-니켈 합금 포일은 철-니켈 합금 포일 표면 및 내부에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분이나 운송 및 저장 중 발생하는 발청(붉은 녹)을 효과적으로 방지(방청성 확보)시키지 못하면 소재의 적용이 곤란하거나 제조된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니켈 합금 포일의 표면에 방청성 및 에칭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소재인 철-니켈 합금 포일의 표면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방청성 및 에칭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표면조절제 0.05 내지 3.0 중량% 및 순수(H2O) 62 내지 96.85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3가 크롬 화합물이 칼륨 크롬산(III) 황산염(CrKO8S2), 질산크롬(Cr(NO3)3), 황산크롬(Cr2(SO4)3), 황산크롬칼륨(CrK(SO4)2), 염화크롬(CrCl3), 아세트산 크롬(Cr(CH3CO2)3) 및 옥살산 크롬(Cr2(C2O4)3)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절제가 벤조산나트륨, 벤조산 및 질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가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및 암모니아(NH4)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가 9.0 내지 13.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니켈 합금 포일; 상기 포일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및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이 제공된다.
상기 포일의 두께가 1 내지100㎛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1 내지 3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표면조절제 0.05 내지 3.0 중량% 및 순수(H2O) 62 내지 96.85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철-니켈 합금 포일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가 9.0 내지 13.5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온도가 25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코팅이 롤코팅, 스프레이, 침적, 스프레이 스퀴징 및 침적 스퀴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가 에어나이프, 열풍 및 유도가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가 강판 표면 최고 온도(PMT)를 기준으로 80 내지 150℃의 온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은 방청성 및 에칭성이 우수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용 패널, 메탈마스크, 봉지재 및 전자소자의 기판 등의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소재인 철-니켈 합금 포일의 표면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고방청성을 구현하는 표면처리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표면조절제 0.05 내지 3.0 중량% 및 순수(H2O) 62 내지 96.85 중량%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크롬은 3가 크롬과 6가 크롬이 있으며, 3가 크롬은 안정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것인데 반해, 6가 크롬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가 크롬은 비산(scattering)되는 특징이 있어, 작업자에게도 위험하고 폐수처리도 쉽지 않으며, 폐기시 수질 및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규제 대상물품으로 취급하고 있다.
또한, 철-니켈 합금 포일의 방청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동박(Cu foil)에 적용 중인 6가 크롬산을 코팅한 결과 방청성은 우수하지만 에칭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6가 크롬 처리에 의한 초극박(2 내지 5 nm) 피막의 에칭성에 문제점을 야기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환경 친화적인 3가 크롬 화합물을 사용하여도 방청성 및 에칭성 모두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3가 크롬 화합물은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칼륨 크롬산(III) 황산염(CrKO8S2), 질산크롬(Cr(NO3)3), 황산크롬(Cr2(SO4)3), 황산크롬칼륨(CrK(SO4)2), 염화크롬(CrCl3), 아세트산 크롬(Cr(CH3CO2)3) 및 옥살산 크롬(Cr2(C2O4)3)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칼륨 크롬산(III) 황산염(CrKO8S2) 및 질산크롬(Cr(NO3)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가 크롬 화합물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이면 내식성이 부족하고, 10 중량% 초과하면 용액 내에서 겔(gel)화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무정형 실리카는 합금 포일과 코팅층의 밀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무정형 실리카의 함량은 3 내지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중량% 미만이면 내식성이 부족하고, 25 중량% 초과하면 용액 내 침전이 발생되어 용액 안정성 및 에칭성이 저하될 수 있다.
형성되는 코팅층에 균일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표면조절제가 첨가된다. 본 발명에서 표면조절제는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벤조산나트륨, 벤조산 및 질산나트륨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벤조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절제의 함량은 0.0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5 중량% 미만이면 코팅층 형성이 불균일하며 내식성이 부족하고, 3.0 중량% 초과하면 용액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건조 시 피막에 얼룩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는 9.0 내지 13.5일 수 있다. pH가 9.0 미만이거나 13.5를 초과하면 용액안정성이 떨어지므로 pH는 9.0 내지 13.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한 pH 조절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암모니아(NH4)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H가 9.0 내지 13.5를 벗어나면 용액안정성이 저하되므로, pH 조절제는 상기 pH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그 함량이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코팅 조성물을 철-니켈 합금 포일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코팅 공정은 코팅 전에 코팅 처리 하고자 하는 소재의 탈지, 수세, 표면 활성화 처리의 예비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재인 전주(전해주조)에서 제조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은 상기 예비 처리를 위한 운송 및 저장 과정 중에 표면 변색 및 녹(red spot)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코팅방법은 철-니켈 합금 포일의 예비 처리를 요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이 예비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면 변색 및 녹 발생을 용이하게 억제 또는 방지시키면서 소재의 표면외관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전주법으로 제조된 철-니켈 합금 포일에 별도의 예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상술한 코팅 조성물을 코팅한다. 상기 코팅 방법은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코팅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롤코팅, 스프레이, 침적, 스프레이 스퀴징 및 침적 스퀴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코팅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레이 스퀴징으로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팅 조성물의 온도는 2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25℃ 미만이면, 용액내 무기물들의 침하(슬러지)가 발생될 수 있고, 50℃ 초과하면, 표면조절제 성분이 반응하여 용액 안정성(겔화)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건조하는 단계는 강판 표면 최고 온도(PMT)를 기준으로 80 내지 150℃의 온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가 80℃ 미만이면, 코팅 용액에 의한 피막형성이 불안전하여 충분한 방청성 및 에칭성을 확보할 수 없고, 150℃를 초과하여도, 건조피막의 성능 향상이 없으므로, 경제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건조는 에어나이프, 열풍 및 유도가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어나이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주(electroforming)법에 의해 제조된 철-니켈 합금 포일; 상기 포일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상기 코팅층은 상술한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이 제공된다.
상기 합금포일의 두께는 100㎛ 이하(0㎛ 제외)일 수 있다. 상기 합금 포일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전기 도금(전주) 방식으로 포일을 생산하는 현재 기술의 경제성을 감안할 때 100㎛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두께는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금속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0.1nm 미만이면, 방청성이 미흡할 수 있고, 30nm 초과하면 에칭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에칭성 및 방청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품질 특성이 우수한 철-니켈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순수(H2O)에 3가 크롬 화합물로 칼륨 크롬산(III) 황산염(CrKO8S2) 및 질산크롬(Cr(NO3)3)을 사용하고, 표면조절제로는 벤조산나트륨을 사용하여 각 성분이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코팅 조성물의 pH는 수산화칼륨(KOH)을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전주법으로 제조 된 철-니켈 합금 포일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스퀴즈 롤로 표면에 잔존하는 용액을 제거한 후, 에어나이프를 거쳐 열풍 오븐(oven)을 사용하여 PMT 80℃로 건조하였다. 상기에 따라 코팅층의 두께가 0.1 내지 30nm인 철-니켈 합금 포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로 용액 안정성을 평가하고, 코팅 처리된 철-니켈 합금 포일로 내식성, 에칭성 및 코팅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용액 안정성, 내식성, 에칭성 및 코팅성의 평가 방법은 각각 다음과 같다.
<용액안정성 평가>
용액 안정성평가는 슬러지와 겔이 발생하는 정도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슬러지와 겔이 발생하지 않는 용액
X: 슬러지가 발생하는 용액
<내식성 평가>
내식성 평가는 염수분무시험기(SST)로 평가하여 3시간 경과한 후 적청 발생 %로 평가 하였다. 이 때 염수분무기의 조건은 순수에 NaCl 5%를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35도씨로 분무압은 1kgf/cm2, 분무량는 80ml/cm2/day로 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Fe-Ni 합금박의 적청이 없음
○: Fe-Ni 합금박의 적청이 1~5%
△: Fe-Ni 합금박의 적청이 5~30%
X: Fe-Ni 합금박의 적청이 30% 이상
<에칭성 평가>
에칭성 평가는 FeCl3 3.0Mol, 50℃ 용액에 코팅된 철-니켈 합금 포일을 약 2분간 침지시키고 흐르는 물로 세척한 후 에칭된 표면의 균일성과 에칭 전후의 무게 감량 정도를 4단계로 평가 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피막의 얼룩 자국이 전혀 없으며, 소재 두께 및 표면적 기준의 80% 이상 용해
○: 피막의 얼룩 자국이 아주 미세하며, 소재 두께 및 표면적 기준의 70% 이상 용해
△: 피막의 얼룩 자국이 조금 심하며, 소재 두께 및 표면적 기준의 70% 미만 용해
X: 피막이 에칭되지 않고 불균일함
<코팅성 평가>
코팅성 평가는 코팅 조성물과 철-니켈 합금 포일과의 반응성, 도포성 및 스퀴즈시 코팅층의 균일성등을 표면 외관 측면에서 4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코팅된 wet 피막의 균일성 우수
○: 코팅된 wet 피막의 아주 미세한 불균일
△: 코팅된 wet 피막의 불균일 조금 심함
X: 코팅된 wet 피막의 균일성이 없음
구분 용액조성 및 조건 물성 및 특성평가
3가 크롬산 실리카 표면안정제 pH 용액안정성 내식성 에칭성 코팅성
실시예 1 0.1 5.0 0.1 11.0
실시예 2 1.0 5.0 0.1 11.0
실시예 3 10.0 5.0 0.1 11.0
실시예 4 2.0 3.0 0.1 11.0
실시예 5 2.0 10.0 0.1 11.0
실시예 6 2.0 25.0 0.1 11.0
실시예 7 1.0 5.0 0.05 12.0
실시예 8 1.0 5.0 1.0 12.0
실시예 9 1.0 5.0 3.0 12.0
실시예10 3.0 10.0 0.5 10.0
실시예11 3.0 10.0 0.5 11.0
실시예12 3.0 10.0 0.5 13.0
비교예 1 6가 크롬산 X X 2.0 X
비교예 2 0.05 5.0 0.1 11.0 X
비교예 3 11.0 5.0 0.1 11.0
비교예 4 2.0 2.0 0.1 11.0
비교예 5 2.0 26.0 0.1 11.0 X
비교예 6 1.0 5.0 0.02 12.0 X
비교예 7 1.0 5.0 3.1 12.0 X
비교예 8 3.0 10.0 0.5 8.5
비교예 9 3.0 10.0 0.5 13.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6가 크롬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칭성이 열위하며, 3가 크롬 화합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비교예 2 및 6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3은 각각 내식성과 용액안정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정형 실리카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비교예 4 및 15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5도 각각 내식성과 용액안정성이 열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조절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인 비교예 6은 내식성에서 1.5 중량% 초과인 비교예 7은 용액안정성 및 내식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액의 pH가 9.0 내지 13.5 범위를 충족하지 않는 비교예 7 및 9는 용액안정성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조성 및 함량을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12는 용액안정성, 내식성, 에칭성 및 코팅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순수(H2O) 62 내지 96.85 중량% 및 벤조산 및 벤조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가 크롬 화합물이 칼륨 크롬산(III) 황산염(CrKO8S2), 질산크롬(Cr(NO3)3), 황산크롬(Cr2(SO4)3), 황산크롬칼륨(CrK(SO4)2), 염화크롬(CrCl3), 아세트산 크롬(Cr(CH3CO2)3) 및 옥살산 크롬(Cr2(C2O4)3)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로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및 암모니아(NH4)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가 9.0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6. 철-니켈 합금 포일;
    상기 포일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및 벤조산 및 벤조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의 두께가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1 내지 3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
  9. 3가 크롬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 무정형 실리카 3 내지 25 중량%, 순수(H2O) 62 내지 96.85 중량% 및 벤조산 및 벤조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철-니켈 합금 포일에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pH가 9.0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의 온도가 25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롤코팅, 스프레이, 침적, 스프레이 스퀴징 및 침적 스퀴징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 에어나이프 열풍 및 유도가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 강판 표면 최고 온도(PMT)를 기준으로 80 내지 150℃의 온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포일의 제조방법.
KR1020160178294A 2016-12-23 2016-12-23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KR10185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94A KR101858870B1 (ko) 2016-12-23 2016-12-23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94A KR101858870B1 (ko) 2016-12-23 2016-12-23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70B1 true KR101858870B1 (ko) 2018-06-27

Family

ID=6278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294A KR101858870B1 (ko) 2016-12-23 2016-12-23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749A (ko) * 2007-07-10 2009-01-14 이윤기 금속 표면 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표면 처리방법
KR20110033656A (ko) * 2009-09-25 2011-03-31 한양화학(공) 3가 크롬 피막 형성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흑색의 3가 크롬 피막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749A (ko) * 2007-07-10 2009-01-14 이윤기 금속 표면 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표면 처리방법
KR20110033656A (ko) * 2009-09-25 2011-03-31 한양화학(공) 3가 크롬 피막 형성용 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흑색의 3가 크롬 피막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0800B2 (ja) 容器用鋼板の製造方法
EP3385405B1 (en) Chromium-free surface-treated tinplate, production method and surface treating agent therefor
TW539769B (en) Surface treated tin-plated steel sheet and chemical treatment solution
JP5251078B2 (ja) 容器用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5157487B2 (ja) 容器用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WO2012002360A1 (ja) 容器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2520A (ja) 容器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18944B1 (en) Tin-plat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858870B1 (ko) 3가 크롬을 함유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철-니켈 합금포일 및 코팅 방법
JPH03138389A (ja) めっき密着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Zn―Mg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60052A (ja) Si含有化成皮膜を有する錫系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US2780592A (en) Electrolytic treatment of metal surfaces
KR100311062B1 (ko) 내흑변성및내백청성이우수한아연함유금속도금강판의제조방법
JP2008163364A (ja) 加工後の塗膜密着性およびフィルム接着性に優れた化成処理鋼板
KR101714934B1 (ko) 방청성이 우수한 Fe-Ni계 합금 금속포일 및 그 제조방법
JP2007321212A (ja) 摺動性と接触抵抗に優れたNiメッキ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62484B2 (ja) 電気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16094640A (ja) 電気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7262544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930007925B1 (ko) 동 및 동합금 또는 이들을 피복한 금속의 표면처리방법
JPH02101200A (ja) リン酸塩処理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冷延鋼板
KR100797274B1 (ko) 인산염 피막의 내식성 및 도장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실링용액 및 상기 실링용액이 도포된 강판
JPH0716982A (ja) 有機複層被覆鋼板
JPH04180592A (ja) めっき密着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Zn―Mg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302489A (ja) 高耐食性表面処理鋼板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